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미국 내 한국 여성의 성 착취 목적의 인신매매와 밀입국: 뉴욕시와 뉴저지 지역 사례 연구
성용은(Sung, Yong Eun) 한국범죄심리학회 2016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2 No.4
이 연구의 목적은 미국 내 한국 여성의 성 착취 목적의 인신매매와 밀입국에 대한 실증 조사연구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책적 제언을 하는 것이다. 이 연구조사를 위해서 미국내 한인 성매매 여성, 성 구매 남성, 여성인권 NGO 직원 및 현지 경찰, 학계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뉴욕시와 뉴저지 지역에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첫째, 일반 성매매 여성의 평균 연령(32.4세)은 인신매매 관련 피해여성의 평균 연령(36.6세)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80% 이상의 여성이 전문대학교 이상을 졸업하고, 70% 이상이 한국 국적을 소지하고 있었다. 둘째, 성매매 여성의 일부는 한국에서의 빚을 갚기 위해 입국비용까지도 빚을 내어 미국으로 입국한 경우도 있었으며, 학생신분의 비자(F-1)를 발급받아서 유흥업소에 종사 하면서 성매매를 하는 경우도 많았다. 셋째, 대체로 친구나 지인에 의한 네트워크와 인터넷 성매매 구인사이트에 의해 성매매 유입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넷째, 성매매 여성은 하루 약 10-11시간 일을 하며, 열악한 업무환경에 처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섯째, 미국 비자면제프로그램이 시행된 이후 한국 여성의 미국 성산업 유입이 더욱 용이해지고 있었다. 마지 막으로 미국 내 한인 여성의 성 착취 목적의 인신매매 감소를 위한 정책적 제언과 이 연구의 한계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n empirical research on the human trafficking for sexual exploitation and smuggling of Korean Women in the United States and to provide a policy implication based on the findings.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using methods of interview investigation with Korean prostitute, Korean Men who payed sex, staffs of Women Rights NGO and police officers, and academia professionals in New York City Metropolitan and New Jersey. The findings show that: 1) the average age of prostitute was 31.4 years old and the average age of sexual exploitation of Women was 36.6 years old; over 80% of prostitute finished a college level education; over 70% of prostitute have a Korean citizen; 2) some prostitute came to the United States for paying their debt; the numbers of prostitute hold a student visa (F-1) status in order to work in the Sex Industry in the United States; 3) majority of prostitute was recruited by friends and/or acquaintance and by online advertising for recruiting the sex worker; 4) the average duty hours of prostitute was 10-11 hours and they was under a poor work environment; 5) Visa Waiver Program have facilitated the human trafficking for sexual exploitation and smuggling of Korean Women in the United States. Lastly, the study concluded with a discussion of the implications for reducing the human trafficking for sexual exploitation and smuggling of Korean Women in the United States and a discussion of limitations of the current research.
성용은(Sung Yong Eun) 한국범죄심리학회 2005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 No.1
범죄두려움이란 범죄에 대한 불안감, 공포심으로, 이는 사회성원들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에 있어서 직접적으로 중요한 사항이 된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범죄두려움의 중요성에 주목을 하여 범죄의 두려움 중에서도 여성을 대상으로 발생되는 여성의 경찰활동에 대한 인식과 성범죄두려움의 특성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첫째, 여성의 성범죄두려움 특성을 분석하고, 둘째, 여성의 성범죄두려움과 성적괴롭힘을 포함한 성범죄피해경험의 관계와 그 영향, 마지막으로 경찰활동에 대한 여성의 인식이 성범죄두려움과 어떠한 관계가 있고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사실의 발견을 위한 양적인 연구방법으로서 현실 분석적이며, 기술적인 연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서울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일반여성 208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BR> 이 연구의 분석결과 여성의 성범죄두려움은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상황에 따라서 정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여성의 성범죄두려움에 대한 선행연구에서는 포함되지 않았던 성적괴롭힘(언어적, 시각적, 신체적)을 성범죄피해 경험에 포함시키고 그 피해기간을 이제까지 살아오면서 경험한 모든 성범죄피해 경험으로 알아본 결과, 여성이 성범죄피해를 많이 경험할수록 성범죄두려움은 증가하게 된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여성의 경찰활동에 대한 인식은 성범죄두려움과 관계가 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연구는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여성 208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한 것이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special character of women"s fear of sexual offense and cognition of police ope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fear of sexual offense and to prove whether it can be proper and practical for analysis the special character of fear of sexual offense and cognition of police operation by women. And this study handle the fact of women"s experience of sexual offense which contain the sexual harassment to the women, and it is very frequently occurred in women"s routine activity area.<BR> It makes the following hypotheses to analyze the research model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Reviewing the model of fear of crime will make it easy to understand the fear of sexual offense. The model of fear of crime is divided into the victimization perspective and social control perspective.