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청소년의 리더십생활기술 교육 방안 연구

        임민철(Minchul Im) 마인드교육융합학회 2022 마인드 교육 Vol.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develop effective leadership life skills education plans through looking at how biblical figures can be used when educating leadership life skills for teenagers. Moreover, I would like to pioneer a new research field by converging and applying the characteristics of Christian leaders, which are strong beliefs, future orientation, sacrifice, humility, and serving, to general leadership research.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theoretical background was first established through Previous studies related to leadership life skills and Bible-based pedagogy. Then, Moses, Joseph, David, and Apostle Paul, the representative leaders in the Bible, were selected to examine how the factors of leadership life skills were expressed and how they affected their members. Each scholar presents various sub-factors of leadership life skills, but four factor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ing two internal factors and two external factors. As the next step, the characters in the Bible who presented the selected sub-factors of leadership life skills were suggested. Finally, the study showed how each of the character gained the leadership life skills, how they led others successfully, and how the results were changed through their leadership. Through this study, we found that the Bible is worth using as a positive educational content in educating adolescents on leadership life skills. The reason is that, first, Christians account for about one-third of the Korean people. Due to the religious nature, education based on common beliefs is bound to be highly effective. Second, the Bible has a value as a historical book in addition to its religious value. It can be a desirable way to educate leaderships that adolescents should have in the future through the leadership of historical figures. Third, the Christian spirit can be the basis for effective leadership. Christianity basically encourages people to have a humble mind by discovering their own inadequacies in front of God, and teaches them to respect others without easily judging them by their own standards. Fourth, the Bible describes various kinds of leaders in great detail. The process by which successful leaders acquire leadership life skills and the results when acquired leadership is expressed are recorded in the Bible in detail. Through these narratives, modern researchers would be able to approach and draw the ideal leadership life skills from various angles. Considering that the relationships between past and present and between present and future are repeated and developed, a new research field will be created if Christian leadership and leadership life skills studied in general social science can be fused and complemented. Therefore, Christian leadership must differentiate its own unique characteristics. At the same time, this should be accompanied by general leadership research to the extent applicable to youth education through social science methods such as interviews, statistics, and quantification. This leaves a task to be studied further in the future. I hope that this study will help educate adolescents about the values of faith, trust, consideration, and service necessary for modern society beyond religion. 이 논문의 목적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리더십생활기술을 교육함에 있어 성경의 인물들이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서 효과적인 리더십생활기술 교육 방안 개발에 일조하고자 함이다. 더불어 기독교리더십이 가지는 특징, 즉 강한 신념, 미래지향성, 희생, 겸손, 섬김 등의 모습들을 일반적인 리더십 연구 분야에 융합 적용함으로서 새로운 연구의 장을 개척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리더십생활기술, 그리고 성경과 현대교육에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통해 이론적 배경을 정립하였다. 이어 성경 속 대표적 지도자인 모세, 요셉, 다윗, 사도바울 선택하여 이들을 통해 리더십생활기술의 요인들이 어떻게 발현되고 구성원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았다. 학자마다 리더십생활기술의 다양한 하위 요인을 제시하지만, 대체로 공통적으로 언급하는 요인 중 중 인간관계기술, 자기이해기술의 내면적 요소 2가지, 의사결정기술, 그룹활동기술의 외부적 요소 2가지 총 4가지 요인을 본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선정된 리더십생활기술의 요인들이 잘 발현되는 성경 속 인물과 발현 과정 및 그 결과를 각 요인과 매치하여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는 성경이 청소년들에게 리더십생활기술을 교육함에 있어 긍정적인 교육 콘텐츠로서 활용 가치가 있음을 보았다. 그 이유는 첫째, 기독교인이 우리나라 국민의 약 1/3을 차지한다는 점이다. 종교적인 특성상 공통된 믿음과 신념을 바탕으로 하는 교육은 효과가 높을 수밖에 없다. 둘째, 성경이 종교적 가치 외에 역사서로서의 가치도 지닌다는 점이다. 역사적 인물들의 리더십을 통해 미래 청소년들이 가져야 할 리더십을 교육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법이 될 수 있다. 셋째, 기독교 정신이 효과적인 리더십의 바탕이 된다는 점이다. 기독교는 기본적으로 신 앞에 자신의 부족함을 발견하여 낮은 마음의 자세를 가지도록 권유하고, 자신만의 기준으로 타인을 쉽게 판단하지 않고 존중하도록 가르친다. 넷째, 성경에는 다양한 종류의 지도자들이 매우 상세히 묘사되어 있다는 점이다. 성공한 지도자들이 리더십생활기술을 습득하게 되는 과정과 습득된 리더십이 발현되었을 때의 결과가 상세히 기록되어 있으며 이러한 서사를 통해 현대 연구자들은 이상적인 리더십생활기술의 모습을 다양한 각도에서 접근하고 그려볼 수 있을 것이다. 과거와 현재, 그리고 현재와 미래가 유기적 관계 속에서 반복 및 발전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성경을 바탕으로 하는 기독교적 리더십과 일반 사회과학 속에서 연구되는 리더십생활기술이 상호보완적 관계 및 융합학문으로서의 관계를 이루어나갈 수 있다면 지금까지의 연구와는 다른 새로운 연구의 장이 만들어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기독교리더십은 일반 리더십과의 공통점과 함께 기독교 리더십만의 고유한 특성들을 차별화함과 동시에 인터뷰, 통계, 수치화 등의 사회과학적 방법을 통해 실생활 및 청소년 교육에 적용 가능한 범위 내에서 연구되어야 할 것이며 이는 앞으로 더욱 연구되어야 할 과제를 남긴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가 종교를 초월하여 현대사회에 필요한 믿음과 신뢰, 배려와 섬김의 가치를 청소년에게 교육하는 데 일조하기를 바란다.

