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기획논문 : 무애 양주동의 『삼국유사』 향가 인식

        김성주 ( Seong Ju Kim ) 한국불교사연구소 2014 한국불교사연구 Vol.5 No.-

        무애 양주동이 『삼국유사』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는지에 대해서 무애의 글 속에서 직접 찾기는 어렵다. 무애에게 사상적·인간적으로 큰 영향을 준 육당 최남선의 『삼국유사』에 대한 인식을 통해서 무애가 『삼국유사』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는지를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무애는 향가를 우리 문학의 가장 오랜 유산으로 또 우리 문화와 사상의 현존 최고의 원류가 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으며, 『삼국유사』는 그런 귀중한 향가를 우리에게 전해 준 귀중한 문헌으로 파악하고 있다. 무애의 향가 해석은 새롭게 알려진 『삼국유사』 이본과의 교감을 통해서, 또 석독구결과 언해에서 알려진 사실에 의해서 수정될 부분이 있다. 특히 그 동안 서동요에서 ``卯乙``로 읽어온 부분이 ``卯``가 아니라 ``卵``이라는 사실과 향가의 ``音叱``는 ``의무/당위, 능력, 의지`` 등으로 해석되는 석독구결의 ``―□―``와 동일한 문법 형태이므로 무애가 ``音``을 상대높임법 ``―□―``로 파악한 것은 마땅히 수정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무애의 향가 해석 이후 지금까지 이루어진 향가 해석이 학문적으로 그렇게 발전하지 못했다고 볼 수 있다. 무애 이후의 향가 해석을 보면 무애의 해석과 사뭇 다른 해석이 많이 있으나 무애의 향가 해석과 의미가 완전히 다른 것으로 제시된 부분들은 대부분 그렇게 해석되는 근거가 무애가 제시한 근거에 비해서 그렇게 설득력 있어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무애의 향가 해석은 해석이 이루어진 시대 상황을 감안하면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해석이라고 할 수 있으며, 현재 이루어진 국어학계의 논의를 받아들여 일부분을 수정한다면 무애의 향가 해석은 현재에도 여전히 유효하고 할 수 있다. It was difficult to find the evidence about how Muhae(无涯) Yang Ju-dong(梁柱東) evaluate Samkukyusa in his books. We could indirectly understand it through how Yukdang(六堂) Choi Nam-seon(崔南善), who had, ideologically and culturally, a major influence on him, had evaluated Samkukyusa. He considered Hyanggas, national songs in Silla, as the oldest inheritance of this literature and the highest basis of our culture and ideology. And he also understood Samkukyusa as a literature which handed down such valuable Hyanggas, which were written by the borrowed characters from China. It was true that there was his interpretation of Hyanggas in his Kogayeongu(『古歌硏究』), which had not been corrected by the grammar of Seokdokgugyeol or Eonhae, the Korean annotation or translation of Chinese classics. Specially, because 音叱[ms] in Hyanggas was the same grammatical expression as □(ms) in Seokdokgugyeol which was a grammatical item expressing the speaker``s obligation, impropriety, ability or willness However, other scholars`` interpretations on Hyanggas after Muae were not better than that of Muae``s. Some of other scholars`` interpretations were very different from those of Muae``s. Therefore, if we take the circumstances at his time, his interpretation of Hyanggas, i.e. Kogayeongu, is an unequalled, immortal work, and also, if we correct something wrong in his interpretation of Hyanggas through the present grammar of Seokdokgugyeol and Enhae, his interpretation of Hyanggas is still an effective interpretation in this epoch of ours.

