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경영자 리더십, 조직문화와 경영성과

        박기석,홍영은,신찬휴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2 경영컨설팅연구 Vol.22 No.5

        본 연구는 기술혁신형 중소제조기업을 표본으로 한정하여 어떠한 조직문화와 경영자 리더십이 경영성과를 개선할 수 있는지를 실증분석 하였다. 이를 위해서 기술혁신형이라고 응답한 기업을 표본으로 조직문화와 경영자 리더십이 재무․비재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모형과 기업의 기술혁신 정도를 측정하고 이를 변수에 포함하여 조직문화와 경영자 리더십이 재무․비재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모형으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경영자 리더십은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서번트리더십은 두 모형에서 재무․ 비재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경영자의 서번트리더십이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에서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기술혁 신형 중소기업에서는 경영자의 목표 제시 및 지원, 배려와 격려, 의견수렴, 노력과 희생 등의 서번트리더십 특성이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더불어 기술혁신 정도는 재무․비재무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으로의 전환이 필요함을 나타내었으며,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에서 혁신적문화, 관료적문화는 재무성과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이 나타났으며, 혁신적문 화, 지원적문화, 관료적문화는 비재무성과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에는 서번트리더십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으며, 중소기업의 지속가능 한 발전을 위해서는 기술혁신 기업으로의 전환이 중요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가 기술혁신 중소기업에 적합한 조직문화와 경영자 리더십을 찾아보고자 하였으며, 실무적인 측면에서 보면 서번트리더십과 기술혁 신의 중요성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본 연구는 표본과 설문연구로 인한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 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업종과 규모를 통제한 표본과 객관적인 실제 기업경영성과 자료를 이용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reviously studies are insist that leadership types and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are important role in technology innovation type SM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effect of leadership types,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on the financial and non-financialmanagerial performance in technology innovation type SMEs . So, Achieve the this purposewe executed cross-sectional analysis using the variables were evaluated by using questionnaires. Leadership types are classified transformational, transactional, servant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are classified bureaucratic, innovative, supportive culture types according to their respons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ervant leadership type is effected on the financial and non-financial managerial performance in technology innovation type SMEs. This means that SMEs are need change to the technology innovation types. And, bureaucratic organizational culture is effected on financial and non-financial managerial performance in technology innovation type SMEs.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and supportive organizational Culture are effected on non-financial managerial performance in technology innovation type SMEs. Finally, We find that technology innovation type SME ’s financial and non-financial managerial performance was effected on leadership types and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Eventually,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in the practical aspect by empirically verifying that managerial performance has improved by leadership type and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in technology innovation type SMEs.

      • 조직문화가 조직유효성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부천지역 기업을 중심으로

        김문준,이창호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2015 기업경영리뷰 Vol.6 No.2

        This study is to verify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business performance and the relationship that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ffects the business performance based on organizational culture typ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eories on management performance of existing researches and previous study results, targeting employees working for companies located in Bucheon area. For this, an empirical analysis was implemented for proposed three kinds of hypotheses by utilizing SPSS 20.0 statistical package based on 214 survey sheets which are finally confirmed. The empirical result has shown that all the factors of organizational culture type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relationship for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hypothesis 1.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effect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business performance, hypothesis 2 has shown that collective (consensus) culture and hierarchy culture have a significant effect relationship for the financial results of the business performance except for the rational culture. For the financial results of the business performance, hypothesis 3 has shown that two factor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relationship. A main implication shown through this study result is firstly the fact that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ill be improved when applying the organizational culture appropriately to organization members according to the business environment situation of companies and organizations. Second, from the fact that the more a competitive corporate culture is formed, the more the business performance can be enhanced, staffs in the organization should continuously improve the business performance through the substantiality of the organization culture. Third, it was found that when organization members have high value in the satisfaction with the work, the provision of materials for the work, the work suitability, etc., the learning and growth of the organization members are high. Fourth, in order to improv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business performance, a strategic HR management system which can create a new corporate culture for the company is required to be established and executed. 본 연구는 기존연구의 조직문화 유형, 조직유효성, 경영성과에 대한 이론과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부천지역의 기업에 있는 재직자를 대상으로 조직문화가 조직유효성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유효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종 확정된 214부 설문을 바탕으로 SPSS 20.0 통계패키지를 활용하여 설정한 가설 3가지를 실증분석을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가설 1인 조직유효성에 대해 조직문화유형의 모든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관계를 나타냈다. 가설 2인 조직문화와 경영성과 간의 영향관계에 대한 다중회귀분석결과 경영성과의 재무적 성과에 대해서는 합리문화를 제외하고 집단문화, 위계문화에 유의한 영향관계를 나타내었다. 가설 3인 경영성과의 재무적 성과에 대해서는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의 두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나타낸 주요 시사점은 첫째, 조직문화는 회사와 조직의 경영환경 상황에 따라 조직구성원들에게 적절하게 적용할 때 조직유효성은 높아진다는 것이다. 둘째, 경쟁력 있는 조직문화를 형성하면 할수록 경영성과를 강화 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조직의 실무자는 조직문화의 내실화를 통해 경영성과를 지속적으로 향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조직구성원들이 업무에 대한 만족도, 업무수행에 대한 자료의 제공 및 적성의 적합성 등이 높을수록 조직구성원들의 학습과 성장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조직유효성과 경영성과를 향상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특성에 적합한 조직문화 활성화 방안과 함께 관리자들에 대한 리더십 역량 강화와 전략적 인사관리제도의 실행이 필요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직문화가 조직유효성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대한 실증 분석을 통하여 나타낸 가설검증과 함께 주요 시사점을 밝혔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 KCI등재후보

