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팀 내 사회적 관계와 네트워크 특성이 리더신뢰에 미치는 영향

        이기현(Kihyun Lee),오홍석(Hongseok Oh),정명호(Myung-Ho Chung) 한국인사조직학회 2016 인사조직연구 Vol.24 No.1

        리더신뢰는 현대 조직에서 구성원들이 자신들에게 부여된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리더가 제시하는 성과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노력하도록 만드는 중요한 요소이다. 지금까지 리더신뢰에 대한 연구는 리더와 구성원의 개인적 특성, 리더-구성원 간 사회적관계, 그리고 팀과 조직의 공식적 맥락에 초점을 둔 반면, 사회구조적 요인이 리더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연구는 제한적이었다. 신뢰는 신뢰주체(trustor)에게 신뢰대상(trustee)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며, 이러한 사회적 상호작용에는 신뢰주체-신뢰대상 간 양자관계뿐 아니라 제3자와의 관계와 그러한 관계들이 배태되어 있는 사회적 구조까지도 포함한다. 즉 신뢰는 본질적으로 사회적 현상이므로 사회적 구조를 통해서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리더-구성원 간 사회적 관계, 그리고 팀 리더와 구성원들이 함께 배태되어 있는 사회적 구조를 반영하는 리더의 네트워크 중심성과 팀 네트워크 밀도를 다수준(multi-level)적 관점에서 함께 고려함으로써 리더신뢰가 형성되는 과정을 이론화하고 검증하였다. 4개의 국내 설계디자인 회사에 소속된 651명(팀장 96명, 팀원 555명)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위계선형모형(HLM: hierarchical linear modeling)을 통해 분석한 결과, 리더-구성원 간 사회적 관계, 리더의 네트워크 중심성, 팀 네트워크 밀도는 모두 리더신뢰를 유의하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의 연구에서 강조 되었던 리더-구성원 간 사회적 관계뿐 아니라 사회적 구조도 리더신뢰의 중요한 선행요인이 될 수 있다고 강조하였던 본 연구의 이론적 모형이 타당하다는 것을 입증하는것이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의의와 실무적 의의, 연구의 한계, 그리고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rust in leadership is important because it makes followers willing to accept the leader’s goals, activities and decisions and then work hard to achieve them. Previous studies on the antecedents of trust in leader have primarily focused on a set of individual attributes and relationships between a leader and his or her followers, but have rarely considered team-level social contexts. Trust in leader is inherently social in that team-level social contextual variables provide more direct environments within which a leader and followers are embedded. Thus, we adopt a social network perspective to theorize on and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contexts on trust in leader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ocial characteristics on trust in leaders, we take a close look at leaders’ network positions and the team network density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a leader and a follower. A field study involving 555 followers and 96 team leaders representing four Korean companies provided the evidence that social relationship and network characteristics are related to trust in leader. As hypothesized, the social relationship between a leader and a follower, the leader’s network centrality, and the team network density were positively related to trust in the leader.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for theory and practice are discussed.

      • KCI등재

        리더신뢰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내재적 동기부여의 매개효과와 리더동일시의 조절효과

        이철우 한국산업경제학회 2018 산업경제연구 Vol.31 No.6

        As trust among organizational members becomes an important factor of organizational competitiveness, the need for trust research is increasing.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intrinsic motiv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 trust and job performan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leader identific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 trust and intrinsic motivation. The results of the hypothesis tes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eader trust has a positive (+) influence on job performance. Second, intrinsic motivation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 trust and job performance.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 trust and intrinsic motivation, leader identification has a moderating effec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leader trust study is extended by demonstrating the moderating effect of leader identification on the influence of leader trust in the process of affecting job performance through mediating effect of intrinsic motivation. As a follow-up study, it is suggest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ous types of trusts and personal effectivenes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e effects of trust at the team level are needed. 조직 구성원들 간의 신뢰가 조직 경쟁력의 중요한 요소가 되면서 신뢰연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리더신뢰와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내재적 동기부여의 매개효과와 리더신뢰와 내재적 동기부여 간의 관계에서 리더동일시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정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리더신뢰는 직무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내재적 동기부여는 리더신뢰와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리더신뢰와 내재적 동기부여 간의 관계에서 리더동일시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로 리더신뢰가 내재적 동기부여를 매개하여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리더신뢰의 영향력을 조절하는 변수로 리더동일시의 조절효과를 실증하여 리더신뢰 연구를 확장시켰다는 점이며 후속연구로 다양한 신뢰유형이 개인효과성 및 조직효과성과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 아울러 팀 수준에서는 신뢰의 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제안한다.

