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7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황부용 디자인 활동의 배경과 특징

        강현주 한국디자인학회 2024 디자인학연구 Vol.37 No.2

        연구배경 황부용(1951년생)은 33년간(1975~2008) 디자인계에서 활동한 그래픽 디자이너이다. 2009년에전업 화가가 된 후 잊혔지만 ‘디자인계 문맹퇴치운동’이라는 문제의식을 갖고 활동하며 한국 그래픽 디자인이현대화하고 전문화되는 데 기여했기에 그의 활동을 한국디자인사 맥락에서 재조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황부용의 디자인 작업과 저술을 검토하고 인터뷰를 진행했다. 상공미전과 한국시각디자인협회(KSVD) 관련 자료를 살펴보고 20세기 중반 한국 디자인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신문 및 잡지 기사와 서적 등을참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그가 상공미전 추천작가가 된 1975년부터 서울올림픽대회조직위원회(SLOOC)를 떠난 1987년까지의 시기를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연구결과 해방 이후 응용미술과 상업미술 차원에서 인식되던 한국 그래픽 디자인은 1970, 80년대에 시각 커뮤니케이션에 기반을 둔 전문 분야가 되었다. 이러한 시기에서 전개된 황부용의 디자인 활동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였다. 첫째는 해외 디자인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탐구다. 둘째는 디자인 창작과 글쓰기의 병행이고, 셋째는 새로운 디자인 분야에 대한 도전과 개척이다. 넷째는 디자인 커뮤니티에서의 교류와 소통이다. 결론 디자인 실무 경험과 이론적 지식을 겸비한 황부용은 앞선 시대의식과 소명감으로 디자인 분야에 신선한 자극과 지적 활력을 불어넣었다. 그의 디자인 활동은 한국 그래픽 디자인이 디자인 리터러시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현대적인 시각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으로서 정체성을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Background Hwang Buyong (born 1951) is a graphic designer who dedicated 33 years to the field from 1975 to 2008. Despite being somewhat forgotten after transitioning to painting in 2009, he was active during the 1970s and 1980s, contributing to the enhancement of design literacy. Recognized for his role in the modernization and professionalization of South Korean graphic design,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his design activities in the context of Korean design history. Methods Hwang Buyong’s design works and writings were reviewed, and sever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him. Reference materials for The Korean Commercial & Industrial Art Exhibition and the Korean Society of Visual Design (KSVD) were searched. Furthermore, newspaper articles, magazine pieces, and books were examined to comprehend the state of Korean design in the mid-20th century. This study focused on the period during which he was active from 1975, when he became a Recommended Artist, to 1987, when he left the Seoul Olympic Organizing Committee. Results Until the 1960s, graphic design was seen as applied art and commercial art, but it modernized into visual communication design in the 1970s and 1980s. Hwang Buyong's design activities in this period can be summarized by his interest in foreign designs, the synergy of design practice and writing, exploration of new design fields, and active networking in the design community. Conclusions Hwang Buyong, with practical design experience and theoretical knowledge, emerged as a leading figure among his generation of designers, infusing the field of design with fresh stimulation and intellectual vitality. His design activities contributed to Korean graphic design and improving design literacy.

      • KCI등재

        인터넷 휴대폰 디자인을 위한 감성디자인 요소 연구

        박재연 ( Park Jae-yeo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9 한국디자인포럼 Vol.23 No.-

