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전면세제도와 사후면세제도의 현황과 사후면세제도 확대정책의 타당성에 대한 고찰

        정지선,정재현 한국회계정보학회 2015 회계정보연구 Vol.33 No.3

        A duty free shop means a workplace specifically authorized by the customs director allowing a certain qualified person to sell goods imported for consumption purpose without tariff imposed on them and various goods distributed in Korea without value-added tax and individual consumption tax imposed on them in a specified area. Korea's tax exemption system can be classified into pre-tax exemption system and post-tax exemption system. Recently, the government announced the post duty free shop promotion policy in the 1st enlarged meeting for tourism promotion on July 17, 2013. The main points of this policy are expansion of post-tax exemption refund window, inducement of switching souvenir shop for foreigners to a post duty free shop, enlarged maintenance of excellent shopping system, damage prevention due to similar duty free shops etc. In order to actively respond to the above post duty free shop promotion policy of the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re also conducting various discussions actively. However, the post-tax exemption system has the problems such as complexity of use procedures, increase in administrative and social costs, users' avoidance of purchase, evasion of store opening due to operating difficulties, increase in tax evasion motives through domestic smuggling, lowered effectiveness due to a reduction in refund benefits. Therefore, it is not desirable to expand the post duty free shop system that may cause other economic and social problems such as an increase in administrative costs and decline in tax exemption effectiveness and may be desirable to operate it by compensating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pre-tax exemption system. It is not desirable to indiscriminately expand the post duty free shop system that may newly cause other economic and social problems in both terms of the monopoly status of a pre-duty free shop and resulting continuous dispute about preference and terms of a series of problems arising in the distribution of goods sold in pre-duty free shops caused from the seller and buyer and tax authorities’ perspective. 면세점은 일정한 지역을 지정하여 자격을 갖춘 특정한 자에게 소비목적 수입물품에 대해 부과되는 관세 및 국내에서 유통되는 각종 물품에 부과되는 부가가치세와 개별소비세 등을 면제하여 판매하도록 세관장이 특별히 허가한 사업장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의 면세제도는 사전면세제도와 사후면세제도로 구분할 수 있다. 최근 정부는 2013년 7월 17일 제1차 관광진흥확대회의에서 사후면세점 육성 정책을 발표하였다. 이는 사후면세 환급창구 확대, 외국인전용기념품판매점을 사후면세점으로 전환 유도, 우수쇼핑제도 확대 정비, 유사면세점으로 인한 피해방지 등의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위와 같은 정부의 사후면세점 육성 정책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논의를 활발히 진행하는 중이다. 그러나 사후면세제도는 이용 절차의 복잡성, 행정 및 사회적 비용의 증대, 이용자들의 구매 기피, 영업상 어려움에 따른 입점 기피, 국내 밀반출 등을 통한 세액 탈루 유인 증대, 환급혜택의 감소에 따른 효과성 저하라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행정적 비용 증가 및 면세 실효성 저하 등 또 다른 경제적ㆍ사회적 문제점을 야기 시킬 수 있는 사후면세점제도를 확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기존의 사전면세제도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사전면세점의 독점적 지위와 이로 인한 지속적 특혜 시비 측면에서나, 판매자 및 구매자 그리고 과세당국의 입장에서 발생하는 사전면세점 판매 물품의 유통상 발생하는 일련의 문제들의 측면 모두, 또 다른 경제적ㆍ사회적 문제점을 새로이 야기 시킬 수 있는 사후면세점제도를 무분별하게 확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 주요국의 소액물품면세제도 및 통관간소화제도에 대한 비교법적 연구