      • KCI등재후보

        중등학생 청소년의 리더십생활기술과 청소년활동 경험과의 관계 분석

        최창욱,신윤호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2 實科敎育硏究 Vol.18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교학생 청소년들의 청소년활동 관련 시설이용경험 및 청소년활동 경험과 청소년 리더십생활기술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 중·고등학교 학생 7,098명을 층화이단계추출법으로 표집하였다. 청소년리더십생활기술 수준 진단도구는 커뮤니케이션기술, 의사결정기술, 인간관계기술, 학습능력기술, 조직관리기술, 자기이해기술, 그룹활동기술 등 7개 하위영역 30개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체 신뢰도는 .94로 높게 나타났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청소년수련시설, 청소년이용시설, 청소년상담시설 등 청소년활동 관련 시설이용을 많이 한 청소년들의 리더십생활기술 수준이 그렇지 않은 청소년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리더십생활기술의 하위영역도 같은 결과를 보였다. 둘째, 청소년들의 경제 및 직업체험활동, 봉사활동, 자치·참여활동, 동아리활동, 교류활동 모두에서 활동경험이 많은 청소년들이 그렇지 않은 청소년보다 청소년 리더십생활기술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즉, 청소년활동 경험이 많은 청소년들이 높은 수준의 리더십생활기술 수준을 보여주었다. 또한 청소년들의 청소년수련시설 및 이용시설, 청소년활동을 수행하는 기타시설들의 활용도를 높일 필요가 있으며, 다양한 활동경험을 제공해줄 필요가 있다. 2009년 개정 교육과정의 창의적 체험활동이 청소년관련 다양한 시설들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프로그램이 운영된다면 더욱 큰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lationship between the secondary youth leadership life skills and their experienced activities. The youth leadership life skills scale was consisted of 30 items(2 items on communication skills, 5 items on decision-making skills, 7 items on skills in getting along with others, 4 items on learning skills, 3 items on management skills, 6 items on skills in understanding by oneself, and 3 items on skills working with groups). Cronbach'⍺ of youth leadership life skills Scale was .94.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7,098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SPSSWIN 12.0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ANOVA and LSD test for post-hoc interpretation were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with a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of .05.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results of ANOVA revealed that experiences of using youth facilities influenced positively on the youth leadership life skills. 2) The results of ANOVA revealed that youth activity experiences influenced positively on the youth leadership life skills.

