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의 무게중심 개념은 어떻게 발달하는가? -미세발달분석을 중심으로-

        이귀옥,우남희 한국아동권리학회 2014 아동과 권리 Vol.18 No.2

        This study analyzed in detail the acquisition of center of gravity gained through balancing tasks by children using the microgenetic method. The target group was 62 students aged between 3-6 years randomly assigned from “H” child care center in Seoul, South Korea. The children were given the task of balancing 7 different blocks by putting them on a bar, one by one. The materials used were two symmetrically balanced blocks and five asymmetrically balanced blocks. Three results were observed: First, the rate of success of the block balancing task differed between the age groups. Second, children’s process of development of center of gravity displayed variable actions and patterns, and they were divided into five levels. Level 1 showed no concept. Level 2 was a transitional stage between 1 and 3. Level 3 showed an understanding of geometric center. Level 4 was a transitional stage between 3 and 5. Level 5 was the center of gravity. Lastly children’s level of development of center of gravity grew as they attempted to solve more task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rocess of acquiring center of gravity were that children had several different approaches and reactions, but patterns were displayed nonetheless. Children retain the concepts they have previously acquired and through this begin to gain new concepts. The process children use in solving the tasks is more important from a developmental sense than the result. To fully see the results, it is necessary to give the child enough time to develop their own process of solving by means of success and failure, while working on tasks. 본 연구는 유아의 무게중심 개념이 어떻게 발달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서울에 위치한 ‘H'어린이집 3~6세 유아 62명을 무선표집 하였다. 연구도구는 길이 중심에 무게중심이 있는 균형블록 2개와 무게중심이 길이 중심에 있지 않은 불균형 블록 5개로 총 7개 나무블록과 1개의 받침대이다. 유아 한 명씩 개별로 과제를 수행하였으며 이 과정을 비디오로 녹화하였다. 녹화 자료를 근거로 연령별 성공빈도를 산출하여 카이검증 하였고, 무게중심 개념 수준을 살펴보기 위해 행위를 근거로 미세발달분석을 하였으며, 연령별 무게중심 개념 수준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무게중심 과제 성공빈도는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개념의 차이를 성공빈도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었다. 무게중심 개념 발달은 1~5수준으로 발달하였고, 각 수준은 연령에 따라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유아들은 무게중심과 관련된 지식발달 과정에서 자신들이 갖고 있는 지식을 고수하거나, 그 지식을 바꾸기 위해 새로운 시도를 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결과 위주의 평가보다는 과정 자체를 중요시 다루어야 하며, 사고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미세발달분석과 같은 방법을 사용해야 함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무게 중심 알고리즘(Barycenter Algorithm)을 활용한 무성 영화 분기 검출 - 지가 베르토프의 <카메라를 든 사나이>를 중심으로

        김정호,윤혜인,박진완,유태경 한국영상학회 2022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20 No.5

