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청준 소설의 매체 수사학적 특성 연구 - 이청준 「벌레이야기」, 영화 <밀양>, 드라마 <벌레이야기>를 중심으로 -

        박상익 이화어문학회 2014 이화어문논집 Vol.33 No.-

        본고는 이청준의 「벌레이야기」가 TV 드라마와 영화로 변주된 양상을 고찰하면서, 각각의 2차 텍스트의 변환에 개입한 수사적 상황을 검토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1차 텍스트인 「벌레이야기」가 지니고 있던 “배신감”이라는 핵심어는 TV 드라마 <벌레이야기>에서 “타인으로부터의 배신감”이라는 메시지로 변환시킨다. 이를 위해서, 1차 텍스트에 존재하는 타인에 대한 배신감을 잘 보여주는 보충적 사건을 더 읽기(Over-reading)하여, 2차 텍스트를 재구성한다. 반면 <밀양>은 1차 텍스트인 「벌레 이야기」의 메시지가 수사적 상황으로 인해 다소 모호하고 형이상학적으로 구성되었던 것과는 메시지를 보다 구체적으로 드러낸다. 그 결과 1차 텍스트가 지니고 있던 메시지를 더 강렬하게 전달하는 수사적 파괴력을 획득한다. 이렇게 각각의 텍스트가 지니고 있는 메시지들은 서로의 논의를 넘어서고 확장시키며, 텍스트에 내재되어 있던 자질들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시킨다. 이러한 역동적인 상호 작용은 이야기를 만들어내고 이해하는 인간 능력의 위대함을 다시 한번 생각하도록 한다. This study is a comparison study between Yi Chung-jun’s short novel “Bug Story” and Bug Story(Television singleplay), Secret Sunshine(Movie), mainly focused on process of adaptation and rhetorical situation. To analyze process of adaptation and rhetorical situation, this study examines “Bug Story”, Bug Story(Television singleplay), Secret Sunshine(Movie). In short novel “Bug Story”, main theme is betrayal which God is an act of treason against one poor mother. But, this novel considerd problem what is the true forgive. On the other hand, in the Television singleplay Bug Story, that betrayal is changed betrayal which other people is an act of treason against one poor mother. Secret Sunshine(Movie) considerd between person and person. This people give one mother some help to get over the loss of her child.

      • KCI등재

        이청준의 「벌레 이야기」에 나타난 플롯 구성의 서사의미

        오영록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8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78 No.-

