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번역노걸대(飜譯老乞大)』·『번역박통사(飜譯朴通事)』의 입성(入聲) 소고(小考) -『사성통해(四聲通解)』의 입성(入聲)과의 비교를 통하여-

        김은희 ( Kim Eun-hee ),신천 ( Shen Quan ),배영환 ( Bae Young-hwan ) 영주어문학회 2021 영주어문 Vol.47 No.-

        본고에서는 『飜譯老乞大』·『飜譯朴通事』와 『四聲通解』에 나타난 入聲의 分派 상황에 대해 알아보았다. 『中原音韻』에서 上聲으로 분류된 入聲字들을 살펴보면, 『飜譯老乞大』·『飜譯朴通事』의 左音에서 일률적으로 上聲이 아닌 去聲으로 표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고의 字例에서 살펴보면 聲母가 全淸字임에도 불구하고 去聲으로 변화된 예를 살펴볼 수 있다. 『韻略易通』의 全濁 聲母에 해당하는 上聲字가 去聲으로 변화되지 않고 上聲字로 여전히 남아있는 글자가 있는 것을 통해, 『韻略易通』 이전에서부터 上聲과 去聲은 명확히 구분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또한, 聲調를 長短으로 구분했을 경우 上聲은 短調로, 平聲과 去聲은 長調로 나누어지고, 去聲은 길이가 더 길기 때문에, 聲調의 길이는 去聲, 平聲, 上聲 순으로 짧아진다는 것으로 실마리를 풀어 볼 수도 있다. This paper had the purpose of looking into the situation of different factions regarding the ipseong(入聲) which appeared in the Byeonyeok Nogoldae(飜(譯老乞大), Byeonyeok Baktongsa(飜譯朴通事) as well as the Saseongtonghae(四聲通解) and finding out more details about its character. If a closer look at the ipseongja(入聲字) that have been classified as sangseong(上聲) within the Jungwoneumun(中原音韻) were to be looked at, confirmation can be made that they are recorded as geoseong(去聲) and not uniformly as sangseong(上聲) in the category of jwaeum(左音) of the Byeonyeok-Nogoldae(飜譯老乞大) and Byeonyeok-Baktongsa(飜譯朴通事). It is also possible to see examples where the seongmo(聲母) have changed to geoseong(去聲) despite the fact that it was originally a jeoncheongja(全淸字) in the first place in the various word examples that were given within the scope of this paper. Through the fact that the sangseongja(上聲字) which classify as the jeonhwaek seongmo(全濁 聲母) not changing to geoseong(去聲) and remaining still as sangseongja(上聲字) amply demonstrates the fact that the sangseong(上聲) and the geoseong(去聲) were not clearly divided even before the Unyakietong(韻略易通). In addition, when the seongjo(聲調) are classified as long and short sounds, the sangseong(上聲) would be classified as short keys(短調), the geoseong(去聲) as long keys(長調) and because the geoseong(去聲) are longer in length, it is possible to find the answers as to why the length of the seongjo(聲調) become shorter in the order of geoseong(去聲), pyeongseong(平聲) and sangseong(上聲).