      • KCI등재후보

        아동과 청소년의 리더십 생활기술에 대한 개인적 변인 및 사회적 지지의 영향

        박재영,김희화 인지발달중재학회 2014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5 No.3

        본 연구는 학년 및 성별에 따라 리더십 생활기술의 차이를 파악하고, 개인적 변인 및 사회적 지지에 따른 아동 및 청소년의 리더십 생활기술 차이를 살펴보고, 학년과 성별에 따라 리더 십 생활기술에 대한 개인적 변인 및 사회적 지지의 상대적 영향력을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 해 초등학교 5학년, 중학교 2학년, 인문계 고등학교 2학년 남녀 587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 사를 실시하고 여기서 회수된 자료를 SPSS 19..0(ver.)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를 살펴보 면 첫째, 청소년이 아동보다 리더십 생활기술이 높고, 여자청소년의 리더십 생활기술이 남자 청소년보다 높았다. 둘째, 자아존중감, 부모지지, 교사지지, 친구지지를 많이 지각하는 아동 및 청소년은 적게 지각하는 아동 및 청소년보다 리더십 생활기술이 높았다. 셋째, 아동 및 청 소년의 성별에 따라 리더십 생활기술을 예측하는 요인이 부분적으로 다르게 나타났다. 자아 존중감, 양성성은 성별 및 학년에 관계없이 리더십 생활기술에 공통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친구지지는 남아 및 남자청소년의 리더십생활기술에만 영향을 미치고 부모지지와 임원경력은 여자청소년의 리더십 생활기술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동 및 청소년의 리더십 생활기술 증진에 필요한 요인을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고, 아동 및 청소년의 리더십 생활기술의 증대안이 성별에 따라 다르게 마련되어야 함을 제안하는데 기여하였다.

      • KCI등재

        현실요법을 적용한 중학생의 리더십생활기술 증진학급단위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이무상,유형근,조용선 한국상담학회 2008 상담학연구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lassroom-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enhancing leadership life skill of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reality therapy and test its effectiveness. To achieve the purpose, the goals and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set provisionally based on the research about leadership life skill and reality therapy, and the program aim of every session was set and a design leadership life skill program was made from surveying of the teachers and middle school students within the range of this study,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constructing classroom-based program from the viewpoint of comprehensive school counseling. To validate the constructed program, two classes at D middle school located in Gangwon were composed of the experimental group(36 students) and the control group(35 students). Constructed program was practiced in 15 session for eight weeks, twice a week, 45 minutes each. The collected data from the experiment was analysed using MANCOVA test, and quantitative analysis the reaction of participants and results of satisfaction test was analysed additionally. As a result, the student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for enhancing leadership life skill through reality therapy made meaningful and positive changes in appreciating leadership life skill.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 program for enhancing leadership life skill gave a opportunity to participate to every student in school activities. 리더십 생활기술은 상호 의존적인 현대 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모든 사람들에게 필요한 실제적인 생활능력과 기술로 특히 청소년기 학생들에게 중요한 발달과업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실요법을 적용한 중학생의 리더십 생활기술 증진 학급단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리더십 생활기술 및 현실요법 관련 연구들을 바탕으로 하여 프로그램 목표와 내용을 설정하였다. 또한 종합적 학교상담 관점에서 학급단위 프로그램을 구성한다는 방향에 따라 연구 대상 범위의 학생들 200명과 교사 81명의 요구조사를 바탕으로 회기별 프로그램의 목표를 설정하였다. 구안된 리더십 생활기술 증진 프로그램은 의사소통기술, 의사결정기술, 인간관계기술, 학습능력기술, 자기이해기술, 집단활동기술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을 위해 강원지역 소재 D학교 두 학급을 대상으로, 한 학급(36명)은 실험집단으로 다른 한 학급(35명)은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여 주 2회기 총 15회기의 프로그램을 운영한 후 리더십 생활기술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현실요법을 적용한 리더십 생활기술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리더십 생활기술과 리더십 생활기술 여러 하위 요인기술 수준에 있어서 의미 있고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냈다.

