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언택트(Untact) 시대, 영화 마케팅 플랫폼 변화가 관객 동원에 미치는 영향 - 모바일 플랫폼을 중심으로 -

        백민제 한국연기예술학회 2021 연기예술연구 Vol.21 No.1

        2019년 12월에서 시작된 코로나19는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 이러한 펜데믹의 영향으로 일상생활에서 비대면 서비스가 증가했고 야외활동은 위축되었으며 집 안에서 즐기는 언택트 문화생활은 확대되었다. 영 화는 개봉 1주일 안에 승패가 결정되기 때문에 영화개봉을 앞두고 영화마케팅을 위한 전쟁은 치열하다. 영화의 홍보·마케팅이 그만큼 중요하다는 것을 뜻하는 것이다. 언택트 시대에 살아남기 위한 돌파구로 영화 홍보·마케팅 관계자들은 마케팅 플랫폼을 바꾸고자 하였다. 진입장벽이 쉬우면서도 주관객인 젊은 층을 공략할 수 있는 ‘모바일 플랫폼’을 활용하기 시작한 것이다. 영화시장의 마케팅 플랫폼으로 부각된 ‘모바일 플랫폼’이 현재의 위기를 극복하고 대안으로 제시 될 수 있을까? 소비자의 모바일 이용형태의 변 화와 새로운 형태의 콘텐츠의 등장, 전통매체를 제외한 SNS 등 모바일 플랫폼에서의 온라인 마케팅 방법 에 대해 살펴보고, 그에 대한 대안을 제시해본다. 이전에도 존재했던 마케팅 전략이지만 코로나19라는 변 수는 콘텐츠 소비자들의 이목을 더욱 사로잡았다. 이 연구는 새롭게 시도되는 다양한 영화 마케팅 전략이 관객들의 실제 영화 관람에 있어서 과연 어떠한 영향력을 미쳤는가에 주목하고자 한다. 코로나19 장기화 로 인한 언택트 환경에 따른 모바일로의 영화 마케팅 플랫폼 변화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모바일 미디어 환경 변화, 숏폼 콘텐츠 플랫폼 등장, SNS 플랫폼을 활용한 마케팅 등의 방법들을 통해 모바일 플랫폼 의 중요성과 가치성을 찾아낸다면, 향후 영화 마케팅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소비자들의 성향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야 하고, 타겟층이 영화콘텐츠에 가장 많은 관심을 보일지, 또 정말 원하 는 게 무엇인지를 분석하고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코로나19로 발생한 변화들을 통해 앞으로의 극장 위 기를 극복하고 영화 마케팅 방식에 있어서 새로운 변화를 기대해본다. Beginning in December 2019, Corona 19 spread around the world. Efforts are being made to prevent the spread of infections not only in Korea but also around the world. Due to this influence of Fendemics, non-face-to-face services have increased in daily life. With the transition to the Untact era, outdoor activities have been reduced to near the house and cultural life enjoyed inside the house has been expanded. Before the release of the movie, a marketing war will take place. This is because the movie’s victory or defeat will be decided within a week after its release. Due to the change in the platform of film marketing, pre-marketing is carried out in various ways. In a breakthrough to survive the era of “Untact,” film promotion and marketing officials sought to change their marketing platforms. It has begun to utilize a “mobile platform” that can target young people who are easy to enter and are the main audience. Although it is a marketing strategy that existed before, a variable called Corona 19 has attracted more attention from content consumers. In response, this study looks at the change in film marketing platforms to mobile due to the contact environment caused by the prolonged COVID-19 period. If we look at changes in the mobile media environment, the emergence of short-form content platforms, and marketing using SNS platforms to find the importance and value of mobile platforms, it will help establish future movie marketing strategies. It is important to be able to accurately identify consumers’ tendencies, analyze and understand whether the target audience will be most interested in movie content, and what they really want. Through the changes that occurred with Corona19, we hope to overcome the theater crisis and make new changes in the way movies are marketed.

