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포츠 브랜드 디지털 마케팅의 브랜드 경험 분석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친완잉,서승연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3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21 No.4

        뉴미디어와 디지털 환경이 변화하면서 브랜드 마케팅과 커뮤니케이션 형태도 달라졌다. 디지털 마케팅은 온라인 중심의 마케팅이다. 브랜드가 소비자와 효과적으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도록 브랜드 충성도를 높인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마케팅과 경험 마케팅을 결합하여 디지털 경험 마케팅의 접점과 평가 요소를 도출하고, 디지털 마케팅 경험에 대한 분석 모델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 행태 조사와 대중적 분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스포츠 브랜드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디지털 마케팅 채널을 기반으로 슈미트의 경험 유형과 AISAS 소비자 구매 행동 모델을 바탕으로 디지털 마케팅의 경험 평가 요소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디지털 마케팅 채널과 경험 제공 수단을 기반으로 디지털 마케팅 활동을 결합하여 브랜드 디지털 마케팅 경험 접점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브랜드 디지털 마케팅의 경험 접점과 디지털 경험 평가 요소를 결합하여 상관성을 분석하여 브랜드 디지털 마케팅 경험 분석 모델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12개의 디지털 마케팅 채널과 10개의 디지털 마케팅 경험 평가 요소를 도출하였다. 5가지 디지털 마케팅 경험 제공 수단과 나이키 브랜드 디지털 마케팅 활동을 결합하여 14개의 디지털 마케팅 경험 접점을 도출하였다. 접점과 평가 요소의 상관성 분석을 통해 브랜드 디지털 마케팅 경험 분석 모델을 제안하였다. 디지털 마케팅은 소비자가 경험 단계로 진입하도록 안내하는 채널을 제공하여 구매 의사 결정을 촉진하였다. 분석 모델은 디지털 마케팅 경험 활동과 전략 분석에 도움이 되며 기업이 보다 효과적인 디지털 마케팅 브랜드 경험 디자인 전략을 제안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As the digital environment changes, the shape of brand marketing and communication also changes. In order to enable brands to engage in effective two-way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and increase brand loyalty, this study combines digital marketing and experience marketing to reorganize the touchpoints and evaluation elements of digital experience marketing, and to propose an analytical model of digital marketing experience.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Based on Schmidt's Experience Types and AISAS Consumer Purchase Action Model, the evaluation elements of digital marketing experience are derived. On the basis of digital marketing channels and experience delivery means, the brand digital marketing experience touchpoints are derived in combination with digital marketing activities. A correlation analysis is conducted by combining the experience touchpoints of brand digital marketing and the evaluation elements of digital experience, and an analysis model of brand digital marketing experience is proposed. As a result of the study, 12 digital marketing channels, 10 digital marketing experience evaluation elements and 14 digital marketing experience touchpoints are derived. Through the correlation analysis of the touchpoints and evaluation indexes, the analysis model of brand digital marketing experience is proposed.

      • KCI등재

        체험적 요소가 적용된 디지털 미디어 활용 사례 연구 -뷰티 브랜드 마케팅 중심으로-

        김아람(주저자) ( Ah Rham Kim ),김보연(공동저자) ( Bo Yeun Kim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6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5 No.-