        문화예술경영의 경영학적 토대와 창의적 확산

        박신의 한국문화경제학회 2009 문화경제연구 Vol.12 No.1

        본 논문은 문화예술경영의 경영학적 토대와 흐름을 기술하고, 그 논의의 발전과정을 추적함으로써 21세기의 새로운 전망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체 연구는 크게 두 시기로 나누어 전개되는데, 1960년대 예술경영의 탄생을 계기로 본 시기와 1990년대 중반 이후 예술경영의 범위와 적용대상이 확장된 시기가 그것이다. 먼저 예술경영의 탄생이 하버드 비지니스 스쿨에서 시작된 것을 계기로 경영학과의 결합에 따른 장점과 한계를 분석하고, 이에 문화경제학의 연구 성과가 덧붙여진 과정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20세기 말, 포스트모던 사회의 출현에 따른 변화를 극장이나 박물관, 미술관 등의 시설물 중심에서 벗어나, 문화기획, 예술시장과 창조산업, 문화예술교육과 도시 환경, 문화정책 등으로 그 영역과 범위를 확장해 가는 것으로 분석함으로써, 명칭 역시 문화예술경영으로 두게 되는 지점을 제시하였다. 동시에 경영학에서도 창조경영을 통한 새로운 혁신을 주도하는 변화를 주목하여 ‘창의성’을 매개로 한 경영학과 문화예술경영간의 상호 영향관계를 제시하였으며, 특히 새로운 인재 양성과 리더십, 조직의 창조적 혁신, 문화예술 NPO 및 사회적 기업의 요구를 설명하였다. 결론적으로 문화예술경영의 존립근거가 ‘창의성’에 있음을 역설하면서 이와 관련하여 존 러스킨의 정신을 연결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6시그마 기법의 적용과 경영성과에 관한 연구