      • 기업의 마케팅 도구로써 메타버스 플랫폼 활용 가능성 분석 연구

        유근준(Geun-Jun You),장광희(Kwang-Hee Jang)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2022 창업경영교육연구 Vol.1 No.1

        기업은 시대에 맞는 다양한 마케팅 도구들을 활용하여 기업과 기업이 생산한 제품과서비스를 마케팅해 왔다. 대표적으로 기업들은 우수한 ICT 기술이 적용된 SNS 채널을활용해 기업과 상품을 대내외적으로 알리는 역할을 수행해왔다. 다양한 기업들이 메타버스를 마케팅 도구로 활용하여 적극적으로 MZ세대를 타겟으로 마케팅 활동을 진행하고 있고, 상당 부분 마케팅 성과를 올리고 있다. 이는 메타버스활용 연령층이 전방위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시정에서 기업들은 마케팅 도구로 메타버스를 더욱더 활용하고자 노력할 것이다. 이러한 변화들은 분명 메타버스 플랫폼을 마케팅 도구로 그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기업이 마케팅 도구로써 메타버스 플랫폼의 활용 가능성을 실무적 관점에서 접근해 보았다. 향후 연구에서는 메타버스 플랫폼의 마케팅 도구 활용에 관한실증적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활용 성과를 측정하는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기업은 연구성과를 실무적 활용을 통해 마케팅 도구로서의 메타버스 플랫폼 접근이 더욱 활발해졌으면 한다. Companies have been marketing companies and their products and services using various marketing tools appropriate to the times. Typically, companies have played a role in promoting companies and products internally and externally by using SNS channels with excellent ICT technologies. Various companies are actively conducting marketing activities targeting the MZ generation by using the metaverse as a marketing tool, and a significant part of the marketing results are being achieved. In a city where the age of metaverse users is expanding in all directions, companies will try to use metaverse more and more as a marketing tool. It can be said that these changes have a high possibility of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as a marketing tool. Through this study, the possibility of companies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as a marketing tool was approached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In future research, we intend to conduct an empirical study on the use of marketing tools of the metaverse platform to measure the utilization performance. Through this, I hope that companies can use their research results in practical ways to access the metaverse platform as a marketing tool more actively.

      • KCI등재

        1인 창업 브랜드 노출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 활용방안 연구

        박주영,황성걸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8 조형미디어학 Vol.21 No.3

        As online platforms are actively utilized in today's economy, they also have brought significant changes in business platforms and activities. When the Internet and mobile-based media allowed businesses to interactively communicate with customers for marketing purposes, many new communication channels emerged, and channels that deliver contents also increased accordingly. Therefore, the importance of online platform is more emphasized since it embraces various means of communication, and as interactively communicative strategies such as promotion, marketing, and events are spotlighted, a variety of creative platforms are continuously developed. Notably, many one-person-operated businesses and their brands utilize online platforms not only interactively communicate with customers but also keep the balance between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an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customers. Because online platforms have no time and place limitations and the low maintenance costs allow new start-up brands to conduct effective marketing through continuous exposure and exposed channels. Thus, in this study, the channel was compared to the channel of online platforms by deriving Crowdfunding, SNS and Homepage, including properties such as participation, disclosure, communication, and connection. It is meaningful to find ways to use online platforms to promote start-ups and expose the brand on a consistent basis to better establish early entry into the market for start-ups and follow-up measures. Amid the continued expansion and evolution of online platforms, it is expected that the brand's actions to regenerate brand identity and brand will bear fruit for short-term and long-term performance, profit generation and continuous development.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경제활동이 활발해지면서 기업의 경영활동에도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인터넷, 모바일 매체는 기업과 소비자가 의사소통할 수 있는 상호작용적 마케팅 도구로 활용되면서 새로운 소통채널들의 대거 등장으로 콘텐츠를 운반하는 채널의 수가 증가했다. 이로써 콘텐츠를 포함하는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수단들을 포용하는 온라인 플랫폼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프로모션, 마케팅, 이벤트 등 고객과 소통할 수 있는 활동들이 예전보다 훨씬 더 많은 주목을 받으며 다양한 플랫폼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1인 창업 브랜드가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의사소통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과 고객과의 관계를 유지하면서 온라인 플랫폼을 한 번의 이벤트성으로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브랜드 형성에 기여하고 지속적으로 고객에게 브랜드의 진정성을 반영하고 있다. 이는 온라인 플랫폼이 시간과 장소의 제한이 없으며, 유지비용의 부담이 적어 지속적인 노출과 노출되는 채널을 통해 새롭게 신생한 창업 브랜드가 효과적인 마케팅을 시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플랫폼의 채널로서 참여, 공개, 소통, 연결 등의 속성을 포함한 Crowdfunding, SNS, Homepage를 도출하여 비교 분석하였고, 창업의 진흥과 지속적인 브랜드의 노출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의 활용방안을 모색하여 창업의 초기 시장 진입과 이후의 유지 방안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축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또한 온라인 플랫폼의 확장과 진화가 계속되는 관계망 속에서 브랜드의 단기적·장기적 성과, 수익창출뿐만 아니라 앞으로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브랜드 재생의 행보에도 많은 결실이 맺어지길 기대하는 바이다.