      • 사행(使行)의 기록과 <항장무(項莊舞)> 연구 - 1791∼1828년의 『연행록(燕行錄)』을 중심으로 -

        홍은지 한국전통공연예술학회 2021 한국전통공연예술학 Vol.6 No.-

        <항장무(項莊舞)>는 조선후기 중국과 국경지대에 위치한 평안북도 선천지방의 잡극(雜劇)으로 존재하다가 고종 대(高宗 代) 궁중에 유입 되었다. <항장무>는 <사자무>와 더불어 배역, 대사, 행동, 이야기가 있는 무극(舞劇) 정재다. <항장무>는 중국의 옛 고사 ‘홍문지연(鴻門之宴)’의 이야기를 무극화 하였다. <항장무>와 관련한 춤은 <공막무>, <건무>, <검무>, <첨수무>, <번쾌의 춤>이 있으며 <검무>는 평안도 관기(官妓) 들의 주요 레퍼토리이자 특기로써 <항장무>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검무>는 조선과 중국이라는 국경의 요충지에서 지리적, 문화적 영향 속 인기 레퍼토리이자 유방과 항우의 숨 막히는 대결구도를 상징 하는 동시에 사신(使臣)을 위한 연향의 흥을 돋우는 이중적 의미를 지 니고 있다. <항장무>는 사행의 노정(路程) 위에서 『연행록(燕行錄)』에 기행산문 (紀行散文), 기행가사(紀行歌辭), 기행한시(紀行漢詩) 등 다양한 형태로 기록 되었다. 사행(使行)은 연행(燕行)의 과정에서 한·중 지식인들의 소통, 외교, 경제와 문화예술을 포괄하는 문화행사였다. 사행의 『연행록』은 역사와 민속을 아우르는 복합적 텍스트로써 『연행록』에 <항장 무> 관람기가 다수 존재한다. 1791년 김정중의 『연행록(燕行錄)』「기유록(奇遊錄)」은 사행의 국내 노정 속에서 <항장무> 관람기가 등장하는데 일기형식과 검무시(劍舞詩) 를 혼용하여 기록 하였다. 기녀(妓女) 난심에게 지어준 검무시(劍舞詩)가 등장하고 사신을 접대하는 청류당에서 <항장무>를 관람하였다고 하며, 평안도 지역의 관기들이 <검무>를 잘 추었다는 것을 산문으로 남겼다. 1828년 작자미상의 『부연일기(赴燕日記)』「왕환일기(往還日記)」에는 <항장무>라는 직접적인 언급은 없지만 <항장무>의 모티브가 되는 ‘홍 문지연’ 공연을 산문형식으로 기록한다. 연희 장소인 숭문문(崇文門)은 북경의 중심부에 위치해 있으며 『부연일기(赴燕日記)』 속 <항장무>는 사신 일행의 중국 노정 속에서 기록되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수백 개의 누대와 복색, 기계의 웅장함과 화려함을 말하면서 무대와 관람석 간의 차별화 등 연희 공간을 상세하게 서술하였다. 항우와 패공, 장량과 번쾌 등장인물과 무구(舞具)의 정교함을 열거하면서도 ‘홍문지연’ 공연의 구체적 내용과 춤사위는 서술하지 않았다. 1828년 박사호의 『심전고(心田稿)』「연계기정(燕薊記程)」에는 사행일행이 선천에 머물며 <항장무>를 관람한 것을 기록하였다. “이제부터 앞 으로는 차라리 죽을지언정 패공이 되기를 원하지 않는다.” 하며 마치 수치스러운 일인 듯 말하니 그 자리에 앉은 모든 사람들이 웃지 않은 사람이 없었다고 하여 <항장무>의 ‘대사’가 직접적으로 언급되어 있고, 당시 관객의 반응까지 묘사했다. 그리고 의검정이라는 공간에 ‘엄연하 게 늘어앉았다.’라고 하여 배역의 위치를 그렸다. ‘그 중 건장한 기녀가 가면을 쓰고 검을 차고 검을 번쩍거리며 좌우를 흘겨보면서 나아갔다 물러갔다 하며 그 뜻이 패공에게 있음을 표현한 것, 항백이 일어나 춤 추며 패공을 보호하여 막는다.’라며 춤사위를 실감나게 묘사했다. 이는 <항장무>의 <검무>와 <공막무>를 정확하게 글로 표현한 대목이라고 할 수 있다. <항장무>에서 가장 위기의 순간 클라이맥스를 박사호의 『심전고(心田稿)』에서 실감나게 그리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1828년의 『심전고(心田稿)』를 통해 <항장무>가 고종 계유년(癸酉年) 1873년 궁중 에 유입되기 45년 전, 선천에서 대사가 있는 잡극 형태로 존재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항장무>는 <검무>와 더불어 사행의 기록인 『연행록』을 통해 조선 시대 중국과의 외교, 문화예술 교류 속에서 이해되어질 수 있는 무극 정재로써 의미가 있다. Hyangjangmu used to be a miscellaneous play that originated in Seoncheon, Pyeonganbuk Province along the border between Joseon and China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before being introduced into the court during the reign of King Gojong. Like Sajamu, it consists of dances and songs in the format of dance drama with roles, lines, actions, and stories. This dance drama is based on the story of an ancient event in China called “Hongmunjiyeon.” There are several dances related to Hyangjangmu including Gongmakmu, Geonmu, Geommu, Cheomsumu, and Dance of Beonkoae·Of them, Geommu was part of the main repertoire and specialties of Gisaengs that belonged to the office of Pyeongan Province and holds important significance in Hyangjangmu. Geommu was enjoyed as part of the popular repertoire under the geographical and cultural influence of a strategic point along the border between Joseon and China. It holds dual meanings, representing the breathless confrontation between Liu Bang and Xiang Yu and adding to the amusement at a court banquet for envoys. Hyangjangmu was recorded in various forms including travel prose, Gasa, and Chinese poetry in Yeonhaengrok along the route of an envoy trip. In the course of trip to Beijing, an envoy trip was a cultural event to encompass communication, diplomacy, economy, and culture & art between Korean and Chinese intellectuals. Yeonhaengrok of an envoy trip was a complex text covering history and folklore, offering many impressions after a Hyangjangmu performance. Giyurok of Kim Jeong-jung’s Yeonhaengrok of 1791 contains an impression after a Hyangjangmu performance in the domestic route of an envoy trip. The record is a mixture of the journal and Geommu poetry forms. The prose part records that he created a Geommu poem to Nansim, a Gisaeng lady, watched Hyangjangmu at Cheongryudang where envoys were entertained, and found that Gisaengs registered at the office of Pyeongan Province were good at Geommu. Wanghwanilgi of Buyeonilgi of 1828 whose author is unknown has no direct mention about Hyangjangmu but records the “Hongmunjiyeon” show, which is the motif of Hyangjangmu, in the prose form. Sungmunmun, where the banquet was held, was in the center of Beijing, and Hyangjangmu in Buyeonilgi was recorded as part of the envoy mission's route in China. It offers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venue including hundreds of lookouts, costumes, magnificent and splendid machines, and differentiation between the stage and the stand. It enumerated the characters including Xiang Yu, Liu Bang, Zhang Liang, and Fan Kuai and the exquisite arms, but it provided no depictions about the concrete content and dance movements of the “Hongmunjiyeon” performance. Yeongyegijeong of Park Sa-ho's Simjeongo of 1828 offers records about the envoy mission’s watching of Hyangjangmu at Seoncheon. These records even depicted reactions from the audience, directly mentioning “lines” from Hyangjangmu: all the people present burst into laughter as the character said, “I will rather die before wishing to be a Paegong,” as if he could not bear the shame. In addition, the records depicted the positions of the characters, saying that they were “seated clearly” in the space of Uigeomjeong. The descriptions of dance movements were detailed: “A bulky Gisaeng lady moved back and forth, wearing a mask, wielding a sword, and looking at sideways. She was expressing that her intention was in Liu Bang. Xiang Bo stands up and dances, protecting him.” This part gives an accurate description of Geommu and Gomakmu of Hyangjangmu. Park Sa-ho described the climax of the biggest crisis in Hyangjangmu in the most realistic way in Simjeongo. The records of Simjeongo of 1828 confirm that Hyangjangmu existed as a miscellaneous play with lines in Seoncheon 45 years before it was introduced to the royal court in 1873 of Gyeyu during the reign of King Gojong. Along with Geommu, Hyangjangmu holds significance as a dance drama of songs and dances that can be understood in diplomatic, cultural and artistic exchanges between Joseon and China through Yeonhaengrok, the records of envoy trips.