        오늘날의 미디어 환경에서 영상을 기술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에 대한 요구가 증대하고 있다. 방대한 데이터로 구성된 영화 분 야에서는 영상의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과 구조가 필요 불가결하다. 이에 본 연구는 무성영화 시대를 대표하는 감독 지가 베르토프의 <카메라를 든 사나이>를 무게 중심 알고리즘 및 기계학습 방법론을 통해 시퀀스(sequence)를 중심으 로, 쇼트(short) 분할과 영화 분석 방법 및 결과를 제시하였다. 기존 제안된 기계학습 방법론은 쇼트 분할에 소요되는 시간이 적지만 정확성에 한계가 있어 쇼트 분할에 있어 무게 중심 알고리즘 방법을 동시에 활용한다. 무게 중심 알고리즘은 명암, 채 도에 의해 이미지에서 무게 중심을 찾는 방법으로 중심 이동을 통해서 기계학습 방법론 대비 쇼트 분할 정확성이 높다. 방법 의 정확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에서 제안한 알고리즘과 영화비평 전문가의 분석결과를 비교분석 하였다. 이로써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무게 중심 활용 방법이 기존 대비 높은 정확도를 지님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영화에 대한 특성 파악과 이해 증진뿐만 아니라 영화의 정량적 지표를 바탕으로 한 비평 도구로서 기여하고자 한다. In today's media environment,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a method capable of technically analyzing moving images. In the field of film, which contains vast amounts of data, an efficient method and structure for analyzing moving image information is indispensable. This study presents short segmentation and film analysis methods and results, focusing on sequences through Barycenter algorithms and machine learning methodologies, in Dziga Vertov's Man with a Movie Camera, a director representing the silent film era. The existing proposed machine learning methodology simultaneously utilizes the Barycenter algorithm method in short segmentation due to its limited accuracy, although the time required for short segmentation is short. The Barycenter algorithm is a method of finding the center of gravity in an image by brightness and saturation; it has high short segmentation accuracy compared to the machine learning methodology that relies on center movement. It is proved that the method of using the Barycenter algorithm presented in this study is more accurate than the existing method.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as a criticism tool based on quantitative indicators of film as well as to improve our understanding and characterizations of films.

      • 수소연료전지 기반 110kW급 트랙터의 무게중심 이동에 따른 안정성 평가

        김영수 ( Yeong Su Kim ),강석호 ( Seok Ho Kang ),김용직 ( Yong Gik Kim ),박형규 ( Hyung Gyu Park ),손진호 ( Jin Ho Son ),강태욱 ( Tae Wook Kang ),우승민 ( Seung Min Woo ),하유신 ( Yu Shin Ha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3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1

        수소연료전지 기반의 트랙터는 전기모터와 수소연료전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기모터는 트랙터의 구동력을 제공하고 수소연료전지는 전기모터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리커다인은 트랙터의 무게중심을 설정하고 조절할 수 있는 동역학적 거동 해석 프로그램으로, 트랙터의 무게중심을 앞뒤, 좌우, 상하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소연료전지 기반의 트랙터 개발에서 안정성 분석을 위해 리커다인을 활용하여 트랙터의 무게중심을 여러가지로 설정하고 전도되는 각도 데이터를 근거로 안정성 연구를 수행하였다. 트랙터의 무게중심을 모듈의 위치를 기반으로 설정하여 분석하였으며, 트랙터의 무게중심이 이동할수록 트랙터의 안정성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트랙터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최적의 무게중심 위치와 운전 조건을 제시하였다. 또한, 리커다인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트랙터의 동적 모델을 구축하고, 수소연료전지의 성능과 안정성에 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전도되는 각도 데이터는 트랙터가 경사면에서 운전할 때 발생하는 트랙터의 기울어짐 정도를 나타내는 값이다. 전도되는 각도 데이터가 작으면 트랙터의 안정성이 낮아지고, 크면 안정성이 높아진다. 실험 결과, 트랙터의 무게 중심이 앞쪽으로 치우칠수록 전도되는 각도가 작게 나타났으며, 트랙터의 안정성이 가장 낮았다. 반면에, 트랙터의 무게중심이 중앙에 가까운 경우에는 전도되는 각도가 크게 나타났으며, 트랙터의 안정성이 가장 높았다. 본 연구에서는 수소연료전지 기반의 트랙터 개발에서 안정성 분석을 위한 유용한 방법론을 제시하였으며, 리커다인을 활용하여 트랙터의 무게중심을 최적화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골프 드라이버 스윙 시 스탠스 유형이 클럽헤드 스피드와 압력중심 및 신체 무게중심에 미치는 영향