        Lee Chung-jun is a writer who had lived during the mid-twentieth century, the era of rapid changes, and novelized the truth and dark side of our society with his literary perspective. 「Worm Story」 is the problematic novel published in 1985. After its publication, 「Worm Story」 has gained major attention of the public. However, previous researches conducted after 1990s tend to focus mainly on its secondary aspects. Therefore, the present research focuses on the essential aspects of Lee Chung-jun’s 「Worm Story」 and examines its narrative meanings from the perspective of plot composition. 「Worm Story」 is a story of a victimized wife, captured by the viewpoint of the husband. There are three incidents that the wife is absorbed in. They create a contradictory situation and ironical context by causal arrangement of the incidents. Such demonic and disillusioned plot narratively reveals the meanings of existence and independence possessed by individuals. Also, the three major incidents demonstrate the wife’s sacrifice for her child Alam. This causal arrangement of incidents helps us understand why the wife was outraged by the fact that she could not forgive the criminal and abruptly committed suicide. This novel effectively composes the plot of sorrow and tragedy through the wife’s behaviors and completes its narrative structure. The present research is significant in a sense that it has examined the philosophical recognition and aesthetic composition of 「Worm Story」 from narrative perspective. 이청준은 우리 시대의 격변기라 할 수 있는 20세기 중후반을 살아오며 문학적 시선에 의해 포착된 진실과 이면을 소설로 형상화한 작가다. 이와 같은 이청준이 1985년에 발표한 문제적 작품이 바로 「벌레 이야기」이다. 이 작품은 발표 이후 많은 이들에 의해 거론의 대상이 됐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진행된 연구는 이 작품의 부차적 차원에 주로 주목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에 본고는 이청준의 「벌레 이야기」에 나타난 본질적 차원에 접근하여 그 서사적 의미를 플롯 구성의 차원에서 살핀다. 「벌레 이야기」는 남편의 시선에 의해 포착된 또 다른 희생자 아내의 이야기가 나타난다. 여기에서는 아내가 몰두하는 세 사건이 주요한 서사 분기점으로 발생한다. 이것은 모순적 상황을 구성하며 인과적인 사건 배열을 통해 서사적 아이러니가 절묘하게 드러나는 하나의 맥락을 만든다. 이와 같은 환멸과 발견의 플롯은 개인이란 존재가 지니고 있는 주체성의 의미를 드러내는 가운데 아내의 서사를 구성한다. 또한, 이 작품에서 주요하게 드러나는 세 사건은 엄마가 자기 자식인 알암이를 위해 모든 것을 다 하며 희생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이러한 사건 배열은 인과적으로 구성되며 알암이 엄마가 왜 범인을 용서할 수 없음에 분노했고, 갑작스런 자살을 택했는가를 이해할 수 있게 한다. 이 작품은 엄마의 행동을 통해 드러나는 비극적 요소를 효과적으로 구성하며 이를 통해 엄마의 서사를 형성한다. 본고는 이청준의 「벌레 이야기」에 담긴 철학적인 인식과 함께 미학적 형성을 플롯 구성이란 서사적 차원에서 구명했음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이청준의 「벌레이야기」와 이창동의 <밀양> 비교 고찰

