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정삼투공정에서의 하수처리수 재이용 방안에 관한 연구

        정재현,류준희,남해욱,김윤중,이은수,권지향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6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6 No.-

        최근 해수담수화 및 하수처리수 재이용에서의 역삼투 공정의 한계를 해결하고자 그 대안으로 정삼투공정이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정삼투는 운전동력으로 높은 삼투압을 가진 유도용액을 사용하기 때문에 고압펌프에 의한 수리학적 압력을 사용하는 역삼투에 비해 에너지 소비가 현저히 낮으며 막오염 및 세척에서도 유리한 장점을 지니고 있어 역삼투 공정의 대체공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정삼투 공정에 이용되는 유입수를 하수처리수로 재이용하는 연구 수행은 미흡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입수로 하수처리수를 유도용액으로 해수를 이용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멤브레인은 서로 다른 종류의 멤브레인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polyamide계열의 Toray 멤브레인(Toray Chemicla Co. Korea)과 cellulose triacetate계열의 CTA 멤브레인(HTI. USA)이다. 멤브레인의 면적은 21.06cm<sup>2</sup>이고, 온도는 20℃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유량은 0.6L/min로 설정하여 사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수처리수를 이용한 정삼투 공정의 투과성능 및 세정에 의한 막의 회복능에 대한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 KCI등재후보

        종교비판에서 신앙성찰로 - 한국 그리스도교를 위해 ‘무신론’을 다시 보며 -

        정재현 한국실천신학회 2007 신학과 실천 Vol.0 No.12

        본 연구는 한국의 그리스도교 변혁을 위한 신학적 성찰을 목적으로 한다. 신학적 성찰의 길은 물론 다양하겠지만 현실적 사고방식과 행동양식으로 나타나는 종교적 정서와 심성 등에 특별히 주목하여 문제를 접근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신 관념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우상화의 성향, 그리고 신자들의 자기중심주의라는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진단하고 처방을 모색한다. 그런데 우상주의와 자기중심주의라는 문제는 주-객 관계를 기틀로 하는 신-인 관계의 왜곡에서 비롯된 것이어서 임의의 선택이 아닌 것은 물론이지만 서로 얽혀 문제를 더욱 증폭시키는 성향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향이 한국 그리스도교의 종교적 정서에서 과도할 정도로 매우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진단과 처방을 위해 특히 현대 서구의 ‘무신론’적 통찰에 주목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현대 서구 무신론이야말로 우리나라에서 집약적으로 재현되고 있기도 한 서구 고전시대를 지배했던 신중심주의와 이에 뿌리를 둔 우상주의 뿐 아니라 근세에 이르러 절정에 이 르렀던 인간의 자기중심주의 대한 철저한 반동과 처절한 반성에서 터져 나온 시대의 예언적 외침이었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현대 무신론은 신의 존재 여부를 논하는 형이상학적 담론이 아니라 비판적 성찰을 담은 예언자적 외침으로서의 뜻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무신론적 종교 비판은 먼저 신에 대한 관념을 신의 실재로 간주하는 오류로 인하여 환상이 만들어지는데 이는 곧 허상일 수밖에 없는데도 불구하고 이를 붙잡으려하니 우상이 될 수밖에 없다는 점을 철저하게 드러낸다. 아울러 인간중심주의의 경우 구체적으로 종교인에게서 일어나는 자기절대화의 욕망이 종교적 가르침의 핵심인 자기 비움과 정면으로 모순일 수밖에 없다는 점도 폭로한다. 그리고 그럼으로써 오히려 그리스도교에 대해 참 삶과 믿음을 위한 성찰의 계기를 제공하며 나아가 이를 통해 종교 자체의 변혁을 위한 통찰의 지혜도 제시한다. 따라서 종교에 대한 무신론적 비판은 우상주의와 자기중심주의의 얽힘으로 인해 신앙을 삶과 동떨어진 주술로 전락시켜 온 한국 그리스도교의 자기정화를 위한 하나의 소중한 지침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flect theologically upon the reality of Christianity in Korea for its desirable transformation. Although there are various ways of such effort, it tries to place its focus on the religious ethos and mentality represented by the modes of thinking and living. More concretely, it pays special attention to the tendency of idolatry in the general concept of God and the problem of self-centrism easily founded among the majority of believers. Here it is to be noted that the two problems are not of arbitrary choice but closely interwoven with each other in such a way as to deteriorate the situation more seriously. And there is no denying that this phenomenon has arisen to an excessive degree in the religious mentality of Christianity in Korea. For the purpose of diagnosis and prognosis of the problems as such, this study adopts the so-called 'atheism' developed in the contemporary Western thinking. For contemporary atheism appears as one of the major prophetic critiques against the theocentric idolatry which characterized the classical periods of Western society on the one hand, and against the self-centrism of human being which arrived its peak in the modern period on the other hand. And it is another good reason to bring atheism to the foreground that those problematic tendencies have developed prevalently in Korean Christianity. In other words, the contemporary atheism is not so much metaphysical discourse which is mainly concerned with the existence of God as the timely prophecy of critical reflection upon popular religious consciousness. Atheistic criticism explores that religion cannot but fall into idolatry because believers are easily apt to confuse the concept of God with the reality of God. On the other hand, it also reveals that the believers' desire of self-absolutization in the name of truth cannot but contradict the Christian core teaching of self-emptying. By doing so, the contemporary atheism provides the significant motives of reflection and transformation for the genuine life and faith with regard to the Christianity in Korea, which has been degenerated by idolatry and self-centrism.