      • 무인 선박의 도입 시 제기될 수 있는 선원법과 해상법상 문제점

        유현식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2019 Law & technology Vol.15 No.6

        일반적으로 해양노동에는 특수성이 인정되고 있기 때문에, 현행 선원법과 해상법은 선박에 선원과 선장이 승무하고 있음을 당연한 전제로, 위와 같은 해양노동의 특수성과 바다 자체의 위험성을 감안하여 육상노동자의 근로관계나 육상운송인의 법률관계와는 다른 특수한 규율을 하고 있다. 그런데 선원이 승무하지 않은 상태로 운항이 가능한 무인 선박이 도입될 경우, 해양노동의 특수성과 바다의 위험성을 전제로 만들어진 선원법과 해상법의 규율 중 상당 부분은 재검토될 필요가 있다. 한편 무인 선박은, 원격 조종 선박, 부분적 자율운항 선박, 자율 운항 선박의 세 가지 정도로 분류할 수 있다. 현행법상 선원과 선장에 대하여는 해양노동의 특수성을 반영한 특별한 규율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무인 선박은 그 개념상 선박에 탑승하고 있는 선장과 선원의 개념을 상정하기 힘들다. 무인 선박이 도입되더라도 육상에서 선박을 조종하거나 관리하는 사람들이 있기는 할 것이나, 선원법 제2조 제1호는 ‘선박에서’ 근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고용된 사람을 선원으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사람들은 선장과 선원에 해당된다고 볼 수 없다. 그리고 무인 선박을 운항하는 사람들은 그 근무지가 육상이기 때문에, 이들을 선원 내지 선장으로 인정하지 않는 것은 큰 문제가 없다. 용선계약은 인적 조직과 물적 설비가 서로 어떻게 결합되느냐에 따라 항해용선, 정기용선, 선체용선으로 구분된다. 용선계약의 종류에 따라 용선자와 선박소유자가 부담하는 책임의 내용이 달라진다. 무인 선박, 특히 자율 운항 선박은 개념상 선장과 선원이 존재할 수 없기 때문에 무인 선박의 용선계약은 그 법적 성질을 규명하는 데에 일반적인 경우와는 다른 고려가 필요하다. 감항능력 주의의무는 선박이 안전하게 항해를 감당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것을 운송인이 담보할 의무를 의미한다. 상법 제794조 제2호는 필요한 선원의 ‘승선’을 감항능력의 내용으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무인 선박은 문언상 그 자체로 상법 제794조에 따른 감항능력을 결여한 선박이 된다. 그러나 입법론적인 관점에서 감항능력은 실질적인 감항능력이 되어야 한다. 즉 입법론적으로는 무인 선박은 선원이 직접 승선하지 않더라도 항해 중에 충분한 조종과 감시, 통제가 이루어질 수 있는 인적 자원이 육상에 존재하고 있다면 감항능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상법 제794조 제2호가 현재와 같이 유지되고 있는 이상 무인 선박은 도입될 수 없다. 그밖에 선박소유자의 책임제한, 공동해손, 선박충돌, 해난구조 등 상법에 규정된 여러 가지 제도에 관하여도 무인 선박이 도입됨에 따른 입법론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 Recognizing the difficulties of maritime labor, Korean Seafarer’s Act and maritime law provide distinct regulations. As unmanned vessels are introduced, Seafarer’s act and maritime law are to be revised because the workers will no longer face the difficulties of maritime labor. Unmanned vessels can be distinguished into three types; remote vessels, automated vessels, autonomous vessels. Special regulations are applied to seafarers including captain. However, there are no seafarers on board for unmanned vessels. Workers who control or maintain unmanned vessels from shore cannot be categorized into the concept of ‘seafarer’ because the article 2 (1) of Seafarer’s Act defines seafarers as workers employed for providing labor ‘on vessels.’ There is no need to categorize workers who control or maintain unmanned vessels from shore as seafarers because they do not stay and sail on board. The types of a chartering are distinguished into voyage charter, time charter and bareboat charter. The liabilities of a charterer and a shipowner differ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chartering. The factors to be considered for determining the type of the chartering of an unmanned vessel are to be revised since there are no seafarers for an unmanned vessel, especially for an autonomous vessel. The carrier has a duty to guarantee the seaworthiness. A relevant number of seafarers have to be ‘on board’ for a vessel to be seaworthy according to article 794 (2) of Korean Commercial Act, thus an unmanned vessel is in itself unseaworthy. However, this regulation should be revised into the way that an unmanned vessel be recognized as seaworthy if a relevant number of workers with relevant skills stay on shore and control or maintain the unmanned vessel safely from shore. No one would try to sail unmanned vessels under current article 794 of Commercial Act. Other regulations relating to maritime matters on Commercial Act, such as limited liability of shipowners, general average, ship collision and salvage, should also be revised as unmanned vessels are introduced and put into practice.