      • KCI등재

        중세 국어 언해서 번역 특징에 대한 연구 - 『노걸대언해(老乞大諺解)』·『박통사언해(朴通事諺解)』와의 대비를 통하여 -

        김문영 ( Jin Wen-ying ) 반교어문학회 2017 泮橋語文硏究 Vol.0 No.45

        본고는 중세 국어 언해서의 번역 특징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老乞大』와 『朴通事』 문헌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중세 국어에는 동일 원문을 두 번 이상 번역한 언해서들이 많이 보이는데 『老乞大』와 『朴通事』가 그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두 번 이상 번역이 된 언해서를 살펴보면 두 번째로 번역이 된 것은 逐字 直譯을 한 것이 특징이고 첫 번째로 번역이 된 언해서는 의역 등 다양한 번역 방식을 사용하여 좀 더 우리말답게 번역이 된 것이 특징이다. 그러므로 1670년경에 번역이 『老乞大諺解』와 『朴通事諺解』는 직역의 성격을 띠고 1509~1517년 최세진에 의해 번역이 된 『飜譯老乞大』와 『飜譯朴通事』는 의역, 생략언해, 첨가 언해 등 번역 방식이사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양문헌을 일일이 대조하고 비교하여 차이 나는 점을 발췌하여 번역상의 특징을 밝혀보고자 한다. 직역이 된 『老乞大諺解』와 『朴通事諺解』를 기준으로 삼아 『飜譯老乞大』와 『飜譯朴通事』에서 의역이 된 것, 원문의 요소들이 생략된 것, 또한 원문에 없는 요소들이 첨가된 것들을 품사적 성격에 따라 나누어 살펴봄으로 그 차이를 알아내는 데 주목을 한다. 대비되는 자료는 한어 원문, 『飜譯老乞大』와『飜譯朴通事』, 『老乞大諺解』와 『朴通事諺解』 순으로 제시를 한다 This thesis is purposed in studying the translation of Korean annotation of Chinese classics in the Middle Age, and is concentrated on studying ≪Nogeoldae≫ and ≪Baktongsa≫. There are several annotation books in the Middle Age, in which one sentence is translated more than two times, ≪Nogeoldae≫ and ≪Baktongsa≫ are two of them. Looking at the annotation books translated more than two times, we can see that the second translation is interpreted literally, and the first translation is using various translation mode, such as paraphrase etc., which made it more like original Korean. Therefore, ≪Nogeoldae-Enhae≫ and ≪Baktongsa-Enhae≫ translated in 1670 are interpreted more literally, and ≪Beonnyeok-Nogeoldae≫, ≪Beonnyeok-Baktongsa≫ translated in 1509~1517, by Choi Saejin, are paraphrased, omitted or added from the original. This thesis is to compare two literature, extract the differences, and study the feat of two translations. Compare to the literature ≪Nogeoldae-Enhae≫ and ≪Baktongsa-Enhae≫ which translated literally, we will concentrate on the paraphrases, words omitted or added, by separating them in part of speech, to study the difference between two translations. The contrasting materials are the Chinese original, ≪Beonnyeok- Nogeoldae≫ and ≪Beonnyeok-Baktongsa≫, ≪Nogeoldae-Enhae≫ and ≪Baktongsa- Enhae≫, which will be presented in order.

      • KCI등재

        『몽고자운(蒙古字韻)』과 『번역노걸대(飜譯老乞大)·박통사(朴通事)』의 입성운(入聲韻) 고찰

        홍현지 한국중국언어학회 2019 중국언어연구 Vol.0 No.82

        入聲韻之陰聲韻化爲漢語北方音韻母系統變化中最爲突出之音變。『蒙古字韻』和『飜譯老乞大·朴通事』各成書於十三世紀末和十六世紀初,各反映元代和明代之北方音,而對於硏究近代北方音的音韻系統來說,其學術價値非常高。『蒙古字韻』和『飜譯老乞大·朴通事』都反映中古入聲韻向陰聲韻之過渡階段。本文通過對元代的『蒙古字韻』與朝鮮的『飜譯老乞大·朴通事』進行對應分析,幷參照『廣韻』之音韻體系,發現中古入聲韻有如下音變; 第一,中古入聲字的韻尾一律變爲喉塞尾。 第二,[-k]韻尾有複元音化的變化。 第三,『飜譯老乞大·朴通事』不少有與『蒙古字韻』相類似的音韻系統。 第四,[-k]韻尾的一部分字在『飜譯老乞大·朴通事』里有一字兩讀現象。 第五,受聲母的影響一部分[iuʔ]韻母字發生洪音化。 Middle Chinese had entering tone with [p], [t], [k] in the coda. These three different final stops merged into the glottal stop [ʔ] in Modern Northern Chinese, and finally, they are lost stop coda and merged into yinshengyun(陰聲韻, open syllable). Mengguziyun(MGZY) is an official rhyme book compiled by the Yuan court to provide an orthography for dushuyin of Northen Dialect in Yuan dynasty. FanyiLaoqida·Piaotongshi(FYLP) are a textbook for teaching Chinese to Koreans in the early sixteenth century, and they provide evidence for the transition period from rushengyun(入聲韻, closed syllable) towards yinshengyun. This study focuses on the rushengyun and compares the phonological system between MGZY and FYLP in order to investigate changes of system in Modern Chinese.