      • KCI등재
      • KCI등재

        리더 신뢰성이 리더에 대한 신뢰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리더 공정성 및 리더 개방성의 조절효과

        김수(Xiu Jin),이태식(TaeSik Rhee),함상우(SangWoo Hahm) 대한경영학회 2018 大韓經營學會誌 Vol.31 No.3

        IT의 급속한 발전과 4차 산업 혁명 시대에 조직 내 인간과 인간관계의 중요성이 여전히 강조되고 있다. 조직 내 인간관계 중 리더와 구성원의 관계는 조직성과와 밀접한 관련성을 지닐 것이다. 특히 리더와 구성원의 관계에서 구성원이 리더를 신뢰하게 된다면 조직성과는 보다 향상될 것이다. 이 연구는 리더신뢰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설명하였다. 이를 위해 구성원이 인지하는 다양한 리더의 신뢰성의 역할과 관련성을 입증하였다. 먼저 리더신뢰의 향상방안으로 구성원이 인지하는 리더의 능력, 성실성, 선의 역할에 초점을 두었다. 그리고 리더신뢰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직몰입과의 관련성을 설명하였다. 또한 리더신뢰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증대시키는 방안으로 구성원이 인지하는 리더의 공정성과 리더 개방성의 역할을 조절효과를 통해 설명하였다. 그래서 구성원이 인지하는 다양한 리더의 신뢰성들이 리더신뢰와 어떠한 관련성을 지니며 조직몰입과 같은 성과를 향상시키는지를 입증하였다. 이를 위해 중국 내 국유기업의 8개 산업분야에 종사하는 213명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구성원이 인지하는 리더의 신뢰성인 리더의 능력, 성실성, 선의는 모두 리더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리더신뢰도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 세 가지 리더의 신뢰성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리더신뢰는 모두 유의한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리더신뢰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리더 공정성과 리더 개방성은 모두 리더신뢰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는 중국 국유기업의 상황에서 리더신뢰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리더가 지녀야 할 리더의 신뢰성이 무엇인지를 제시하였다. 또한 리더신뢰의 효과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안들이 무엇인지를 설명하였다. 리더는 성과와 관련하여 신뢰의 중요성을 인지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구성원에게 신뢰받기 위해 노력하고, 그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지녀야 할 리더의 신뢰성들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할 필요가 있을 것을 제시하였다. Even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IT and the emergenc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importance of human resources and human relations in the organization remain paramount. The na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 leader and the members of an organization is crucial to overall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particular, if the members trust their leader, organizational performance will be greatly improved. Trust in Leaders leads to collaborative relationships and better and more effective solutions when members are faced with uncertainty. This stud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rust in leaders and explains ways to improve it. We demonstrated the role and relevance of leader trustworthiness that are perceived by members as being those of leaders. First, we focus on leaders ability, integrity, and benevolence, three key factors through which members’ level of trust in their leader may be improved. Further, we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in a leade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ddition, we also explained the roles of leader fairness and leader openness, factors that members perceive can have a moderating effect which increases the influence of trust in leader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is established that a leader trustworthiness determine how much they are trusted as leaders, and that higher levels of trust in a leader can improve performance in areas such as organizational commitment. We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f 213 employees in eight industries of state - owned enterprises in China. The results showed that a leaders ability, integrity, and benevolence, which were perceived as the characteristics of a leader by the members, could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levels of trust in leaders. In addition, trust in a leader had a significant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hree factor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Moreover, both leader fairness and leader openness have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in a leade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uggested what characteristics a leader should possess in order to improve how much they are trusted in the context of state - owned enterprises in China. They also explain how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rust in a leader. Leaders should be aware of the importance of trust for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should strive to be trusted by organizational members. Further leaders, need to understand and use these characteristic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rust. [그림 본문 참조]