      • KCI등재

        공심 무조권(巫祖圈)과 무조신(巫祖神)의 재해석

        임니나 ( Ni Na Im ) 한국고전연구학회 2013 한국고전연구 Vol.0 No.27

        서울부터 제주도까지 해당하는 서부지역과 통영?거제에 이르는 남부지역에서는 굿의 시작 부분에 특정 가사를 관용하여 불러 주목된다.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대략 ``아왕 임금아, 공심은 절하지요, 남산은 본이로다’를 굿거리 시작할 때 부른다. 아왕 임금은 이름이 공심으로, 공심은 무당들의 무조신(巫祖神)이다. 공심을 굿 시작할 때 부르는 것은 공심 무조권에서 공심을 무조신으로서 중요하게 섬겼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무교(巫敎)에서 일반적으로 무조신하면, 내륙의 바리공주나 제주도의 초공본풀이의 삼형제를 거론한다. 이에 비해 공심은 상대적으로 부각되지 못하였고, 공심 무가에 대해 제대로 연구되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공심을 부른 노랫말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공심 무가에 담긴 의미와 기능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기존 무조신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해석하고자 하였다. 공심 설화를 통해 공심이 고려 출신 왕녀이고, 신병으로 인해 남산에서 득도하게 되었으며, 그 득도한 바를 무당?신도에게 전교하여 무조신이 된 것을 알 수 있다. 신이 될 수 없는 공심 무조권 세습무에게는 무병을 앓아 무조신이 된 공심을 중요하게 섬겼을 것이며, 그렇기 때문에 그들에게 무조신의 의미는 남달랐을 것이다. 공심 무가 사설 중 ``아왕 임금’은 무가 채록자들에 의해 ``아황(娥皇)``?``아왕(我王)``으로 혼돈하여 쓰이나, ``아왕’은 무조신인 공심을 부르는 것이므로, 우리 임금이라는 뜻인 ``아왕(我王)``이 맞다. 참고로 ``아황(娥皇)``은 중국의 아황여영에서 나온 것이다. 공심의 이름은 채록자들에 의해 ``공심(公心)’?``공심(功心)’?``공심(空心)’로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공심이 무조신이 된 후에는 사사로운 마음이 아닌, 무당과 신도들을 위한 ``공적이고, 공평한, 힘쓰는 마음’으로 무교를 전교하였으므로, ``公心’이나 ``功心’ 모두 공심 이름에 적합하다. 또한, 공심이 불교적인 수양 방법인 공심(空心)으로써 득도한 것으로 본다면, ``空心’이란 이름도 틀리다 할 수 없다. ``절하지요’는 기존 무가집에서의 ``절(寺)하지요’ 즉 ``사찰하지요’가 아닌, ``제례주 (祭禮主)’를 뜻한다. 공심이 공심 무조권 제례(祭禮)에 임금(주인)이라는 것을 밝히면서 굿을 시작하여야 무조신인 공심을 굿 처음에 부르는 이유와 부합한다. ‘남산은 본이다’에서 남산은 무조신으로 새롭게 태어난 곳이기 때문에 본향이 된 곳이다. 산은 예로부터 숭배 되어온 곳으로, 고대 신화에서 하늘과 땅을 연결하는 역할이 巫의 신과 인간을 이어주는 역할과 상통하며, 고대에는 왕족의 시조를 낳는 여성 산신이 많았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공심이 왜 산에서 무조신이 되었는지 이해할 수 있다. ‘남산’은 서울 남산에 대표적 굿당인 ‘국사당’이 있었다. 그리고 어느 지역에서든 남산은 집터에서 가까운 앞산으로서 북쪽의 뒷산 보다 삶이 더 묻어난다. 남산에서 무조신이 탄생하고, 삶과 관계가 있기 때문에, 죽은 후 북망산 간다는 뒷산의 반대 개념으로 쓰인 듯하다. 무조신으로 잘 알려진 바리공주와의 비교를 통해 공심의 특징을 알 수 있었는데, 바리공주는 주로 사령제에서 불리고, 무조신 이외에 오구신, 직녀성 등 다양하게 나타나며, 저승세계를 주관하며 재생의 기능을 갖기 때문에 오구신의 성격이 많이 보인다. 반면, 공심은 무조신으로서 굿 초압에 나타나고, 현세 세계를 주관하며 전교의 기능을 갖기 때문에 무조신의 모습으로만 등장한다. 지금까지 논한 것을 토대로 공심 무가를 해석하면, 기존의 ``아왕(我王 혹은 娥皇) 임금아, 공심(公心?功心 등)은 절하지요(절에 주요 등) 남산이 본이로다.``는 ``아왕(我王) 임금아, 공심은 제례주(祭禮主)요, 남산이 본(本)이로다.`` 즉 ``우리임금아, 공심은 우리 제례(祭禮)에 임금(주인)이요, 남산이 본향(本鄕)이다.``라고 이해된다. 한국 서남부 무교에서 무조신 공심을 굿 처음 시작할 때 노래하여 의식의 중요성을 더하고, 무조신을 부름으로 해서 무교로서의 정통성을 부여하였다. 또한, 공심 무가는 신에게 굿 하는 현재의 공간?시대를 고할 때 무조신 공심의 내력부터 불러 무교의 역사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그동안 공심 무가를 관용구나 허두(虛頭) 등의 개념으로 이해하였으나, 여러 의미가 함축된 공심 무가는 이 보다 좀 더 의미있는 것으로 인식해야 한다. 그리고 한국 서남부 지역에서 실질적인 무조신은 공심이었고, 그 지역에서 공심이 무조신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이 작용하였다는 것을 감안할 때, 기존 연구에서 무조신하면 바리공주를 떠올리는 것은 고려해볼만한 문제라 여겨진다. Some of the shamanic music saseols grab attention by starting every gut with "Queen Awang, Gongshim, takes a bow. Mt. Nam is the origin" in the southwe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Queen Awang is named Gongshim, who is the ancestry god of female shamans. Gongshim is called out at the beginning of a gut or every geori, which indicates that people placed importance on Gongshim as the ancestry god of female shamans in the regions where she was sung. In shamanism, however, the ancestry god of female shamans usually refers to Princess Bari from inland regions or Three Brothers of Chogongbonpuri from Jeju Island. Compared to them, Gongshim has been relatively less highlighted. Thus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the lyrics calling out Gongshim and examine the meanings of the lyrics, the symbolism of Gongshim, and the effects of calling her out. Chapter 2 marked the scope of Gongshim`s influence as the ancestry god of female shamans on a map and arranged the stories of shamanic songs for Gongshim in a table. According to the Gongshim tale recorded in Chungnam, Jeonbuk, Jeonnam, and Gyeongnam, Gongshim, a Goryeo princess, develops a mental disease and is moved to Mt. Nam, where she learns prayers, songs and dances required for the shamanist practice. After leaving the mountain, she spreads what she has fulfilled and becomes the ancestry god of female shamans. In some villages, she would be worshiped as the village deity. Thus female shamans started to sing ""Queen Awang, Gongshim, takes a bow. Mt. Nam is the origin." In Chapter 3, the investigator interpreted "Queen Awang, Gongshim, takes a bow. Mt. Nam is the origin" as "Our ancestry god, Gongshim was born in a Buddhist temple, and Mt. Nam is her origin place" based on the Gongshim shamanic song of each area within her influential scope and the Gongshim tales of some regions. The lyrics about Gongshim demonstrate the history of shamanism and grant legitimacy to it. They should be understood to contain more meanings rather than as common phrases or opening words.