      • KCI등재

        최세진(崔世珍)이 제시(提示)한 상성연독변조(上聲連讀變調) 이론(理論)의 적용(適用) 양상(樣相)과 학술적(學術的) 의의(意義)

        배은한 한국중문학회 2020 中國文學硏究 Vol.0 No.79

        본고는 朝鮮時代 中宗朝에 崔世珍이 편찬한 中國語 會話 敎材 『飜譯老乞大』와 『飜譯朴通事』에 반영된 近代漢語의 音韻體系 분석을 기본 목표로 설정하고, 崔世珍이 제시한 上聲連讀變調 현상을 분석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連讀變調(Tone sandhi) 현상은 개별 글자(漢字)의 발음 제시에 중점을 둔 일반적인 韻書나 字書에서는 확인할 수 없는 語流音變(Sandhi, Phonetic changes)현상이다. 會話 敎材인 『飜譯老乞大』와 『飜譯朴通事』에서는 개별 글자(漢字)의 발음을 제시하는 기본적인 기능을 바탕으로, 會話 능력 제고의 효율성을 위해 語流音變으로 발생하는 실질적인 발음 변화까지 체계화하여 제시해야 하는 구조적인 당위성을 내포하고 있었다. 崔世珍이 中國語 敎學史에서 ‘最初’로 上聲連讀變調라는 語流音變 현상을 구체적으로 이론화하고, 그 이론적 구도를 『飜譯老乞大』와 『飜譯朴通事』에서 적용한 처리 방식은, 中國語 敎學의 역사에 있어서 획기적인 성과로 평가된다. 歷史言語學, 즉 通時言語學은 中國言語學史 연구에 있어서 연구 방법론의 토대를 형성하는 바탕이 된다. 이러한 연구 방법론에서 ‘最初’·‘最古’라는 평가를 받는 연구 자료는, 시기적인 의의와 후속 연구에 미치는 학술적 영향력으로 가치를 높이 인정받고 있다. 물론 후속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견해와 축적된 자료의 활용이 가능한 시기적 기회를 제공받음으로써, 선행 연구의 미비점을 수정·보완하여 완성도가 제고되는 것이 學術 發展史의 일반적인 양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정 영역에서 ‘最初’로 先覺 先驅 先導의 역할로 평가받는 선행 연구의 가치는, 단순히 시간적 개념으로서 先行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그러므로 中國言語學史에서는 部首 개념을 정립하여 字形 배열의 새로운 체계를 확립한 許愼의 『說文解字』가, 韻에 따라 字音의 기준으로 韻字를 배열하는 체계 확립의 선도적 가치를 인정받는 陸法言의 『切韻』이, 전통 韻書의 틀을 깨고 時音을 근거로 혁신을 이룬 周德淸의 『中原音韻』이, 그리고 中國語의 語法 體系를 학문 영역으로 개척한 馬建忠의 『文通』이 각각 해당 분야의 학술적 기반 구축이라는 높은 가치를 인정받으며 후속 연구에 지대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崔世珍의 上聲連讀變調 현상에 대한 인식과 『飜譯老乞大』·『飜譯朴通事』의 편찬에 투영된 활용 양상은, 上聲連讀變調라는 語流音變 현상을 ‘最初’로 적시하고 활용한 漢語音韻學史에서의 歷史的 價値가 높이 평가되어야 할 사안이다. ‘聲調’라는 中國語 고유의 발음 요소가 周顒과 沈約에 의해서 인식되고 ‘四聲’이라는 명칭과 분류 형식으로 體系化·理論化되는 과정이 있었기에 韻學이 학문 영역으로 정립될 수 있었던 것처럼, 世人은 인식하지 못했던 특정 현상에 대해서 면밀한 관찰과 인식 그리고 이론화하는 先覺的 안목은, 새로운 이론 정립과 체계화라는 결과로 후속 연구에 미치는 영향력이 지대하다. 崔世珍은 中國語를 母語로 하지 않는 외국인 입장이었기에, 母語가 아닌 敎學 소재로서의 中國語를 객관적인 시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안목이 확보될 수 있었고, 나아가 中國語에 대한 깊은 조예를 바탕으로 變調 현상을 理論化할 수 있었던 것으로 추론된다. 崔世珍이 정립한 上聲連讀變調 현상의 이론적 가치와 『飜譯老乞大』·『飜譯朴通事』에서의 적용 양상이 완벽한 수준일 수는 없다. 이는 시기적인 한계임을 인정해야 할 부분이다. 하지만 현존 문헌 중에서 ‘最初’로 제시된 이론적인 개념 정립과 활용이었다는 점은 漢語音韻學史의 측면에서 높이 평가해야 할 사실이다. 본고는 上聲連讀變調 현상의 적용과 활용 양상을 분석함에 있어서 『飜譯老乞大』·『飜譯朴通事』에 수록된 대표적인 예문을 대상으로 上聲連讀變調 현상의 적용상황을 유형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본고의 분석 결과에서는 崔世珍이 제시한 上聲連讀變調 현상의 理論化 결과를 단지 ‘最初’라는 시간적인 價値에만 초점을 맞추지않고, 후속 연구와 교학 과정에 미친 영향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하여 종합적으로 漢語音韻學史上의 意義는 어떻게 규정할 수 있겠는지에 대하여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학술적 가치의 재조명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sis the Modern Chinese of reflected in the Chosun Dynasty era Beonyeok Nogeoldae and Beonyeok Baktongsa as the basic goal, and conducted an analysis on Shangsheng Tone Sandhi suggested by CHOE Sejin. Tone Sandhi is a phenomenon that cannot be seen in a typical Sandhi, focusing on the pronunciation of individual letters. Beonyeok Nogeoldae and Beonyeok