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국 세무사사무소의 고객지향성, 세무대리서비스품질, 고객만족 및 고객충성도 간의 관계

        정군오,맹홍 한국전산회계학회 2013 한국전산회계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3 No.-

        본 연구에서는 중국 세무사사무소의 고객지향성이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고객지향성과 고객충성도 사이에서 세무대리서비스품질, 지각된 고객가치 및 고객만족이 매개 역할(mediating role)을 하는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고객지향성, 세무대리서비스품질, 지각된 고객가치, 고객만족 및 고객충성도 간의 종합적인 인과구조 관계를 개발하고 이들 변수 간의 상호관련성을 체계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방법은 설문지법이며, 중국의 북경시와 산동성 위해시에 소재하고 있는 세무사사무소 법인의 고객 400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해 230부를 회수하였다. 그 중에서 부실 기재된 설문지 12매를 제외시켰으며, 최종적으로 218매를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성분석, 기술통계와 빈도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선행연구를 통해 설정된 가설검증을 위해서 SPSS와 AMOS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 SEM)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무사사무소의 고객지향성은 세무대리서비스품질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세무사사무소가 제공하는 세무대리서비스품질은 지각된 고객가치와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세무사사무소가 제공하는 세무대리서비스품질에 대한 지각된 고객가치는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세무사사무소가 제공하는 세무대리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은 고객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세무사사무소의 고객지향성과 지각된 고객가치는 고객충성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세무사사무소의 고객지향성과 고객충성도 간에 세무대리서비스품질, 지각된 고객가치 및 고객만족은 매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객지향적인 서비스기업이 기존고객을 유지하고 충성스런 고객을 확보하기 위해서 CRM 전략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네팔의 사회안전망으로서 공적이전소득이 얼마나 효과적이었는가?

        정군오,강성진,윤별아 한국아시아학회 2007 아시아연구 Vol.10 No.2

        Using a Generalized Tobit (Heckman's two step estimation) for household data from Nepal for 1995-96, the paper investigates the motives of private transfers and tests whether public transfers crowded out private transfers. In addition,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at of the companion study, Kang(2004), which used the same data but different estimation methods, Probit and Tobit estimation separately. From the estimation, it is inferred that the motives of private transfers and crowding-out effect of public transfers are not identified. These results are quite similar to those of Kang(2004), impling that the results do not depend on estimation metho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ocial safety nets of Nepal reflected by various pensions were not well-prepared. Or the result is mainly due to low share of public transfers or low share of employment provident fund that plays a significant distribution role. In decision equation it is shown that the probability to receive private transfers is negatively related with household size. However, the probability as well as amount of private transfers are positively related with the number of elderly and children. 네팔의 1995-96년의 가구 자료에 대하여 Generalized Tobit (Heckman's 2 step 추정) 추정 모형을 이용하여 본 연구는 사적이전소득의 동기와 공적이전소득의 구축효과 (crowding-out effect) 여부를 검토하였다. 또한, 같은 자료를 사용하지만 Probit과 Tobit 모형을 사용한 Kang (2004)의 결과와 어떻게 다른지를 비교․검토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다른 연구 결과들과 달리 네팔의 경우 사적이전소득의 동기나 공적이전소득의 구축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고 다른 가구 특성들이 유의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빈곤국의 하나로써 네팔의 경우 아직 사회안전망이 제대로 구축이 되지 않았고 또한 공적이전소득 중 공무원에만 해당되는 연금의 비중이 크게 나타나는 데서 알 수 있다.

      • KCI등재

        사이버 주식거래와 주가 변동성

        정군오,유한수 한국산학기술학회 200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5 No.1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 주식거래의 도입이 주가 변동성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를 분석 하였다. 기존 연구들이 시장에서 관찰되는 변동성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시장에서 관찰되는 변동성을 기본적 변동성과 일시적 변동성으로 분해하여 분석하였다. 관측변동성에 대한 분석결과 사이버 주식거래 비중이 50%를 넘어선 기간 C에서 관측변동성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결과가 나타났다. 그리고 일시적 변동성은 기간 C에서 유의하게 변화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관측변동성이 기간 C에서 증가한 이유가 잡음거래의 증가에 의한 현상이 아니라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사이버 주식거래의 증가로 정보가 가격에 신속하게 반영되어 관측변동성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Volatility may be defined as the sum of fundamental volatility caused by information arrival and transitory volatility caused by noise trading. This study decomposes the observed KOSPI volatility into fundamental volatility and transitory volatility using Kalman filtering metho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e introduction of cyber trading on the KOSPI volatility. Most studies investigates the effect on the observed volatility. In contrast to other studi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n the fundamental volatilty and transitory volatility individually. Analysis showed that observed volatility is increased significantly at 1 % level, but transitory volatility is not increased. This means that noise trading by irrational investors is not increased.