      • KCI등재

        경찰관의 리더신뢰와 조직몰입의 관계 분석

        송병호,성용은 한국경찰연구학회 2005 한국경찰연구 Vol.4 No.2

        이 연구는 경찰관의 리더에 대한 신뢰와 경찰관의 조직몰입의 특성을 살펴보고, 경찰관의 리더신뢰와 조직몰입의 관계와 리더신뢰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덧붙여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경찰관의 조직몰입을 향상시키기 위한 리더에 대한 신뢰증진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조사대상 경찰관의 리더에 대한 신뢰와 조직몰입의 양자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경찰관의 성별과 근무기간에 따라서 경찰리더에 대한 신뢰의 정도가 달랐으며, 경찰관의 성별과 입직경로에 따라 조직몰입의 정도가 달랐다. 둘째, 경찰관의 리더에 대한 신뢰와 조직몰입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경찰관의 리더에 대한 신뢰는 조직몰입의 유형에 따라 그 미치는 영향이 달랐는데, 즉 정서적 몰입보다는 규범적 몰입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경찰관의 경찰리더에 대한 신뢰는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경찰관이 리더의 신뢰정도가 강할수록 소속된 경찰관의 조직몰입은 증가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경찰리더가 경찰관에게 공정하게 대한다고 느낄수록, 부하를 속여 자신의 이익을 탐하지 않을 것이라고 느낄수록, 성실하다고 느낄수록, 업무추진능력이 확실하다고 느낄수록, 또한 열린 마음으로 대화를 나눈다고 느낄수록 리더를 강하게 신뢰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렇듯 경찰관은 리더에 대한 신뢰감을 많이 가질수록, 리더에 대해서 충성심을 가지고 어떤 위기상황에도 리더를 지지하며 더욱 조직에 몰입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경찰리더는 부하직원에 대한 공정한 태도와 대우, 솔선수범, 의사결정의 공정성 확보를 통해서 부하들로부터 더 많은 신뢰를 받아 부하직원의 조직몰입을 향상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업무성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is study examines an availability of police officer's confidence to their leader in enhancing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members in an the organization by analyzing the effects of their confidence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whether it be proper and practical for the police officer's confidence to their leader to apply Korea police organization, by actual works for investigation. It makes the following hypotheses to analyze the research model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at is the leader's trust will play a mediatorial role in the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alysis work is based on SPSS 10.0 program. The frequency analyses ware obtained in order to find general character of the repliers for feasible grade of questionnaire. Factor-analysis was obtained to prove reliability for feasible grade of questionnair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was obtained to find confidence. In order to prove effects of the adjusting variable in process of police officer's confidence to their leader, multiple-regression analysis to prove effects of the assumption analysis, correlation-analysis to find any connecting of assumptions between police officer's confidence to their leader and the performance of police organization were performed accordingly. And reliability test and ANOVA analysis for statistical experimental design was carried out. In summarizing results of this study, the effects of police officer's confidence to their leader for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should be considered and more considerations and concerns should be given to office workers and general employee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recogniz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data and hypotheses. The concerns on the police officer's Confidence to their leader should be given to enhanc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members in an organization. Considering that the police officer's confidence to their leader was influenced greatly by the inspirational motivation, leaders must research more and more obtain reliability and a leader's intellectual ability. And Leaders are not occupied by what they may individually bargain for as a result of the crisis. Rather, Leaders are motivated to succeed beyond their immediate self-interests and to achieve the goals of organizational survival and prosperity.

      • 원장의 코로나19 관리리더십이 영유아교사의 조직몰입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리더에 대한 신뢰의 매개효과

        홍은영,이소은 한국아동학회 2021 한국아동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1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원장의 코로나19 관리리더십이 영유아교사의 조직몰입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리더에 대한 신뢰의 매개효과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전국의 영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국공립유치원 및 사립유치원, 국공립어린이집 및 민간어린이집 교사에게 설문을 실시하여 총 365부의 설문응답을 자료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연구도구의 내적합치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신뢰도 계수(Cronbach’s α)를 산출하였으며, AMO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모형의 검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모형의 적합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독립변수인 코로나19 관리리더십이 리더에 대한 신뢰를 매개로 종속변수인 조직몰입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직접효과, 간접효과 및 총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유아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코로나19 관리리더십, 리더에 대한 신뢰, 조직몰입, 직무스트레스의 관측변인들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90이상의 높은 상관을 보이는 관측변인이 없어 변인들 간의 다중공선성 문제는 없었다. 둘째, 리더에 대한 신뢰가 원장의 코로나19 관리리더십과 영유아교사의 조직몰입, 직무스트레스를 매개하는지에 대한 구조모형 분석은 구조모형 적합도 기준을 충족하였다. 셋째, 원장의 코로나19 관리리더십은 리더에 대한 신뢰(β=.918, p<.05)에 직접 영향을 미쳤으나 조직몰입에 대한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고, 리더에 대한 신뢰를 통한 간접효과(β=.787, p<.05)와 총효과(β=.819, p<.05)는 유의하였다. 이는 원장의 코로나19 관리리더십이 영유아교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리더에 대한 신뢰가 완전매개 역할을 함을 의미한다. 넷째, 원장의 코로나19 관리리더십은 리더에 대한 신뢰(β=.918, p<.05)에 직접 영향을 미쳤으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고, 리더에 대한 신뢰를 통한 간접효과(β=-.827, p<.05)와 총효과(β=-.740, p<.05)는 유의하였다. 이는 원장의 코로나19 관리리더십이 영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리더에 대한 신뢰가 완전매개 역할을 함을 의미한다. 결론: 본 연구는 코로나19 관리리더십이 리더에 대한 신뢰를 매개로 영유아교사의 조직몰입과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의 조직몰입과 직무스트레스에 원장의 리더십이 의미 있는 작용을 하기 위해서는 영유아교사의 리더에 대한 신뢰가 전제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 상호작용 공정성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홍권표(Kwonpyo Hong) 대한경영학회 2016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Vol.2016 No.1