Baktongsa should be based on the basic function of presenting the pronunciation of individual letters, and systemically present even the actual pronunciation changes that occur in order to improve one’s ability. The way in which the theoretical framework is applied by Beonyeok Nogeoldae and Beonyeok Baktongsa is regarded as a breakthrough in the history of ‘Chinese’. Historical linguistics is the basis for research methodology. In this research methodology, research materials that are evaluated as ‘The oldest’ and ‘The first’ are highly valued for their academic influence on timely significance and follow-up research. Of course, it is a general advantage of academic to improve completeness by correcting or supplementing the shortcomings of preceding research by providing a timely opportunity to utilize new views and accumulated data based on existing research achievements. Nevertheless, the value of the preceding study, which played the role of ‘The first’ in a particular area, is more than just a concept of time. Thus, History of Chinese language’s Seolmun Haeza that establishes a new system of arrangement by establishing the concept of Categories of character and Qieyun by setting up a system based on Rhyme’s perception. However, Shangsheng Tone Sandhi is not an issue that needs to be evaluated until Speech shift is addressed. As there was a process in which the inherent phonetic factors of ‘Tone’ were recognized by ZHOU Yong and SHEN Yue and the systematic process of ‘Four types of Tone’ and theoreticalization and Systematization peoples were established for a particular phenomenon that was not recognized. Since CHOE Sejin was a foreigner who did not use Chinese as a native language, one could have an objective view to analyze teaching as a material rather than Chinese Tone Sandhi. The theoretical value of Shangsheng Tone Sandhi phenomena established by CHOE Sejin and their application in Beonyeok Nogeoldae and Beonyeok Baktongsa cannot be perfect. This is a part of the time limit. However, it should be acknowledged from the perspective of Chinese Linguistics that it was the theoretical concept and use of the existing literature. This study analyzed the application of Shangsheng Tone Sandhi phenomena to the representative sentences listed in Beonyeok Nogeoldae and Beonyeok Baktongsa.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focused on the impact of Shangsheng Tone Sandhi’s research on subsequent research and teaching processes, rather than focusing only on the time frame of the ‘First’. Through this research process, an objective analysis of how can be defined comprehensively and suggested the need for re-examination of academic values. Based on this study’s awareness of the need for such an analysis target, it is assumed that the Chinese Linguistics study was able to derive the combined study results from the teaching study.

