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바이오가스 공급 확대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백민지,조용철,민서현,유승훈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5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05

        바이오가스는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방안 중 하나이기에 신재생연료 혼합의무화제도(RFS, Renewable Fuel Standard)의 도입의 대상으로 논의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2012년에 발표된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산업연관분석을 통해 RFS 도입이 가져올 바이오가스 공급 확대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바이오가스 공급부문은 액화석유가스 부문과 도시가스 부문으로 구성된다. 경제적 파급효과로 우선 수요유도형 모형을 적용하여 바이오가스 공급확대의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를 분석한다. 다음으로 공급유도형 모형 및 레온티에프 가격모형을 적용하여 각각 바이오가스 공급부문의 공급차질로 인한 부정적 파급효과를 의미하는 공급지장효과 및 바이오가스 공급부문 제품가격 변동이 가져올 물가파급효과를 분석한다. 분석결과 바이오가스 공급부문에서의 1원의 투자 혹은 생산이 가져오는 생산유발효과 및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각각 0.0565원 및 0.1320원이다. 아울러 10억원 투자 혹은 생산의 취업유발효과는 0.9716명, 바이오가스 공급부문의 공급지장효과는 1.7349원, 바이오가스 공급부문 산출물 가격 10% 인상의 물가파급효과는 0.1451%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정보는 바이오가스에 대한 공급확대의 다양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사전적으로 예측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 바이오가스 공급 확대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백민지,조용철,민서현,유승훈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5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5 No.-

        바이오가스는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방안 중 하나이기에 신재생연료 혼합의무화제도(RFS, Renewable Fuel Standard)의 도입의 대상으로 논의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2012년에 발표된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산업연관분석을 통해 RFS 도입이 가져올 바이오가스 공급 확대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바이오가스 공급부문은 액화석유가스 부문과 도시가스 부문으로 구성된다. 경제적 파급효과로 우선 수요유도형 모형을 적용하여 바이오가스 공급확대의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를 분석한다. 다음으로 공급유도형 모형 및 레온티에프 가격모형을 적용하여 각각 바이오가스 공급부문의 공급차질로 인한 부정적 파급효과를 의미하는 공급지장효과 및 바이오가스 공급부문 제품가격 변동이 가져올 물가파급효과를 분석한다. 분석결과 바이오가스 공급부문에서의 1원의 투자 혹은 생산이 가져오는 생산유발효과 및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각각0.0565원 및 0.1320원이다. 아울러 10억원 투자 혹은 생산의 취업유발효과는 0.9716명, 바이오가스 공급부문의 공급지장효과는 1.7349원, 바이오가스 공급부문 산출물 가격 10% 인상의 물가파급효과는 0.1451%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정보는 바이오가스에 대한 공급확대의 다양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사전적으로 예측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한국과 핀란드의 지식서비스산업 비교 분석

        임응순,유승훈,정군오 한국산업경제학회 2008 산업경제연구 Vol.21 No.3

        전 세계적으로 산업구조는 제조업 중심에서 서비스업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서비스업의 무게중심도 지식서비스업으로 변모되어 가고 있다. 핀란드는 유럽에 속해있는 국가로서 소위 경제소국이지만 정보통신분야와 지식서비스산업분야에서는 경제대국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한국에서도 지식서비스산업에 대한 관심이 커져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업연관분석을 통하여 한국과 핀란드 지식서비스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먼저 수요유도형 모형을 이용하여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를 살펴 볼 것이며, 공급유도형 모형 및 레온티에프 가격모형을 적용하여 지식서비스산업의 공급지장효과와 물가파급효과에 대하여 한국과 핀란드를 비교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은 지식서비스산업을 내생부문이 아닌 외생부문으로 다룸으로써 지식서비스산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분석결과 지식서비스산업에서의 1원 생산이 타 산업에 유발하는 생산유발효과는 한국 0.2731원, 핀란드 0.3493원이었으며, 타 산업에 유발하는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한국 0.1410원, 핀란드 0.2086원이었다. 수요유도형 모형을 이용한 결과는 핀란드가 한국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지식서비스산업의 공급지장효과는 한국 0.6713원, 핀란드 0.7228원이었으며, 지식서비스산업의 10% 가격인상으로 인한 물가파급효과는 한국 0.1190%, 핀란드 0.2302%로 핀란드가 높게 나타났다. The industrial structure changed into service industry from manufacturing industry and has been changing into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y based on knowledge world widely. Finland is an economically minor country but core country in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y. Moreover the interest in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y is now growing. This study attempts to compare the economic impacts of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y between Finland and Korea using an inter-industry analysis. Specifically, the study analyzes and compares between Finland and Korea about production-inducing effect and value added inducing effect of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y based on demand-driven model. Moreover, the study deals with supply shortage effect and sectoral price effect by using supply-driven model and Leontief price model, respectively. These analyses have made by dealing the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y as exogenous not endogenous. The results show that,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y induces production-inducing effect of 0.2731 won in other industries in Korea and 0.3493 won in other industries in Finland, value-added-inducing effects of 0.1410 won in other industries in Korea and 0.2086 won in other industries in Finland. results from using demand-driven model are higher in Finland than Korea.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y induces supply shortage effects 0.6713 won in other industries in Korea and 0.72628 won in other industries in Finland, and sectoral price effects are 0.1190% in Korea and 0.2302% in Finland due to the price increase of 10% of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산업연관 분석을 이용한 부동산 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이승철,이승재,한종호 한국부동산연구원 2009 부동산연구 Vol.19 No.1