      • KCI등재

        중소기업 수출마케팅 지원 플랫폼(Platform)에 관한 탐색적 연구 -조기 수출성과 창출을 위한 마케팅 플랫폼과 활용 사례-

        신윤식 ( Youn Sik Shin ) 한국통상정보학회 2015 통상정보연구 Vol.17 No.1

        최근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수출기여도가 점점 약화되고 있는데 이에 대한 개선책을 수출마케팅 플랫폼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보유자원과 전문 인력이 취약한 한국 중소기업들은 수출에 있어 정부 등 지원기관의 수출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의존도가 비교적 높으므로 프로그램의 운용시스템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수출지원프로그램의 운용측면에서의 개선점과 중소기업의 수출성과 창출을 위한 ‘수출마케팅 지원플랫폼’을 제안하였으며, 이 플랫폼을 적용하여 일선 중소기업을 1년간 지원한 사례와 성과를 소개한 연구이다. 본 플랫폼은 기업이 수출을 시작한 후 조기에 수출성과를 낼 수 있는 마케팅 방법론과 활동(activity) 그리고 프로세스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국제마케팅 역량 강화에 도움이 되는 수출지원 프로그램들의 조합(combination)과 운영방안에 주안점을 둔 개념적 모형이다. 본 모형을 활용하면 중소기업은 저비용으로 비교적 짧은 기간 내에 수출성과를 낼 수 있다. 지원기관의 입장에서도 기존의 단조로운 수출지원 시스템에서 벗어나 제품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수출지원 프로그램을 소화할 수 있는 탄력적인 지원 플랫폼을 확보함으로서 수출지원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정부를 비롯한 수출지원기관들이 중소기업의 해외마케팅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통합수출지원 플랫폼’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s a study on export support system that a small company can make the export performance early in the overseas market and also can enhance international marketing capabilities. The model is solved to operational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export support program, and it contained a further support action to complement the weakness of the program. We want to create a Smart-Platform (Export Power Double Plus-Platform: EPDP) that we can improve the export capability of SMEs in the short term. The model will be very useful to export support agencies as an integrated support platform that supports the international marketing of the korean SMEs. And added some case studies of SMEs in Daejeon city.