        본 논문은 디지털 미디어의 마케팅적 활용에 따른 소비자가 경험하는 체험에 대한 사례 연구이다. 최근 다양한 매체들의 융합으로 새로운 콘텐츠들이 가능해지고 있다. 디지털 세상에서 새로운 콘텐츠들로 소비자들에게 접근하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인 상황에서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하여 소비자에게 새로운 영향을 주어야 한다. 최근 소비자들은 수동적으로 전달받는 것이 아닌 직접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방식을 선호하고 있기에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하여 소비자의 체험을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미디어를 마케팅적으로 활용한 소비자 체험 활용에 대한 사례들을 살펴보고 체험 마케팅적인 측면에서 사례 분석을 진행한다. 번 슈미트(Bernd H. Schmitt)가 제시한 체험 마케팅의 다섯 가지 요소들과 디지털 미디어적 요소들을 어떻게 복합적으로 이용하였는지를 확인해본다. 뷰티 브랜드에서 활용하고 있는 디지털 마케팅의 사례 중 다양한 체험 요소를 갖고 있으며 대중적으로도 잘 알려진 로레알의 Make-up Genius, 입생로랑 뷰티의 GoogleGlass Tutorials 그리고 버버리 뷰티박스의 DigitalRunway Bar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사례 표본으로 하여 번 슈미트의 전략적 체험 모듈인 감각(Sense), 감성(Feel), 인지(Think), 행동(Act), 그리고 관계(Relate)를 기준으로 유료 미디어(paid media), 자발적 확산 미디어(earned media), 기업 소유 미디어(owned media)의 3가지로 분류하였다. 사례를 통해 AR(Augmented Reality) 기술을 활용하여 사진 촬영 및 주변 공유, 제품의 구매까지 서비스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다양한 고객 체험이 하나의 서비스를 이루도록 하거나 구글 글라스를 활용하여 기존의 일회성 이벤트에서 고객 맞춤형 콘텐츠로 서비스의 성격이 진화하는 등 디지털 미디어 기술과 디지털 미디어의 마케팅적 요소들의 복합적 활용으로 감각, 감성, 인지, 행동, 관계의 다양한 고객 체험을 이끌어 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각 사례들이 어떤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하였고 체험 마케팅의 요소들을 어떻게 복합적으로 이용하였는지를 확인해보는 과정을 통해 현재의 디지털 마케팅을 이해하고 향후 효율적인 디지털 마케팅을 연구하기 위한 초석으로 삼을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focused on cases about user experience using digital media as a marketing. The recent convergence of various types of media is resulting in new types of content. In a situation where approaching consumers through digital and virtual means is no longer an alternative or an option but a necessity, customers must be influenced and stimulated using various types of digital media. Because modern consumers prefer to participate actively rather than to be passively exposed to information, there is a need to maximize and optimize the consumer’s experience using digital media. In this research, consumer experiences that utilized digital media were examined, and these case studies were analyzed from an experiential marketing perspective. How the 5 different types of Experiential Marketing proposed by Bernd Schmitt and Digital medias were combined in the digital marketing campaigns was examined. The case studies analyzed in this research were chosen out of widely popular digital marketing campaigns ran by beauty brands that used various experimental marketing types, such as ‘Make-up Genius’ of L``Oreal, ‘Google Glass Tutorials’ of Yves Saint Laurent and ‘Digital Runway Bar’ of The Burberry Beauty Box. This study classified that case samples into paid media, earned media and owned media based on sense, feel, think, act and relate that are the strategic experiential modules of Bernd Schmitt. This study could be confirmed various customer experience as a sense, feel, think, act and relate through that cases using digital media technology and marketing element of digital media. Through the process of examining which digital media types each marketing campaign utilized and how these types of digital marketing were combined,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it helps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tate of digital marketing and in that it can serve as the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of efficient digital marketing.

      • KCI등재
      • KCI등재

        패션산업에서 디지털 미디어와의 융합을 통한 체험 마케팅 동향 : 국내·외 패션 소매점 점포형 매장을 중심으로

        이경미,황선진 한국영상학회 2014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2 No.1

        본 논문은 2006년~2013년까지 국내외 패션 소매점 점포 형 매장 내에서 이루어진 패션과 디지털 미디어 기술이 융합된 체험 마케팅의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며, 이를 토대로 국내 패션산업 소매점 점포형 매장의 활성화를 위한 디지털 체험 마케팅 전략 방안을 제안 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국내외 패션 소매점 점포 형 매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패션과 디지털 미디어와의 융합을 통한 체험 마케팅은 주로 캐주얼이나 여성복 브랜드에서 스마트 콘텐츠, 실감 형 콘텐츠들을 활용한 가상 피팅이나 인터랙티브 쇼윈도, 증강현실 체험 등을 제공하면서 소비자들의 직접적인 행동을 유도하고 감성을 자극하며 매장을 방문하는 고객에게 즐거움, 성취감, 접근 행동에 긍정적인 반응을 주고 있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국내 패션산업에서는 이러한 체험을 제공하는 패션기업이 극히 드물며, 주로 일시성을 띤 단기 프로모션으로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 현대사회는 디지털 화 되어가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국내 패션산업에서도 패션기업이 보유한 오프라인 자산과 디지털 미디어 기술·창작 역량을 결합한 고객의 직접적인 행동유도와 감성을 자극하기 위한 디지털 체험 마케팅 전략을 기획, 실행 한다면 성숙기에 접어들어 포화 상태에 이른 패션시장 속에서 고객을 유치하기 위한 차별적인 마케팅전략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디지털 시대, 소셜미디어 환경에서 디지털 콘텐츠 마케팅의 전략 제안