        손동주(Dong-Joo Son),김윤상(Yun-Sang Kim) 한국산업경영학회 2009 經營硏究 Vol.24 No.3

        경영환경의 급속한 변화 속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도입하는 경영혁신기법 중 6시그마 기법을 중심으로 이 기법을 활용했을 때에 경영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였다. 시기적으로 이 기법은 우리나라의 대기업들에 부분적으로 정착하고 있는 시점이라 실제 적용효과가 어떠한지를 구명해 보는 것은 큰 의의가 있다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 주안점을 둔 것은 경영층 리더십(성취욕구, 경영방침, 품질인식), 조직문화(혁신지향적 문화, 과업지향적 문화, 관계지향적 문화, 위계지향적 문화), 지원시스템(성과보상시스템, 교육훈련시스템) 변수가 성공추진요인으로써 기능을 하는지, 그리고 프로세스 혁신 및 조직몰입이 이들 성공추진요인과 경영성과(품질성과, 고객만족)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경영층 리더십, 조직문화, 지원시스템 등 성공추진요인 모두가 프로세스 혁신 및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6시그마 경영의 성공추진요인 중 경영층 리더십(성취욕구, 경영방침, 품질인식), 조직문화(혁신지향적 문화, 관계지향적 문화), 지원시스템(성과보상시스템, 교육훈련시스템) 등이 기업의 경영성과, 즉 품질성과와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6시그마 경영의 성공추진요인과 기업의 경영성과 간의 관계를 프로세스 혁신과 조직몰입이 매개할 것인가 알아본 결과, 우선 프로세스 혁신은 경영층 리더십(성취욕구, 경영방침, 품질인식), 조직문화(혁신지향적 문화, 관계지향적 문화), 지원시스템(교육훈련시스템)과 품질성과 간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몰입 역시 이상의 변수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 다루어지지 않았던 조직문화와 조직몰입이라는 변수를 6시그마 경영 관련 변수로 사용함으로써 6시그마 경영을 연구하는 미래의 연구자들에게 새로운 통합모형을 제시하고 있다는데 논문의 의의가 있으며, 몇 가지 한계점과 미래제언도 첨부하고 있다. The major finding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it is found that leadership of top management(needs of achievement, management policy, perception of quality), organizational culture(innovation-oriented and relationship-oriented culture), support system(education & training system) have a meaningful effect on both process inno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the leadership of top management(needs of achievement, management policy, perception of quality), organizational culture(innovation and relationship-oriented culture), and support system(reward system, education & training system) have a meaning effect on firm performances(quality improvement, customer satisfaction). Finally, it is found that process inno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ush & pull factors of the success of 6-sigma management, the management's leadership organizational culture, and support system, and firm performance(quality improvement, customer satisfaction). Implication of the results shows that this study could give scholars to want to study 6-sigma management a better research model by using new and various variables such a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ultur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suggested.

      • KCI등재
      • KCI등재

        Trends in the Journal of Cross Cultural Management

        Dong-Jin, Shin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4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7

        본 연구는 다문화경영분야 에서 주요저널중 하나인 다문화경영저널에서 나타나는 저자별, 국가별, 그리고 주제별 다양성에 대하여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지난 2003년부터 2007년까지 5년 동안에 출판된 연구논문들을 중심으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자료는 SPSS 통계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다문화경영관점에서 국가 및 저자별로 다양성이 증가되고 있음을 증명하였다. 뿐만 아니라 연구에서 나타난 핵심단어들의 분류에서는 다문화경영의 주요주제들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사실들은 다문화경영저널이 다문화경영분야에서 국제적인 주요저널이 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특별한 점은 다문화경영저널을 이용하여 다문화경영분야에서의 향후 추세 및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자료는 다문화경영 분야에서 내용분석을 실시한 최초의 연구일 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통찰력을 설명하고 있다. The current study explored the diversity of the authors, countries, and topics in the one of the leading journals of cross cultural management, Journal of Cross Cultural Management. A method of content analysis was implemented on the articles published from 2003-2007, a five year period. The data was analyzed quantitatively by SPSS. The results showed not only a growing diversity in the countries researched on cross cultural management, but also in the author affiliated countries. In addition, the categories of keywords showed a strong correlation with the topic of cross cultural management. This implies a reinforced focus and direction in the Journal of Cross Cultural Management to become a truly international journal. A unique aspect of this study was in utilizing the method of content analysis in the Journal of Cross Cultural Management to discuss the implications and future trends of this field. No other study has attempted to undertake such methods for cross cultural management and the present research will elucidate on many substantial insights in this area.

      • KCI등재

        공공문화예술기관의 ESG 경영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오지현,류승완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23 문화정책논총 Vol.37 No.1