      • KCI등재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들의 리더십생활기술 실태 분석

        문선영,서원석,이창훈 한국기술교육학회 2014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4 No.1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 practice of Leadership Life Skill(LLS) in Meister High School(MHS). Each subordinate area upon background variables, based on previous studies for youth's LLS, three kinds of demographic variables were set in each gender, age and residential place, and set subordinate areas as communication skills, decision-making skills, human relationship skills, learning ability skills and organization control skills, self-understanding skills and group activity skill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LLS recognized by students in the MHS upon gender showed high in girl students compared with boy students. The practice in each subordinate area in the LLS upon the gender of students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only in the skills of communication, decision-making, human relationship and group activity. Second, the LLS recognized by students in the MHS upon grade showed no big difference. This is judged that overall students' awareness of LLS is high, as the students who passed mental growth for their career choice already in a middle school course have more responsibility for their behavior in family, school and social organization, even in the busy schedule of learning and technical training and the opportunity to exercise their LLS is increased due to interaction with others. Third, the LLS recognized by students in the MHS upon residential area is higher in metropolitan and Young-nam area in degree of positive evaluation than other areas. And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upon residential area such as the skills of communication, decision-making, human relationship and group activity. 이 연구는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의 리더십생활기술 실태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리더십생활기술을 7개 영역(커뮤니케이션 기술, 의사결정 기술, 인간관계 기술, 학습능력 기술, 조직관리 기술, 자기이해 기술, 그룹활동 기술)로 분류하고, 영역별로 총 30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개발한 후, 전국 마이스터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라 마이스터고 학생들이 인식하는 리더십생활기술은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성별에 따라 리더십생활기술의 하위 영역별 실태는 커뮤니케이션 기술, 의사결정 기술, 인간관계 기술, 그룹활동 기술에 따른 차이만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년에 따라 마이스터고 학생들이 인식하는 리더십생활기술은 학년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이미 중학교 과정에서부터 정신적인 성장을 거쳐 온 학생들이 교과 학습과 기능(기술)훈련이라는 바쁜 일정 중에도 가정, 학교, 사회 조직 속에서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감을 더 많이 가졌고,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리더십생활기술을 발휘할 기회가 증가하였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셋째, 거주지역에 따라 마이스터고 학생들이 인식하는 리더십생활기술은 수도권과 영남권 학생들이 다른 지역 학생들보다 긍정적 평가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거주지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기술, 의사결정 기술, 인간관계 기술, 학습능력 기술, 조직관리 기술, 자기이해 기술, 그룹활동 기술 등 모든 영역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 리더십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리더십 생활기술과 성취동기에 미치는 효과

        정의숙,조붕환 한국상담평가학회 2010 상담평가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리더십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리더십 생활기술과 성취동기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대전광역시 M초등학교의 3학년이며, 본 연구자가 담임을 맡고 있는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하였으며 실험집단과 사전검사 결과가 동질한 학급을 통제집단으로 하였다, 검사도구는 리더십 생활기술과 성취동기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며, 실험집단에는 재량활동과 특별활동 시간을 이용하여 주 2회 5주간 총 10회기의 리더십 증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은 사전․사후 검사만 실시하고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더십 증진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리더십 생활기술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리더십 생활기술 하위영역인 학습능력, 의사결정, 집단활동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리더십 증진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성취동기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성취동기의 하위영역인 과업지향성, 자신감, 미래지향성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살펴볼 때, 리더십 증진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리더십 생활기술과 성취동기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며, 따라서 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중학년 학생에게 리더십 생활기술과 성취동기 향상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청소년의 리더십생활기술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성영실,김경아 한국청소년학회 2010 청소년학연구 Vol.17 No.3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ositive variables that can enhance the leadership life skills and the degree of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leadership life skills on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600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576 responses were analyzed after data screening.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1.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the leadership life skills and the degree of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2. It was found that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had direct influence on adolescents` leadership life skills and the degree of life satisfaction. These variables were identified as comparatively important determinants of leadership life skills and the degree of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recommended to develop leadership programs to enhance the degree of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리더십생활기술과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을 고찰하고, 청소년의 리더십생활기술 수준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에 거주하는 중학생 600명에게 자기기입식 설문방식을 이용하여 조사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 576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으며, 자료처리는 SAS 9.1.3 XP플랫폼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첫째, 청소년의 리더십생활기술 수준과 생활만족도 모두 성적이 높을수록 높았으며, 또한 리더십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에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이 높은 집단,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는 집단, 상대적 생활수준 비교감이 높은 집단의 청소년이 그렇지 못한 집단의 청소년보다 리더십생활기술 수준과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가운데 사회적 지지에 의한 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청소년의 리더십생활기술 수준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리더십생활기술 수준이 높아질수록 생활만족도가 더욱 증가한다는 것이 입증되었으므로, 청소년의 리더십생활기술 수준을 높일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고 여긴다.