      • KCI등재후보

        「번역노걸대」 와 「노걸대언해」의 의문문 연구 : 「노걸대」 언해류에 나타난 '하라체' 의문어미의 변화 양상을 중심으로

        손달임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08 한국문화연구 Vol.15 No.-

        본고는 번역노걸대(飜譯老乞大), 노걸대언해(老乞大諺解), 중간노걸대언해(重刊老乞大諺解)의 비교를 통하여 중세국어 의문법 체계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노걸대(老乞大) 는 그 내용이 묻고 대답하기의 대화 형식으로 되어 있다는 점, 그리고 그 언해본이 16세기부터 18세기까지 1세기 간격으로 수정·간행되었다는 점에서 국어 의문법 체계의 통시적 변화 연구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의문법 체계의 변화 양상을 의문형 종결어미의 분포 및 기능 변화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1인칭 또는 3인칭 간접의문문에서 사용되던 '-ㄴ 가'계 의문어미가 16세기 이후의 언해본에서는 직접의문문에서도 사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ㄴ가'계 의문어미의 이러한 분포 변화는 의문의 성격이 비교적 강한 판정의문문 또는 설명의문문에서만 나타났고 3인칭 직접의문문의 경우에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났다.또한 1인칭 또는 3인칭 직접의문문에서만 사용되던 '- 냐'계 의문어미가 16세기 이후의 언해본에서는 2인칭 직접의문문에서도 사용되면서 '-ㄴ다'계 의문어미의 영역을 침범하게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노걸대 의 언해본에서는 'VP-오디 엇더하뇨'또는 ‘VP-오미 엇더하뇨’와 같은 의사타진의 구문이 자주 나타나는데,이러한 구문에서는 의문형 종결어미가 '-뇨'로 고정되어 나타난다. 이는 의사타진구문에서 'VP'의 행동주가 '청자' 또는 '화자를 포함한 청자'이고 'VP'에 대한 의사판단의 주체가 '청자'라는 것, 그러므로 의사타진구문이 형식상 3인칭 주어문이지만 내용상으로는 2인칭 주어문이라는 점, 그리고 의사타진구문이 형식상으로는 설명의문문에 가깝지만 내용상으로는 판정의문문에 가깝다는 점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to describe the historical change of the interrogative system, comparing with Beonnyeok-Nogeoldae, Nogeoldae-Eonhae, Junggan Nogeoldae-Eonhae. Beonnyeok-Nogeoldae, Nogeoldae-Eonhae, Junggan Nogeoldae-Eonhae were constructed dialogically, and printed in between 16C and 18C. The various Korean-translations of Nogeoldae are the most important materials that show the historical change of the interrogative system. This article certified that the final ending '-nka(ㄴ가)' which has been in the 1st personal or 3rd personal indirect interrogative sentences was used in the direct interrogative sentences. The distribution variation of these interrogative final endings is presented at the alternative question or the wh-question that the interrogative character is strong, and it is more remarkable in the case of the 3rd personal direct interrogative sentences. And the final ending '-nya(냐)' which has been in the 1st person ore 3rd person direct interrogative sentences was used in the 2nd personal direct interrogative sentences. I argue that the constructions to sound a person's opinion, namely 'VP-odae Eotdeohanyo(VP-오디 엇더하뇨)' or 'VP-omi Eotdeohanyo(-VP-오미 엇더하뇨)' were frequently given in the various Korean-translations of Nogeoldae, and only the final ending '-nyo(뇨)' was used in these kind of constructions. Because the Agent of 'VP' was the listener(speaker included) and the subject who sound a person's opinion was the listener. And because the constructions to sound a person's opinion were yes-no questions that had 2nd personal subject, even though they were wh-questions that had 3rd personal subject as a matter of form.

      • KCI등재

        『번역노걸대』의 수량사구 구성 연구

        조미희 우리말학회 2015 우리말연구 Vol.42 No.-

        이 논문은 후기중세국어 문헌인 ??번역노걸대??에 나타나는 수량 사구의 수사와 수관형사, 단위성 의존명사의 사용 양상을 중점적으로 살 펴보았다. 이를 통해 현대국어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다양한 단위성 의존 명사를 목록화하였으며, 수관형사가 명사구 전체를 수식하거나 자립명사 를 수식하는 구성이 한문 원문과 가지는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고유어 수관형사와 한자어 수관형사의 선택이 단위성 의존명사의 원어나 수의 크기라는 요인에 영향을 받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후보

        중세국어 『대화체』 류의 교육적 활용 방안 검토

        양영희(Yang Young-Hee)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인문과학연구 Vol.0 No.23