        ESG management is emerging as an important corporate management paradigm for establishing sustainable management. ESG management evaluates a company’s non-financial performance by assessing environmental, societal, and governmental factors. ESG management, which has been studied mainly in private companies, has begun to be used as a new standard for sustainable management and management performance evaluation of public institutions based on new public theory. Public institutions' sustainability management goals and values differ from those of private companies. The direction and specific management indicators of ESG management differ when evaluating an institution's type, field, and operational method. In this study, ESG management evaluation items that can be applied to public culture and art institutions were derived based on ESG management evaluation indicators used mainly for general private companies. The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ESG management evaluation indicators were derived based on previous studies of ESG management in private companies. Next, FGD-bas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xperts in the field based on the existing ESG management evaluation indicators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e and arts sector and arts and culture public institutions. In addition, ESG management evaluation indicators were derived for arts and culture public institutions. Finally, each ESG indicator's importance level was derived using the analytical hierarch process (AHP), a hierarchical decision-making technique.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social responsibility showed the highest importance (about 60%) for arts and culture public institutions, followed by governance (G) and environmental (E). In particular, environmental (E) was recognized as the least important factor in the arts and culture field. However, environmental (E) showed very high importance in private companies due to the effects of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analysis of arts and culture public institutions, social contribution and social responsibility have high importance. Specifically, the service industry and public administ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S) field showed high importance. Therefore, the ESG management evaluation of public arts and culture institutions determined that a system different from the existing private enterprise evaluation system should be implemented. The ESG management system for public culture and art institutions should focus on improving social responsibility and the governance and environmental fields accordingly. ESG 경영은 환경(environmental),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를 중심으로 기업의 비재무적 성과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지속가능경영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기업 경영 패러다임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동안 사기업을 중심으로 연구되어 온 ESG 경영은 신공공관리론을 바탕으로 공공기관의 지속가능경영과 경영성과 평가에서도 새로운 기준으로 활용되고 있다. 한편, 공공기관에서는 기관의 형태, 분야 및 운영 방식 등의 관점에서 기관별로 중시하는 지속가능경영 목표와 방향이 다르며, 이에 따라 ESG 경영의 방향성과 구체적 경영지표가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 사기업을 중심으로 활용되고 있는 ESG 경영평가 지표를 바탕으로 공공문화예술기관에 적용할 수 있는 ESG 경영 항목을 도출하였다. 우선 기존 사기업을 대상으로 제시된 다양한 ESG 경영 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문화예술 분야의 특성과 공공문화예술기관의 특성을 반영하고자 FGD 기반의 인터뷰를 통해 문화예술 분야 전문가의 의견을 수집하였다. 이를 통해 공공문화예술기관의 ESG 경영평가를 위한 지표를 도출하였고, 최종적으로는 계층적 의사결정기법(AHP)을 적용하여 각 ESG 항목의 우선순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공공문화예술기관에서는 사회적 책임(S)의 중요도가 가장 높게(약 60%)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지배구조(G)와 환경(E)의 순서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최근 기후 위기와 환경오염 등의 영향으로 환경(E)은 일반 사기업에서 매우 높은 중요도를 보이지만, 문화예술 분야에서는 가장 낮은 중요도로 인식되었다. 이는 공공문화예술기관의 서비스 산업적 특성 혹은 공공행정의 특성에 의해 사회공헌과 사회적 책임이 강조된 것으로 해석되며, 문화예술을 통해 환경에 관한 책임을 강조하는 것도 포함된다는 점을 의미한다. 따라서 공공문화예술기관에 대한 ESG 경영평가는 기존 사기업 평가 체계와는 다르게, 사회적 책임(S)을 중심으로 기관의 지배구조(G) 개선 노력과 환경(E)의 중요성과 개선 활동을 평가하는 체계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문화다양성 가치실현을 위한 공공기관 경영의 쟁점 분석