<BR> Analysis work is based on SPSS 12.0 program. The frequency analyses ware obtained in order to find general character of the repliers for feasible grade of questionnair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was obtained to find confidence. In order to prove effects of the adjusting variable in process of women"s fear of sexual offense and cognition of police operation, regression analysis to prove effects of the assumption analysis, correlation-analysis to find any connecting of assumptions between the fear of sexual offense and the fear of sexual offense were performed accordingly, and correlation-analysis to find any connecting of assumptions between women"s cognition of police operation and the fear of sexual offense were performed accordingly. And reliability test and ANOVA analysis for statistical experimental design was carried out.<BR> In summarizing results of this study, the fear of sexual offense should be considered and it should be influenced by women"s experience of sexual offense that through the all her life. And the concerns on the fear of sexual offense should be influenced by women"s cognition of police operation.
성용은(Sung Yong Eun) 한국범죄심리학회 2006 한국범죄심리연구 Vol.2 No.1
범죄두려움이란 범죄에 대한 불안감, 공포심으로, 이는 사회성원들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에 있어서 직접적으로 중요한 사항이 된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범죄두려움의 중요성에 주목을 하여 범죄의 두려움 중에서도 여성을 대상으로 발생되는 여성의 경찰활동에 대한 인식과 성범죄두려움의 특성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첫째, 여성의 성범죄두려움 특성을 분석하고, 둘째, 여성의 성범죄두려움과 성적괴롭힘을 포함한 성범죄피해경험의 관계와 그 영향, 마지막으로 경찰활동에 대한 여성의 인식이 성범죄두려움과 어떠한 관계가 있고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사실의 발견을 위한 양적인 연구방법으로서 현실 분석적이며, 기술적인 연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서울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일반여성 208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BR> 이 연구의 분석결과 여성의 성범죄두려움은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상황에 따라서 정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여성의 성범죄두려움에 대한 선행연구에서는 포함되지 않았던 성적괴롭힘(언어적, 시각적, 신체적)을 성범죄피해 경험에 포함시키고 그 피해기간을 이제까지 살아오면서 경험한 모든 성범죄피해 경험으로 알아본 결과, 여성이 성범죄피해를 많이 경험할수록 성범죄두려움은 증가하게 된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여성의 경찰활동에 대한 인식은 성범죄두려움과 관계가 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연구는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여성 208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한 것이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special character of women"s fear of sexual offense and cognition of police ope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fear of sexual offense and to prove whether it can be proper and practical for analysis the special character of fear of sexual offense and cognition of police operation by women. And this study handle the fact of women"s experience of sexual offense which contain the sexual harassment to the women, and it is very frequently occurred in women"s routine activity area.<BR> It makes the following hypotheses to analyze the research model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Reviewing the model of fear of crime will make it easy to understand the fear of sexual offense. The model of fear of crime is divided into the victimization perspective and social control perspective.<BR> Analysis work is based on SPSS 12.0 program. The frequency analyses ware obtained in order to find general character of the repliers for feasible grade of questionnair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was obtained to find confidence. In order to prove effects of the adjusting variable in process of women"s fear of sexual offense and cognition of police operation, regression analysis to prove effects of the assumption analysis, correlation-analysis to find any connecting of assumptions between the fear of sexual offense and the fear of sexual offense were performed accordingly, and correlation-analysis to find any connecting of assumptions between women"s cognition of police operation and the fear of sexual offense were performed accordingly. And reliability test and ANOVA analysis for statistical experimental design was carried out.<BR> In summarizing results of this study, the fear of sexual offense should be considered and it should be influenced by women"s experience of sexual offense that through the all her life. And the concerns on the fear of sexual offense should be influenced by women"s cognition of police operation.
