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제중심학습 설계 및 운영 사례연구 : 국제기업문화의 이해 교과목을 중심으로

        김미영 한국상업교육학회 2014 상업교육연구 Vol.28 No.6

        이 연구는 실무교육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문제중심학습(PBL) 교수법을 국제기업문화의 이해라는 교과목에 적용함으로써 학습효과를 확인하고 대학교육에서 문제중심학습의 적용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B대학 국제비서학과에서 개설한 ‘국제기업문화의 이해’라는 교과목을 수강한 3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2차의 사례 문제를 통해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하였으며 수업 중 교수와의 면담을 통해 교수자는 촉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학습자들은 제시된 사례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조별활동을 하였으며, 조별활동이 끝난 후 조별 발표와 함께 한글보고서, 발표자료 및 조별활동일지를 제출하였고 개인별로 성찰일지를 작성하여 제출하였다. 수업이 끝난 후에는 수업평가지를 제출하였다. 사례분석결과 성찰일지를 통해 학습자들이 지식함양, 자기주도학습 능력, 실무능력, 협동능력, 정보수집 및 통합능력의 향상을 학습효과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조별활동 중의 의견조정 및 조원 간 시간조정, 과제수행에 많은 시간의 소요와 일부 조원의 비적극적 참여를 단점으로 나타났다. 수업평가지 분석을 통해서 학습자들은 문제중심학습의 유용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제의 난이도 및 조 구성 방식의 인식에 있어서는 유용성이나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특히, 학습자들은 교수자의 개입에 많은 도움을 받았으며 교수자의 피드백 내용, 제공시기 및 방법의 적절성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 문제중심학습에서 교수자 역할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강의수업에 익숙한 학습자들이 문제중심학습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case study applied the blended learning of PBL(Problem Based Learning) with classroom instruction into secretary education. Among 35 students enrolled in this course, 27 students were major in secretarial studies and 8 students were double major in secretarial studies. PBL was implemented with two learning issues (problems). Students submitted group activity diaries, reflective journals, and the course evaluation questionnaire at the end of semester. Results of the study suggested the educational effect of improvement in knowledge cultivation,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practical skills, collaboration skills, and ability to integrate information gathering. On the other hand, coordinated group activities, time-consuming activities, and insincere group members were proposed as disadvantages of the PBL class. Through course evaluation questionnaire students showed the usefulness of PBL in higher recognition respectively. But the difficulty of the problem and group configurations were showed in lower recognition than usefulness or satisfaction.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role of professor as a facilitator was very important. Finally, the improvements and limitations of this case study were addressed in the conclusion.

      • KCI등재후보

        창의적 무용교육과 문제중심학습(PBL)