        정보람(Jeong, Bo-Ram),황아람(Hwang, A-Ram) 한국문화산업학회 2020 문화산업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문화다양성과 유사하게 국제사회의 요구에 의해 구체화되는 과정에서 공공기관 경영과 연계하여 CSR(사회적 책임경영), 인권경영, 윤리경영 등이 형성된데 비해, 논의가 부족했던 문화다양성 경영을 개념화하고자 진행되었다. 연구에서는 CSR, 윤리경영, 인권경영 등과 문화다양성 경영의 영역을 확인하고, 문화다양성 경영 쟁점별 분석을 통해 문화다양성 경영을 현장에서 구체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공공기관의 문화다양성 경영 영역은 공공성, 사회형평성(소수에 대한 배려), 공정성과 윤리를 요구한다는 점에서 현재 공공기관에 적용되고 있는 CSR이 지향하는 바와 중첩되고, 소외·소멸 문화상품을 보호하는 영역은 독립적인 영역이라 할 수 있다. 측정함에 있어서 문화다양성 경영의 실효성을 고려하며 포괄적 지침보다 적절한 세부적 요구사항 제시가 필요한데, 이는 문화다양성을 저해하는 이슈 해결 관점에서 구체적인 조건이자 적극적인 요구사항으로 제안되어야 한다. 또한 소수, 소외, 소멸과 같은 대상에 대한 낙인, 역차별이 논란되지 않게 대상을 특정하는 방식이 아닌 상황에 대한 이해와 관용수준을 높이는 방식이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문화다양성 경영은 공공기관의 자발적 참여와 스스로 기관에 맞는 문화다양성 이슈 발굴과 해결 노력이 중요하지만 현실에서 순수한 자발성을 기대하기 어려우므로, 자발적 형식이지만 책임을 부각하여 강력한 유인책이 되는 방식 채택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set out to conceptualize cultural diversity management because there is a shortage of its discussions. This study checked the domain of cultural diversity management along with CSR, ethical management and human rights-based management and analyzed cultural diversity management by issue to search for ways to make it specific in the fiel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domain of cultural diversity management in public institutions overlaps with the orientation of CSR currently applied to public institutions in that it demands publicness, social equality, fairness, and ethics. Its domain is independent in the protection of cultural products that are becoming extinct or alienated. Given the effectiveness of cultural diversity management in its measurement, there should be proper, detailed requirements rather than comprehensive guidelines and should be proposed as specific conditions and active requirements in the viewpoint of solving issues hindering cultural diversity.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and tolerance level for situations instead of specifying an object so that stigmas and reverse discrimination will not be controversial for the subjects of minority, alienation, and extinction. Finally, public institutions" voluntary participation is important in cultural diversity management along with their effort to identify and solve cultural diversity issues fit for them, but in reality, it is difficult to expect pure volunteering from them. Powerful incentives need to be employed that highlight their responsibility even in a voluntary format.

      • KCI등재

        공적구조의 국공립문화회관에 대한 예술경영 기반의 조직개혁방안 연구

        장준규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2014 문화예술경영학연구 Vol.7 No.2

        우리나라의 공연예술 조직은 정부 재정지원의 시설건립에 의한 기관조직구조로 운영되고 있으며, 공적기반의 국공립문화회관을 중심으로 지역 문화 보호와 창달, 국민에게 창의적 작품 생산과 보급을 통한 문화 향유의 활성 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시대의 변화와 함께 예술소비가 증대하고 그에 따라 공연예술에 대한 질적, 양 적, 수준 등에 대한 요구의 다양화로 국공립문화회관에 대한 경영합리화 요구가 사회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는 공연예술 핵심기관인 국공립문화회관의 행정중심의 공적구조와 운영에 대한 문제로 과거의 일방적 운영체제 유 지와 경제적 안정화에 따른 삶의 질 등을 중시하는 다변화과정에서 막대한 재정지원에도 불구하고 실질적 효과 가 나타나지 않는 것에 대한 문제제기이다. 본 연구는 공적기반의 독점체제를 유지해 온 국공립문화회관의 조직 과 구조, 운영현황 비교분석을 통해 문제를 제기하고, 조직이론의 관계조건을 통한 공연예술 활성화를 위한 실행 과 실천적 방안제시로 예술경영 조직으로의 개혁방안을 제시하였다. South Korea’s art performance organizations are operated based on governmental support for facility establishment for the purpose of regional cultural protection and development and production and supply of creative works of art to the national people for broader cultural enjoyment. But with the changing times, art consumption increases and the demand for art performance is diversified in terms of its quality, quantity, etc. In this situation, public cultural centers face broader demand for business management rationalization from across the society. Such a demand is related to the public administration-oriented structure and operation of public cultural centers. Public cultural centers, as a key organization in art performance, received enormous amount of financial support in the process of social diversification valuing quality of living in a more stabilized economic status. But, despite such a huge financial aid, they did not show practically effective performance mainly because of their adherence to the unilateral operational mechanism of the past. Hence the demand is to take issue with the centers in this respect. In this research, metropolitan public art centers that have maintained the monopoly of public structure were examined for their organization and structure and compared their situations to identify problems and present implementation and action plans for art performance stimulation as organizational reform measures through the condition of relation under the organization theory.