      • KCI등재후보

        극초음속무기 개발의 군사안보적 함의와 한국의 과제

        김강녕 한국국회학회 2022 한국과 세계 Vol.4 No.4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military and security implications of hypersonic weapons development and the value and tasks of the ROK as a game changer. The development of hypersonic weapons is emerging as a new issue for game changers that change the security landscape. Russia, China, and the United States are competitively developing it, and North Korea has also succeeded in testing it. Hypersonic weapons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ll weapons exhibiting speeds of Mach 5 or higher, and are divided into ①hypersonic glide vehicle and ②hypersonic cruise missile. Hypersonic weapon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①high-speed high mobility and ②time pressure and ambiguity. Future tasks for Korea's hypersonic weapon development can be summarized as ①all efforts to improve competitive technologies, ②joint research and long-term state support by civil, government, industry, academia, and research institutes, ③promotion as a complement (supplementary measures) to the nuclear missile-WMD response system. It is an important time when preemptive efforts are required to improve competitive technologies for the development of hypersonic weapons, so we should do our best to develop and prepare. 본 논문은 극초음속무기 개발의 군사안보적 함의와 한국의 게임체인저로서의 가치와 과제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극초음속무기 개발이 안보지형을 바꾸는 게임체인저의 새로운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러·중·미가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고 북한도 시험발사에 성공한 터이다. 극초음속무기란 마하 5 이상의 속도를 발휘하는 모든 무기를 통칭되며, ①극초음속 활공비행체와 ②극초음속순항미사일로 구분된다. 극초음속무기는 ①고속 고기동성, ②시간 압박성과 모호성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한국의 극초음속무기개발을 위한 향후과제는 ①경쟁력 있는 기술향상을 위한 제반노력, ②민·관·군·산·학·연 공동연구와 장기적 국가지원, ③핵・WMD 대응체계 보완방안으로서의 추진 등으로 요약해 볼 수 있다. 게임체인저로서 가치를 지닌 극초음속무기 개발을 위한 경쟁력 있는 기술향상을 위한 선제적 노력이 요구되는 중요한 시점인바 최선을 다해 개발·대비해 나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드론과 로봇 등 자율무기의 국제법적 적법성

        류병운 ( Byung Woon Lyou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홍익법학 Vol.17 No.2