        김다영 유럽문화예술학회 2017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8 No.2

        21세기 다양한 매체, 콘텐츠가 예술과 융합되고, 예술과 일상생활의 경계가 허물어진 현 시대에서범람하는 콘텐츠는 대중들이 잘 해석하고 선별할 수 있는 ‘창의적 감성’과 ‘상상력’이 중요한 키워드로 대두된다. 즉, 우리는 기존의 지식에 상상력이 융합된 ‘개념의 시대(Conceptual Age)’를 살아가고있다.1) 정보의 시대를 넘어선 고도의 ‘개념’이 중요해진 현 시대에서 소셜미디어 콘텐츠란 무엇인가? 인공지능에 의해 인간의 두뇌가 대체되어 가고 자동화와 연결성이 극대화되는 4차 산업혁명이라고 일컫는 디지털 시대에서 마케팅의 방식 또한 달라지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혁명 시대에 소셜미디어는 이미 일상생활에 필수불가결한 것이 되었다. 소셜미디어(Social Media)는 개방, 참여, 공유의 가치로 요약되는 웹(web)상의 소셜 네트워크의 기반 위에서 개인의 생각이나 의견, 경험, 정보등을 서로 공유하고 타인과의 관계를 생성 또는 확장시킬 수 있는 개방화된 온라인 플랫폼이다. 소셜미디어는 디지털 시대의 유동성에 기인해 급속도로 확산되었는데 그것은 소셜미디어가 가지고 있는 사용자들의 자발적 참여에 의한 콘텐츠(contents) 생성과 자체적인 창발 시스템에 희한 파급에 그 이유가 있다고 본다. 사용자들의 참여에 의한 콘텐츠에는 상호작용적(interactive) 특성이 내재하는데, 그것은 모든 예술작품에서 일어나는 것과 같다. 아서 단토의 예술의 종말 이전의 거대 내러티브 시대의 모더니즘적예술을 경험할 때 상호작용성은 관람자의 정신적 영역에서 일어나는 반응에 국한되었다면, 디지털소셜 환경에서의 상호작용적 특성은 향유자(관람자)의 예술작품에 대한 새로운 방식의 접근과 적극적인 기여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소셜미디어 환경에서 범람하는 마케팅 콘텐츠 또한 상상력과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그것을 만들어내는 기본 원리에 따라 예술, 특히 미디어 작품에 내재하는 특성인 상호작용성과 관객의 참여라는 작품의 구성 원리가 작동한다는 점에서 그 구분이 모호하다고 본다. 이러한 점에서 앞으로의 디지털 세상에서 상상력이 기반으로 한 마케팅 콘텐츠의 전략 또한 예술작품이 그러하듯 인간만이 느낄 수 있는 감성영역에 기반하는 사람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전략이필요할 것이다. 또한 4차 산업혁명시대 소셜미디어 환경의 마케팅 플랫폼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변화를 적극적으로 읽어내고, 그것들을 사용자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흡수하는 것이 중요하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개방적이고 누구나 참여 가능한 플랫폼으로 변화되어야 한다고 본다. 소셜미디어 환경에서 커뮤니티 플랫폼을 만들고, 그들이 브랜드나 콘텐츠 관련 이야기들을 나눌 수 있는장치들을 만드는 것이 좋다. 디지털 세상의 사용자들의 심리 특성은 콘텐츠 사용자에게 특정행위를지나치게 강요할 경우, 사람들은 기업이 원하는 행동에 정확히 반대되는 행동을 보인다. 억지로 무언가를 강요하면 그 반대로 행동하고 싶어 하는 것이 바로 청개구리 심리다. 현 시대 대중에게 사랑받고 있는 기업들은 독특한 진정성을 담은 가치를 보여주고 있다. 즉, 디지털 시대에는 진정성만이 고객들의 영혼을 감동시키고 그들의 마음을 움직여 제품이나 콘텐츠를 사게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도록 진정성을 얻는 방식은 무엇인가? 첫째, 소비자들이 진정성을 느낄 수 있는 요소들을 기 ... Humans communicate, study, shop, spend leisure time, and spend much of their lives in the digital world on digital webs such as smartphones, tablet PCs, and PCs. As a new world created by the digital environment, cyberspace is increasingly becoming the driving force of our daily lives. In the cultural arts, the boundaries of the arts are lowered as the artists communicate directly with the spectators through the social media platform. As a result, the audience who received only the artwork became able to share the process of work, the story, the intention to be created, the emotion of the artist, and share the process of reinterpreting with the audience. The social media based environment outside the geographical and time limits has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daily