        장효은,손명희 한국관세무역개발원 2024 관세무역연구 Vol.1 No.1

        우리나라에서는 일반적으로 수입물품에 대해서 관세와 부가가치세를 부과한다. 하지만 개인이 자가사용 목적으로 수입하는 소액・소량의 물품에 대해서까지 모두 관세를 징수하게 된다면 행정상 낭비를 초래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관세법」 제94조에서는 해당 물품에 대하여 관세를 면제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해외 주요국의 관세법규에서도 이와 비슷한 규정을 찾아볼 수 있다. 소액물품은 일반 수입물품, 특송물품, 국제우편물 등을 통해 반입되며 별도의 예외규정을 제외하고는 통상 반입경로와 무관하게 모두 간소화된 통관절차의 적용을 받을 수 있다. 우리 관세법제상 의미하는 바에 따르면, 통관간소화제도는 반입경로와 무관하게 보다 간소화된 통관절차에 따라 신속한 통관을 진행하도록 규정된 내용들을 포괄적으로 의미하고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간이통관・목록통관・우편통관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했다. 세부적으로 우리나라와 해외 주요국의 소액물품면세제도 및 통관간소화제도를 비교법적으로 연구하고 나아가 관련 국내 관세법제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면세대상 소액물품에 대한 관련 규정 개정과 국경 간 전자상거래 비즈니스 모델에 맞는 완성도 높은 정책 환경을 구축하자는 시사점을 제안하는 바이다. Generally, value-added tax and customs duties are levied on goods imported into a country. However, there is concern that the imposition of customs duties on low-value goods or goods imported in small quantities can cause an excessive administrative burden. Therefore, the Customs Law of Korea provides for customs duty exemption for consignments below the de minimis threshold, and such an exemption can also be found in the customs regulations of various countries. This paper examines the customs duty exemption for consignments below the de minimis threshold stipulated in Korean law and conducts a comparative legal analysis of major countries that have adopted similar exemptions to underst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Korean customs duty exemption should be developed. Of particular note regarding the countries studied is that, with respect to consignments below the respective de minimis thresholds that are subject to customs duty exemption, value-added tax is levied at the time of sale if the total value of the amount imported is less than a prescribed level, while it is levied at the customs clearance like other imported goods if the total value exceeds a prescribed level. This trend in legislation can be considered to be in alignment with the destination principle Commentary on the Value-Added Tax Act. under the General Agreement on Tariffs and Trade (GATT), the purpose of which is to maintain tax equity between exporting and importing countries and protect the domestic industries of importing countries by enabling importing countries to impose on imported goods the same burden levied on like domestic products. Therefore, considering the legislative intent of major countries that have adopted the said system, the relevant regulations in Korea should be amended so that value-added tax can still be levied on consignments below the de minimis threshold that are subject to customs duty exemption.

      • KCI등재후보

        최근 미국의 국외사업소득과세체계의 개편논의와 정책적 시사점

        이재호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09 法學論集 Vol.14 No.2

        This paper examined whether the reform of the current tax system on foreign business income in Korea into the dividend exemption systems is reasonable, in the three aspects of the necessity for reform, the theoretical aspect and the empirical aspect,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cent discussions in the United States on the reform of the tax system on foreign business incom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to the necessity for reform, although our system has the paradox of defects since our system is somewhat insufficient in terms of capital export neutrality and raising of tax revenues and fails to secure capital import neutrality, the defects are not as serious as those of the American tax system and thus the necessity for reform in not stronger than in the United States. Second, in the theoretical aspect, it is not clear whether it would be more reasonable to reform the current tax system into the dividend exemption system. First of all,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conomic efficiency, the issue of superiority between the territorial tax system and the worldwide tax system assumes the pure worldwide tax system. However, the current tax system is not a pure worldwide tax system but a defective worldwide tax system. Since it is difficult to reform the current tax system into the pure worldwide tax system in realty, it is difficult to definitely conclude that the current tax system is superior. Next, even from the perspective of simplicity of the tax systems,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the dividend exemption system is simpler, because the dividend exemption system divides the current system into the tax system and the exemption system and complicates it, although it simplifies the tax system on foreign business income in some aspects. Third, in the empirical aspect, if inferring from the results of the positive researches in the United States considering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e revenue effect is not that big, while the investment location and income shifting occur though not on a large scale.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deem that it is reasonable to reform the current tax system into the dividend exemption system. In conclusion, this paper could not find clear grounds that the reform of the current tax system into the dividend exemption system is more reasonable from any perspectives of the necessity for reform, the theoretical aspect and the empirical aspect. However, as we can see from the discussions on reform in the United States, the issue of whether to reform the current tax system in the dividend exemption system is a matter of a more fundamental legislative policy of whether to set the basic direction of the international tax policy of Korea toward enhancement of competitive neutrality. 이 글은 최근 미국의 국외사업소득과세체계의 개편논의를 분석대상으로 삼아, 개편의 필요성 측면, 이론적 측면, 실증적 측면, 3가지로 구분하여 우리나라 입장에서 현행 제도를 배당면세제도로 개편하는 것이 타당한가에 대하여 살펴보았는바, 그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편의 필요성 측면에서는 우리 제도가 자본수출중립성 내지 세수확보에 다소 미흡하고 자본수입중립성을 확보하고 있지 못하여 이른바 결점의 모순이 있으나 미국 제도보다 심각한 수준은 아니어서 우리나라의 개편 필요성은 미국보다 크지 않다. 둘째, 이론적 측면에서는 현행 제도를 배당면세제도로 개편하는 것이 타당한지 여부가 명확하지 않다. 우선, 경제적 효율 관점에서 속인주의와 속지주의의 우열문제는 순수한 속인주의와 속지주의를 전제한 것인데, 현행 제도가 순수한 속인주의가 아니라 결함 있는 속인주의이며, 현행 제도를 순수한 속인주의로 개정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운바, 현행 제도가 우위라고 단정할 수 없다. 다음으로, 세제의 단순성 관점에서도 배당면세제도의 도입으로 인하여 국외사업소득과세체계가 단순해지는 측면도 있지만, 현행 과세체계를 과세체계와 면세체계로 이원화하여 복잡해지는 측면도 있는바, 배당면세제도가 단순한 구조라고 단정하기 어렵다. 셋째, 실증적 측면에서는 미국의 실증연구결과를 토대로 우리 제도와 미국 제도의 차이를 고려하여 추론해 본 결과, 세수효과는 그리 크지 않는 반면, 국내자본의 해외이전효과 및 소득이전효과는 큰 규모는 아니지만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결론적으로, 개편의 필요성 측면, 이론적 측면, 실증적 측면, 어느 점에서 보더라도 현행 제도를 배당면세제도로 개편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뚜렷한 근거가 없다. 다만, 한 가지 분명한 것이 있다면, 현행 제도를 배당면세제도로 개편하는 문제는 우리나라의 국제조세정책의 기본 틀을 경쟁중립성을 높이는 쪽으로 바꾸는 한결 근본적인 문제라는 점이다.