      • KCI등재

        토론이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張英熙(Jang, Young-hee) 중앙어문학회 2014 語文論集 Vol.57 No.-

        이 연구는 미래의 창조적 리더가 될 학생들이 토론 교육을 통해 토론 능력이 향상되면서 리더십도 강화될 것이라고 보고, 토론 교육이 리더십 생활기술에 어떻게 영향을 끼치는지를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자가 재직하고 있는 대학의 교양과목에서 ‘토론과 대화기법’ 과목을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수강전후의 설문을 Exce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학생들의 일반적 특성을 백분율로 나타내고 리더십 생활기술의 하위영역별 평균값을 산출해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의 리더십 생활기술 하위영역 가운데 자기이해기술, 의사소통기술, 의사결정기술 영역이 높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별 특성에 따른 리더십 생활기술의 차이를 비교해 본 결과 성별에서는 여자가 남자에 비해 사전의 리더십 생활기술 평균값이 학습능력기술을 제외하고 모두 높았으며 사후 대부분 향상되었으나 학습능력기술과 인간관계기술에서는 일치하지 않았다. 학년에서는 자기이해기술, 의사소통기술, 의사결정기술 3가지 영역에서 학년과 상관없이 높아졌다. 학업성취도에서는 학업성취도가 상인 학생이 학업성취도가 중과 하인 학생들보다 높았지만, 사후 변화한 평균값에서는 일관되지 않았다. 교우관계에서는 리더인 학생들이 높게 나타났으나 팀원인 학생들의 의사소통기술의 평균값이 높게 변화하였다. 조사대상에서 대학생활 환경에 따른 개인의 내적 변화와 대학교육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여러 변인에 대한 것은 배제하였다. 앞으로 토론 강의에 참여한 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집단 간의 비교연구와 개인의 특성에 따른 변인을 보다 세분화, 다양화 하는 등의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고 계속 연구해 나갈 계획이다. The Debate Education is an effective method of honing mature civic awareness and leadership at the same time. This study mainly focused on the hypothesis that the improvement of debate education contribute to leadership and how debate education empirically influence on the leadership life skills. The survey was conducted in one of classes, the researcher is attending, an elective course, ‘Debate and Communication skills’. The questionnaire before and after class was demonstrated with Excel and general characteristic was converted into percentage. The skills of leadership’s comparative analysis was calculated based on the average of low rank parts. The summary of the survey is below. 1. Among the students leadership components, self-understanding, communication skills, decision making skills were improved. 2. The average leadership skills in females is higher than in males except learning ability. Almost all parts performed improvement except learning abilities and human relationship. 3. Self-understanding, communication skills, decision making skills were improved in a grade. 4. In an academic achievement, the average of the searched parts for A students performed better than B, and C students. However, the average of after class was not reliable. 5. Leaders showed higher results in a relationship, the average of teammates’ communication skills showed higher. The exception was variables of changing of University education system, and personal inner change. This study requires detailed categories and discussion in depth.