life including the ways of human relations, the way of thinking, and the way of collaboration. Social media redef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media environment, art, consumers, and creators in the process of proposing new art forms. Social media and arts clearly point out different things, but one works in conceptual social media content. The distinction between original and duplication in painting disappears with the repetition of the same thing in the image of the media environment. In the digital image stage, the original and duplication can be constantly superimposed, reinterpreted and re-created through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With the advent of the digital world, everyone can produce images, and anyone can easily create and market content on a daily basis. There is a need for a strategy that frees content users and attracts a lot of interest and participation from users who enjoy the content. If you give users more freedom in a digital environment, they will be more loyal. By passing the option to the user, users can get a favorable feeling. The more interest and affinity you get, the more positive the positive word-of-mouth effect you get. When control and choice are passed to content users, users are more likely to be satisfied with the results they choose, and authenticity is naturally achieved through interaction with users rather than being forced. In a digital environment, a strategy with authenticity is more important. If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coexists with humans and machines, and the era when the human realm becomes a machine replacement becomes important, securing a unique realm that only humans can do will become important. The real emotional and emotional realm that only human beings can see is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can’t penetrate. Therefore, I think that it is important to move the mind of users who consume the human mind and contents, and the authenticity to gain empathy naturally. Self-organizing and emergence, which is the complexity principl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environment, is more prominent in the SNS platform. In the social media age contents, it is necessary to make devices that utilize the principles of self-organization and emergence principle in the social marketing platform in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producers and consumers of contents is blurred and created together. It is time for a smart marketing strategy that will lead to genuine support of content users who utilize nudge, authenticity and UGC (User Generated Contents) by understanding and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content users in the digital age.