        임영태,권문석 한국골프학회 2017 골프연구 Vol.11 No.1

        [목적] 본 연구는 골프 드라이버 스윙 시 스탠스 유형에 따른 클럽헤드 스피드와 압력중심 및 신체 무게중심을 분 석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방법] Trackman과 8대의 Vicon 카메라(250Hz), 2대의 지면반력기(1000Hz)를 이용하여 최 근 12개월 동안 근골격계 상해를 경험하지 않은 남여 골프 선수 28명의 드라이버 스윙 동작의 자료를 수집하였 다. 피험자별 최대 클럽헤드 스피드, 압력중심, 신체 무게중심의 평균값을 산출하였으며, One-way repeated measured ANOVA를 이용하여 스탠스 유형별 차이를 검증하였다(α=.05). [결과] 클럽헤드 스피드는 스탠스 유형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BER 스탠스는 백스윙 시 M/L 압력중심과 무게중심의 움직임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 며, LER 스탠스는 다운스윙 시 A/P 압력중심과 무게중심의 움직임에서 큰 수치를 나타내었다. [결론] 그러므로 스 탠스 유형은 드라이버 스윙 시 신체 무게중심의 변화 및 기저면상에서의 압력중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effect of stance type on the club head speed and center of pressure and center of mass patterns during the driver swing. [Method] Twenty eight participants were recruited and no history of musculoskeletal injuries within 12 months. All data were collected by Trackman, Vicon camera(250Hz), 2 forceplate(1000Hz). The peak mean club speed and COP, COM of body were computed. These kinematic and kinetic data were compared by one-way repeated measured ANOVA. [Result]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lub head speed were observed among the stance type. Enhancement of COP and COM movement on M/L direction of BER stance type was greater than both ST and LER during the back swing. On the down swing, COP and COM variables for LER was the greatest values compared to the other stance types. [Conclusion] Therefore, the stance type by both foot rotation can change the COP and COM patterns during the drive swing.

      • KCI등재

        창의적 융합교육을 위한 무게중심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사례 연구

        김수금,유시규,김선배 대한수학교육학회 2014 수학교육학연구 Vol.24 No.3

        This study resulted from a study regarding creative STEAM System based upon an experiment with the center of grav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constructed by a fusion of mathematics and physics, showing that they are the same as mathematical calculations. Also, students can find that center of gravity of an object is in equilibrium on a metal rod when the center of gravity exactly is placed on the rod. The fact that an experimental results are correspond to calculations can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And also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effectiveness. First, the exact construction and calculations arouses good competition among students. Second, this experiment can give students a motivation for study and increase their thinking in classes becaus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center of gravity experiment is basically attributed to math and science classes in school. This study includes three different types of center-of-gravity experiments. One is a simple type of experiment in which center of gravity exists inside of an object. Another is a complicated one in which the center of gravity is also inside of an object. However, the third type is an experiment in where the center of gravity is outside of an object. Therefore, it gives students an opportunity to discuss how to confirm equilibrium on a metal rod when the object has its center of gravity outside. Having discussions in class will allow students to have a critical way of thinking. In addition, searching for a way to solve a problem will increase creativity of students as well. And the last type is finding the center of gravity of a big acrylic panel where multiple objects are on the panel. According to the survey and interview conducted b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teaching based on creative STEAM system helps students to get a better understanding and more fast acquisition of knowledge. We can expect that a well-planned creative STEAM system through a continuous study will be both effective and efficient in educating critical and creative students.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무게중심 확인실험 프로그램개발은 2013년 ‘동국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융합형 영재프로그램으로 개발되어 초등 영재학생 10개 집단 120명과 중등 수학영재학생 24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무게중심 확인실험은 한국 과학창의재단에서 제시하는 융합형인재교육(STEAM) 학습준거 틀에서 수행된 3단계 과정을 이행하여 창의적 융합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였다. 본 연구가 갖는 3가지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에서 새롭게 개발된 무게중심 확인실험은 수학과 물리가 융합된 교육방식이다. 둘째, 실험에 사용되는 모형은 학생들의 능동적 활동으로 창의적인 모형 설계가 가능하다. 셋째, 무게중심 확인실험 프로그램은 학습 능력에 따라 수준별 수업으로서 전환이 가능하다. 위에서 제시한 특성들을 바탕으로 무게중심 확인실험을 통하여 창의적 융합교육의 효과를 극대화시킨다. 설문조사 결과는 주어진 지식을 단순 암기하는 학습에서 벗어나 실험에 필요한 배경지식 이해, 실험 설계, 실험 과정, 실험 결과의 단계를 거쳐 학습된다. 설문조사와 학생들의 실험 후 토의 결과, 현재 수학 또는 과학 교육과정이 제시하는 무게중심 학습과 비교하여, 새롭게 개발된 융합형 프로그램이 교육의 효과가 뛰어남을 보여 준다. 본 연구는 수학이 다른 교과영역과 융합되는 새로운 융합형 교육방식을 제시한다. 특히 무게중심을 찾고 이를 확인하는 새로운 형태를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교수자와 학습자가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새로운 무게중심 교육의 틀을 제시한다.