      • KCI등재

        공연예술콘텐츠의 플랫폼 활성화 방안

        송은아 한국연기예술학회 2020 연기예술연구 Vol.18 No.2

        4차 산업혁명시대에서는 정보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관객의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에 따라 공연예술 시 장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등장이 예상된다. 본 연구는 공연예술 관객선호도의 변화를 예측하고 이에 기반 한 공연예술 마케팅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관객선호도 파악을 통해 공연예술 관객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공연예술콘텐츠플랫폼의 구축은 관객에 만족도를 향상시 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연플랫폼에 대한 스마트폰 또는 인터넷 사용자의 관객 선호도 조사를 통해 공연예술콘텐츠의 관객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설문조사를 통해서 실증 분 석하였다. 설문결과의 회귀분석결과 유의수준 10%에서, ‘스마트폰 또는 인터넷 이용시간은 공연예술콘텐 츠플랫폼의 이용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과거의 공연에 대한 관람의사’, ‘플랫폼에서의 공연예술콘텐츠 이용가격’, ‘공연예술교육정도’, ‘콘텐츠 감상 후 피드백 가능여부’, 그리고 ‘플랫폼에서 문화콘텐츠 지식 의 습득가능 여부’ 등은 공연예술콘텐츠플랫폼의 이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채택하 였다. 4차 산업혁명시대에서는 이러한 관객의 변화를 고려하여 공연예술콘텐츠플랫폼의 기능과 역할을 재정립하고 운영할 때 공연예술콘텐츠플랫폼의 활성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서 예술가와 관객, 예술단체, 공연예술콘텐츠플랫폼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시대 인 터넷 중심의 생활에 익숙한 스마트폰 사용자를 통해서 공연예술콘텐츠에 대한 새로운 요구의 내용을 선 도적으로 파악하고 공연예술 시장의 변화를 예견하고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 new paradigm in the performing arts market is expected to emerge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changing lifestyle of the aud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dict the change in audience preference for performing arts, and to seek the direction of performing arts marketing based on this. By grasping the audience preference, we will develop a program that can meet the needs of the performing arts audience. And the construction of a performing arts content platform could contribute to improving the satisfaction of the audience.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degree of influence on the audience preference of the performing arts contents through a survey of the audience preference of the smartphone or Internet users on the performing arts platform.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f the survey results are as follows. At a significance level of 10%, ‘Smartphone or Internet use time will affect the use of the performing arts platform (Hypothesis 1)’ was rejected, ‘Intention to watch past performances’, ‘Performing art content on the platform’, ‘The usage price’, ‘The degree of performing arts education’, ‘Whether feedback is possible after appreciating the content’, and ‘Whether the platform can acquire knowledge of cultural contents’ were analyzed as having a significant effect on the use of the performing arts platform and were adopted.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judg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revitalize and operate the functions and roles of the performing arts content platform in consideration of such changes in the audience.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develop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that can be satisfied by artists, audiences, art groups, and performing arts platform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 KCI등재

        소셜 플랫폼에 나타난 뷰티 인플루언서와 브랜드의 콜라보레이션 마케팅 활성화 전략 -국내 화장품 브랜드를 중심으로-

        정선주(Jeoung, Sun Ju)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뷰티 인플루언서와 화장품 브랜드 간의 협업 마케팅 사례를 중심으로 SNS 마케팅 속성요인 추출 및 SWOT 매트릭스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소셜 플랫폼에 나타난 뷰티 인플루언서와 화장품 브랜드 간의 콜라보레이션 마케팅의 활성화 방안을 도출함으로써 뷰티 산업 활성화를 위한 효율적인 콘텐츠 마케팅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먼저, 선행연구를 통한 문헌연구에서는 국내·외 문헌과 논문자료, 통계자료, 정기 간행물의 문헌 자료와 인터넷 자료를 활용하여 SNS 커뮤니케이션의 기초적인 정의를 이해 및 규합하였다. 실증연구로는 본 연구에 필요한 SNS 플랫폼 상의 뷰티 인플루언서와 브랜드의 콜라보레이션의 사례로 포니×에뛰드하우스, 이사베×미샤, 씬님×투쿨포스쿨, 라뮤끄×어퓨, 회사원A×미샤의 5개 사례를 선정·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SNS 마케팅 속성(정보성, 상호작용성, 오락성, 신뢰성, 방해성) 요인에 해당하는 100개의 항목을 추출하여, 뷰티 전문가 5인의 평가를 반영한 SWOT 매트릭스 기반의 뷰티 인플루언서와 브랜드의 콜라보레이션 마케팅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O전략으로서 트렌드에 강한 영향력을 주도하고 있는 뷰티 인플루언서와 브랜드의 콜라보레이션 마케팅은 시⋅공간의 제약 없이 콘텐츠의 유연성 및 양방향 소통의 장으로써 코로나19로 주춤해진 K-뷰티의 성장세를 지속시켜주는 동력이 되어 줄 것이다. 둘째, ST전략으로서 소비의 주체로 급부상한 MZ세대(영상세대)에게 양질의 브랜디드 콘텐츠를 제공하여 올바른 뷰티 문화를 선도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방대한 콘텐츠 속에서 최적화된 정보를 선별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나가야 할 것이다. 셋째, WO전략으로서 콘텐츠를 하나의 소비 문화로 인식하는 흐름 속에서 뷰티 인플루언서와 브랜드 간의 협업 마케팅의 수익모델을 다각화하여 1인 크리에이터와 기업이 서로 공생 관계를 형성하는 콘텐츠 생태계를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다. 넷째, WT전략으로서 기업과 국가적 차원에서 1인 크리에이터의 발굴⋅육성 사업을 적극 지원하여 그시스템을 체계화 함으로써 SNS 기반 플랫폼이 정보편식과 파편화된 공론의 장이 아닌 가치 있는 문화의장으로써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관련 규정 및 제도적 정립은 필수불가결한 요소라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the SNS marketing attribute factor extraction and SWOT matrix, focusing on the collaborative marketing cases between beauty influencer and cosmetics brands. The SWOT matrix was derived. Based on this, it is considered that the direction of effective content marketing for vitalizing the beauty industry can be suggested by deriving a plan to activate collaboration marketing between beauty influencers and cosmetic brands that appear on social platforms. As a research method, the literature and empirical studies were combined. First, in the literature research through prior studies, the basic definition of SNS communication was understood and assembled using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dissertation data, statistical data, and periodical publications and Internet data. As an empirical study, five examples of Pony×Etude House, Risabe×Missha, Ssin×Too Cool For School, Lamuqe×A’pieu, and Office Worker A×Missha are examples of the collaboration of the beauty influencer and brand on the SNS platform required for this study. Cas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Based on this, 100 items corresponding to factors of SNS marketing attributes (information, interactivity, entertainment, reliability, and disability) are extracted, and SWOT matrix-based beauty influencers and brands reflecting the evaluation of 5 beauty experts We have devised a way to promote collaboration marketing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as a SO strategy, collaboration marketing of beauty influencers and brands, which are leading the strong influence on trends, continues the growth of K-Beauty, which has been falsified with Corona 19 as a venue for flexible content and interactive communication without restrictions on time and space. It will power you. Second, as a ST strategy, we provide quality branded content to the MZ generation (video generation), which has emerged as the main subject of consumption, leading the right beauty culture, ultimately improving the ability to select optimized information from vast contents. You will have to get out. Third, as a WO strategy, we should diversify the revenue model of collaborative marketing between beauty influencer and brands to create a content ecosystem in which one-person creators and businesses form a symbiotic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Fourth, as a WT strategy, the SNS-based platform is not a place of information sharing and fragmented public opinion, but a step forward as a platform for valuable culture, by actively supporting the discovery and fostering of single creators at the corporate and national level and systematizing the system. The opportunity to do so should be prepared. In addition, related regulations and institutional establishment are considered to be indispensable factors.