        본 연구는 내부 구성원들의 행동과 그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 및 의식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바 구성원들의 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 중 리더의 상호관계에 기반한 공정성, 리더신뢰, 서번트 리더십을 중심을 규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위치한 기업 및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430부 중 355부를 분석하였다. 최근 많은 이슈가 되고 있는 서번트리더십을 기존의 리더관련 변수들과 연계해 분석한 점, 조직시민행동을 관계지향 조직시민행동과 도전지향 조직시민행동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점, 독립변수로 주로 연구되는 서번트 리더십을 리더관련 변수의 조절변수로 검증한 점 등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구의 결과로는 첫째, 상호작용 공정성은 리더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호작용 공정성은 관계지향 조직시민행동에 (+)의영향을미치는것으로나타났다. 셋째, 상호작용 공정성은 도전지향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리더신뢰는 관계지향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리더신뢰는 도전지향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리더신뢰는 상호작용 공정성과 관계지향 조직시민행동 사이에 완전매개효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리더신뢰는 상호작용 공정성과 도전지향 조직시민행동 사이에 완전매개효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여덟째, 서번트 리더십은 리더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상호작용 공정성과 리더신뢰의 관계에 있어 서번트 리더십은 조절효과를 보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경쟁모형을 통해 리더신뢰와 관계지향(또는 도전지향)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 있어 서번트 리더십이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연구의 말미에는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주요한 연구의 시사점 중 학문적 시사점은 앞서 적시한 연구의 의의와 같고, 경영 실무적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조직시민행동을 높이기 위해 리더의 공정한 상호작용이 필요하며 이는 리더의 신뢰를 매개로 하여 그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에 리더로 하여금 신뢰를 위해 전정성에 기반한 공정한 상호작용을 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리더의 신뢰를 높이기 위해 서번트 리더십을 발휘할필요도 있을 것이다. 이는 서번트 리더십이리더의 신뢰를 기반으로한 조직시민행동을 유발하는 것으로도 알 수 있다. 한계점으로는 횡단연구가 가지는 문제, 데이터의 공통방법편의 문제 등이 존재한다.