      • KCI등재

        면세점 사업의 제도개선과 경쟁정책 방향에 대한 소고

        이상학,진혜영 한국제도∙경제학회 2018 제도와 경제 Vol.12 No.2

        The duty-free shops with licenses from government sell tax-exempt goods for overseas travelers. The duty-free shops engage in intermediary trade and export, and they are closely related to tourist industries. Following the reform of Tariff Act in 2013, much attention has recently been paid on the government policies regarding duty-free shops in Korea. This paper briefly reviews recent trend of the duty-free business in Korea. The paper then proposes perspectives for institutional reform and competition policy for duty-free shops. This paper also suggests ways to adjust the number of licenses for duty-free shops in response to changes in demand and supply conditions. Specifically, a decrease in overseas demand is shown to increase the optimal number of duty-free shops. The effect of fixed costs is also discussed. 면세점 사업은 정부로부터 특허를 부여받은 사업자가 해외여행자에게 면세물품을 판매하는 사업이다. 면세점 사업은 수입품과 국산품을 국내외 해외여행자에게 판매하므로 중계무역과 수출의 성격을 동시에 지니고 있으며 관광산업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다. 2013년 관세법 개정으로 면세점 사업관련 제도가 대폭 변경되고 이후 국내외 시장 상황이 급변하면서 면세점 제도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본 논문은 한국 면세점 사업의 현황을 간략하게 살펴본 후에 면세점 사업의 특성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기반으로 한 면세점 제도의 개선 방향을 제시한다. 면세점 사업에 대한 경쟁정책 측면에서는 최근의 연구 성과를 확장하여 국내외 수요 및 공급여건의 변화에 대응한 정책방향을 살펴본다. 해외 수요가 줄어들 경우 면세점 사업자 수를 줄이기보다는 늘리는 것이 적절한 대응임을 보인다. 본 논문은 경쟁정책 측면에서 고정비용의 역할에도 주목한다.