      • KCI등재

        소셜 미디어 플랫폼을 활용한 오픈소스 SW의 프로슈머 마케팅 연구

        김태양(Tae-Yang Kim),신동희(Dong-Hee Shin)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9

        본 연구는 오픈소스SW의 기술적 접근이 아닌 개발자와 소비자들이 함께 참여하고 공유할 수 있는 소셜플랫폼을 활용한 프로슈머(Prosumer)마케팅의 관점에서 OSS의 마케팅연구에 기여점을 제시하고자한다. 이를 위하여 OSS의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 활성화가 소셜 미디어 플랫폼을 활용한 OSS의 프로슈머 마케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최종적으로 소셜 미디어 플랫폼 사용자들의 OSS에 대한 충성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로서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의 활성화 요인들 중 커뮤니티의 콘텐츠, 고객지원, UI, 그리고 커뮤니티 활동에 대한 유/무상의 보상이 OSS 소셜 미디어 플랫폼 활성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브랜드의 명성은 OSS 소셜 미디어 플랫폼 활성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OSS 소셜 미디어 플랫폼의 활성화가 OSS의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급변하는 ICT 생태계에서 OSS 비즈니스의 새로운 해법으로서 소셜플랫폼기반 프로슈머 마케팅이 중요한 전략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The interest on the Open Source Software(OSS) has been increasing as the Microsoft"s latest Windows XP support ended. In this light trend,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OSS marketing area. Specifically, it examined that the activation of online brand community about the OSS can affect to prosumer marketing of the OSS utilizing social media platform. In addition, the OSS social media platform users' loyalty for the OSS was investigated. The findings show that content, consumer support, UI, and reward among the activate factors of online brand community significantly affected to the activation of OSS social media platform. The brand reputation, however, was found insignificant to the activation of OSS social media platform. In addition, the activation of OSS social media platform can positively affect to their loyalty for the OSS. It means that participation to the social media activities about OSS and interaction with others in the network can help to form positive attitude for the OSS. In conclusion, the prosumer marketing utilizing social platform can be an important strategy as a new solution of the OSS business in the rapidly changing ICT ecosystem environment.