      • KCI등재

        한국어와 일본어 파찰음의 음향음성학적 특징 분석 - 마찰소음구간과 무게중심 분석을 중심으로 -

        최영숙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4 비교일본학 Vol.31 No.-

        한국인 일본어학습자가 습득하기 어려운 발음 중의 하나는 파찰음이다. 파찰음은 파열 직후에 바로 마찰이 일어나서 조음되는 음이다. 일본어 파찰음은 성대 진동의 유무에 따라서 유성파찰음 [ʣ, ʥ]음과 무성파찰음 [ʦ, ʨ]으로 나누어지고, 음운론적으로 대립하여 변별적 기능을 한다. 한국어 파찰음은 ‘ㅈ,ㅊ,ㅉ’가 있는데 일본어처럼 성대진동 의 유무가 변별적 기능을 하지 않는다. 본 연구는 한국어와 일본어의 파찰음의 음향음성학적 특징을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 로 일본어 도쿄방언화자 및 한국어 서울 방언화자의 파찰음 발화를 『praat 5363』을 이용하여 마찰소음구간과 무게중심을 중심으로 음향음성학적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 파찰음은 후행모음의 음가에 따라 마찰소음구간의 길이가 유의하게 다르게 실현되었고, 무게중심은 후속하는 모음이 고모음일 경우 무게중심이 가장 높게 나타나기는 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일본어 파찰음의 무게중심은 후행모음의 음가에 따라 유의하게 다르게 나타 나고, 무게중심은 일본어 파찰음의 조음위치를 설명하는 유용한 척도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One of the pronunciation that are difficult for Korean learners of Japanese to master is the Japanese affricates. This study acoustically observed the affricate of the Tokyo dialect Japanese speaker and that of the Seoul dialect Korean speaker in order to examine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affricate in Korean and Japanese. This study was investigated in terms of 2 parameters, the duration of the frication noise and the center of grav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uration of the frication noise in Korean was manifested significantly variably depending on the sound value of the following vowel. In other words, the duration of the affricate was longer when the following vowel was a high vowel than when it was a low vowel. Additionally, the duration of noise for ‘ㅊ/ch/’ was the longest and that for ‘ㅉ/c’/’ the shortest. Second, the highest center of gravity of the affricate in Korean appeared when the following vowel was a high vowel;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bserved. Third, the duration of frication noise in Japanese appeared long in the unvoiced affricate than in the voiced affricate, and this showed that the unvoiced sound takes more breath than the voiced sound. Furthermore, the alveolar affricate manifested a longer duration of noise than the alveopalatal affricate, regardless of the vibration of the vocal cord. This is attributed to the fact that making the alveolar sound takes less time to move to the constriction point inside the oral cavity than the alveopalatal sound, taking a relatively short time for constriction. Fourth, As for the center of gravity in Japanese affricates,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ound value of following vowels.