      • KCI등재

        한·중 면세점 사업의 비교 연구

        진혜영,장로,이상학 한국제도경제학회 2019 제도와 경제 Vol.13 No.3

        면세점 사업은 출국자에게 보세판매장, 즉 면세점에서 면세 제품을 판매하는 사업이다. 소득증가 및 항공 요금의 인하 등에 힘입어 한국과 중국을 방문하는 관광객 및 한·중 양국의 해외여행객이 증가하 면서 양국 면세점의 매출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은 한·중 양국의 면세점 사업의 현황과 제 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특히 한·중 양국의 면세점 매출의 증가 요인에 대해 ‘변이-할당 분석’을 실시 하고 이로부터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한·중 양국의 면세점 사업이 세계 및 아시아·태평양 지역보다 빠르게 성장하여 경쟁력 있는 산업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한·중 양국의 면세점 사업과 제도 를 비교하여 유사점과 차이점을 확인하고, 동반 성장이 가능한 정책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 는 한·중 양국의 면세점 사업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정책 설계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duty-free shop business is a business that sells duty-free products at duty-free shops, which are bonded shops, to domestic residents and foreigners who travel to other countries. Thanks to the increase in income and spread of low-cost airlines, the number of tourists visiting Korea and China and the number of tourists in both Korea and China have increased rapidly, resulting in a rapid increase in sales at duty-free shops in both countries. This paper compares the duty-free shops of Korea and China. In particular, we conduct a shift-share analysis on the growth factors of duty-free shops in Korea and China, respectively, and draw implications from them. It is confirmed that Korean and Chinese duty-free businesses are more competitive than those in the rest of the world and Asia-Pacific region. In addition, this paper compares the duty-free policies of Korea and China to identif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nd suggest policies for mutual growth of duty-free busines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policy development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duty-free business in Korea and China.

      • KCI등재

        부가가치세법상 의제매입세액공제제도의 평가와 대안 모색

        장기용 한국회계정책학회 2013 회계와 정책연구 Vol.18 No.1

        This study evaluates the deemed input tax deduction system in value-added tax law and suggests an alternative plan for rational improvement. The purpose of deemed input tax deduction system is to eliminate cascade effect arising from the exemption on productions or distributions other than sales to end users. However, current credit rate of 2/102 (1.96%), 4/104 (3.85%), 6/106 (5.66%) or 8/108 (7.41%), is quite high considering actual cascade effect of only 0.603% which is evidenced by the empirical analysis. These results are partially caused by an object of zero rates or refund after sales of value added tax of a taxation goods that input into current agricultural products production. Considering the point that our country is utilizing deemed input tax deduction system for the purpose of the tax policies, unlike introduction purpose, it is desirable to be abolished. It is too complicated to apply tax preferential items for output and input of farmers and fishermen:such as exemption for output of farm production, deemed input tax deduction of farm production, application of zero rating for output of agricultural chemicals and fertilizers, etc. Thus, farm, aquatic, livestock, and forest products should be included within the tax basis and any necessities of life among them should be applied to the subject of a zero or reduced-tax rating. And,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n agricultural flat rate scheme operating in EU for direct and substantial compensation to farmers and fisherman, etc. 본 연구는 소비형 부가가치세와 관련한 간접세의 중립성 유지 등 합리적인 소비세 과세를 위한 누적효과의 제거를 위해 도입된 의제매입세액공제제도가 그 본래의 목적에 충실한 제도로 기능하고 있는지를 분석․평가하고 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의제매입세액공제제도가 그 본래의 목적인 누적효과의 제거에 미치는 영향을 실제 자료를 통하여 분석한 결과, 누적효과의 발생 정도는 극히 미미한 수준이고 현행의 공제율은 상당히 높은 수준에서 설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의제매입세액공제제도를 도입한 목적이 동 제도의 본질인 누적효과의 제거에 있는 것이 아니라 사업자에 대한 조세지원의 측면에서 제도가 운영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전단계세액공제법에서 발생되는 부가가치세의 누적효과 제거를 위해 도입된 의제매입세액공제제도는 법 이론상의 존립근거가 없거나 미약한 것으로 확인되므로 이를 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행의 의제매입세액공제제도를 폐지하는 경우 면세적용으로 인한 누적효과를 제거할 수 있는 대안으로, 농산물 등의 공급에 대하여는 과세로 전환하고 기초생활필수품에 해당하는 농산물 등에 대해서는 경감세율 또는 영세율의 적용대상으로 하며, EU에서 채택하고 있는 정률보상제도를 도입하여 운영할 것을 제안하였다. 미가공 농산물에 대한 영세율 적용은 완전면세제도로서 소비자와 농어민 모두에게 유리한 제도이며, 경감세율 적용은 영세율을 적용할 때보다는 환수 및 누적효과가 크게 나타날 것이지만, 매입세액을 공제받을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 가격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다. 정률보상제도를 도입․운영하는 경우, 일정 요건을 충족한 농민들은 선택에 의하여 정률보상제도를 적용받아 부가가치세 신고․납부의무를 면제받을 수 있으며, 공급가액에 정률보상금액(FRA)을 가산하여 공급함으로써 매입시 부담한 부가가치세를 일정 부분 보상받고, 농민들로부터 농산물을 공급받은 매입자는 그 보상분에 대하여 매입세액으로 공제받을 수 있다. 실질적이고도 직접적인 보상을 받는 주체가 농어민이라는 점에서 특정 사업자에 대한 시혜적 조세정책수단으로 변질되어 버린 현행 의제매입세액공제제도를 대체할 바람직한 대안이라고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가 농산물 등에 대한 현행 의제매입세액공제제도의 합리적 개선에 기여하고, 조세제도가 본질에 토대하여 정상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유효부가가치세율의 계산과 이를 통한 VAT Gap의 추정에 대한 연구 - 한국과 주요 EU 국가 3국의 비교 -