        본 논의는 16세기 국어 자료인 『번역박통사』, 『번역노걸대』, 『순천김씨묘출토간찰』을 『대화체』 류로 통칭하여 중세국어 교육에서 이들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방안에 대해 생각해보고자 하였다. 그것은 이 자료들이 다음과 같은 장점을 보유한 것으로 파악한 때문이다. 먼저 이들은 에피소드식의 형식으로 비교적 짧은 단위 안에 구체적인 이야깃거리가 내재해 있어 학생들이 그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이다. 예컨대 『번역박통사』에는 계절별 놀이를 즐기는 대화가 등장하고 『번역노걸대』는 상인들이 물건 값을 흥정하는 장면이 등장하며, 『순천김씨묘출토간찰』에는 남편이 아내의 건강을 걱정하는 내용이 등장한다. 이는 『불경』 언해류나 『경전』 언해류 등의 철학적 내용과 구별되는 것으로,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둘째, 이 자료들은 구어체로 구성된 까닭에 다양한 청자 대우 방식과 상대에 대한 호ㆍ지칭어 등을 보유하고 있어, 수업 자료로 활용하면 학생들은 여러 가지 문법 현상들을 비교적 짧은 단위 안에서 일목요연하게 정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셋째, 위의 장점 외에도 문학작품에 비견될 만한 서정적인 내용이 있어서 고전문학으로서의 자격을 부여하기에도 부족함이 없어 문법 교육을 문학 작품과 연계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 더욱이 『번역박통사』와 『번역노걸대』 등은 순전히 등장인물들 간의 대화로만 구성되어서, 해당 장면에 드러나지 않은 서술자를 새로 상정해야 전체 대화내용을 이해하는 경우도 있어서, 학생들의 창의력을 상당히 요하는바, 이를 잘 이용하면 학생들의 창의력과 탐구력을 길러 줄 수 있다는 점도 매우 주요한 장점으로 인식될만하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ossibility of the educational practice on Bunyeok Baktongsa (Translation of Baktongsa), Bunyeok Nogeoldae (Translation of Nogeoldae), and Suncheon Kimsee Myo Chulto Kanchal (Letters from the graves of Kims in Suncheon province) in the sixteenth century. These books are called Daehaeche (dialogic style) type as a whole and thought to have following advantages. Above all, these have episodic structure and students can easily understand the contents because of their short and detailed stories. For instance, there has a dialogue of enjoying seasonal plays in Bunyeok Baktongsa, a scene of trading goods among merchants in Bunyeok Nogeoldae, and a subject of worrying wife about husband's health. These contents are different from the philosophical matters in annotated books of Bulkyung (a sutra) or Kyungjeon (a scripture) so have advantage to lead students' interests. Next, students can arrange many grammatical phenomena in the class because these books consist of spoken language with various address·reference forms. Finally, these books have literary substance as other literature forms and are expected to give widen educational effects connecting grammar with literature. Furthermore, Bunyeok Baktongsa and Bunyeok Nogeoldae do not show its narrators so students should make the speakers of books to understand the whole contents. It helps education for creativity and that is another good point of educating with these books.

      • KCI등재

        번역노걸대박통사범례(飜譯老乞大朴通事凡例)가 부재된 원본(源本) 『번역노걸대(飜譯老乞大)』, 『번역박통사(飜譯朴通事)』에 대한 연구

        장향실(Hyang Sil Chang) 한국어학회 2013 한국어학 Vol.61 No.-

        This thesis aims to research on BeonyeokNogeoldae and BeonyeokBaktongsa, that is, the original text of BeonyeokNogeoldae-Baktongsa Beomrye. Up to now, it is inferred that BeonyeokNogeoldae-Baktongsa Beomrye in Saseongtonghae is the introductory notes of BeonyeokNogeoldae and BeonyeokBaktongsa known by the oldest versions written in Korean. But there is no obvious evidence for that. An(1996) raised objections for that. This thesis is going to add several evidences for An`s objections. In conclusion, this thesis make it clear that there is no definite evidence for relationship between BeonyeokNogeoldae-Baktongsa Beomrye in Saseongtonghae and BeonyeokNogeoldae and BeonyeokBaktongsa known by the oldest versions written in Korean. It means that it quite reasonable to call BeonyeokNogeoldae and BeonyeokBaktongsa as EonhaeNogeoldae and EonhaeBaktongsa. The name of BeonyeokNogeoldae and BeonyeokBaktongsa were originated from BeonyeokNogeoldae-Baktongsa Beomrye. On the other hand, this thesis researched on the characteristics in original text of BeonyeokNogeoldae-Baktongsa Beomrye. An(1996) insisted the this book consisted of Chinese sentences and notes for every words how to pronounce in Korean. But in this thesis, I inferred that it contains notes for difficult words. Of course, the fact that BeonyeokNogeoldae-Baktongsa Beomrye was reprinted in Saseongtonghae, basically it is a phonetic book, tell us the pronunciation of Chinese character in the BeonyeokNogeoldae-Baktongsa was regarded as important