      • NFT특성이 크리에이튜저로서 NFT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재현,김건하 서비스마케팅학회 2022 서비스마케팅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22 No.11

        기존에 인터넷에선 크리에이터의 동의 없이 콘텐츠의 공유, 복제가 가능했고 이는 지속적인 문제점으로 지 적받아 왔다. 그러나 최근 NFT는 과거 인터넷에서 디지털 콘텐츠가 겪던 소유권 문제의 해결책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NFT가 도입되어 콘텐츠의 저작권의 보장이 가능해지며 플랫폼 이용자는 NFT 민팅과 구매의 역할 을 하는 이용자인 크리에이튜저(CreatUser: Creator + User)로서 활동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NFT의 거시적 개념 및 구현 기술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NFT의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는 부족 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플랫폼 이용자를 크리에이유저로서 바라보고 크리에이튜저의 NFT이용 니즈를 해소하기 위해 NFT를 이용할 의도가 있는지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가치기반수용모델(VAM: Value-based Adoption model)을 바탕으로 NFT의 특성을 독립변수로, 지각된 가치를 매개변수로하여 종속변 수인 NFT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분석결과 민팅의 용이성과 구매 용이성이, 경제성과 소유권 인 정성이, 거래의 금전적 비용과 민팅의 금전적 비용이, 지각된 구매 가치와 지각된 민팅 가치가, 지각된 구매의 도와 지각된 민팅의도가 하나의 요인으로 축소되며 현재 사람들이 크리에이튜저로서 민팅과 구매의 욕구를 동 일선상에서 인식하고 있다는 사실알 확인했다. 또한, NFT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희소성, 저작권 침해 위험성, 유동성 위험성, 금전적 비용은 NFT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고 용이성은 지각된 가치를 매개하지 않고 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경제성·소유권 인정성, 기술 보안 신뢰성, 커뮤니티는 지각된 가치를 부분매개해 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NFT의 경제화, 산업 활성화를 위해 학 술적, 실무적 측면에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NFT 특성이 크리에이튜머로서의 NFT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재현,김건하 서비스마케팅학회 2022 서비스마케팅저널 Vol.15 No.2