      • KCI우수등재

        구성품 변경에 따른 항공기 공허중량 무게중심 수정 및 검증

        이진원,권나은,김지홍,박재현 한국항공우주학회 2022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50 No.8

        군용항공기는 노후화로 인해 LRU 개조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 최근 KA-O 공중통제기에 대해 사출좌석 교체 및 항공전자장비 추가 등 LRU 개조가 진행되면서 연료소비곡선 상의 항공기 운용 무게중심이 요구 사양 범위를 벗어나게 되었다. 이러한 범위를 벗어난 무게중심은 적절한 방법을 도입하여 수정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KA-O와 같은 군용 소형항공기의 LRU 개조로 인해 변경된 공허중량 무게중심을 수정하고 검증하는 절차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에서는 LRU 수정에 따른 공허중량 무게중심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관찰한 뒤, 다수의 밸러스트를 엔진 설치대에 추가되어 연료소비곡선의 공허중량 무게중심을 안전한 작동 범위로 복원시킨다. 제안된 밸러스트 배치는 다양한 작동 조건에 대한 응력 및 피로해석을 통해 설치를 검증한다. 공허중량 무게중심 수정에 대한 공개 정보가 많지 않은 점을 고려할 때 본 연구는 항공기 개조 시 공허중량 무게중심을 수정하고 검증하기 위한 절차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한국인일본어학습자의 일본어 파찰음의 음향음성학적 특징 분석

        최영숙(Choi,Young-Sook) 동아인문학회 2015 동아인문학 Vol.32 No.-

        한국인일본어학습자가 일본어 파찰음을 발음할 때 한국어의 간섭을 받아 어두에 오는 유성 치경파찰음을 무성음으로 구개음화하여 잘못발음하는 경향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어 음성교육 현장에서 파찰음 발음지도에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일본어학습자가 발음한 일본어 파찰음을 무게중심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일본어화자가 발음한 일본어 치경파찰음과 치경경구개파찰음의 무게중심 비율이 1:0.69로 나타났다. 일본어 파찰음의 무게중심 값은 ざ[ʣa]→つ[ʦɯ]→ず[ʣɯ] 순으로 나타나 ざ[ʣa]가 つ[ʦɯ]보다 앞에서 조음의 좁힘이 발생하고 있고, 그 다음으로 ‘ち[ʨi]・じ[ʥi]→じゃ[ʥa]・ちゃ[ʨa]순으로 나타났다. 일본어학습자가 발음한 유성 파찰음의 무게중심 값은 ‘ざ→じ→ず→じゃ’순으로 나타나고, 무성 파찰음에서는 ‘つ→ち→ちゃ’순으로 나타났다. 조음위치가 같은 치경음 ‘ざ’와 ‘つ’에서는 ‘つ’가 ‘ざ’보다 더 앞에서 발음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일본어학습자의 치경음과 치경경구개음의 무게중심 비율이 1:0.82로 나타나, 일본어 치경파찰음 ‘ざ[dza]’와 치경경구개 파찰음 ‘じゃ[ʥa]’를 구별할 때 조음의 좁힘이 발생하는 위치가 일본인만큼 상대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한국인일본어학습자는 치경파찰음을 발음할 때 구강 내 협착 지점을 더욱 앞으로 하여 발음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Japanese affricates oppose phonologically depending on vibration of vocal cords and, they are divided into voiced affricates [ʣ, ʥ] and voiceless affricates [ʦ, ʨ]. When trying to pronounce the Japanese affricates, Korean Japanese-language learners are interfered by Korean language and in terms of [dz] as in ‘ざ[dza], ず[dzɯ], ぜ[dze] and ぞ[dzo]’, the pronunciations of the voiced alveolar affricate which would come at the beginning of a word, the Korean Japanese-language learners often replace the pronunciations with these wrong sounds, it is difficult for Japanese-language learners to personally perceive where their tongues should be placed to correctly pronounce the affricates. This study analyzed Korean Japanese-language learners’ Japanese affricates concentrating on the center of gravity in order to offer references that would be favorably used for affricates pronunciation instruction in the field of Japanese pronunciation education.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rate of the center of gravity of Japanese alveolar affricate to the alveolo-palatal affricate that Japanese speakers have pronounced turned out to be 1:0.69. Values of the center of gravity of Japanese affricates were observed in order of ‘ざ[ʣa] →つ[ʦɯ] →ず[ʣɯ]’ and based on the fact, the study learned that for ‘ざ[ʣa]’, the location of its articulation point narrowing comes before where narrowing of the articulation point of つ[ʦɯ] occurs and, the order was continued in ‘ち[ʨi]・じ[ʥi] →じゃ[ʥa]・ちゃ[ʨa]’. Add t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Korean Japanese learners’ voiced affricates was presented in order of ‘ざ[ʣa] →じ[ʥi] →ず[ʣɯ] →じゃ[ʥa]’ and regarding the voiceless affricates, the order came in ‘つ[ʦɯ] →ち[ʨi] →ちゃ[ʨa]’. Moreover, when it comes to the same alveolar consonants, ‘ざ[ʣa]’ and ‘つ[ʦɯ]’, the study figured out that ‘つ[ʦɯ]’ is pronounced before ‘ざ[ʣa]’. The study also noticed that the rate of the center of gravity of Korean Japanese-language learners’ alveolar consonants to alveolo-palatal consonants is 1:0.82 and as a consequence, the study confirmed that when trying to distinguish the Japanese alveolar affricate, ‘ざ[dza]’, from the alveolo-palatal affricate, じゃ[ʥa]’, Korean Japanese-language learners would less mind the differences in locations of the articulation point-narrowing compared to how much local Japanese people do. In other words, the study suggests that Korean learners should move the narrowing point in the mouth forward when trying to pronounce the alveolar affricates.