대학생의 성인지 감수성이 위력 성폭력 인식에 미치는 영향
김성현,임광현,성현준,성나경,김성희,김광수,이수정 한국경찰연구학회 2019 한국경찰연구 Vol.18 No.4
This study investigated how undergraduate students’ gender sensitivities influence on perception of sexual violence in positions of power imbalance with providing questionnaires contain scenarios described sexual violence in positions of power imbalance, and sub-questions. Scenario ‘A’ and ‘B’ consisted of a situation with a boss asking to have sexual intercourse with a junior temporary employee, who did several times after refusing to do so. Participants answered the degree of victim’s responsibility, certainty for guilty judgment, victim’s suffering, and sentencing on criminalization after reading each scenario. Scenario ‘C’ and ‘D’ were add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scenarios used. They described child sexual violence by authority figure cases in which anyone would understand victim’s suffering, and not blaming victim. To explore, participants from university in Kyonggi, who attended for liberal art lecture, were asked to read scenarios(two for sexual violence in positions of power imbalance and two for child sexual crime), and to fill in the questionnaire, which contains a gender sensitivity scal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ender sensitivity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degree of victim’s responsibility, victim’s suffering, and sentencing in criminalization concerning scenario ‘A’ and ‘B’. Furthermore, no statistical effect of gender sensitivity on child sexual violence by authority figure for checking reliability were found. In conclusion,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significance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인지 감수성이 위력 성폭력 사건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위력 성폭력 내용의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하위질문을 실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시나리오의 내용은 인사권을 가진 상급자가 비정규직인 하급자에게 성관계를 요구하는 것으로 하급자는 이를 거부하다가 수차례 성관계를 갖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참여자에게 시나리오를 보여주고 위력 성폭력에 대해 법적 근거에 따른 피해자 책임 정도, 유죄확신 정도, 피해자의 고통 정도, 가해자에 대한 양형 정도를 응답하게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종합대학에서 교양수업을 듣는 대학생 329명이 참여하였고, 성인지 감수성 척도와 위력 성폭력에 대한 시나리오 2개, 아동 성폭력 시나리오 2개를 제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성인지 감수성은 시나리오 ’A’와 ’B’에서 피해자의 책임 정도, 고통 정도, 형량부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둘째, 성인지 감수성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시한 위계에 의한 아동 성폭력에서 성인지 감수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의의를 정리하고 추후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체미(滯美) 한인 여성의 성 착취 목적 인신매매와 밀입국에 대한 조사방법 연구
성용은(Sung, Yong-Eun),정육상(Jung, Yook-Sang) 한국민간경비학회 2013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12 No.4
이 연구의 목적은 미국 내 한인 여성의 성 착취 목적 인신매매와 밀입국에 대한 조사방법에 대해서 연구하는 것이다. 즉, 이 연구에서는 미국 내 인신매매의 실태와 한인 여성의 성 착취 목적 인신매매와 밀입국의 현황과 특성에 대해서 논의하고, 특히 현장 조사내용의 결과를 바탕으로 최근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분석하여 개선된 조사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이 연구의 결과, 첫째, 현지에서의 철저한 사전조사를 통해서 전체적인 연구방향의 설정과 실제적인 연구조사를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둘째, 조사 실행방법(전략 및 표본선정)으로는 우선, 미국 내 한인단체 및 기관과 접촉을 통해서 성매매 업종에 종사하는 업주 및 한인 여성, 그리고 성 구매 남성을 접촉하기 위해 노력을 해야 한다. 또한 한국 성매매 여성의 유형 별로(즉, 콜걸과 에스코트 서비스, 마사지 업소, 그리고 술집 접대업소) 표본을 선정해 나가야 한다. 그리고 원활한 심층면접을 위해서 조사대상자들이 편안한 마음으로 조사면접에 응할 수 있는 면접방식(예, 비공식 대화형식 면접 또는 정형화된 설문지 면접)을 채택해야 한다. 