        In the past, sharing and duplication of contents was possible without the consent of the creator on the Internet, and this has been pointed out as a continuous problem. However, recently, NFTs have begun to draw attention as a solution to the ownership problem experienced by digital contents on the Internet in the past. With the introduction of NFT, contents copyright can be guaranteed, and metaverse users are changing in the direction of acting as a CreaTumer (Creator + Consumer) who plays the role of NFT minting and purchasing. However, so far, most of NFT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on macroscopic concept and implementation technology of NFT, and researches on NFT use intention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metaverse users as CreaTumer and to reveal whether they intend to use NFTs for the needs of CreaTumer. Based on the Value-based Adoption Model (VAM),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NFT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perceived value as a mediator on the NFT use intention as a dependent variable. As results of the analysis, the ease of minting and the ease of purchase are diminished to one factor. Also the monetary cost of the transaction and the monetary cost of the minting, the perceived purchase value and the perceived minting value, and the perceived purchase intention and the perceived minting intention are diminished to one factor at each. So we can say that platform users regards minting needs and purchasing needs as NFT use intention of CreatUmer. In addition, economic, technical security reliability, and community partially mediate perceived value and have a positive (+) effect on NFT use intention. Scarcity, copyright infringement risk, liquidity risk, and financial cost do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NFT use intention. In the analysis of moderating effect, in the case of users in their thirties the value of NFT affects more on NFT use intention than in the case of users in their twenties. But, there is no moderating effect between gender. The results of our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many implications with the both aspetcs of academy and practice in industralization of NFT and economization of metaverse platform services. 기존 인터넷에선 크리에이터의 동의 없이 콘텐츠의 공유, 복제가 가능했고 이는 지속적인 문제점이다. 그러나 최근 NFT는 디지털 콘텐츠의 소유권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NFT가 도입되어 콘텐츠의 저작권 보장이 가능해지며 메타버스 이용자는 NFT민팅과 구매의 역할을 하는 이용자인 크리에이튜머(CreaTumer: CreaTor + consUmer)로서 활동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NFT의 거시적 개념 및 구현 기술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NFT의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NFT기반 플랫폼(Metaverse) 이용자를 ‘크리에이튜머’로 정의하고 크리에이튜머가 니즈를 해소하기 위해 NFT를 이용할 의도가 있는지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가치기반수용모델(VAM: Value-based Adoption model)을 바탕으로 NFT의 특성을 독립변수로, 지각된 가치를 매개변수로 하여 종속변수인 NFT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분석 결과 민팅 용이성과 구매 용이성이 하나의 요인으로 축소되었다. 거래의 금전적 비용과 민팅의 금전적 비용, 지각된 구매가치와 지각된 민팅가치, 그리고 지각된 구매의도와 지각된 민팅의도가 각각 하나의 요인으로 축소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플랫폼 이용자들이 크리에이튜머로서 민팅과 구매의도를 동일 선상에서 인식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매개 효과 분석에서 경제성, 기술 보안 신뢰성, 커뮤니티는 지각된 가치를 부분 매개하여 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용이성은 지각된 가치를 매개하지 않고 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희소성, 저작권 침해 위험성, 유동성 위험성, 금전적 비용은 NFT이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조절 효과 분석에서 20대에 비해 30대가 NFT의 가치를 느낄 때 이용의도를 더 크게 느꼈고, 성별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 결과가 NFT의 경제화 및 메타버스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학술적, 실무적 측면에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정보통신기술(ICT) 자본재가 여성 고용변화에 미친 영향

