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역사 지도의 교재화 연구

        임영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9 사회과교육 Vol.58 No.3

        History education is not only a subject to convey and acquire historical knowledge, but also a subject capable of historical thinking, judgment, and inquiry. The fact that cultivating such advanced thinking ability is an essence of subject matter reflectsthe fact that many history education studies are important. However, history textbooks that learners use as the priority of learning are still presented in the form of a list of various supporting materials mainly focusing on text-oriented narrative. There is a considerable gap between academic needs of history education and actual learning. One of the causes of this disparity is that learners do not construct contents of the textbook that are important for learning history. While all subjects of elementary school consist of content based on proper balance of knowledge and function, history including toxic social studies is not structured systematically in textbooks of functional learning contents, only sporadic learner activities exist. Thus, functional learning contents for education are not systematically structured. If functions necessary for history learning are systematically structured and presented and function learning contents can be composed of learning contents of textbooks, learners will be able to develop advanced thinking skills required for history education based on textbooks in which knowledge and functions are appropriately structured. 본고는 역사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교재인 교과서의 내용 구성이 텍스트 위주의 지식 이해 관점에서 벗어나, 내용적 타당성이 있는 다양한 자료들을 기능화 하여 텍스트와 기능이 균형 잡힌 교과서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점에 주목하고 그 중 교과서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역사 지도를 기능화 하고자 하였다. 역사 지도를 기능화 한다는 것은 역사 지도 학습 기능의 절차적 지식을 구조적으로 밝히고 절차적 지식을 바탕으로 역사지도 학습 내용을 체계적으로 구성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역사 지도의 교육적 의의와 필요성을 밝히고 역사 지도가 교과서에서 내용의 보조적 역할, 탐구적 자료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혔다. 또한, 임영태(2018)의 연구를 바탕으로 역사 지도 학습 기능의 절차적 지식을 구조화 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1단계 사전 차시 학습, 2단계 본문 보조 학습 형태, 3단계 단원 마무리 학습 형태의 3단계 내용 구성 방안을 제안하고 구체적인 교재화의 예시를 제시하였다.

      • 우리나라 지도와 해도의 해양지명에 관한 연구 - 해안 지명 명명 사례조사를 중심으로

        임영태 한국고지도연구학회 2012 한국고지도연구 Vol.4 No.2

        세상의 만물은 고유의 성격을 나타내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 땅에는 지명(地名)이 있으며, 바다에는 해양지명(海洋地名)이 있다. 또한 육지와 바다의 경계선에 있는 해안에도 독특한 지명이 있다. 지명은 고유 지명과 속성지명으로 이루어지는데, 해안에는 갑(岬), 각(角), 취(嘴), 기(琦), 두(頭), 등의 속성지명이 있다.이 지명들의 명명유래를 살펴보면 우리나라의 비극적 역사가 묻혀있다. 해안 지명이 어떻게 명명되었으며 오늘날 까지 여과없이 사용되어 왔는지 옛 해도와 현재 사용하고 있는 항해용해도, 수로지와 구한말 조선총독부에서 간행한 축척 1/50,000의 지형도에 사용한 해안 지명에 대한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해안 지명을 비교, 검토하고 우리나라 주변 해안 지명의 표준화에 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우리나라 해양지명 표준화에 관한 연구 - 해양지명 명명 사례조사를 중심으로 -

        임영태,최윤수,윤하수,Lim, Young-Tae,Choi, Yun-Soo,Yoon, Ha-Su 한국공간정보학회 2011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9 No.6

        우리가 살고 있는 지역에는 이름 즉 지명이 있다. 바다 속 작은 바위에도 이름이 있다. 이를 해양지명이라 한다. 해양지명은 고유지명과 속성지명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서론에서 언급한 해협, 만, 포 및 암(岩), 초(礁), 퇴(堆)등은 해양지명의 속성지명이다. 속성지명의 경우 이름을 붙이는 데는 일정한 법칙이 있다. 이를 통하여 우리나라 주변 바다에 많은 항해장애물인 암(岩), 초(礁), 퇴(堆)에 어떻게 이름을 명명하고 있는지,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해양지명에 관하여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과거 해양지명의 속성분류와 현재의 속성 분류를 비교하고, 국립해양조사원에서 간행한 항해용해도에 사용되는 해양지명과 해양지명위원회에서 고시한 해양지명에 대해 조사 분석을 통하여 향후 해양지명의 표준화에 관한방안을 제시하였다. All of area we live in has its own geographic names. Even small size of rock under the water has its own name. They are called "marine geographic names". Marine geographic names can be classified two categories. One is a proper name; the other is an attribute name. Rocks, reefs and banks referred in the introduction, belong to the category of the attribute name. And there are certain standards to name marine geographic things.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case research with the aims to figure out how we name and use those three features that we consider dangerous factors for marine navigation. This study also focused on differences between the methods used to classify attributes of marine geographic names in the past and today. In addition, it reviewed and analyzed marine geographic names used by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dministration (KHOA) on its own Nautical charts and conducted a case research on marine geographic names notified by Korean Committee on Marine Geographic Names. Based on research and analysis, this study presents future methods regarding marine geographic names standardization.