        김은경 한국현대문학회 2023 한국현대문학연구 Vol.- No.69

        In this article, the original novel(Bug Story) and the film(Secret Sunshine) produced by adapting it are compared from an equal point of view. This paper conducted discussions on the spatiality of both works based on the concept of three-dimensional ‘depth’. In other words, the perspective of discussing the spatiality of the two works is placed on the same horizon. The second point, the discussion on the issue of emotion, develops on the basis of this discussion on spatiality. Therefore, it cannot be concluded that the results of these discussions converge to the genr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works. Chapter 2 reveals the aspect of representation through spatiality, a promine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works. Section 2.1. focuses on the abstract spatiality of Bug Story. In order to prove this, the discussion began on the premise that the depth of space can be intuitively captured from the novel. From this point of view, it was revealed that Bug Story minimizes the depth of space like a close-up shot of a movie, and only "characters" are represented in a magnified mirror. Section 2.2. revealed that Secret Sunshine exposes the singularity of reproducing its specific spatiality not only visually but also audibly. First of all, Secret Sunshine specifically reproduces the character and the space occupied by the character through the depth of the field, allowing a glimpse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olume of the space occupied by the character and the intensity of the emotion felt by the character. In addition, what this paper paid great attention to is that the specific spatiality of the city called “Milyang” is acoustically reproduced in Secret Sunshine. The first half of Secret Sunshine reproduces the specific world of living with various sounds and embosses the inner feelings of the heroine who exists in it. Chapter 3 discusses that the theme consciousness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Providence’) is realized differently within the two works through the problem of emotion, which is the essential common feature of the two works. Section 3.1. discussed that the emotion of the main character in Bug Story are ultimately subject-oriented. The wife, the main character, puts the Humans and Providence in an alternative relationship, and eventually chooses to extinguish Human in order not to betray Providence(God). Through this, I read the distance between Humans and Providence. Section 3.2. discussed that the emotion of the heroine is object-oriented in Secret Sunshine. This was revealed through the analysis of Secret Sunshine's filming techniques and ‘mise en scene’, and in the process, it was discussed that the film shows through the image aesthetic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Providence is close and easy to crack.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this paper compared two works of different genres in the equal horizon, and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reveal the uniqueness of each of the two works as a novel and as a movie. 이 글에서는 원작소설(「벌레이야기」)과 이를 각색하여 제작한 영화(<밀양>)를 대등한 관점에서 비교하고 있다. 이를 위해 두 작품의 결정적 차이점(공간성) 및 공통점(감정의 문제)에 주목하였다. 본고는 두 작품의 공간성에 대한 논의를 모두 3차원적 ‘심도’ 개념에 입각하여 진행하였다. 이와 같이 두 작품의 공간성을 논의하는 시각이 동일지평에 놓이기에 그 논의의 결과가 단순한 장르적 차이의 문제로 귀결된다고 보기 어렵다. 감정의 문제에 대한 논의는 이러한 공간성에 대한 논의의 바탕 위에서 전개되므로, 그 결과 또한 장르적 차이로 수렴한다고 단정할 수 없다. 2장에서는 두 작품의 두드러진 차이점인 공간성을 통해 재현의 양상을 밝히고 있다. 2.1.절에서는 「벌레이야기」의 공간이 추상적인 점에 주목, 이를 입증하기 위해, 소설에서도 ‘공간의 심도’를 직관적으로 간취할 수 있다는 점을 전제하고 들어간다. 이러한 시각에서, 「벌레이야기」가 영화의 근접촬영처럼 공간의 심도를 최소화한 가운데, ‘인물’만을 확대경적으로 재현하고 있다는 점을 밝혔다. 2.2.절에서는 <밀양>이 그 구체적인 공간성을 시각적으로뿐만 아니라 청각적으로 재현하는 특이점을 나타내고 있음을 밝혔다. 우선 시각적으로, <밀양>은 인물과 그 인물이 점유하는 공간을 피사계 심도를 통해 구체적으로 재현하는바 그 피사계 심도 조절을 통해 인물이 점유하는 공간의 부피와 인물이 느끼는 감정의 강도 간 상관관계를 엿볼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 더하여 본고가 크게 주목한 바는 <밀양>에서 ‘밀양’이라는 도시의 구체적 공간성이 청각적으로 재현되고 있다는 것이다. <밀양>의 전반부는 다양한 소리들로써 구체적인 생활세계를 재현하고 그 안에 존재하는 여주인공의 내면(감정)을 양각한다. 3장에서는 두 작품의 본질적 공통점인 감정의 문제를 통해 그 주제의식(인간과 섭리의 관계)이 두 작품 내에서 상이하게 구현되고 있음을 논의하였다. 3.1.절에서는 「벌레이야기」의 주요인물이 갖는 감정이 궁극적으로 주체지향적임을 논하였다. 주요인물인 아내는 자아와 신을 양자택일의 관계에 두고, 결국 섭리(신)를 저버리지 않기 위해 자아(인간)를 소멸시키는 방법을 택하는바, 본고는 이를 통해 인간과 섭리 간 거리를 읽고 있다. 3.2.절에서는 <밀양>에서 인물(이신애)의 감정이 대상지향적임을 논의하였다. 영화의 촬영기법, 미장센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를 밝혔으며, 그 과정에서 <밀양>이 인간과 섭리 간 관계가 긴밀하면서도 균열이 가기 쉬운 것임을 그 영상미학을 통해 보여주고 있음을 논의하였다. 본고는 이상의 논의를 통해, 장르가 다른 두 작품을 대등한 지평에서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두 작품이 각기 소설로서 그리고 영화로서 가지고 있는 독자성을 밝혀볼 수 있었다.