        김기화 한국무용연구학회 2011 한국무용연구 Vol.29 No.2

        본 연구는 실기 중심의 도제교육으로 획일화 된 무용교육에 실기 수업을 뒷받침할 수 있는 이론적 무용수업 모형의 안을 내는 것으로, 창의적 교수학습 방법인 문제중심 학습(PBL)을 소개하고자 하였다. PBL은 구성주의에서 강조하는 학습자 주도적 학습환경을 좀 더 구체적인 모습으로 제시한 것으로 구성주의 학습원칙을 충실하게 실천하는 모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용교육에 PBL을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에 대한 교수학습모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에 근거한 문헌연구로 PBL 교육과 관련된 문헌과 연구논문, 그리고 타 예술교과의 PBL 선행연구 논문을 바탕으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고, 그 후 본 연구자가 이론 수업인"무용감상법"이라는 수업을 예로 들어 "하회탈춤"을 감상한 후 PBL로 수업에 적용시켜보는 과정을 통해 연구결과를 도출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PBL 학습은 "문제"를 중심으로 학습자들이 스스로 학습해 감으로써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자기주도 학습 과정을 거친다. 둘째, PBL 학습은 개인별 자기주도 학습을 한 다음에 다시 팀별로 모여서 서로 학습한 내용을 공유하는 과정을 거치는 재학습이 이루어진다. 셋째, PBL의 전체 과정은 문제설계와 문제 실행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지나 이 둘은 상호 보완적인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넷째, PBL 학습은, 초기 활동, 문제제시 및 문제에 대한 접근, 문제에서 요구하는 학습내용 추론, 자기주도 학습의 수행, 문제해결을 위한 새로운 지식적용 및 문제해결 계획에 대한 반추, 문제의 해결안 작성, 문제의 해결안 요약 및 종합정리, 성찰저널 작성의 과정으로 전개된다. 다섯째, 무용 이론 교육은 지적인 활동을 동반한 신체의 창조적인 표현 활동을 위한 학습이 되어야 하며 PBL 학습이야말로 이러한 창의성 개발에 부합하는 학습방법이다. 여섯째, PBL 교육의 특적 요소는 "문제", "학생", "교사"로 이루어지며 PBL 학습에서 무용교수자의 역할은 학습 진행자로 문제설계자이자 문제평가자의 역할을 수행한다. This study aims at introducing one of the creative teaching-learning approaches called PBL (Problem-based learning) in order to suggest a theoretical dance class model which supports the performing class in the uniformed dance education focused on apprentices. PBL suggests student centered environment, which the constructivist approach stressed, more specifically. Thus the approach can be said to be a model that truly carries out the learning principles of constructivist approach. In short, the study goal is to suggest a teaching learning model of how to adopt PBL to dance education. This study as a literature based on the qualitative research suggests a theoretical basis by studying PBL related literatures, researches and the previous studies in other art subjects, and then draws the following conclusions through the process of how to adopt PBL after watching "Hahoe Mask Dance" by taking a lesson from the course, Appreciation of Performing Dance. First, PBL undergoes so called self-directed learning process in which students learn about a subject in the context of problems by constructing knowledge in their own mind by themselves. Second, PBL makes possible to review through a process to share what they have learned in small groups after they learn by themselves individually. Third, PBL has two areas of discovering the nature of a problem and understanding its resolution, but these two must be conducted as a complementary process. Fourth, PBL includes different steps of beginning activities, suggesting problems and approaching them, deducing learning suggested by the problems, conducting self-study, adopting new knowledge to solve the problems and reflecting plans to solve them, writing the ways to solve the problems and summarizing them, and writing a journal of reflecting the learning. Fifth, dance theory education must be learning for creative physical expressions accompanied by intellectual activities, and of course, PBL fits in this creative development. Sixth, the unique element of PBL is that it consists of problems, students and an instructor, and in using the method the role of the instructor is a facilitator of learning who provides appropriate scaffolding of that process.

      • KCI등재

        초등영어 수업에서 실생활 듣기와 말하기 능력향상을 위한 문제중심학습(PBL)의 적용 효과

        박수영,조연순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2 교과교육학연구 Vol.16 No.3

        Recently, the need for communicative competence in English has been increasing; therefore, English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has focused on the communicative abilities of children in real-life situations. There have been various teaching methods proposed to achieve this purpose. Among them, problem-based learning, which starts with real life problems, is one of the methods used to improve children's real life communicative skills and interes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the effect of PBL on the listening and speaking abilities of students in real-life situations. To achieve this purpose, two groups were selected from fifth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which is located in Seoul, Korea. For four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were taught using PBL, and the control group were taught using conventional methods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In the PBL group, the student's reactions were observed and analyzed in the process of the PBL. At the end of the study, the communicative abilities of the students were evaluated through problems which reflected listening and speaking abilities in real-life situations. The results of the test were analyzed with an independent sample t-test using the SPSS/WIN statistics program. The results indicate, first, that the listening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to which problem-based learning had been applied,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ample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speaking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to which PBL had been applied, was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ampl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e can conclude, therefore, that elementary English classes based on problem-based learning are an effective method of increasing the speaking abilities of children in real-life situations. 현대사회가 국제화·정보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의사소통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세계 공용어라 불리는 영어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이에 초등 영어에서는 일상생활에서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기능을 실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을 목표로 다양한 학습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여러 학습방법 중 비구조적이고 실제적인 맥락의 문제 상황으로부터 학습을 시작하는 문제중심학습은 이러한 실생활에서의 의사소통 능력을 길러주기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영어수업에 문제중심학습(PBL)이 학습자의 일상생활에서의 듣기와 말하기 능력향상에 효과적인지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초등학교 5학년 영어수업에 4주 동안 8차시에 걸쳐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하여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과정에서 문제중심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 및 참여태도는 어떠한지 관찰하여 수업에 반영하였다. 문제중심학습이 강의식 수업보다 실생활 의사소통 능력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듣기와 말하기 능력 평가를 실시하고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test(p<0.05)로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중심학습으로 개발된 영어수업을 받은 실험집단은 강의식 영어 수업을 받은 통제집단보다 듣기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았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문제중심학습으로 개발된 영어수업을 받은 실험집단은 강의식 영어 수업을 받은 통제집단보다 말하기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적으로 문제중심학습은 초등학생들의 실생활 말하기능력 신장에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교회학교 교사교육을 위한 문제중심 학습법의 사용-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 사용된 문제중심 학습법의 효과에 대한 한국 교회학교 교사들의 인식 연구-