        김유찬 한국세무학회 2016 세무와 회계저널 Vol.17 No.4

        VAT exemption system would have the economic means to alleviate the VAT burden for daily necessity. Without this component the consumption tax system would be regarded strongly inferior compared to income tax system because of income regressive burden of consumption tax. But on the other hand the exemption regime has serious adverse effects compared to the reduced rate scheme of european count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effective tax rate of the value added tax of Korea and the three major European countries (UK, Germany, France) with industrial input-output data. In Studies it seems generally not to have a model structure, by which the inefficiencies of the VAT-Exemption scheme can be estimated. VAT gap between the nominal tax rate and the effective tax rate in Korea is larger and also efficiency cost was greater than those of European countries. This is because the VAT system used widely exemption system in Korea as compared to the 3 European countries. To regard Korean System with the wider range of VAT-exemption items compared to other European countries as a careful VAT System for middle and low income level residents is not appropriate. In these 3 european countries are some items of the reduced rate of VAT available, which generally is preferable for the middle and low income level residents due to its tax refund and small cumulative effect than tax-exempt system. But on the other hand it is hard simply to compare Korea with these 3 european countries, because these countries generally have higher level of living standard than us and therefore proportion of life necessities is greater than those countries in national economic output. 2011, the VAT Gap is about 48% in Korea and 2013 41%. Such large-scale VAT Gaps are also resulted from the analysis in the 3 European countrie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ells us that all of 3 major EU countries have much larger size of underground economy than we generally thought. 부가가치세의 면세제도는 소득세에 비하여 소비세 제도가 가지는 열등한 특성으로서 세부담의역진성 문제를 완화시켜주는 경제적 의미를 가지는 것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 면세제도는 매입세액공제를 허용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경감세율 제도에 비하여 심각한 부정적인 효과를 가진다. 본연구에서는 유럽의 주요 3개 국가(영국, 독일, 프랑스)와 우리나라의 유효부가가치세율을 산업연관표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조세세도의 효율비용을 추정하는 일반적인 연구들에서 이 면세제도의 비효율성을 수용하여 추정할 수 있는 모형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의 부가가치세 명목세율과 유효세율의 격차는 유럽 3국의 나라들의 그것보다 월등하게 커서 왜곡효과가 크고 효율비용도 크게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의 부가가치세 제도가 비교대상 국가들에비하여 면세제도를 광범위하게 사용하기 때문이다. 유럽 국가들에 비하여 면세범위가 넓다고 하여우리나라의 부가가치세 제도가 서민들의 생필품에 대하여 세부담을 줄여주려는 배려가 높다고 보는 것은 적절치 않다. 유럽 국가들은 면세제도보다 세부담 환수 및 누적효과가 적은 경감세율을 통하여 이러한 배려를 하고 있으며 또한 이들 유럽 3개 국가들에 비하여 일반적인 생활수준이 낮은우리나라의 경우 국민경제내의 총부가가치창출에서 생필품에 해당하는 분야의 공급비중이 높을 것이기 때문에 수평적 비교대상이 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한국의 2011년 기준 VAT Gap은 약 48% 수준이며 2013년 기준 VAT Gap은 약 41%의 수치로서 2011년에 비해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큰 규모의 VAT Gap이 도출되는 분석의 결과는 한국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영국, 프랑스, 독일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는 우리나라나 EU의 주요 3국이나 모두 지하경제의 규모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클 수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