      • KCI등재

        일인칭 관찰자 시점의 창작효과 - 「모든 영광은」, 「벌레 이야기」의 지연 효과를 중심으로(1)

        박덕규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1 리터러시 연구 Vol.12 No.6

        In novels, the narrator’s point of view functions as a basisto justify the plot and give order to the narrative.The present thesis focuses on novels that achieve certain effectsthrough first-person narration, describing the main character’s experiences in such a way that the ‘I’, who is witnessing the event, can be meaningfully imprinted on the reader. It attemptsto derive a creatively valid methodology beyond the analysisstage of ‘point-of-view research’. Hwang Sun-weon’s “All Glory” andYi Cheongchun’s “The Story of theWorm” are as examples of literary achievement that in terms of creative methodology are also good guides for writers in their strategic adoption of a first-person perspective. “All Glory” describes one man’s process of becoming both victim and perpetrator during the war, then his experience as an observer facing and overcoming the extreme contradiction through the power of love. In the first half of the novel, ‘I’ is put off by a man’s approach but gradually, as he becomes absorbed in the man’s story, eventually becomessupportive of what the man’sfuture course of action. Here, the psychological transition process of ‘I’from ‘rejection’to ‘solidarity’is rooted in the ‘experiential delay’ he adopts as a first-person observer. “The Story of the Worm” similarly describes through the ‘I’ perspective of the husband the changesin his wife’s behavior after her child is kidnapped and eventually found murdered.The narrative does notstop atshowinga mother’s mental breakdown over the tragic death of her child through ‘I’’s perspective. ‘I’’s reflective process of revisiting and re-explaining the event several times as ‘narrator’ in order to properly convey the meaning of his wife’s actions, correspondsto a ‘descriptive delay’ as he tries to highlight the true meaning hidden in his ordinary reconciliation with and forgiveness of the wife’s actions. The first-person observer’s point of view is described from the point of view of creative writing, as an effective methodology for revealing complex situations, portraying events that require multiple layers of understanding, and describing people with subtle inner psychologies. “All Glory” and “The Story of the Worm” are works that successfully apply this technique, using ‘delay’ as a methodology for portraying the attitude of the ‘I’ towards the main character both in terms of experience and description. The works are understood as good examples showing the creative effect of viewpoint selection. This paper is the first of a series of papers on “All Glory” and “The Story of the Worm”. The second paper is about “The Story of the Worm” and will appear. This paper is the first of a series of papers on “All Glory” and “The Story of the Worm”. The second paper is about “The Story of the Worm” and will appear in the following magazine. 근대소설에서 서술자의 시점은 서술에 질서를 부여해 플롯을 정당화하는 근거로작동되고 있다. 이 논문은 일인칭 시점 소설에서 특히 주인물의 특별한 경험을 그 주변인인 ‘나’가 독자에게 의미 있게 각인될 수 있게 서술함으로써 일정한 효과를 거둔소설을 주목한다. 이는 시점 연구에서 분석 단계를 넘어 창작적으로 유효한 방법론을얻으려는 시도다. 황순원의 「모든 영광은」과 이청준의 「벌레 이야기」는 일인칭 관찰자 시점을 전략적으로 채택해 문학적 성취를 이룬 예로 창작적 방법론이라는 측면에서도 좋은 길잡이가 된다. 「모든 영광은」은 전란 중에 피해자이자 가해자가 된 한 사내가 자신이 처한 극심한모순을 사랑의 힘으로 극복해 가는 과정을 ‘나’가 관찰자로서 수렴하고 있다. 소설 전반부에서 ‘나’는 사내의 접근을 불쾌하게 여기며 거부감을 드러낸다. 그러나 점차 사내의 얘기에 빠져들면서 끝내 사내가 취할 행동에 대해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거부감’에서 ‘연대감’으로 전이되는 ‘나’의 심리적 전이과정은 곧 일인칭 관찰자로 채택된‘나’의 ‘체험적 지연’에 의해 기대효과를 발휘함으로써 독자의 공감을 유도한다. 「벌레 이야기」은 자식이 유괴되고 결국 살해된 시체로 발견된 것에 대한 아내의 행동 변화를 ‘나’를 통해 수렴하고 있다. 그 내용은 자식의 비극적인 죽음에 대한 어머니의 정신파탄이 어떤 것인가를 보여주는 데 그치지 않는다. ‘나’는 아내의 행동이 의미하는 바를 제대로 전하기 위해 ‘서술자아’로서 여러 차례 사건 자체를 되짚어 설명하는 과정을 드러낸다. 이러한 ‘되짚어 설명하기’는 아내의 행동이 통상적인 용서와 화해가 은폐시키는 진정한 의미를 제대로 부각하려는 ‘나’의 ‘서술적 지연’에 해당한다. 이는 독자에게 이 사건에 대한 정당한 평가를 넘어 진정한 가치평가를 유도하는 데기여한다. 일인칭 관찰자 시점은 창작적 관점에서 복잡한 상황, 중층적인 이해를 필요로 하는 사건, 미세한 내면 심리를 지닌 인물 등을 효과적으로 드러내는 방법론으로 설명된다. 「모든 영광은」과 「벌레 이야기」는 이를 성공적으로 적용한 작품으로 특히 ‘나’ 의 주인물에 대한 태도를 각각 체험과 서술이라는 면에서 ‘지연’이라는 방법론을 적용해 성취를 얻었다. 이는 시점 선택의 창작효과를 밝히는 좋은 예로 이해된다. 이 글은 「모든 영광은」과 「벌레 이야기」 두 편에 관한 연이은 논문 중 제1편에 해당하는 소논문이다. 이어지는 논문은 「벌레 이야기」에 관한 것으로 다음 지면에 발표할 예정이다.