      • KCI등재

        국내 온라인 명품 패션 플랫폼 마케팅전략 분석

        이민경,김현주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3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9 No.1

        In this study, three luxury fashion start-up platforms, Balaan, Trenbe, and Must-it,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marketing mix strategies of each of the three online sites. The results of our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product strategies of the three luxury platform companies are characterized by the composition of products from high-end brands to SPA brands, and product composition such as kids, home living, Used goods and art in addition to women's and men's wear. In addition, the pricing strategies of luxury platforms show pric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luxury platform even for the same product. It is shown as a structure that directly determines margin. Therefore, in order to secure an edge in price competitiveness, each platform provided discount coupons and savings that are not available in offline stores such as department stores, providing opportunities to purchase luxury goods at a lower price than offline stores.Lastly, the sales promotion strategies of the three luxury platform companies was used include price discount promotions such as price discounts, discount coupons, and regular sales, and value-added sales such as membership registration/review points, events, product information, delivery services,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and SNS utilization. 본 연구는 명품 패션 스타트업 플랫폼인 발란․트렌비․머스트잇 3사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각 3사의 온라인 사이트에서 진행하고 있는 마케팅 믹스 전략을 비교,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우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명품 플랫폼 3사의 상품전략은 하이엔드 브랜드부터 SPA 브랜드 까지의 상품구성과 여성복, 남성복 이외에 키즈, 홈리빙 등과 같은 상품구성이 특징이며 이외에도 중고상품, 예술품등 에 이르는 상품군의 다양화가 특징으로 보여진다. 또한, 명품플랫폼의 가격전략은 동일제품이어도 명품 플랫폼에 따라 가격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3사 플랫폼이 모두 병행수입과 구매대행의 유통구조로 운영하며, 이러한 플랫폼의 유통 운영방식 차이에 따라 플랫폼이 직접 마진을 결정하는 구조로 보여진다. 따라서 각 플랫폼마다 가격 경쟁력의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백화점 등 오프라인 매장에 없는 할인쿠폰, 적립금 등을 통해 오프라인 매장보다 저렴한 명품구매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명품 플랫폼 3사의 판매촉진전략은 가격할인, 할인쿠폰, 상시세일 등의 가격할인 판촉과 회원가입/리뷰 적립금, 이벤트, 상품정보, 배송서비스, 사회공헌활동, SNS활용 등의 가치부가적 판매촉진을 활용하고 있었다.

      • KCI등재

        글로벌 디지털 B2B 플랫폼 활용이 수출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동열,전동석 한국무역상무학회 2023 貿易商務硏究 Vol.97 No.-

        In order to develop domestic trade,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various measures to vitalize export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MEs). Among the various ways to promote SME exports, the use of a global digital B2B platform can be one. This is because it can be a good opportunity for SMEs who want to enter the overseas market at a low cost. In fact, the use of global digital B2B platforms is becoming an essential factor for strengthening the marketing capabilities of exporting SME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he online digital B2B platform and the effect of using the platform on the performance of exporting companies were studied on the internal capabilities and global tendencies of domestic small and medium-sized exporters,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Among the internal competencies of export companies, export marketing competencies were found to have an impact on platform utilization. And among the global orientations of exporters, network orientation and overseas orientation were found to have an impact on platform utiliza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use of the global digital B2B platform has a significant impact on both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which are corporate performance. 해외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중소기업에게 글로벌 디지털 B2B 플랫폼 활용은 매우 효과적인 수출전략이다. 최근 수출 중소기업의 마케팅 역량 강화를 위한 필수 요소로 글로벌 디지털 B2B 플랫폼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중소 수출기업의 내부역량과 글로벌지향성이 디지털 B2B 플랫폼 활용에 미치는 영향과, 플랫폼 활용이 수출기업의 실적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으로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수출기업의 수출마케팅역량은 플랫폼 활용에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수출기업의 네트워크지향성과 해외지향성이 플랫폼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글로벌 디지털 B2B 플랫폼 활용이 기업의 재무 및 비재무 성과 모두에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