      • 충청도지역의 세입증대에 영향을 미치는 산업분석

        정군오,임응순 충남연구원 2008 충남연구 Vol.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ich industries create revenue increases and reinvigorate the local economy of the Chungcheong region. For this purpose, a Granger causal relationships analysis and regional inter-industry analysis were used. First of all, industries that influence tax income were selected by analysing a Granger causal relationship based on regional tax income and industrial outcome. Second, after the regional inter-industry table for Chungnam and Chungbuk provinces had been made using a location quotient (LQ) method based on the national inter-industry table of 2006, derived from the national inter-industry table of 2003 using the RAS method, a regional inter-industry analysis was conducted and industries having the greatest impact were selected. Through these two methodologies, industries that were included in both sets of results were determined. These are the industries that increase the revenue to the greatest extent and contribute toward the reinvigoration of the regional economy. The industries that create the greatest revenue increases are the processing assembly industry in the Chungnam region and the primary material industry in the Chungbuk region.

      • KCI등재

        국가 R&D 투자의 경제효과 분석: 보건의료산업을 중심으로

        정군오,임응순,송재국 기술경영경제학회 2013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1 No.1

        Recently, the importance of the health care industry is increasing due to the rapid changes in the population structure caused by decreasing in fertility rate and aging population. Therefore expansion of government investment in R&D of the health care industry is needed as the demand of health care is increasing.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economic impacts of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the health care industry using an inter-industry analysis. Specifically,the study investigates production-inducing effect, value added inducing effect, and employment-inducing effect of the health care industry based on demand-driven model. These analyses pay particular and close attention to the health care industry by taking it as exogenous rather than endogenous. Here we present results. First, the production-inducing effect and value added inducing effect was high in common real estate and business services and finance and insurance sector. Second, employment-inducing effect of the health care industry showed the highest levels in wholesale and retail sector, followed by the real estate and business services, agriculture sector. Third, the actual 2009 health care industry-related national R&D investment embracing on the production-inducing effect and value added inducing effect. The health care industry R&D induces the production of 4,932 billion won and the value added of 2163 billion won. 최근 출산율의 감소와 고령화 추세에 따른 인구구조의 급격한 변화로 인하여보건의료산업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미 많은 선진국들은 IT관련 산업에서 벗어나 전략산업으로 보건의료(HT: Health technology) 산업을 집중육성하고 있다. 한국도 경제성장을 통하여 소득수준이 향상되면서, 국민들은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이에따라 보건의료에 대한 국민적 수요가 증대됨으로 인하여 정부차원의 연구개발 투자의 확대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보건의료산업에 대한 국가 연구개발(R&D: Research and Development) 투자가 국민경제에 미치는 효과를 수치화해보고자 한다. 위 분석은 국가R&D 투자가 이루어지는 보건의료산업을 내생부분이 아닌 외생화시켜 타 산업분야에 대한순수한 파급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보건의료산업의 생산 및 부가가치유발 효과는공통적으로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와 금융 및 보험부문이 높게 나왔다. 이러한 부문은 보건의료산업과 관련이 있는 세부분류를 포함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보건의료산업의 취업유발효과는 도소매부문이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그 뒤를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 농림수산품 부문 순으로 나타났다. 보건의료산업의 전⋅후방 연쇄효과는 평균인 1보다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보건의료산업이 최종수요적 원시산업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의미한다. 또한 실제 2009년 보건의료산업 관련 국가 R&D투자금액을 대입하여 보건의료관련 정부연구개발비가 경제에 미치는 생산 및 부가가치 금액을 도출해본 결과 전체산업에 생산유발은 약 4,932억원, 부가가치유발은 약 2,163억원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