      • KCI등재

        디자인경영에 의한 현대카드 복합문화공간의 특성연구 -브리짓 보르자 드 모조타가 정의한 디자인경영을 중심으로-

        장기민 ( Jang Kimin ),이찬 ( Lee Cha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4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사회의 복합문화공간은 다양한 모습으로 발전해가고 있기에 공간 운영에 대한 보수적인 경영활동에서 벗어나 합리성을 추구하는 경영을 통한 경쟁력 강화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현대카드는 사용자에게 영감을 줄 수 있는 공간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으며, 도서관의 정적인 개념을 복합문화공간으로 탈바꿈시키는 모습을 보이며 문화공간에 대한 차별성을 드러내었다. 이러한 현대카드 복합문화공간의 공간 특성을 모조타의 디자인경영 관점에서 접근하여 관찰하고자 한다. 디자인경영은 현대 기업 경영의 중요한 토대가 되고 있으며, 기업 경영의 새로운 틀을 제시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복합문화공간 및 디자인경영의 특성을 알아보고, 현대카드의 복합문화공간과 디자인경영 간의 연관성을 파악하여 공간 해석에 대한 새로운 방법을 알리려 함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의 절차는 첫째, 복합문화공간과 디자인경영의 배경 및 특성을 고찰한다. 둘째, 선행연구와 문헌자료를 통해 이론적 정리를 한다. 셋째, 이론적 고찰을 중심으로 사례 분석의 틀을 도출한다. 넷째, 도출된 디자인경영의 개념을 바탕으로 현대카드 복합문화공간에서 나타나는 디자인경영 특성에 대해 분석한다. 결론에서는 사례 분석을 통해 도출된 모조타의 디자인경영에 의한 현대카드 복합문화공간의 특성을 정리하였다. (결과) 모조타의 디자인경영을 통해 현대카드 복합문화공간에 대해 분석한 결과는 첫째, 지역 및 역사성을 고려한 창의적 방식의 융합형 공간 특성이 나타나고 있다. 둘째, 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도서관에서의 간접경험이 공간 내에서 더 자세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는 효율적 형태의 공간 특성이 나타나고 있다. 셋째, 문화적 요소에 대한 시대적 가치를 직접 느끼면서 더 밀접하게 문화와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참여 형태의 공간 특성이 나타나고 있다. 넷째, 책을 통해 습득하는 정보에 대한 자발적 학습과 실습이 동시에 가능한 자율적 형태의 공간 특성이 나타나고 있다. (결론) 디자인경영에 의한 현대카드 복합문화공간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자율성이 강조된 탈경계의 특성이 나타난다. 두 번째로 정보와 감각의 효율적인 융합을 통해 다양한 경험이 가능한 공간의 특성이 나타난다. 세 번째로 사회적 참여가 높은 자율형 공간의 특성이 나타난다. 본 연구는 모조타가 정의한 디자인경영을 통해 현대카드 복합문화공간의 특성을 도출하여 구조화 시켰으며, 인간과 공간 디자인 사이의 가치 전달과 의미작용에 대해 알아보았다. (Background and Purpose) Complex cultural spaces in modern society are developing in a variety of ways, so there is an urgent need to strengthen management that strengthens rationality, freeing from conservative management activities for space operation. Hyundai Card showed its differentiation by conducting research on spaces that can inspire users and transforming the static concept of the library into a complex cultural space. I would like to approach and observ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card complex cultural space from Mojota's design management perspective. Design management has become an important foundation for modern corporate management and presents a new framework for corporate manag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omplex cultural spaces and design management, and to inform the space and interpretation methods that provide a new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lex cultural space of modern cards and design management. (Method) First, the research procedure examines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and design management. Second, theoretical arrangements are made through prior research and literature data. Third, the framework of case analysis is derived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s. Fourth, based on the derived concept of design management,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 management appearing in the Hyundai Card complex cultural space are analyzed. In the conclus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Hyundai Card complex cultural space by design management of Mojota derived through case analysis are summarized. (Result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Hyundai Card complex cultural space through Mojota's design management show: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a fusion-type space in a creative way that considers locality and history are revealed. Second, the space characteristics of an efficient form that organizes the indirect experiences in the library that can be obtained through books can be made in more detail within the space are emerging. Third, there is a spatial characteristic of a participatory form that allows people to communicate with culture more closely while directly feeling the value of the times for cultural elements. Fourth,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an autonomous form that enable both voluntary learning and practice on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books are emerging. (Conclusions) Based on the case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Hyundai Card complex cultural space by design management are as follows. First, autonomy is emphasized, and the characteristic of breaking out of boundaries appears. Second, through the efficient fusion of information and senses, the characteristics of spaces where various experiences are possible appear.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an autonomous space with high social participation emerge. This study derives and structured the characteristics of Hyundai Card's complex cultural space through design management defined by Mozota, and investigates the value transfer and meaning effect between human and space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