        정재현 ( Chung Jae-hyun ) 한국여성경제학회 2021 여성경제연구 Vol.17 No.4

        1990년대 이후 정보통신기술은 대중들에게 대표적인 신기술로 인식되었다. 여기서는 신기술의 대표인 정보통신기술이 여성 고용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신기술을 생산과정에 도입하거나 각 산업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 기술을 체화한 자본재의 가격이나 사용자 비용이 충분히 하락해야 한다. 다른 생산요소에 비해 그 자본재 가격이 충분히 하락하면 생산요소 중 하나인 노동을 대체하는 효과가 나타난다. 다른 한편 자본재 가격 하락으로 비용이 감소하여 생산가격이 하락하거나 기업의 이윤 증가로 이어진다. 가격 하락과 이윤 증가는 최종수요를 증가시켜 생산과 고용을 늘리는 규모효과로 이어질 수 있다. 이 연구는 대체효과와 규모효과를 고려하여 1990년 이후 산업별로 정보통신기술 자본재가 여성 고용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정보통신기술 자본재의 물가지수는 1990년에 비해 2017년에 1/5 수준으로 하락하여 정보통신기술 자본재 확산의 기반을 만들었다. 이 시기에 정보통신기술 자본재의 사용자 비용이 1% 감소할 때 여성 취업자는 0.37% 증가하였다. 이런 여성취업자 변화에서 대체효과는 1998년에서 2008년 사이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 전기·가스 및 수도사업, 건설업, 정보통신업, 금융 및 보험업 그리고 공공행정 및 국방은 유의한 양의 대체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여성 취업자 변화에서 규모효과는 유의한 영향을 확인할 수 없었다. 산업별로 보면 보건 및 사회복지업에서만 가격변화에 따른 유의한 양의 규모효과만 확인할 수 있었다. Since the 1990s, ICT(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been recognized as a representative new technology by the public.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ICT on women's employment. In order to introduce a new technology into the production process or use it in each industry, the price of capital goods or user costs that embed the technology must be sufficiently reduced. If the price of capital goods falls sufficiently compared to other factors of production, the capital goods must replace labor, as one of the factors of production. On the other hand, lower capital goods prices reduce costs, leading to lower prices or higher corporate profits. Falling prices and increasing profits can lead to scale effects that increase production and employment by increasing final demand.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ICT capital goods on women’s employment by industry after 1990, taking into account the substitution effect and scale effect. The price index of ICT capital goods fell to 1/5 in 2017 compared to 1990,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spread of ICT capital goods. When the user cost of ICT capital goods decreased by 1%, the women’s employment increased by 0.37%. It was analyzed that the substitution effect in this change of women’s employ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between 1998 and 2008. By industry, a significant amount of substitution effect was confirmed for Manufacturing, Electricity, gas and water supply, Constructi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Financial and insurance activities, and Public administration and defense. However, the scale effect could not b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hange of women’s employment. By industry, only Human health and social work activities were able to confirm only a significant scale effects due to price changes.

      • KCI등재

        『묵경』에 있어서 ‘先知’와 ‘必’ 개념의 문제

        정재현 동양고전학회 2009 東洋古典硏究 Vol.35 No.-

        이 글은 그레이엄 (A. C. Graham)이 후기묵가의 저작인 묵경에서 보이는 必과 先知를 각각 ‘논리적 필연성’과 ‘선험적 지식’(a priori knowledge)으로 보는 해석을 비판하기 위한 것이다. 그레이엄은 묵가의 논리학을 ‘이름과 대상을 짝짓는’ ‘기술의 학’ (論)과 ‘이름과 이름간의 관계를 따지는’ ‘추론의 학’ (辯)으로 나누고 특히 후자에 대해 비록 그것이 서구의 형식논리학은 아니지만, 유클리드 기하학과 같은 엄밀한 증명의 과정으로 보아야 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그의 주장들은 지식을 그 대상에 따라 名知와 合知로 나누어보는 데서 출발한다. 그러나 내가 보기에 기술의 학과 이름의 학은 후기묵가의 저작인 묵경안에서 명확히 구분될 수 없고, 게다가 묵가의 先知와 이 先知가 가진 필연성은 기본적으로 논리적 필연성이 아니라 규범적 필연성 및 경험적 필연성의 개념이다. 규범적 필연성은 중국의 正名사상에서 제시된 ‘규범적 정의이론’으로부터 기인하는 것이다. 규범적 정의이론이란 기술적 정의이론과는 달리 규범적으로 개념을 정의하는 것이다. 예컨대 ‘아버지는 자애롭다’의 정의는 형태는 기술적이나 사실은 ‘아버지는 자애로워야한다'의 규범적인 것이다. 이러한 규범적 정의이론을 통해 경험적 지식은 그것이 지식인한 당연히 필연적으로 오류 불가능임이 주장된다. 한마디로 묵가에서는 경험적 지식이 추론적 지식 혹은 선험적 지식보다 항상 더 우선적이기에 묵가의 선험적 지식은 사실 엄밀하게 선험적인 것이 아니고, 이러한 지식이 갖는 필연성도 규범적 필연성 및 경험적 필연성에 불과하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ject Graham's interpretation of bi (必) and xianzhi (先知) of Later Mohists' Mojing (墨經) as logical necessity and a priori knowledge respectively. Graham's interpretations of them are based on his beliefs that Mojing distinguishes lun (論), the art of description from bian (辯), the art of inference in the Mohist disciplines and that the latter art should be seen as such a rigorous proof as Euclidean geometry even though it is not a Western formal logic. His beliefs also start from his distinguishing 'knowledge of names' from 'knowledge of conjunction of names and objects' according to the objects of knowledge. In my reading, the art of description and the art of inference, however, can't be sharply distinguished each other in Mojing and bi and xianzhi should be taken as suggesting both a normative necessity and an empirical necessity. A normative necessity is derived from 'normative theory of definition' which comes form the theory of rectification of names in China. The normative theory of definition, unlike the descriptive theory of definition, defines terms normatively rather than descriptively. For example, although such a definition of father, 'father is beneficient', has the form of being descriptive, but it actually is prescriptive and therefore means 'father should be beneficient'. Through this normative theory of definition, empirical knowledge, as long as it is a knowledge, is seen as necessary and so can't be wrong. To conclude, for Mohists an empirical knowledge is always a basis of an inferential knowledge or a priori knowledge, so Mohists' a priori knowledge is not really a fundamental knowledge and its necessity therefore is nothing but both a normative necessity and an empirical necessity.