        본 논문에서는 2005년도 산업연관표에 근거한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부동산 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세 가지 내용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첫째, 수요유도형 모형을 이용하여 부동산산업에서의 생산 혹은 투자가 다른 산업의 생산, 부가가치, 취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둘째, 공급유도형 모형을 적용하여 부동산산업에서의 공급지장이 다른 산업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검토한다. 셋째, 레온티에프 가격모형을 이용하여 부동산산업 산출물 가격변동이 다른 산업의 산출물 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한다. 특히 이러한 분석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부동산산업을 중심에 놓고 이를 외생화하여 분석 및 해석하는 접근방법을 취함으로써 부동산산업에 대해 논의를 집중한다. 또한 전방연쇄효과 및 후방연쇄효과와 같은 정보를 얻기 위해 산업간 연쇄효과 분석결과도 제시한다. 연구결과를 요약하자면, 부동산 산업의 1원 생산은 타 산업의 생산을 0.4467원 유발하며, 타 산업의 부가가치를 0.1887원 유발한다. 부동산산업의 1원 공급지장으로 타 산업에서 0.4781원의 생산차질이 발생한다. 끝으로 부동산산업의 10% 가격인상이 타 부문에 미치는 물가파급효과는 0.0224%로 분석되었다. The real estate industry in Korea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national economy. This paper attempts to apply input-output (I-O) analysis to role of the real estate industry in the national economy for the year 2005, with specific application to Korea. A static I-O framework is employed, focusing on three topics in its application. First, the impacts of the production or investment in real estate industry on the production, value-added, and employment of other sectors are explored by using demand-driven model. Second, the impacts of the supply shortage in real estate industry on other sectors are looked into by using supply-driven model. Third, the impacts of the rise in real estate industry's price on prices of other products are discussed by using Leontief price model. This paper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the real estate industry by taking this industry as exogenous and then investigating its economic impacts. In addition, inter-industry linkage analysis is performed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forward and backward linkage effects to other industries. It can be summarized that the real estate industry has 1.4467 production-inducing effect, 0.4781 supply shortage effect, 0.0224 effect of price change, 0.8111 forward linkage effect, and 0.8143 backward linkage effect.

      • KCI등재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일본 방송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민용식(Yong Sik Min),임응순(Eung Soon Lim),곽소윤(So Yoon Kwak) 한국아시아학회 2008 아시아연구 Vol.10 No.3

        본 논문에서는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일본 방송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먼저 수요유도형 모형을 이용하여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를 살펴본다. 아울러 공급유도형 모형 및 레온티에프 가격모형을 적용하여 방송산업의 공급지장효과 및 물가파급효과를 살펴본다. 이러한 분석은 모두 방송산업을 내생부문이 아닌 외생부문으로 다룸으로써 방송산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방송산업의 1엔 생산은 타 산업의 생산을 0.9653엔 만큼 유발하며, 타 산업의 부가가치를 0.5323엔 만큼 유발한다. 한편 방송산업에서 1엔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할 때, 타 산업에서는 1.7383엔의 생산차질이 발생한다. 마지막으로 방송산업 산출물의 가격이 10% 상승했을 때, 국민경제 전체에 미치는 물가파급효과는 0.5596%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economic impacts of broadcasting industry in Japan using an inter-industry analysis. Specifically, the study investigates production-inducing effect and value added inducing effect of the broadcasting industry in Japan based on demand-driven model. Moreover, the study deals with supply shortage effect and sectoral price effect by using supply-driven model and Leontief price model, respectively, which have been rarely used. These analyses pay particular and close attention to the broadcasting industry of Japan by taking it as exogenous rather than endogenous. Some interesting findings emerge from the study. First, the production of 1.0 yen in the broadcasting industry in Japan induces the production of 0.9653 yen and the value-added of 0.5323 yen in other industries. Second, the supply shortage of 1.0 yen in the broadcasting industry in Japan disables other industries to produce 1.7383 yen. Finally, an increase of 10% in price level of the broadcasting industry in Japan raises the overall price level by 0.5596%.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