      • KCI등재

        리더의 감성지능과 구성원의 리더신뢰, 조직몰입 및 직무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곡민,김경수,최수정 한국기업경영학회 2014 기업경영연구 Vol.21 No.6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exploring the effects of a leader's emotional intelligence (EI) on followers' attitude toward organization and performance. Previous studies indicate that leaders with a high level of EI can not only manage followers more effectively, but also lead them toward the direction for increas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this sense, we put our focus on leader EI and examine how it influences followers’ attitudes and behavi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ree-fold. First, we examine whether leader EI is associated with followers’ trust in leaders. In this study, leader EI is conceptualized as a multi-dimensional concept consisting of four sub-constructs, such as self-emotional appraisal (SEA), others' emotion appraisal (OEA), regulation of emotion (ROE), and use of emotion (UOE). Moreover, followers’ trust in leaders is categorized into two sub-constructs, that is, cognition-based trust and affect-based trust. Second,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wo types of follower trust in leaders are related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Finally, the study ver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To evaluate the proposed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we conducted a PLS(Partial Least Squares) analysis, using a total of 128 data collected on employees working for local banks located in Gwangju.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ur results show that except SEA, the other three sub-dimensions of EI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gnition-based trust and affect-based trust. More specifically, when a leader has the ability of using his or her emotions to motivate followers to achieve the organizational goal (i.e., UOE), followers' cognition-based trust is greatly increased. In contrast, the most influential dimension of EI for followers' affect-based trust is ROE that refers to a leader's ability of regulating his or her emotions effectively. These findings provide an academic implication by showing that sub-constructs of EI are associated with two types of follower trust in leaders, which remains uncovered. Second, two types of follower trust (i.e., emotion- and cognition-based trust) in leaders contribute to increase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That is, cognition-based trust is strongly related to job performance whereas affect-based trust is strongly related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o increase followers' job performance, it is essential that leaders build cognition-based trust with followers. In contrast, to increase follow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leaders should attempt to establish affect-based trust with followers. Finally,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siderably increases job performance. In our study, almost 60 percentage of the variation of job performance is explained by the three variables namely, organizational commitment, cognition-based trust and affect-based trust. Overall, our results provide an empirical evidence for the assertion that a leader’s EI plays a key role in enhancing two types of follower trust in leader i.e., cognition- and affect-based trust, which in turn lead to increase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리더와 구성원의 관계에서 리더의 감성지능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높은 수준의 감성지능을 보유한 리더가 조직구성원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조직유효성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구성원들을 동기 부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리더의 감성지능에 초점을 맞추고, 리더의 감성지능이 구성원에게 미치는 영향들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리더의 감성지능을 네 가지 하위차원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차원이 구성원의 리더신뢰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는 구성원의 리더신뢰를 인지기반신뢰 및 감성기반신뢰의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신뢰가 조직몰입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개별적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제안된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하여 PLS 분석을 이용하였으며, G지역에 소재한 지역은행 지점들에서 근무하는 직원들로부터 수집된 128개의 데이터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첫째, 리더의 감성지능의 하위차원 중에서 자기감성이해를 제외한 타인감성이해, 감성조절능력, 감성활용능력은 모두 인지기반신뢰와 감성기반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지기반신뢰와 감성기반신뢰는 조직몰입과 직무성과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조직몰입은 직무성과를 상당히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리더신뢰와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리더동일시의 조절효과 검증

        이철우 ( Lee Chul Woo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3

        현대조직에서 유연한 조직으로의 변화는 성과중심적인 경쟁을 유발시켜 조직 구성원들 간의 신뢰를 어렵게 만들기에 조직 내에서 신뢰연구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리더신뢰를 인지적 신뢰와 정서적 신뢰로 구분하여 리더신뢰, 조직시민행동, 리더동일시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인지적 신뢰는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둘째, 정서적 신뢰는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인지적 신뢰와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정서적 신뢰는 완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서적 신뢰와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리더동일시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로 리더신뢰 연구에서 기존에 다루어지지 않은 조절변수인 리더동일시를 설정하여 리더신뢰가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실증한 점이며 후속연구로 조직수준에서 신뢰의 효과를 검증하는 조직신뢰,조직시민행동,조직동일시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제안한다. The change from a modern organization to a flexible organization leads to performance-oriented competition, making trust among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difficult, and the importance of trust research in the organization is increasing.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 trus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leader identification was verified by separating leader trust into cognitive trust and affective tru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gnitive trust has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econd, affective trust has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rd, affective trust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trus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ive trus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leader identification has a moderating effect.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e process by which leader trust affect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by establishing leader identification, a control variable that has not been addressed previously in leader trust research and the follow-up study suggest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trus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which verifies the effect of trust at the organizational level.

      • KCI등재

        리더의 온정리더십, 리더신뢰, 조직신뢰 그리고 고객지향성과의 구조적 관계: 5성급 프랜차이즈 호텔을 대상으로

        신동진,박동연,이동철 한국호텔관광학회 2022 호텔관광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호텔종사원들이 인식하는 리더의 온정리더십이 리더신뢰와 조직신뢰를 통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도출한 5개의 연구가설을 토대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또한, 서울 및 경기에 위치한 5성급 프랜차이즈 호텔에서 근무하는 있는 273명의 호텔종사원으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사용하여 설정된 가설과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신뢰성과 타당성이 확보된 척도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호텔기업에서 리더의 온정리더십은 리더신뢰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정리더십은 조직신뢰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리더신뢰는 조직신뢰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리더신뢰는 고객지향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조직신뢰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호텔 기업에서 리더가 온정리더십을 발휘함으로써 직원들의 리더와 조직에 대한 신뢰를 쌓을 수 있고 이를 통해 직원들의 고객지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실무적 제언을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리더의 온정리더십을 호텔 기업의 맥락으로 확대하였으며, 실증분석을 통해 리더의 온정리더십이 호텔 기업 인적자원관리에 효과적인 역할을 한다는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환대관광 학문분야의 발전에 기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