      • KCI등재

        이청준 「벌레 이야기」에 나타난 분노의 정념과 서사적 상상력

        오은엽 ( Oh Eun-yeop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8 국제어문 Vol.0 No.78

        본 연구는 이청준의 「벌레 이야기」에 나타난 인물들의 정념 발현 양상을 정념 기호학의 분석틀을 적용하여 살펴보았다. 「벌레 이야기」는 아이를 잃은 엄마(아내)의 참담한 마음을 <분노>라는 정념의 서사로 보여준다. 아내의 분노를 실망감, 불만족, 공격성이라는 세 개의 연속적인 시퀀스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아내는 극도의 상실감이 반복되면서 타인과 자신에 대한 신뢰가 무너지고 상처를 치유할 애도의 과정 대신 자기 파괴적인 분노의 정념이 삶을 휘몰아간다. 서사의 흐름은 아내의 분노가 원한과 앙심으로 분할, 확대되어가는 양상을 통해 구축되고 있으며 결국 아내는 분노와 복수라는 공격성으로 인한 파국을 맞게 된다. 이 작품은 인간의 존엄한 가치를 상실한 채 자살한 아내의 서사일 뿐 아니라 아내의 정념이 부정적인 방향성을 갖도록 유도하거나 방치한 주변인들에 대한 비판적 시선을 만들어냄으로써 윤리적 공감과 연민을 촉구하는 또 하나의 잠재된 서사의 축을 포함한다. 관찰자인 남편은 믿을 만하지 못한 서술자임에도 불구하고 서사 전체를 관통하며 계속 의구심을 품고 변모하는 태도를 보여줌으로써 독자로 하여금 이러한 윤리적 시선을 구축하는 데 기여한다. 남편이 아내의 죽음을 희생으로 판단하고 그 죽음의 과정과 이유를 증언하는 과정은 타인에 대한 공감과 연민을 가능하게 하는 조건을 분노의 서사를 통해 형상화하고 있는 작가의 윤리적 실천으로 보인다. 이것은 곧 법, 국가, 종교로 대변되는 절대 권력의 시선으로 미처 파악하지 못한 아내의 인간적 고통과 상처를 보듬고 살피려 했던 이청준만의 감수성이라 할 만하다. This study is an analysis about the semiotics of passion in Lee Chungjun’s 「Worm Story」, describing the aspect of the characters’ passion revelation. 「Worm Story」 shows the anger of a mother, who lost her loving son, as the narrative of passion. The mother changes sequentially her anger into the disappointment, dissatisfaction and aggression in the story. Having the experience of extreme frustration repeatedly and losing the trust about everything, she drives herself to a self-destructive behavior instead of the mourning or taking care of the sadness. The narrative not only draws her rage to the hatred and grudge but also makes it spread widely and she ends up suiciding herself. This story includes the narrative of a mother who lost the human dignity and it leads the critical view that the mother isn’t destroyed by her own negative passion but the neglect of other people. Her husband, who is a trustless observer at first, has a role which lets the reader construct the ethic view, showing his attitude changed by doubting constantly through the story. Defining the mother’s death as a sacrifice by the ruthless society, the husband enables the reader to have the empathy and compassion to others, and it is the ethic voice of the writer. In this way, Lee Chungjun would like to heal the mother’s agony and wound which the attention of the absolute authority like the law, the nation and the religion couldn’t treat.