      • KCI등재

        아동의 정서지능과 리더십생활기술과의 관계

        윤지영 ( Ji Young Youn ) 대한아동복지학회 2005 아동복지연구 Vol.3 No.3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특성에 따라서 리더십생활기술의 수준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아동의 정서지능과 리더십생활기술과의 관계를 연구하여 정서지능이 가정, 학교 등 일상생활에서 발휘되는 아동의 리더십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생 12, 13세에 해당하는 초등학교 5, 6학년 과정에 있는 아동을 말하며, 조사 대상은 총 350명이며, 이 중 330부가수거되었고, 기재가 부실하고 누락된 질문지를 제외한 312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SPSS WI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Cronbach α, T-test, ANOVA, Pearson의 상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특성에 따른 리더십생활기술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아동의 성별, 성적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아동의 학년, 직책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정서지능과 리더십생활기술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리더십생활기술 전체와 정서지능 전체는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서, 아동의 정서지능이 높을수록 리더십생활기술 수준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하위요인별로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거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논의 및 결론을 통해 본 연구의 제안점과 후속연구를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제안점으로는 본 연구가 서울, 경기도 내 일부 지역에 국한된 적은 수의 대상에서 얻은 결과이기 때문에 확대하여 해석하는 데는 무리가 따를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앞으로 후속연구에서는 아동의 리더십생활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된 연구와 우리나라의 문화적 환경에 맞게 개발된 아동의 리더십 척도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children`s leadership life skill according of child`s characteristics(sex, grade, record, duty), and the relationship of children`s leadership life skill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 subjects were 312 children of 5-6 grade in elementary school lived in Seoul and Gyeonggi-do. The data was analyzed by SPSS WIN computer program. Cronbach a,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es were perform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of children`s leadership life skill according of child`s sex and record, but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of children`s leadership life skill according of child`s grade, duty.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leadership life skill and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intelligence was the prediction variable in children`s leadership life skill.

      • 청소년 동아리활동이 리더십생활기술에 미치는 영향

        최창욱,김정주,송병국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05 미래청소년학회지 Vol.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leadership life skills' relationship with youth circle activities participation variable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youth circle activities participation on the leadership life skills.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1,814 stud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s, and 1,808 responses were analyzed after data screening. The SPSS for Window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OVA, optimal scaling regression, and LSD test for post-hoc interpretation were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with a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of .0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ANOVA and t-test revealed that 7 youth circle activities patricipation variables(participating circle numbers, circle types, years in circle, leader or not in that circle, level of participation, level of satisfaction, level of supporting) influenced the youth leadership life skills. Second, As a result of optimal scaling regression analysis, these 7 variables accounted for 11.8% of the variance of youth leadership skills. And among these 7 variables, level of participation, level of supporting, and years in circle were identified as the comparatively important determinants of youth leadership life skills.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동아리활동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청소년 동아리활동 참여와 리더십생활기술의 차이를 검증하고, 청소년 동아리활동 참여가 리더십생활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 연구의 대상은 동아리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전국의 중·고등학교 청소년 1,808명이었다. 성별로는 남자 34.8%, 여자 64.8%이었고, 학교급별로는 중학교가 30.4%, 인문고가 44.3%, 실업고가 22.3%였다. 지역별로는 서울특별시가 32.6%, 광역시가 25.1%, 중소도시가 30.9%, 군지역이 10.6%였다. 조사도구는 청소년 동아리활동 참여관련 조사도구와 리더십생활기술 조사도구로 구성되어 있다. 청소년 동아리활동 참여관련 조사도구는 동아리수, 동아리 종류, 동아리 가입기간, 동아리 임원여부, 동아리 참여정도, 동아리활동 만족정도, 외부의 동아리활동 지원정도 등 7개로 설정하였다. 청소년 리더십생활기술 조사도구는 최창욱(2001)의 연구에서 개발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 및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한 동아리수가 많고, 비공식/사이버동아리 참여하며, 가입기간이 길고, 임원 경험이 있으며, 동아리 참여에 적극적이고 동아리활동에 만족하고 있으며, 동아리활동에 대한 지원이 많은 동아리에 참여하는 청소년 집단이 그렇지 않은 청소년 집단에 비하여 리더십생활기술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 동아리활동 참여 관련 변수인 활동 동아리수, 동아리 종류, 동아리 가입기간, 동아리 임원여부, 동아리 참여정도, 동아리활동 만족도, 외부의 동아리활동 지원정도 등 총 7개의 변인군에 의해 종속변수인 리더십생활기술 수준의 총 변량의 11.8%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입된 설명변수의 종속변수에 대한 영향력은 열성적으로 참여하고, 외부의 지원이 많은 동아리에 참여하고, 가입기간이 긴 청소년들의 리더십생활기술에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 동아리활동을 통하여 청소년의 리더십생활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청소년들이 열성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동인을 제공해야 하고, 이를 위한 지원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