        이 논문의 목적은,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이 탑재된 자율 살상 로봇(Lethal Autonomous Robotics: LARs), 즉 "살인자 로봇(killer robots)"이나 사실 상 공간적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운 자율 무인항공기, 무인함정, 무인잠수함 등의 다양한 드론과 같은, 자율무기(autonomous weapon)에 대한 국제법적 적법성 판단과 허용원칙을 제시하는 것이다. 과학기술의 발전은 인류의 일상생활에 편리함, 안전, 풍요로움을 가져왔으나 다른 한편으로는 심각한 재앙의 결과, 나아가 인류공멸의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과학기술의 양면성(兩面性)은 자율무기의 이익, 즉 "로봇이 전사하면 그 어머니한테 편지를 쓰지 않아도 된다."는 미 해군 상사의 말이나 북한군이 DMZ에 몰래 매설한 지뢰의 위험 속에 혹한기에 긴 철책을 밤새 지켜야하는 병사를 SGR이 대신하는 상황으로부터 파악되는 이익과함께 자율무기가 인간에 대한 직접적이고 가공할 위험으로 작용하고 있어 이에 대한 규제가 필요하다. 다만 자율무기는 종래의 무기와는 달리 다양하고 복합적이며 다목적 기술의조합이고 이미 개발 중이거나 실전에 배치되는 과정에 있어 그에 대한 금지 내지 규제가쉽지 않다. 따라서 자율무기에 대한 무리한 금지보다는 효과적인 규율이 바람직하다자율무기가 적법하기 위해서는 일단 전시에 민간인과 같이 전쟁에 참여하지 않은 당사자가 반드시 보호되어야 하고 그를 위해 민간보호를 위한 구별성 원칙을 갖추어야 한다. 또한 전투원에게 불필요한 고통을 주거나 특정한 군사적 이익에 비하여 과도한 공격, 즉 비례성 원칙에 위반되는 무기는 위법하다. 아울러 인간 생명권의 존중과 고문이나 잔인한처벌 등의 금지에 부합하여야 한다. 자율무기체계가 금지된 방식의 포탄이나 무기를 사용하거나 그 운반 수단인 경우는 철저히 금지되어야 한다. 자율무기와 다소 인간의 개입이 가능한 반자율 무기를 구분하고 전자(前者)를 보다 엄격히 규제해야 한다. 공격무기와 방어무기를 구분하여 공격무기에 대하여는 구별성 원칙과 비례성 원칙의 엄격한 적용 등 보다 강화된 규제가 필요하다. 적대국의자율무기 개발이나 배치 상황에서 대응 무기로 개발 배치되는 자율무기에 대한 규제는 동등성 기준을 적용하여 완화할 수 있다. 공공양심에 반하거나 가증스러운 테러조직, 국제법상 강행규범(jus cogen) 반하는 범죄집단이나 독재세력을 방어 또는 격퇴하거나 대응하기자율무기에 대한 기준도 완화되어야 한다. 국가는 자율무기의 연구·개발·획득 및 채택함에있어서 적법성 심사와 결정의 의무를 성실하게 이행해야 한다. 향후 자율무기 개발 선진국이 자율무기에 대한 적법성 및 안전기준의 수립도 선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ovide the legality judgement and compatibility rule under international law against LARs(Lethal Autonomous Robotics) load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are killer robots free from space limit like various Drones including UAV(Unmanned Aerial Vehicle), UUV(Unmanned Undersea Vehicle) and Unmanned ships.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brings convenience, security and richness in everyday life of human beings but also contains the results of serious disaster as well as risk of mankind codestruction. The control over LAR is necessary because using autonomous weapon provides such ambilaterality of technology which provides some benefits, for example, there`s no need to write its mom when a robot dies or instead of human soldiers, an SGR stands guard duty in the dangerous mine field of DMZ in cold winter season, as well as which could be a directive and terrifying hazard to human beings. Unlike traditional weapons, autonomous weapons are various, complicated and multifunctional technology, and under development or in the middle of deployment of actual warfare, it is not easy to prohibit or regulate them. Therefore effective regulation on autonomous weapons is more desirable than impractical prohibition. To make autonomous weapons legitimate, any party like civilians not participating in the war should be protected and a differential principal should be set up for this purpose. Any weapon violating the proportional principle is unlawful, such as unnecessary suffering to a combatant or excessive aggression compared to specific military benefit. And also it corresponds to the respect of right of human life as well as the prohibition of torture and cruel punishment. Any autonomous weapon system using bombs of forbidden way or providing means of movement should be drastically banned. While autonomous weapons are distinguished from half-autonomous weapons in which any interference by a human being is possible, the former should be regulated more strictly. Offensive weapons are necessary to be separated from defensive weapons and to be regulated more strictly through the principles of differentiation and proportion, etc. The regulation against the development and deployment of autonomous weapons to cope with that of enemy states, would be moderat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equivalence principle. The standard of autonomous weapons should be alleviated when its purpose is to defend, expel or take action against heinous terrorist organization, criminal groups or dictatorship violating public conscience or jus cogen in international law. A state has to perform sincerely the obligation of decision and legality judgment in research, development, acquisition and adoption of autonomous weapons. The advanced states in the development of autonomous weapons are expected to lead the establishment of legality and safety standards in the future.

      • KCI등재

        무브랜드 특성 및 비주얼 아이덴티티 구성요인에 기초한 사례조사

        차은수 ( Eun-soo Tchah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9 한국디자인포럼 Vol.24 No.3

        연구배경 최근 무브랜드는 ‘브랜드가 존재하지 않는다’라는 기존의 의미를 넘어 새로운 개념으로 인식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무브랜드의 정의 및 개념 변화, 디자인 경향을 파악을 위한 사례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무브랜드의 개념 변화를 이해하여 현황을 파악하고, 국내외 사례조사를 통하여 일반 브랜드와의 디자인적 요인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문헌조사를 통해 무브랜드의 본질, 개념 변화 추이, 종류에 관해 고찰하고, 무브랜드 디자인 특성 및 비주얼 아이덴티티 구성요인에 기반하여 사례조사를 실시한다. 조사대상은 무브랜드 특성을 반영함으로써 기업 경쟁력 및 소비자 인지도가 높은 국내외 8개 기업이다. 연구결과 사례조사를 통해 무브랜드 특성이 무브랜드 비주얼 아이덴티티 요인에 전반적으로 반영되어 있으며, 특히, 상표 지향 무브랜드가 상품정보 지향 무브랜드에 비해 이들 요인을 더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단순성, 편의성, 효율성이 환경성, 모듈성에 비해 보다 적극적으로 적용되고 있었다. 결론 무브랜드의 본질 및 시기별 변화 추의를 살펴봄으로써 상품정보 지향 무브랜드와 상표 지향 무브랜드로 구분하여 정의하고, 무브랜드 특성을 편의성, 단순성, 환경성, 모듈성, 효율성으로, 무브랜드 비주얼 아이덴티티 요인을 심볼/로고, 서체, 컬러, 패키지, 광고, 웹사이트로 규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사례를 분석하여, 무브랜드 특성이 무브랜드 비주얼 아이덴티티 구성요인에 긍정적 가치를 창출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Background Recently, non-brand is recognized as a new concept beyond the existing meaning of ‘no brand exists'. Nevertheless, there is a lack of case studies to understand the definition, concept changes, and design trend of non-brand. Henc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changes of non-brand, and analyze the difference of design components with general brands through case studies. Methods This study examines the nature, conceptual change and types of non-bran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conducts case research on the basis of non-brand design characteristics and visual identity components. The research targets are 8 domestic and foreign companies that have high corporate competitiveness and consumer awareness by reflecting non-brand characteristics. Result The case study shows that non-brand characteristics are generally reflected in non-brand visual identity components, and in particular, the brand-oriented non-brand is more actively utilizing these components than the product-oriented non-brand. Inaddition, simplicity, convenience, and efficiency were more actively applied than environmental factor and modularity. Conclusion By examining the nature of non-brand and trend per period, it was defined by dividing it into brand-oriented non-brand and product-oriented non-brand. In addition, for the non-brand case study, non-brand characteristics were classified into convenience, simplicity, environmental factor, modularity, and efficiency, and non-brand visual identity components were defined as symbols/logos, fonts, colors, packages, advertisements, and websites. By analyzing the cases based on these, the characteristics of non-brand were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creating positive value for the non-brand visual identity components.