      • KCI등재

        신정론적 고뇌와 신비 체험의 양상 연구 : 「벌레 이야기」와 「남경의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남금희 ( Kum Hee Nam )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14 문학과종교 Vol.19 No.1

        「벌레 이야기」는 자식의 유괴 피살로 고통을 겪는 한 어머니가 기독교 신앙을 수용하려 했으나 신정론적 고뇌에 부딪혀 자살하게 된 경위를 보여준다. 반면 「남경의 그리스도」는 한 경건한 창녀가 믿는 예수 그리스도가 그녀의 삶에 일으킨 기적을 보여준다. 「벌레 이야기」의 그녀는 용서의 주체가 되어야 할 자신이 빠진 가운데 범인에 대한 신의 구원 계획이 그를 용서했다는 절망감으로 자살을 선택한다. 그래서 서술자인 ‘나’는 아들과 아내의 죽음을 신의 섭리에 희생당한 희생자의 개념으로 파악하고 인간을 위한 인간의 신학이 필요함을 역설하고 있다. 반면 「남경의 그리스도」에 등장하는 금화는 자신의 불행한 처지 가운데서도 오직 주관적인 믿음으로 매독을 치료받는 꿈의 기적을 체험한다. 이러한 비정상적인 신비체험을 전해들은 ‘그’는 금화가 그리스도라고 믿고 있는 그 실제 인물이 누구인가를 알고는 있지만 금화에게 알리지 않는다. 이처럼 신앙은 신의 말씀이나 약속에 대한 개인의 태도요 결단에 속하는 문제이다. A Worm Story reveals a mother who is suffering because her son is kidnapped and killed. She tries to believe in God but feels unacceptable limits and commits suicide. Unlikely, The Christ of Nanjing shows the confession that Jesus Christ did a miracle to a certain Godly whore. In A Worm Story, she confronts an agony of theodicy. Narrator ‘I’ considers that his wife was sacrificed by the dogmatism of Christianity and emphasizes that human theology for human is needed. In The Christ of Nanjing, a Japanese traveler knows who is the real person that, Kum-Wha believes, is Jesus Christ, but he dosen`t inform the fact to her. As a result, it can be recognized that the faith is an attitude of the man who receives the God`s words