        현대 생활에 있어서 인터넷이 차지하고 있는 영역과 영향은 그 어느 매개체보다도 매우 크다고 하겠다. 현대와 같은 정보화 시대에서는 인터넷만큼 신속하고 광범위하게 정보를 제공받고 전달할 수 있는 체계는 없을 것이고 앞으로도 그 사용의 범위는 급속히 넓어질 것이다. 최근에는 유선 인터넷에 국한되지 않고 이동통신의 발달로 휴대용 단말기로 사용되는 모바일 인터넷(Mobile Internet)의 등장으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휴대폰(Mobile Phone), 노트북(Notebook),을 이용한 인터넷 활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휴대폰의 다양한 기능에 인터넷 기능을 포함시킨 인터넷 휴대폰(Internet Mobile Phone) 또는 스마트 폰(Smart Phone)에 대한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새로운 제품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도 이러한 현실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디자인 감각의 인터넷 휴대폰 개발이 필요하기 때문에 최근 또는 향후의 디자인 트렌드에 앞서갈 수 있는 인터넷 휴대폰의 디자인 개발에 관하여 작품논문으로 연구하게 되었다. 이를 위하여는 최근 디자인 트렌드의 동향에 따른 디자인을 창출하여야 하는데 최근 디자인 트렌드는 감성디자인이 그 중심에 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본 논문의 연구내용은 인터넷 휴대폰의 특징과 감성디자인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이에 따라 디자인 개발을 위한 감성디자인 요소를 분석 도출하여 인터넷 휴대폰 디자인에 어떻게 접목시켜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목적은 최근의 트렌드인 감성디자인에 대한 연구와 함께 연구 분석된 감성디자인 요소를 인터넷 휴대폰 디자인에 적용함으로써 신개념의 인터넷 휴대폰 디자인을 제시하고 이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향후 디자이너들이 제품디자인 개발 시에 적극 활용함으로써 디자인 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In modern life, the use sphere and influence of the Internet seems to be bigger than any other media. In the present information society, there seem to be no other systems which are quicker and broader than the Internet in receiving and delivering information. And the use scope of the Internet will quickly expand in the future. Recently, with the advance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he Internet is provided not only through lines but also through portable terminals and the use of Internet through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mobile phones and notebooks increases in an unprecedented manner. In particular, with the rapid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Internet mobile phone or smart phone in which the function of Internet is integrated into a variety of mobile phone functions, new products are developed diversely. In order to cope with this reality, it is necessary to develop such an Internet mobile phone which equips with a new sense of design. In this regar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Internet mobile phone designs which would take the lead the future design trend. In order to satisfy current situation, it is also necessary to create a recent design trend-oriented design of Internet mobile phone. And the focus of recent design trend seems to be on an emotional design. Therefore, the contents of this study center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 of Internet mobile phone and the conception of emotional design. In addition, the investigator examined and drew out emotional design factors and then sought out the method of grafting the emotional design factors into the Internet mobile phone. In other wo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motional design trend of today and then apply the emotional design factors to the Internet mobile phone in order to present the new concept design of Internet mobile phone and make designers positively utilize study findings in their development of new Internet mobile phone design in the future.

      • KCI등재

        3d printer 발전에 따른 제품디자인의 기초 조형 요소 변화에 관한 연구

        김관배,정도성,장중식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7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1 No.1

        Recent advances in 3D printers promote a new trend in the design world. In the aspect of diversity, it is becoming important to seek design direction that can enhance individual satisfaction based on new expressionism. New production techniques are also required. In mass production in the past, there was a pursuit of simplicity to produce and supply mass products centered on simple external design considering the limited conditions of mold. However, at present, a new trend appears that something were considered as impossible factors in the production of past undercut thanks to 3D printing technology which is easy to apply new material in a wide sense. Accordingly, in this research and development, it examined the base study of 3D printer and then understood the effect of 3D printer which had influence on design related field and the surrounding phenomenon,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products through 3D printer.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d new areas that could be produced individually for small quantity production, unlike the existing paradigm of product design by understanding basic molding elements of 3D printing product design required for a new era.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various techniques which could not be implemented in existing mass production in product design, focusing on small quantity production. In the field of product design, the study aime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3D printing product design only by designers' environmental analysis, new product design research and development of new demands and trends. 최근 3D프린터의 발전은 디자인계에 새로운 트렌드 변화를 불러일으키고 있으며, 신 표현주의를 기반으로 개개인의 만족감을 높일 수 있는 디자인 방향 모색이 중요한 상황으로 전환되고 있는 시점에 다양성이라는 측면에서 유효한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또한, 과거 대량생산에서 간단한 외형디자인을 중심으로 대량제품을 생산·공급하기 위하여 단순화된 형태가 추구되고 금형 성형의 제한적인 상황을 고려한 디자인이 이루어졌다면, 현재는 과거의 이러한 한계에서 벗어난 새로운 생산기법이 대두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좀 더 폭넓은 차원에서 신소재 적용이 용이하고 과거 생산에서 불가능 요소로 대두되었던 언더컷의 구현이 3D프린팅 기법으로 극복되면서, 새로운 트렌드로서 이러한 생산 특성이 디자인의 강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개발에서는 3D프린터의 기반연구를 통해 이후 디자인관련 분야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3D프린터와 주변의 현상을 이해하고, 3D프린터를 통해서 나타난 제품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디자인 개발 시 응용가능성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또한 새로운 시대에 요구되는 3D프린팅 제품디자인의 기초 조형요소를 이해하여 제품디자인의 기존 패러다임과는 달리 소량생산에 맞추어 개별 생산될 수 있는 새로운 영역을 모색하였다. 나아가 제품디자인에 있어서 기존 대량생산에서 이행하지 못했던 여러 기법을 소량생산 중심으로 적용하여 기존 대량생산 방식과는 차별화될 수 있는 조형요소를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제품디자인 분야에 있어서 3D프린팅 제품디자인만이 가지는 특성을 파악하고 디자이너의 환경 분석· 신규 제품디자인 연구개발, 새로운 니즈 발굴 및 트렌드의 발전방향성을 모색한다. ↲