      • KCI등재

        巫覡의 役割과 統制

        한규진(韓圭診)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9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9 No.-

        우리의 무격(巫覡)은 각종 의례의 주재자, 점복과 예언, 치병, 신령의 뜻 전달, 신당 관리 등의 역할을 하였다. 특히 조선시대 성수청(星宿廳)이나 국무당(國巫堂)은 유학자들에 의해 혁파(革罷) 대상의 논란 중심에 있었다. 성수청과 국무당의 폐지는 무당에게 부여된 국가적 권위를 벗겨 내고 공적인 국가 제사에서 무속을 배제하여 관리 중심의 유교식 제사로 전환하려는 노력의 일환이었다. 그러나 실제로 국무당은 오랫동안 존속되었고, 조정 신하들의 끊임없는 혁파 상소에도 불구하고 왕실에서 사라지지 않았다. 공적인 국가의례에서 비유교적 요소를 배격하려 하였지만, 결국 왕실의 사적인 부분까지는 제재하지 못했던 것이다. 또한 조선시대에는 활인서(活人署)를 유지하기 위해 무격에게 부과했던 무세(巫稅)를 경감해 주는 무격(巫覡) 장려법을 시행하였다. 음사(淫祀)를 깨기 위해 무세를 정지하고 무격을 활인서에서 쫓아내고자 했으나 당시 활인서와 귀후서(歸厚署)의 구료(救療) 경비가 모두 무세에서 나왔기 때문에 이 조치들은 모두 큰 실효를 거두지 못했다. 신세포(神稅布)는 처음에는 무당에게 거두었으나 나중에는 일반 민호에게 까지 1년에 1포씩 거두었다. 특히 무당과 판수를 불러 모아놓고 지내는 기우제는 국무당에서 담당했다. 결국 무격의 역할이 고대 사회에서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그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국정을 운영하는데 관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신과 인간의 소통자로서 무격의 역할은 ‘소통을 통한 치유’가 강조되는 현대사회에도 일정한 지침을 줄 수 있을 것이다. A Shaman served as the presiding officer of various rituals, future prophylaxis, periodontal, spiritual transmission, a house of ghosts management in the Joseon Dynasty. Especially Seongsu-cheong and Country Shaman were at the center of controversy over the subject of revolutation by Confucian scholars in the Joseon Dynasty. The abolition of Seongsucheong and Country Shaman was part of an effort to strip away the national authority granted to Shaman and to turn it into a management-oriented Confucian sacrifice by excluding Shamanism from public national sacrifices. In fact, however, the Country Shaman has survived for a long time and has not disappeared from the royal family despite the constant revival appale of the mediation servants. In the public rituals, they tried to reject the non- Confucian elements, but eventually they could not sanction the personal part of the royal family. In the Joseon Dynasty, the Shaman Encouragement Act was enacted to alleviate the Shaman-Tax imposed on Shaman to maintain the Hwarinseo. All of these methods were not effective because all of the money from Hwarinseo and Guhuseo came from Shaman-Tax, although they tried to stop the tax evasion to break Eum-Sa and to drive Shaman out of Hwarinseo. Sinsepo was first given to Shaman, but later to the general Peoples, he earned 1Po (a year). In particular, Shaman and Pansoo were gathered in charge of Country Shaman. In the end, it can be seen that Shaman’s role is involved in the administration of the state, although there is a difference from ancient society to the Joseon Dynasty. As a communication between God and man, Shaman’s role can give certain guidelines to modern society where “healing through communication” is emphasized.

      • 巫에서 유가와 도가로

        양회석(Hoi-Seok Yang)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06 종교문화학보 Vol.2 No.-

        이 글은 중국문화에서 무속이 그 근원과 원동력으로서 작용하고 있음을밝힘으로써, 중국문화 이해의 지평을 넓히고자 하는 작업의 일환이다. 중국사상의 2대 주축을 이루는 유․도가와 무의 연관성을 살펴본 바, 그 결론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선진 시대 유가와 도가는 중국의 고대사상의 기본적인 틀을 형성하였을뿐만 아니라, 양가가 제기한 주장들은 후대 철학사상이 전개되는 과정에서이론적 기반으로 활용되어 왔다. 유가와 도가는 구체적인 주장에 있어서극명한 대조를 이루지만, 실제 상황에서는 상호 보완 관계를 유지하는데 ,이러한 점은 모두 무속과 직접․간접적으로 연관된다 . 상고 시대 이래 巫는 종교와 정치를 아우르는 ‘제사왕’으로서, ‘神人以和’의 일을 하는 존재였다. 인지가 발달하고 국가 제도가 정비되면서 巫 의사회적 지위는 하락하고, ‘신들림(降神)’과 ‘神’(‘天’)의 일을 주로 담당하는 ‘접신무’와 ‘儀禮’와 ‘人’의 일을 주로 맡는 ‘사제무’로 분화되었다. 또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그들의 기능은 종교성이 약화되는 반면 인문성이 강화되는 쪽으로 변모하는데, 선진 유가와 도가는 이러한 맥락에서 탄생하였다. 유가와 도가는 대체로 ‘사제무’와 ‘접신무’의 전통을 계승․승화하였기때문에, 전자가 ‘人事’에 기반을 두고 문물제도를 통한 ‘治世’를 목표로 한다면, 후자는 ‘天道’에 기반을 두고 무위를 통한 ‘得道’를 목표로 한다.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양자가 소통하고 융합될 수 있는 이유는, 표면적 주장의 이면에 다른 한쪽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간단히 말해서, 유가가 “盡人事待天命”한다면 도가는 “盡天道待人事”하는 것이어서, 진행방향과 우선순위에서 차이가 있지만, ‘天人合一’이라는 관점에서는 결국 만나게된다. ‘천인합일’은 ‘神人以和’와 통하므로, 이를 ‘제사왕’ 전통이라 부를수 있다. 물론 문예사상에 있어서 유가와 도가가 보여주는 차이와 소통도이러한 큰 틀 속에서 설명할 수 있다. 요컨대, 유가와 도가는 자신이 주로 계승한 ‘접신무’와 ‘사제무’의 전통때문에 대립적인 차이를 보이지만, 그 母胎인 ‘제사왕’의 정신 아래 소통하고 융합한다. 이러한 현상은 철학사상에만 그치는 것은 결코 아니고, 전통시대 중국의 문화와 사회 전반에 걸쳐 확인된다.