      • KCI등재

        디지털 미디어를 적용한 기업 홍보관의 특성 연구 : 스페이스 마케팅 전략을 중심으로

        천아진 ( Chun Ajin ),윤재은 ( Yoon Jaee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정보통신기술과 디지털 매체가 급속도로 성장하며 정보전달의 지역적 한계가 무너짐과 동시에 다양한 기술과 미디어가 융합된 스마트 공간이 등장했다. 이에 발맞춰 전시관에도 디지털 미디어의 융합형태를 갖춘 스마트 전시 공간이 나타났으며 특히 기업 홍보관에서는 단순히 제품과 기업 정보를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방식이 아닌 온·오프라인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커뮤니케이션 공간으로 발전되었다. 이렇듯 앞으로의 기업 홍보관은 디지털 미디어의 발전에 맞춰 스페이스 마케팅 전략으로서 디지털 미디어의 활용은 더 적극적으로 공간에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스페이스 마케팅 전략을 중심으로 디지털 미디어를 적용한 기업 홍보관의 특성에 관하여 연구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미디어와 기업 홍보관, 스페이스 마케팅에 관한 이론을 고찰한다. 그리고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스페이스 마케팅의 특성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간적 요소, 기능적 요소, 사회적 요소를 분석해 낸다. 도출된 3가지 요소를 토대로, 각 요소에 대한 키워드를 도출하고 세부적인 연구를 위해 사례선정 기준을 국내 수도권을 중심으로 최근 5년 안에 개관 또는 리뉴얼 후 재개관한 대기업 홍보관의 사례로 한정하여 분석한다. (결과) 연구결과, 공간적 요소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그다음으로 기능적 요소, 사회적 요소 순으로 나타났다. 공간적 요소의 경우, 상징성이 뚜렷한 공간에서 기업과 관람객이 상호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체험전시를 통해 정보를 주고받으며 기업과 방문객의 관계 형성을 유도하고 있다. 기능적 요소의 경우, 디지털 미디어 계획은 홍보관마다 가장 비중 있게 활용되었으며, 미디어와 기술이 융합된 기능적인 공간으로 연출되어 관람객의 적극적인 관람과 효과를 이끌어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요소는, 기업마다 자사의 홍보관을 통해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및 이벤트와 같은 문화적 시도를 통해 방문객과의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상호관계적인 성격을 띠며, 기업 홍보관은 홍보의 목적을 넘어 일반 관람객을 위한 문화 공간의 역할을 맡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현재 기업 홍보관에서 스페이스 마케팅 수단으로서 적용된 디지털 미디어는 이미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에도 더욱 비중 있게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기업은 디지털 미디어의 발전과 함께 이를 활용한 차별화 방안에 대해서도 적극 고민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방문객의 입장에서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기업 홍보관을 관람하여 얻은 경험이 기업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 형성에 도움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앞으로도 스페이스 마케팅에서 중점적 요소로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Background and Purpose) With rapidly-growing information technology and digital media and the collapse of regional limitation of information delivery, smart spaces, where various technologies are integrated with media, have appeared. Continuing this trend, smart exhibition spaces with integrated types of digital media have also been observed in exhibition halls, which have further developed as communication spaces utilizing online and offline rather than simply delivering products and corporate information unilaterally. Therefore, it seems that corporate exhibition halls will integrate digital media more positively into space as a strategy for space marketing in line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orporate exhibition halls utilizing digital media centering on space marketing. (Method) This study considers theories on digital media, corporate exhibition halls, and space marketing. Moreover, it draws on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marketing utilizing digital media and based on this, analyzes spatial, functional, and social elements. Based on the three elements drawn, it draws keywords on each element and for detailed study, and selects cases for analysis focusing on the corporate exhibition halls which were reopened or renewed in the recent five years centering on metropolitan areas. (Results) The result indicate that spatial elements were most marked, followed by functional and social elements. In case of spatial elements, corporations exchange information with the audience through experimental exhibitions where mutual communication is possible in spaces where symbolism is distinct. This induces relationship formation between corporations and visitors. In case of functional elements, digital media planning was utilized the most in every exhibition hall, and the functional space where media were integrated with technologies was produced, which encouraged the audience to participate in spectatorship more actively. Finally, in case of social elements, every corporation made cultural attempts such as educational programs and events through its own exhibition hall to form a social relationship; in other words, forming a social relationship with visitors and corporate exhibition hall played a role as a cultural space for general audience beyond its promotional purpose. (Conclusions) It was concluded that digital media utilized as a means for space marketing in corporate exhibition halls already accounted for a considerable proportion and would also be further utilized in the future. Therefore, corporations need to think about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and differentiation plans utilizing digital media more actively, and the experience from viewing in corporate exhibition halls utilizing digital media from the visitor’s perspective is helpful in forming a positive image about corporations. This will also be used as a central element in space marketing in the future.

      • KCI등재

        디지털리제이션에 의한 디지털 마케팅의 경험가치 변화에 관한 연구

        이길형 ( Lee Gil-hyung ),오영선 ( Oh Young-su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8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3 No.-