      • KCI등재

        이청준의 『벌레 이야기』 에 나타난 ‘용서’에 대한 고찰

        강준수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17 문학과종교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종교에 있어서 용서의 본질에 대한 문제를 탐구하는 것이 다. 이청준은 자신의 소설에서 삶의 의미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는 경향이 있다. 『벌레 이야기』는 용서와 구원을 통해서 진정한 인간의 삶이 무엇인지를 독자들 에게 묻는다. 『벌레 이야기』는 관찰자가 각 장면을 선택하고 배열함으로써 사 건을 입증하는 방식을 취한다. ‘나’는 이 작품에서 발생하는 모든 사건들을 설 명하고, 검토한다. ‘나’의 증언에 따르면, 아내는 아이의 죽음을 잊어버리기 위 해서 종교에 귀의하지만, 무기력하게 종교의 희생자가 되었다. 『벌레 이야기』는 진정한 용서, 인간 존재, 그리고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아 내는 고통스러운 현실을 잊어버리기 위해서 자살을 감행하지만, 그녀의 자살은 삶의 모든 것을 포기하는 것이 아니라, 그녀를 억압하는 관계와 현실로부터 도 피함으로써 현실에서 실존성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작가는 이 작품에서 억압적 이고 엄격한 종교를 제시하고 있다. 결국, 이청준은 인간 존엄성의 중요성과 도 덕적 가치에 바탕을 둔 양심을 강조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ssence of forgiveness in religion. Chung-jun Lee tends to raise the question regarding the meaning of life in his novels. “The Story of the Bug” is a novel that asked readers what the real life of humanism is through forgiveness and salvation. “The Story of the Bug” uses a specific method in which an observer can testify events by selecting and arranging pieces of scenes. According to the testimony of ‘I,’ the wife converts to a religion in order to forget the death of her child but helplessly became the victim of the religion. “The Story of the Bug” raises questions concerning real forgiveness, human existence, and human dignity. The wife tried to commit suicide in order to escape from a painful reality. But her suicide was not the abandonment of everything but rather the attempt to actually exist in life while escaping from the relationships and reality that oppressed her. The writer shows the common scenario of oppressive and strict religion in this work. After all, Lee tries to discuss the importance of human dignity and emphasizes the conscience based on moral valu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소설의 영화화에 따른 서사성 변환 연구 : 「벌레 이야기」와 「밀양」을 중심으로

        신익호(Shin Ik ho) 한국언어문학회 2015 한국언어문학 Vol.93 No.-

        In Bug Story and Secret Sunshine, the main character Shin-ae's anguish and religious conflict are described in more detail than the incident which causes her child's miserable sacrifice. Seemingly, Shin-ae tries hard to overcome her despair with christian faith, but she strives to cope with her tragedy within the limitations of human ability. She is not sure of salvation through the christian faith. Conversely, she is obsessed with the idea that she can get over difficulties with her efforts and will, that is to say, through self-deification. She loses her lovely son, but does not give up on her life. Rather, she can support herself, having strong will and hope. Eventually, these efforts lead to the fictional religion. Others who have never experienced her religious conflict, have no right to criticize that she has developed a blessing-oriented faith. Shin-ae's failure of salvation is a result of the religious dogma. Also, it expresses that she is locked in struggle with her will and fictional faith due to the limitation of human ability rather than she apologizes people around her with agape. She has never experienced both self denial as a sinner and a sense of gratitude and repentance which are the essence of christian faith. For this reason, she is not a born again christian, but just a bug. This story not only educates the reader that false religious faith is serious, but also shows univeral sympathy that religious salvation can not solve easily the problems of the human condition. The original novel, Bug Story, and the movie, Secret Sunshine, have differences in characters, surrounding environment, method of narration, structure derived from different genres, thematic consciousness and ending plot, even though they have common factors such as the existential situation and theodicean problems. The first part of the movie describes how the main character's child is kidnapped and killed in the process of settlement in a remote town. This event is portrayed as the climax of agony and anxiety. In the latter half of the film, the mother of the child writhes in desperate agony and faces the existential situation with religious conflict. At the end, a postive life is implied with secret and hopeful light. The main character, Shin-ae, plays the part of a long-suffering wife who acts out a series of deviant behaviors such as a suicide attempt, wrath and cursing in protest toward God after the failure of forgiveness. She is the most round character by means of motion picture techniques. Though she had a good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received God's word once, she becomes a person who does not communicate well with others. When she does not find solutions and just feels despair, facing agony and protesting God, believers urge her to recognize the Providence of God and God's will. In this respect, the theodiciean interpretation justifying agony explains that hardship and adversity resulting from sin can be resolved through atonement. However, art questions and defies the Providence of God and deals intensively with the existential situation that superficial religion can not save people in agon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