      • KCI등재

        보조 지눌과 퇴옹 성철의 무심(無心) 비교 연구

        고정혜 ( Ko Jeong-hye ),서왕모 ( Seo Wang-mo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0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44

        이 논문은 초기 선종(禪宗)부터 근현대 한국선에 이르기까지 깨달음과 관련된 심법(心法)으로 제시되었던 ‘無心’의 중요성을 고찰하고자 했다. 한국선에서는 보조(普照:1158~1210)와 성철(性徹:1912년~1993년)이 無心을 적극적으로 계승한 선사들이다. 그러므로 이들의 선사상에서 無心을 살펴보고 상통점과 상이점을 고찰하였다. 보조의 선(禪)에서는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와『간화결의론(看話決疑論)』에서 頓法과 경절문(徑截門)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無心이 드러난다. 그리고 성철의 경우에는『선문정로(禪門正路) 』와『백일법문(百日法門) 』에서 수증론이 전개되는 과정에서 無心이 드러난다. ‘無心合道’로 드러나는 보조의 무심과 ‘究竟無心’으로 드러나는 성철의 無心은 수행과정에서 이를 증득하는 깨달음의 단계가 확연히 다를 수 있다. 보조의 경우 정혜쌍수(定慧雙修)의 수행이 無心과 상즉(相卽)하는 ‘공적영지심(空寂靈知心)’이 나타난다. 성철은 삼세육추(三細六麤)의 번뇌와 망념이 완전히 사라지는 궁극적 깨달음에서 증득하는 無心을 강조한다. 두 선사의 無心의 공통점은 첫째, 둘 다 이를 증득하는 선법이 화두를 통한 간화(看話)뿐만 아니라 방(榜)과 할(喝) 등의 선법이 포함된다. 둘째, 두 선사의 無心은 돈오(頓悟)와 상즉하면서 깨달음과 밀접한 관계에 있다. 셋째, 보조의 無心은 공적영지(空寂靈知), 성철의 無心은 상적상조(常寂常照)로 나타내고 있지만 둘 다 ‘고요하고 밝아져서 일체를 두루 알게 되는 경지’로 묘사된다. 즉, 두 선사의 선법에서 無心이 드러나는 ‘悟’의 단계는 상이할 수 있지만 無心을 증득한 경지에서 드러나는 공능(功能)은 일맥상통하다. 본 논은 한국의 禪에서 간화선을 발전시킨 두 선사의 無心을 비교 고찰하면서 禪에서 無心의 중요성과 가치를 새롭게 조명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paper is what lighting the importance of detachment which has being suggested as mind dharma to be continued to enlightenment from the early of Seon oder to modern Seon. In Korean Seon, Bojo and Sengchol accepted detachment with positively. After I compared their detachment, I considered What is different thing? What is same thing? Steps of practice which is based on ‘Daeseunggisinron’(大乘起信論) was set such as Sigak(始覺), Subungak(隨分覺), Sangsagak(相似覺), Gugyenggak (究竟覺) and so I compared their steps which detachment is appered. In Bojo’s Seon, detachment is said when it has been explaining as sudden enlightenment and entrance of Seon skipping the practice steps in ‘Ganwhagyelewiron’ (看話決疑論). In Sengchol’s case, when perpect attainment called Gugyenggak(究竟覺) has been explaining detachment is appered in the books such as ‘The right way of Seon entrance’ (禪門正路) and ‘Ddharma’s talk of one hundred days’(百日法門). Bojo’s detachment is used ‘Detachment conbined with enlightenment’(無心合道) and Sengchol’s detachment is used ‘Detachment conbined with ultimate enlightenment’(究竟 無心) may be different apparently each other. In Bojo’s case detachment is explained as practicing called Jeonghyessangsu(定慧雙修). The mind is regauarded as Gongjeokyoungjisim(空寂靈知心). Sengchol said detachment called ‘Detachment conbined with ultimate enlightenment’(究竟無心). It is appeared when delusion and agony are disappeared fully. Both way of them reaching detachment are with whadu(話頭) in common. Also, both of detachmenents are sudden awakening and closed connected enlightenment. Bojo’s detachment is said Gongjeokyoungji(空寂靈知), Sengchol’s detachment is said Sangjeoksangjo(常寂常照). Both of them are explained the stage in which people can realize all things. So though the stage of enlightenment which detachmenents is appered are different, the ways to reach to it and its efficacy are not different. This paper is relevant to light importance and value of detachmenents in Korean Se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