또한 면접비를 지불하여 피조사자의 신뢰성 있는 답변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가능하다면 성매매 업소를 직접 방문하여 참여관찰의 방법도 병행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한인 여성의 인신매매가 발생하는 지역을 중심으로, 인신매매 과정에 관여한 피해자나 가해자를 접촉할 수 있는 기회를 극대화할 수 있는 지역을 고려하여 미국 내 한인 지역사회가 잘 발달되어 있는 지역에서 조사가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한계와 제안된 조사방법을 통해서 기대되는 연구결과의 학문적ㆍ형사정책적 시사점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empirical research methods for human trafficking for sexual exploitation and smuggling of Korean Women in the United States. The current study discusses the condition of the human trafficking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condition and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trafficking for sexual exploitation and smuggling of Korean Women in the United States. With the result of field research study, especially, this study analyzes the limitation of the prior empirical research and explores the sophisticated empirical research methods.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1) pre-field research; in order to establish some directions for research and to set up the strategies for the empirical research; 2) Methods for the conducting the research (strategies and sampling): efforts need to contact a well-known Korean community organization and/or agencies which may introduce an informants who help the researcher to find the research subjects such as Korean women sex worker, owner of a sex trade, and Korean male who buy a sex; sampling by the types of Korean Women sex worker (i.e., call-girls, massage parlors, and salon); the interview should involves the informal conversational interview and/or the formal questionnaire interview, and this make the interview more comfortable for building up a rapport; paying an interview fees (i.e., the give and take methods) can plays a critical role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ir answer; the researcher also should try to visit inside the business location and observe the operation of the business; 3) the research site should be considered the areas where are well established Korean communities in order to maximize the frequencies for contacting the victims and offenders (trafficker and associates) of human trafficking. Lastly, the study concludes with this study limitation and a discussion of the implications for the study on the human trafficking and the criminal justice policy after conducting the empirical research methods which were discussed in this study.
退溪,「,戊辰六條疏」,聖學,惟精惟一,科學,객관적인식,본성실현,상보적융합 영남퇴계학연구원 2012 퇴계학논집 Vol.- No.11
退溪(1501-1570)는 戊辰年(1568)에 宣祖에게 「戊辰六條疏」를 바쳤 다. 退溪 聖學十圖를 저술하기 이전에 이 「疏」에서 聖學의 의미를 명 쾌하게 밝히고 있다. 退溪에 의하면 “人心惟危, 道心惟微. 惟精惟一, 允 執厥中.”은 聖學의 淵源이다. 大學의 格物致知와 中庸의 明善은 “惟 精”에 해당하며, 大學의 誠意, 正心, 修身과 中庸의 誠身은 “惟一”에 해당한다. 致知를 통하여 至善에 대한 眞知를 얻고, 力行을 통하여 至善 을 실천하게 되면 자신의 본성을 온전히 알고 실천하는 聖人이 된다. 科 學은 객관적 사실을 인식하는 학문인데 반하여 聖學은 자신의 본성을 인 식하고 실천하는 학문이다. 과학자의 객관적 인식과 聖學의 본성실현의 학문은 서로 지향하는 바가 다르고 방법도 다르다. 이 두 가지의 차이에 대한 정확한 인지는 科學과 聖學의 상보적 융합을 크게 도울 수 있을 것 이다.
여대생의 캠퍼스 내 성범죄피해경험 두려움에 대한 위험해석모델의 검증
성용은 한국민간경비학회 2016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15 No.6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test a risk-assessment model for sexual victimization and fear of crime among college women students on campus and to draw the policy implications. The researcher conducted a survey of college women residing in Seoul Metropolitan Area in November 2011 and analyzed the collected data employing a random sampling. The findings indicated that: 1) college women who have been sexually victimized were more likely to have fear of sexual crime than those did not; 2) college women who have been sexually harassed were more like to have fear of sexual crime than those did not. The factor of sexual victimization as well as the factor of sexual harassm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of college women’s fear of sexual crime; 3) college women who have been perceived risk on sexual crime were more likely to have fear of sexual crime than those who have not. The factor of sexual harassment and the factor of perceived risk on sexual crime were the only variables that influenced college women’s fear of sexual crime by controlling the other variables. The policy implications to reduce college women’s fear of sexual crime and the limitations were discussed at the last part of the research.