      • KCI등재후보

        영재학생들을 위한 삼각형의 무게중심 지도 방법

        박달원 한국학교수학회 2006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9 No.1

        삼각형의 무게중심은 물리적인 성질이지만 대부분의 교사와 학생들은 실험단계를 거치지 않기 때문에 수학적인 정의와 물리적인 성질의 관계에서 많은 오개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무게중심에 대한 교사의 실험정도와 교사의 이해정도를 조사하고 수학영재반 기초과정 학생들이 무게중심에 대한 원리를 이해했을 때, 어느 정도 무계중심의 개념을 일반화하는지를 연구하였다.

      • 농업용트랙터 무게중심위치 측정시스템 구축

        한태호 ( Tae-ho Han ),정성림 ( Sung-rim Jeong ),조태경 ( Tae-kyoung Cho ),남규철 ( Kyu-chul Na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8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3 No.2

        트랙터 전복 시 운전자의 인명피해 예방을 위하여 캡 또는 2주식프레임형태의 보호구조물을 부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전복사고는 트랙터의 무게중심위치와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보호구조물설계에 중대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으나 무게중심 측정을 위해서는 국제표준인 ISO 789-6 「농업용트랙터 무게중심위치 측정방법」에 따라 작도 등 별도의 수작업을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어, 이를 수식화하는 연구가 선행된바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트랙터 무게중심을 자동으로 측정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로드셀, 승하강리프트, 승하강 높이측정 센서 등을 활용하여 무게중심측정을 위한 하드웨어를 구성하고 데이터처리시스템에 선행 연구된 자동화 수식을 프로그래밍하여 트랙터 무게중심측정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동일한 트랙터를 대상으로 ISO에 따른 작도법과 구축된 시스템의 측정결과가 일치함을 확인 하였다. 구축된 시스템은 별도의 수작업과 작도를 위한 프로그램이 불필요하며, 측정결과가 시험자의 작도 숙련도 등 오차발생 변수에 영향을 받지 않음으로 한층 더 신뢰성 있는 측정결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향후 국내외 관련표준 개정 등의 고도화를 추진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