        디지털 마케팅은 온·오프라인이 상호 연계되어 비비드니스(Vividness)와 리얼리티(Reality)를 위한 보다 직관적이며, 경험적인 콘텐츠로 소비자의 보편적 감성을 자극한다. 소비자 라이프로 들어 온 디지털리제이션(Digitalization)은 새로운 가치창출 인프라로 작용하며, 자발적인 그들의 참여를 이끌어 낸다. 본 연구는 ‘경험 또는 체험’에 대한 개념적 고찰을 하고, 조셉 파인과 제임스 길모어(J. Pine & J. Gilmore)의 소비자 체험 유형을 토대로 설계한 분석모델을 통해 디지털리제이션에 의한 디지털 마케팅 캠페인의 대표적 사례를 아날로그 마케팅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디지털 마케팅에서 아날로그 방식과 동일한 경험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디지털리제이션에 의해 참여수준과 상호관계의 차이를 나타내며 체험차원의 유형 변화를 보였고, 그에 따라 경험적 가치의 특성도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마케팅 전략이 아날로그 방식에서 디지털로 전환됨에 따라 변화되는 상호커뮤니케이션에 주목하고, 사례분석을 통해 경험가치 변화에 대한 이해와 디지털 마케팅의 전략적인 함의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Digital marketing is interconnected by on-line and off-line, stimulating consumers' universal sensibility with more intuitive and experiential contents to be more vividness and reality. Digitalization, which pervades consumer life, serves as a new value creation infrastructure and leads to voluntary participation. In this study, we consider the concept of ‘experience’ and analyze the representative case of digital marketing campaign through analysis model designed based on J. Pine and J. Gilmor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hile we were able to discover the same experience as analogue method in digital marketing, digitalization showed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participation and connection, also showed the change of the experiential value. This study focuses on the interacted communication that changes as analogue is converted into digital, and aims to understand the change of the experiential value through case and to suggest the strategic implication of digital marketing.

      • KCI등재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PPL 광고와 마케팅 전략

        노찬숙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4 조형미디어학 Vol.17 No.4

        With an endless spectrum of channels coming into play in today’s complex world of marketing due to the rapid advance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marketers often find themselves reeling under the pressure of which one to choose. There’s digital in general, mobile marketing and how our omnipresent devices are changing everything about marketing. Because of these rapid changes in technical aspect of marketing, the advertisement in general is also affected by the technical bombardment of changes. The biggest change in advertising in this age of digital media is a form of advertising markets around the Internet and mobile networks. Digital media advertising has been able to take advantage of high-resolution, high-speed realtime streaming services based on the rapid development of multi-platform technology. This trend of converging marketing strategy and technology is developing very fast. One of the better digital media advertising methods is PPL, pay per lead, which is a process wherein an affiliates are paid for the pieces of information that are being referred to a company or a web site. In this study, we review PPL advertising process in order to have the proper marketing strategy in the digital media age. First we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for the understanding of digital media and changes in marketing due to the remarkable technological advancement of media and communications, as well as contents marketing in the digital media age. Also we look at the cases of the PPL advertising practices currently being done in the digital media. And finally we discuss the future of PPL advertising in terms of the suitability and applicability in digital media.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해 미디어의 환경은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고, 다양한 방법의 마케팅 도구들이 등장하고 있다. 첨단 기술의 발달은 마케팅의 방식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고 그로 인해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광고의 방식 또한 변화하고 있다. 무엇보다 광고의 가장 큰 변화는 인터넷과 모바일을 중심으로 하는 광고시장의 형성이다. 디지털 미디어 광고는 멀티 플랫폼(multi platform) 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인해 보다 고화질이며 빠른 속도의 실시간 스트리밍(streaming)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마케팅과 테크놀로지(technology)의 융합 현상은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가장 적절한 광고 형식 중의 하나인 PPL 광고는 클릭을 통해 방문자가 그 사이트에서 요구하는 어떤 행동을 수행하였을 때 광고비를 지불하는 형태를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적절한 마케팅 전략을 세우기 위해 가장 관심을 받고 있는 광고 방법 중의 하나인 PPL 광고에 대해 고찰하여 본다. 먼저 디지털 미디어의 이해를 위한 미디어의 특징과 미디어 테크놀로지의 발전으로 인한 마케팅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 디지털 시대 콘텐츠 마케팅에 관해 알아본다. 또한 디지털 미디어에서 나타나고 있는 PPL 광고 사례에 대해 살펴보고 최종적으로 앞으로 디지털 미디어에서의 PPL 광고의 적합성과 적용에 대해 논의한다.