        이수인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4 기독교교육논총 Vol.37 No.-

        There is a hunger for effective teacher equipping programs for adultvolunteer teachers in the educational ministry of today’s churches. Inaddition, these programs for volunteer teachers need to be well-suitedfor adult learners and relevant to their real-life situations. The purposeof this qualitative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Problem-BasedLearning (PBL) in volunteer teacher training programs in a church inSouth Korea. A grounded theory study was utilized in order to comparechurch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mpact of traditionalLecture-Based Learning (LBL) and PBL upon their learning process. InSpring 2011,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participated in a volunteerteacher training program (total 8 weeks) primarily designed using LBL( week 1 t hrough 4 ) and PBL approaches ( week 5 through 8 ). T his studyutilized observations by the researcher, open-ended surveys, andinterviews to collect data from the church school teachers in a KoreanPresbyterian church in Anyang, Korea.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through the procedures of a grounded theory study. Based on the datacollected and analyzed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could makehypotheses that described the participants’ perceptions of PBL and theirPBL experiences. First, PBL can shift the center of learning from the teachers to thelearners in a Korean church school teacher training program. Second,the participants of PBL will yearn to apply the PBL approaches in theirown teaching contexts. Third, the unfamiliarity of PBL can be adifficulty to implement for a Korean church school teacher training programin Korea. Also, PBL seems to require more time to complete thetraining sessions compared to the traditional lecture-based pedagogies. 한국 교회의 수적, 질적 감소와 주일학교 교육의 침체에 대한 원인을 여러 가지에서 찾을 수 있으나 많은 전문가들은 교회 주일학교 교사들이 충분하고 효과적인 훈련을 받지못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교회의 교육사역을 위해 효과적으로 교사들을 교육하는 것에 대한 갈망은 어느 교회나 가지고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성인교사교육 프로그램들은 성인 학습자로서의 그들의 특성과 그들의 상황과 잘 어울리는 것이어야 한다. 이질적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한 지역교회의 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 사용된 문제 중심 학습법(Problem-based Learning)의 효과가 무엇인지 탐구하는 것이다. 그리고 문제중심 학습법만의 효과가 무엇인지 보다 분명하게 살펴보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강의중심 교수법과 문제중심 학습법에 참여한 교사들이 각 교수법의 효과를 어떻게 다르게 인식했는지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참여자들은 총 8주짜리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되었다. 그들은 처음 4주(1주-4주) 동안은 강의중심 교수법을 통해 교육을 받았고, 그 다음 4주(5주-8주)의 기간에는 문제중심 학습법을 통해 교육을 받았다. 교육을 하는 동안 연구자는 참여자들의 반응을 관찰했고, 연구가 마친 후 간단한 설문조사를 했다. 또한 20명의 교사들을 심도 있게 인터뷰 했고, 나중에 분석한 데이터를 가지고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한국 주일학교 교사들의 인식에 의하면, 문제중심 학습법은 학습자들의 배움의 과정에 결정적인 변화를 가져옴을 발견하게 되었다. 전통적인 교수방법과는 대조적으로, 문제중심 학습법은 학생들이 자신들의 학습에 가장 주요한 행위자가 되도록 하였다. 그들은 주어진 문제중심 학습법의 프로젝트를 그들 스스로 계획하고, 관리하고 시행해나갔고, 그 결과 다양한 소스로부터 배울 수 있었다. 이러한 모든 학습과정은 귀납적으로 이루어졌고, 학습자들 자신이 그들의 배움의 출발점이었다. 또한 이러한 학습 과정에 있어서의 극적인 변화는 참여자들의 배움에 큰 영향을 미쳤고 다양한 긍정적인 효과들을 산출하였다. 학습에 대한 그들의 태도도 보다 긍정적으로 바뀌었고, 자신들이 배운 것을 각자의 가르침의 사역의 현장에 접목하고 적용하려 하였다. 이와 같이 분석된 데이터에 근거해서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문제중심 학습법은 학습의 중심을 교사에서 학생으로 전환시켰다. 둘째, 문제중심 학습법에 참여한 교사들은 자신들의 교육 사역에 이 교수법을 적용하고 싶어 했다. 셋째, 그러나 문제중심 학습법에 대한 참여자들의 낯설음은 향후 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될 수도 있고 또한 문제중심 학습법은 훈련과정을 마치는데 더 많은 시간을 요구했다.