      • KCI등재

        儒家 正名論 다시 보기

        정재현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4 철학논집 Vol.38 No.-

        이 글은 유가의 정명론에 대한 기존의 해석을 명실론, 명분론, 수행론, 선 제성 이론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그에 대한 대안으로 ‘윤리적 논변과정으로서의 정명’을 주장한다. 이에 따르면, 명과 실은 별개의 독립적 항목이 아니고, 상호 교 섭하는 항목이다. 또한 정명은 기본적으로 명과 실을 정의하고, 옹호하고, 변용시키 는 재창조의 인지적 과정이다. 비록 인지적 과정이라고 했지만, 그것은 ‘명대로 살 아가기’ (이름에 따르는 의무와 책무를 다하기)와 같은 도덕행위의 실천적 측면도 배제하지 않는다. 이러한 인지적 활동은 기존의 명명체계나 관습, 그리고 우리의 신체적 움직임 속에서 이루어진다는 점, 또한 정감적, 의지적 측면과 함께 나타난 다는 점에서 구체적이지만, 또한 비판적이고, 반성적 측면을 지니고 있고, 이것이 다른 정감적, 의지적 관점에 비견해 가장 주도적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지성적이라 할 수 있다. 한마디로 정명은 유가의 도덕적 활동이며, 실천과 이론, 이성과 감성의 영역이 섞여 있는 활동이다. 물론 그럼에도 이 과정에서 실천과 이성이 상대적으로 더 강조되고 있음도 부인할 수 없다.

      • 하수재이용 FO-RO 공정에서 발생하는 농축수의 생물학적 처리를 위한 유기물 특성 및 생분해도 분석

        류준희,정재현,박기영,권지향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6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6 No.-

        최근에 기존 하수재이용 및 해수담수화에 사용되고 있던 역삼투 공정을 개선하여 전단의 까다로운 전처리를 정삼투 공정을 이용하여 대체하는 정삼투-역삼투 융합공정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정삼투-역삼투 융합공정이 적용되는 하수재이용 또는 해수담수화 공정은 모두 원수로 하수 또는 하수처리수를 사용하게 된다. 이때 발생하는 정삼투 농축수는 기존 역삼투 공정에서 발생하는 농축수와는 그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농축수의 특성 분석 및 처리 방법의 개발이 매우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정삼투-역삼투 공정에서 발생하는 정삼투 농축수의 처리를 위해 생물학적 처리를 제안하고, 이를 위해 정삼투 농축수의 유기물 특성과 생분해도를 분석하였다. 실험실 규모 정삼투 장치를 이용하여 정삼투 농축수를 생산하고 COD, BOD, TN 및 TP를 분석하여 방류수 수질기준과 비교하고, 농축수 내의 유기물 분포를 분자량 분획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회수율 50%로 정삼투 공정을 운전하였을 때에는, COD 38.55, BOD 7.98, TN 27.80, TP 0.46 mg/L의 값을 보이고 COD와 BOD를 제외한 TN, TP 항목은 방류수 수질 기준을 초과하였다. 또한 이때의 생분해도 값은 0.24로 하수 원수의 생분해도 값보다 약 80% 이상 감소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