      • KCI등재
      • KCI등재

        우리나라 해양지명 표준화에 관한 연구- 해양지명 명명 사례조사를 중심으로 -

        임영태,최윤수,윤하수 대한공간정보학회 2011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19 No.6

        우리가 살고 있는 지역에는 이름 즉 지명이 있다. 바다 속 작은 바위에도 이름이 있다. 이를 해양지명이라 한다. 해양지명은 고유지명과 속성지명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서론에서 언급한 해협, 만, 포 및 암(岩), 초(礁), 퇴(堆)등은 해양지명의 속성지명이다. 속성지명의 경우 이름을 붙이는 데는 일정한 법칙이 있다. 이를 통하여 우리나라 주변 바다에 많은 항해장애물인 암(岩), 초(礁), 퇴(堆)에 어떻게 이름을 명명하고 있는지,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해양지명에 관하여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과거 해양지명의 속성분류와 현재의 속성 분류를 비교하고, 국립해양조사원에서 간행한 항해용해도에 사용되는 해양지명과 해양지명위원회에서 고시한 해양지명에 대해 조사・분석을 통하여 향후 해양지명의 표준화에 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All of area we live in has its own geographic names. Even small size of rock under the water has its own name. They are called “marine geographic names”. Marine geographic names can be classified two categories. One is a proper name; the other is an attribute name. Rocks, reefs and banks referred in the introduction, belong to the category of the attribute name. And there are certain standards to name marine geographic things.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case research with the aims to figure out how we name and use those three features that we consider dangerous factors for marine navigation. This study also focused on differences between the methods used to classify attributes of marine geographic names in the past and today. In addition, it reviewed and analyzed marine geographic names used by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dministration (KHOA) on its own Nautical charts and conducted a case research on marine geographic names notified by Korean Committee on Marine Geographic Names. Based on research and analysis, this study presents future methods regarding marine geographic names standardization.

      • KCI등재

        집적 영상 현미경과 집적 영상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미세시료의 3차원 영상 재생

        임영태,박재형,권기철,김남,Lim, Young-Tae,Park, Jae-Hyeung,Kwon, Ki-Chul,Kim, Nam 한국통신학회 2009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4 No.11b

        집적 영상 현미경에서 획득한 요소 영상을 이용하여 집적 영상 디스플레이에서 재생하였다. 일반화된 서로 다른 두 렌즈 어레이를 이용하는 집적 영상의 획득과 재생의 관계를 이용하여 집적 영상 현미경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적용하였다. 집적 영상 현미경에서 획득한 요소 영상을 재생하기 위해서 스케일링이 적용된 요소 영상이 필요하다. 집적 영상을 재생할 때 요소 영상의 정보 손실을 최소화하는 스케일링 계수와 요소 영상의 왜곡을 최소화하는 스케일링 계수를 선택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125{\mu}m$ 피치 사이즈의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가지는 집적 영상 현미경으로 시료를 촬영하고 1mm 피치 사이즈의 렌즈 어레이를 가지는 집적 영상 디스플레이로 촬영된 시료를 3차원 영상으로 재생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 때, 요소 영상의 스케일링 계수는 집적 영상 현미경에서 획득한 요소 영상의 정보 손실을 최소화 하는 값으로 설정하였다. Microscopic specimen was captured by an integral imaging microscope and displayed as a three-dimensional image by an integral imaging display system. We applied the generalized relationship between pickup and display using two different lens arrays to our integral imaging microscope and display system. In order to display three-dimensional microscopic image, scaling of the captured elemental images is required. We analyzed the effect of the scaling coefficient in terms of the distortion of the displayed three-dimensional image and the loss of the captured elemental images. In our experiment, microscopic specimen is picked up by an integral imaging microscope having $125{\mu}m$ elemental lens pitch and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image by an integral imaging display system having 1mm elemental lens pitch. The scaling coefficient was chosen to minimize the elemental image lo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