      • KCI등재

        간호교육에서 문제중심학습(PBL) 전략이 임상간호사의 비판적 사고능력, 의사소통 능력, 임상 의사결정 능력에 미치는 효과

        남창우(Nam Chang Woo),김남희(Kim Nam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4

        본 연구는 간호교육에서 문제중심학습(PBL) 전략이 임상간호사의 비판적 사고능력과 의사소통능력, 임상 의사결정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탐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부산 소재 A 대학의 간호학 학위과정 중 문제중심학습(PBL) 교육을 수강하는 임상간호사 24명과, 간호학 학위과정 중 이론식 강의 수업을 수강 중인 26명을 대상으로 2019년 10월 1일부터 11월 26일까지 7주간 실험을 진행하였다. 간호교육에서 문제중심학습(PBL)전략이 임상간호사의 비판적 사고능력과 의사소통능력, 임상 의사결정 능력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를 시행하였다. 실험 전·후로 두 집단의 비판적 사고능력과 의사소통능력, 임상 의사결정 능력 검사를 실시하고, 집단 간 효과성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다변량공분산분석(M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임상간호사의 비판적 사고능력은 6개의 하위요인 중 ‘지적 공정성’에서 문제중심학습(PBL) 전략이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임상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은 집단 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임상간호사의 임상 의사결정 능력은 4개 하위요인 중 ‘결론에 대한 평가와 재평가’ ‘가치와 목표에 대한 검토’, ‘대안과 선택 조사’의 3가지 하위요인에서, 문제중심학습(PBL) 전략이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임상간호사의 실무와 교육을 연계할 수 있는 문제중심학습 전략의 장기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a problem-based learning (PBL) strategies on nurse practitioners critical thinking skills,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clinical decision-making skills in nursing education. For this purpose, a seven-week experiment was conducted from October 1 to November 26, 2019 in 24 nurse practitioners taking a PBL course and 26 taking a traditional theory-based lecture in nursing at A University in Busan.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experimental design was used to determine if nurse practitioners critical thinking skills,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clinical decision-making skills depended significantly on a PBL strategy in nursing education.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both groups were tested for the critical thinking skills,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clinical decision-making skills and MANCOVA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inter-group differences in the effectiveness of the experimen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BL strategies had meaningful effects on intellectual justice among the six sub-factors for the critical thinking skills of the nurse practitioners. Second, there was no meaningful inter-group difference in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of the nurse practitioners. Third, the PBL strategies had meaningful effects on three— evaluation and reevaluation of conclusion, review of values and goals, and investigation of alternatives and choices —out of four sub-factors for the clinical decision-making skills of the nurse practitioner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run a long-term education program for a PBL strategies that can connect practice with education for nurse practitioners.

      • KCI등재

        PBL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수업의 문제 개발 사례 분석 연구

        박선옥(Park, Sun-ok) 중앙어문학회 2016 語文論集 Vol.67 No.-

        이 연구의 목적은 PBL(Problem-Based Learning,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사용한 문제의 개발 과정을 살피고, 문제에 대한 학습자 평가 등을 종합, 분석하여 PBL 활용 글쓰기 문제를 개발할 때 유의할 사항을 살펴보는 데 있다. PBL을 대학 글쓰기 교육에 활용하여 얻을 수 있는 교육적 가치는 충분하다. 그런데 대학 글쓰기 교재에는 PBL 활용 글쓰기 문제가 없고, 연구 논저에서도 문제 개발 과정에 대한 논의는 찾기 어렵다. 따라서 이 연구는 PBL을 활용한 글쓰기 교육 분야에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PBL을 활용한 글쓰기 문제의 개발 과정은 ‘교과목 학습 목표와 내용 선택→학습자 특성 파악→학습 내용과 관련된 실제적 맥락의 주제 선정→문제 초안 작성→(필요시) 학습 지원 자료 준비→문제 작성→문제 타당성 점검’이다. 그리고 PBL을 활용한 글쓰기 문제는 ‘비구조성, 실제성, 복잡성, 학습자 관련성, 교육과정에 근간을 둠, 활동의 명확성’ 등의 특성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학습자들에게 설문조사를 해서 얻은 의견을 종합하고 분석하여 문제 개발을 위해 유의할 사항을 정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development process of problems used in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using Problem-Based Learning (PBL), to analyze learners’ assessments of these problems, and to determine what to pay attention to when developing writing problems using PBL. The educational value that can be gained through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using PBL is tremendous. However, there are no writing problems that use PBL in university writing textbooks, and so it is difficult to find problem development processes in statement writing research. The development process of writing problems using PBL is as follows: choosing subject learning goals and contents → understanding learner characteristics → choosing a topic of practical context related to the learning contents → writing a problem draft → (when needed) preparing study support material → problem making → examining problem validity. Additionally, writing problems using PBL must have the characteristics of being “non-structural, practical, complex, related to the learner, based on educational courses, and clear in activity.” Surveys were conducted with learners to obtain their assessments of problems. The collected opinions were analyzed, and matters that need attention for problem development were highlighted.