      • KCI등재

        노걸대언해서(老乞大諺解書)에 나타난 한어성조(漢語聲調)표기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에 대하여

        신용권 한국중국어문학회 2008 中國文學 Vol.57 No.-

        ≪飜譯老乞大≫(以下≪飜老≫)是朝鮮時代早期使用最廣泛的漢語敎科書。 在書中每個漢字下都有兩個系統的注音: 在左字是崔世珍依據≪四聲通攷≫的注音方式來進行的通攷所制之字; 在右字是崔世珍爲了初學漢語者之便利, 用國俗撰字之法來表記的漢語注音。 這兩個系統的注音描寫十五、十六世紀北方官話的語音情況。 因此, ≪飜老≫及其他老乞大諺解書對于漢語音韻史的硏究, 有?大的參考價値。 ≪飜老≫及≪奎4866≫帶有聲點, 本文着重考察這些資料的聲點和聲調系統。 本文在對該書聲點進行硏究時, 對比前人時賢的硏究成果, 而進行凡例考察和語音分析, 在此基礎上重點做漢語聲調方面的考察。 ≪飜老≫及≪奎4866≫所反映的漢語聲調和入聲情況確實是與北京方言?不一致的。 這些資料反映的聲調系統是以?個方言爲基礎的, 目前還?難斷定。 本文認爲老乞大諺解書在右字音系?可能體現了當時以北京爲中心的地區通行的北方官話的面貌。 本文根據老乞大諺解書擬測近代時期北方官話的聲調系統和其調値, 倂硏究其聲點特點和音系基礎。 老乞大諺解書是硏究漢語聲調史的重要資料, 値得?掘的內容還?多, 希望今后能有更多的學者關注這方面的硏究。

      • KCI등재

        《飜譯老乞大》에 나타난 좌측음의 성격에 대하여

        愼鏞權 한국중국어문학회 2004 中國文學 Vol.42 No.-

        《飜譯老乞大》(以下《飜老》)是朝鮮時代早期使用最廣泛的漢語敎科書。 在書中每個漢字下都有兩個系統的對音: 在左字是崔世珍依據《四聲通攷》(以下《通攷》)的注音方式來進行的通攷所制之字; 在右字是崔世珍爲了初學漢語者之便利, 用國俗撰字之法來表記的漢語注音。 前人時賢對《飜老》所反映的漢語語音的硏究大多側重于在右字方面, 這些硏究向我們淸楚地展示了在右字的語音系統, 但對在左字的硏究却不够全面。 因此, 本文在對該書在左字進行硏究時, 對比前人時賢的硏究成果, 而進行凡例考察和語音分析, 在此基礎上重點做在左字特點方面的考察。 總而言之, 《飜老》中的在左字有如下的特點: 第一, 在左字是筆者依據《通攷》的注音方式來進行的注音, 而在右字是用國俗撰字之法來表記的注音; 第二, 前人的硏究說《飜老》中的在左字反映了《通攷》的俗音, 但這倂不是正確的解釋。 在左字和《通攷》的俗音大體一樣, 但在具體運用上還有些出入: 第三, 在右字的寫音方式沒有在左字的那麽精密。 在左字依據的《通攷》的寫音方式採用韓語的一些字母以外, 還創制了一些專門使用于漢語注音的符號; 第四, 飜譯老乞大朴通事凡例可能不是《飜老》的凡例。 從凡例中的記錄和有關情況來看, 飜譯老乞大朴通事凡例很可能是諺解之前進行反譯的漢語注音本的凡例; 第五, 《飜老》的在左字漢語音韻史上具有一定的價値, 倂體現了朝鮮時代漢學者進行注音時的原則和正音觀。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