강세황 전각 연구 : 『해암인소(海巖印所)』를 중심으로
성인근(Seong, In-Geun)(成仁根) 한국서예학회 2020 서예학연구 Vol.36 No.-
姜世晃有 ‘朝鲜后期诗书畵三絶’或‘十八世纪藝壇之摠帥 之称. 关于他的生平与文艺的活动, 在文学,书法与绘画史领域均有所成就, 特别是在美术史的研究方面非常活跃. 但是关注他的篆刻的时期是最近, 『海巖印所』的发现成为重要契机. 该资料虽然是收录他的作品集性质的, 但包含着18世纪近畿地域相关的認識, 活动和享有形态, 在书法,绘画和评论方面有很大的足跡. 在该论文中, 首先集中于印譜本身, 通过姜世晃和柳庆種的序跋文,了解他们对印譜制作的看法和对篆刻的认识. 姜世晃似乎不太乐意做自己被评价为 篆刻家 , 对于从宋代开始到朝鲜流行的 印譜 制作也持有批判的态度. 虽然可以欣赏, 但这也有 玩物丧志 的指责, 只要不属俗的一两个就足够了. 另一方面, 李玄煥生动地记录了姜世晃篆刻的样子, 看起来非常熟练, 一会儿就能刻出数十个 . 大体上, 从搜索到刻字, 需要一个所的绝对时间, 可以说他的篆刻制作得非常容易, 但是通过印譜显示的他的篆刻水平很高. 有构成最理想形态的表面而煞费苦心的痕迹. 这种现象, 他早已默记在一般的字里, 也有相当数量的印譜已经储存在眼睛和头上, 可以应用到適在適所. 刀法方面, 也保持着锐利,低调的刻法, 可见他对篆刻的水平. 姜世晃不仅是书法和繪畵, 在篆刻方面也发挥了卓越的才能, 应该成为在韩国均匀成就三个领域的早期事例。 강세황은 ‘조선 후기 시서화 삼절’ 혹은 ‘18세기 예단의 총수’라는 수식어가 늘 뒤따른다. 강세황의 생애와 문예활동에 대해서는 그간 문학·서예·회화사 분야에서 고루 이루어졌고, 특히 미술사적 측면에서의 연구가 두드러진다. 그러나 그의 전각에 주목한 시기는 최근이며 『해암인소』의 발견이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이 자료는 강세황 전각이 담긴 작품집 성격의 인보이지만, 넓게는 18세기 근기지역에서의 인장과 관련한 인식, 활동과 향유양상을 담고 있으며, 서예와 회화, 평론 방면에서 뚜렷한 족적을 남긴 강세황의 전각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이 논문에서는 우선 인보 자체에 집중하여 강세황과 유경종이 남겨놓은 서발문을 통해 인보 제작에 대한 그들의 언급과 인장에 대한 인식을 들여다보고자 했다. 이후 인보에 실린 262과의 인문을 판독하고 유형별로 분류하여 그들의 인장 제작과 향유 양상에 접근하고자 했으며, 이러한 기초 작업 위에 강세황 전각이 갖는 특질을 도출하여 전각가로서 표암의 위상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강세황은 자신이 전각하는 사람으로 비춰지거나 평가받는 일을 그리 달가워하지 않은 듯하며, 송나라로부터 시작하여 조선에까지 유행한 인보 제작에 대해서도 비판적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 호사가들이 사인을 찍어 권질을 이루어 감상하기엔 족하지만 이것 역시 완물상지의 비난이 있으니 속되지 않은 한 두 과만 있으면 족하다는 지적이었다. 한편 이현환은 강세황이 전각하는 모습을 생동감 있게 기록해두었는데, ‘잠시 사이에 수십 개를 새길’ 정도로 숙달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대개 글자의 검색으로부터 인면의 포치, 새김에 이르기까지 하나의 전각에 필요한 절대시간이 필요한 점을 감안하면, 그의 전각은 매우 쉽게 제작되었다고 하겠으나 인보를 통해 드러난 그의 전각은 완성도 면에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주어진 글귀에 가장 이상적인 형태의 인면을 구성하기 위해 고심한 흔적이 곳곳에서 엿보인다. 이러한 현상은 그가 웬만한 글자에 대한 전서 자양(字樣)을 이미 암기하고 있었고, 포치에 있어서도 상당한 인보 자료가 이미 눈과 머리에 저장되어 있어 이를 적재적소에 응용할 수 있는 수준이었음을 반증한다. 도법의 측면에서도 예리하면서도 절제된 각법을 유지하고 있어 전각에 대한 그의 수준을 가늠할 수 있다. 강세황은 서예와 회화뿐만 아니라 전각에서도 탁월한 재능을 발휘한 작가로 한국에서 세 분야를 고르게 성취한 이른 시기의 사례로 자리매김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