      • KCI등재후보

        대학 PBL에서 문제특성이 PBL 학습활동에 미치는 영향

        노혜란(Roh, Hyelan)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1 교육발전 Vol.4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PBL(Problem Based Learning) 수업에서 PBL 문제특성이 PBL의 주요 학습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A대학교에서 운영한 PBL 12개 강좌를 수강한 40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유효한 응답자 총 218명에 대하여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중다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PBL 문제특성 중 ‘사고촉진성’은 개인학습을 제외한 문제분석 및 계획, 팀학습, 해결안도출, 성찰 활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PBL 문제특성 중 ‘실제성’은 5가지 모든 학습활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PBL 문제특성 중 ‘주제통합성’은 PBL의 학습활동 중에서 팀학습을 제외한 4가지 학습활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첫째, PBL에서 문제를 개발할 때 ‘실제성’이 중요한 문제특성임을 시사하며, 둘째, ‘사고촉진성’은 개인학습보다는 팀학습과, ‘주제통합성’은 팀학습보다는 개인학습과 더욱 관련된 문제특성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he PBL((Problem Based Learning) problem characteristics affect the learning activities of PBL in university’PBL. For this study, online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for 400 students who took 12 PBL subjects at A University. A total of 218 valid respondents were subject to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BL problem, ‘thinking promotion has been shown to significantly affect ‘problem analysis and planning’, ‘team learning’, ‘solution derivation’, and ‘reflection’ except ‘individual learning’. Second,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BL problem, ‘realistic’ has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all five learning activities. Third,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BL problem, ‘subject integra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four learning activities except ‘team learn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first, ‘realistic’ is an important problem characteristic in developing problems in PBL, second, ‘thinking promotion’ is related to ‘team learning’ rather than ‘individual learning’, and ‘subject integration’ is related to ‘individual learning’ rather than ‘team learning’.

      • KCI등재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한 수업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박지윤(Park, JiYun),우애자(Woo, AeJ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1

        본 연구에서는 문제중심학습(PBL)의 수업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2001년부터 2016 년 6월까지 발표된 연구 논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국내에서 발표된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중 ‘문제중심학습’, ‘PBL’, ‘효과’ 등을 교차로 검색 하여 최종적으로 112편의 논문을 선정하였고, 총 185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종속변인으로는 문제해결능력, 창의성, 학습동기, 자기주도 학습력, 학습태도와 학업성 취도를 조절변인으로는 연구대상, 중심교과, 지역, 수업형식과 수업기간을 선정하였 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수업은 종속변인 전체에 대해 중간 크기의 효과크기를 나타내었고, 그 중 창의성의 효과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조절변인에 따른 종속변인들의 효과크기의 동질성 검증 결과, 창의성을 제외한 모든 종속변인에서 이질적인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셋째, 문제중 심학습을 과학 교과에 적용하였을 때 타 교과에 비해 문제해결능력, 학습동기, 자기 주도 학습력에서 가장 큰 효과크기를 나타낸 반면, 학습태도와 학업성취도의 효과크 기는 가장 작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learning effects in the problem based learning (PBL) using meta analysis method. 112 research articles published from 2001 to June 2016 in Korea were selected by searching ‘problem based learning,’ ‘PBL,’ and ‘effect,’ and 185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BL compared to the traditional learning is a more effective learning method in improving problem-solving ability, creativity, learning motiva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ing attitude, and academic achievement(g=0.60). Second, all dependent variables except creativity shows heterogeneous effect size towards the moderating variables(I 2 =72.3%). Third, for science subject, PBL is the most effective in problem-solving 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motivation. However, the least effective in learning attitude and academic achievement.