      • KCI등재후보

        디지털인스톨레이션을 활용한 리테일샵의 스페이스마케팅 현황 분석 연구

        강연주 ( Yeon Joo Kang ),이정교 ( Jung Kyo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8 No.2

        (연구배경 및 목적) 소비문화와 트렌드에 밀접한 리테일샵은 디지털화가 가속화 되고 있는 시대흐름을 반영한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다. 디지털 매체를 활용하여 신속한 정보확산과 교류가 이루어지고 문화를 형성하는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방식은 고객과 최접점으로 만남이 이루어지는 리테일 공간에 디지털인스톨레이션이라는 형태로 설치되어 리테일샵을 더욱 활성화시키는 스페이스마케팅 전략요소로 사용되고 있다. (연구방법)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국내 에서 디지털인스톨레이션을 시행하고 있는 업체에서 제공하는 정보와 선행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디지털인스톨레이션의 구성과 특성을 도출하고 둘째, 홍성용이 제시한 스페이스마케팅전략을 바탕으로 공간 전략 요소를 재정립한다. 셋째, 정리한 스페이스마케팅전략에 해당하는 디지털인스톨레이션의 공간적 표현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상관 관계를 밝히고 사례분석 틀을 만들어 국내 디지털인스톨레이션이 활용된 리테일샵의 스페이스마케팅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결과) 디지털인스톨레이션은 소비행위에 스토리와 당위성을 부여하는 소비문화를 주도하며, 사람들의 관심과 흥미를 끌어 소비자를 리테일샵으로 유인하는 스페이스마케팅 활성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긍정적인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콘텐츠를 활용하여 스페이스마케팅 역할을 하는 디지털인스톨레이션이 국내 리테일샵에 도입되는 사례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Background and Purpose)Retail stores have become a typical consumption culture space that goes along the current tendency for digitalization. It is a place where the consumers`reaction to a product can be directly examined. Digital installations at retail stores have become a significant space marketing strategy in revitalizing the mutual exchange of culture and information with applied digital technology.(Method)The research is focused on indicating the components and characteristics of digital installations and on making an effective revision of the space marketing strategy based on information provided by Hong Seungyoung. Finally, with the revised space marketing strategy, the correlation is examined between each spatial expression characteristic of digital installations and the case analysis for the current use of domestic digital Installations.(Result)Digital installations in retail stores comprise an effective space marketing strategy that leads consumption culture and elicits consumers`attention and interest. Based on the positive results wielded so far, it is expected that more retail stores will embrace digital Installations.

      • KCI등재후보

        무용공연예술단체의 디지털미디어 기반 마케팅 실태와 향후 과제에 관한 연구

        임학순 한국예술경영학회 2011 예술경영연구 Vol.0 No.18

        이 연구에서는 무용공연예술단체의 예술마케팅에 있어서 소셜미디어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등 디지털미디어의 활용실태를 분석하고, 향후 과제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국공립 무용단체와 대표적인 민간발레단체의 디지털미디어 활용사례를 미디어유형, 활용내용, 정보내용 차원에서 분석하였으며, 관계자들과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무용공연예술 현장에서 제기되는 예술마케팅 이슈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해외무용단체에 대한 사례를 분석하여 분석의 준거로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무용공연예술단체별로 디지털미디어 활용 수준은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공립무용단체의 디지털미디어 마케팅체계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공연단체들의 디지털미디어 마케팅에 대한 인식수준은 주로 공연정보 홍보 및 고객과의 커뮤니티 구축 차원에 한정되어 있었으며, 적극적인 관객개발 및 수익 창출 차원으로는 발전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마케팅 전문 인력 확보 및 전담부서 설치에 대한 인식도 아직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하여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마케팅에 대한 인식 제고, 전문 인력양성, 지식정보체계 구축, 마케팅콘텐츠 창작기반 구축 등을 향후 과제로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is aimed at promoting the arts marketing through digital medias in the dance performing arts sector. For this reason, the 11 dance performing organizations in the field of public and private sector were examined in terms of digital media based marketing. In particular, this article considersthe social medias and smart phone Applications as a new media influencing on the arts marketing activities of the dance performing arts sector. As a result, social medias have been perceived and used as the important tools of art marketing. However, the level of the perception and investment on the digital media based marketing has varied according to the dance performing organizations. In addition, digital medias are likely to be used in terms of information exchange and community building rather than audience development and profit seeking. In conclusion, this article recommends the policy alternatives related to the awareness of digital media, the skilled manpower, the establishment of the digital marketing information system and creative contents for the digital marketing on the purpose of promoting the arts marketing through digital medi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