      • KCI등재

        문제중심학습(PBL)이 디자인 실기수업에 미치는 영향

        박양미 ( Yang Mi Park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4

        창조경제시대에 필요한 디자인 교육은 무한한 정보와 지식을 통하여 학생 스스로 이를 습득하고 문제를 인식하며 해결해 줄 수 있는 교육읻. 디자인분야는 현실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서부터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다양한 문제의 인식이 필요하며 이를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어 줄 수 있는 가이드 교육이 필요하다. 구성주의를 기반으로 하는 문제중심학습(P roblem Based Learning)은 소그룹의 토의수엄으로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해 나갈 수 있는 교수법으로 디자인 교육에 적합하다. ㅗㄴ 연구는 디자인 실기수업에서 요구되어지는 창의적인 아이디어 발상과 다양한 문제해결방안, 그리고 팀작업의 효율성을 위하여 문제중심학습(PBL)을 수업에 적용해 봄으로써 기존의 실기수업과 PBL을 적용한 수업에서 학습의 효과를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특히 PBL의 긍정적인 학습효과인 학습만족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협동능력, 창의적 사고 흥미도에 대하여 동질집단의 2학년 대학생ㅇ르 대상으로 실험수업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실기수업에서 보다 문제중심학습(PBL)에서의 학습만족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협동능력, 창의적 사고 흥미도 모두 높은 경과가 나타났으며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001). 다라서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한 디자인 실기수업에서 긍정적인 학습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PBL의 활용범위를 확대하여 다른 실기 디자인교과에서도 적용해 보는 것은 향후 연구과제로 남기고자 한다. Design education in this era of creative economy must help students solve design problems by having them utilize information they have already learned and acquire new information through additional research. The field of design education needs to guide students in the right way and recognition of real problem. The teaching method, Probiem-based learning is based on constructivism. Students forms small groups to discuss. It is appropriate in design education to solve any cases of design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quire more effective teaching methods on design practice class.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effects between PBL is applied to design practice class and traditional teaching method for creative ideas, various design solutions, and useful of teamwork. Especially, using the PBL method in design class increased learning satisfaction, self-directed learning, collaborative skill, and creativity than traditional design class in the second grade of four-year college. It has significant difference(p<0.001) at t-test and one way ANOVA as well. Therelore, PBL(Problem-Based Learning) has absolutely positive effects and it would be continued next task to apply in different design practice classes.

      • KCI등재

        문제중심학습 기반의 퍼실리테이터 육성 프로그램 개발 연구

        박수홍,김두규,홍진용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2 교육혁신연구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강의중심 교육에 숙달되어있는 교수자에게 문제중심학습법을 쉽게 도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문제중심학습 기반의 Facilitator 육성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구체적인 연구과제는 첫째, 문제중심학습 기반의 Facilitator 육성 분야 도출,둘째, 문제중심학습 기반의 퍼실리테이터(Facilitator) 육성 프로그램의 설계 전략도출, 셋째, 도출된 설계 전략을 바탕으로 프로그램 초안 개발, 넷째, 개발된 초안을 형성평가를 통해서 검증하고 최종적인 문제중심학습 기반의 퍼실리테이터 육성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방법은 문제중심학습 기반의 퍼실리테이터 육성 분야를 도출하기 위하여 문헌 및 사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도출된 육성분야를 기준으로 초안을 개발하여 PBL현장 교육 전문가와 연구원 및 교육공학전문가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초안 프로그램을 보완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교수자를 대상으로 2회의 연수교육을 실시하여 형성평가를 실시하여 최종적인 제중심학습 기반의 퍼실리테이터 육성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설계적 입장에서 접근하여 문제중심학습 기반 퍼실리테이터 육성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개발된 문제중심학습 기반 퍼실리테이터 육성 교육 프로그램은 시작부터 끝까지 교육프로그램 전체가 학습자중심으로 진행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프로그램을 이수하는 과정 자체에서 학습자들이 퍼실리테이터의 역할을 이해하고 익힐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셋째, 개발된 문제중심학습 기반 퍼실리테이터 육성 교육 프로그램은 각 육성분야별로 수행목표 및 구체적인 퍼실리테이터 육성 활동들을 제시하였고 해당 분야별로 필요한 학습지원요소와 학습 환경을 자세히 제시하여 일반적인 교육연수 기관에서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