      • KCI등재

        사용자 인식에 따른 바이오 의약품 패키지 디자인 개선 연구

        김나영 ( Kim Na Young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18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5 No.-

        전체 의약품 시장에서 차지하는 바이오 의약품의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바이오의약품은 기존 오리지널 의약품과 같은 효능을 보이면서, 가격은 상대적으로 낮아 시장잠재력이 크다. 바이오시밀러 의약품은 점차 개발됨에 따라, 기존의 제품과는 차별화되며, 환자나 간호사가 사용하기 편리하고, 구조가 단순하며, 제품 오남용을 막을 수 있는 바이오의약품 패키지 디자인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바이오의약품 류마티스관절염 치료제를 중심으로 전문의약품의 중요한 기재사항을 분석을 통해, 패키지 디자인의 기재 해야 하는 허가사항 중 가장 중요한 요소를 추출한다. 그 결과를 토대로, 사용자에게 오남용을 막기 위한 브랜드명, 성분명, 함량, 제형, 주사 투약방법, 포장 단위를 중심으로 국내 출시된 바이오의약품의 패키지 디자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최근 허가받은 바이오의약품 패키지를 분석한 결과, 시각·정보 전달, 구조 및 형태 면에서 국외사례보다 패키지 디자인에서 미흡한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바이오의약품의 개발이 활발해짐에 따라 바이오시밀러의 디자인 적합성에 문제점을 느끼고, 현재의 의약품 디자인과 국내외 바이오의약품의 분석과 유럽과 미국에 허가된 패키지 디자인의 분석을 통해 보완 방향에 관해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국내외 바이오의약품 패키지 디자인의 시각적 요소의 표현 방향은 추후 패키지 디자인 개발 시 방향성 수립에 기초적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Research on biopharmaceutical in the overall drug market is increasing. Biosimilar show the same efficacy as existing original biopharmaceutical, so they are inexpensive in terms of price, and thus have great market potential. Biosimilar drugs as a variety of products have been developed, it is necessary to design direction of biopharmaceutical package that is different from existing products and is easy to use by patients and nurses, and is simple in structure, and can prevent abuse of produ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ortant items of specialty drugs centering on the biologics and rheumatoid arthritis drugs, we extract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be designed on the package design. Based on the results, we try to analyze the package design of biopharmaceutical & Biosimilar are launched in Korea, focusing on brand name, ingredient name, content, dosage, injection method and package unit to prevent abuse. Analysis on biopharmaceutical packages in Korea reveal that package design is insufficient in terms of visual and information, structure and form compared with the case of product which is approved from EMA & FDA. As the development of bio product becomes more active, this study is needed the sense of concern about the design direction of biosimilar. In order to solve the insufficient design factor, we focused on case studies of package design in domestic biopharmaceutical and approved package designs in Europe and the U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visual aspect of the biopharmaceutical package design of domestic and global biopharmaceutical derived from this study that will be used as a basis for establishing the direction of future package design development.

      • KCI등재

        편의성을 강화한 맥주 패키지디자인 연구-중국 맥주 브랜드 칭다오 맥주를 중심으로-

        손위,송민정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3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21 No.1

        Due to concerns about the economic downturn in 2023, each company is strengthening existing products and being competitive through new products. Consumer-tailored and convenience-enhanced designs are very important positions in package design. The demand for high-end beer has increased rapidly in the liquor industry. It is intended to be an effective reference for the beer industry in the future by envisioning a package of the Qingdao brand with a high export rate and excellent market expansion potential. The scope of the study is the world's 20th-largest beer brand and Qingdao Beer in 2020. The research method analyzed the top 20 packages according to the literature review of package design and convenience design to design the Qingdao package, and compared and analyzed the case of convenience-based package design. As a result of sketching 18 Qingdao beer packages, completing two packages through expert evaluation, and evaluating consumers, the first plan was found to have better rationality, innovation, design, convenience, and attention than the existing package. This study was conducted by limiting the Qingdao beer consumption market to research subjects, but it is a convenience-enhancing design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industries, and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foundation for strategic and effective design design for various industries in the future. 2023년 주요 선진국을 중심으로 경제시장이 낮은 성장세를 보이면서 기업은 경제 침체기에 대한 우려로 기존 상품의 디자인과 마케팅을 강화하고, 다양한 신상품을 선보인다. 소비자 맞춤형 디자인과 편의성 강화 디자인은 패키지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주류 업계는 코로나로 인해 맥주 판매량이 매우 감소하였으나 고급맥주의 수요가 증가하여 각 기업에서는 적극적 판매 전략을 통해 수출증대와 시장확장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시장점유율이 높고, 매출증대가 예상되는 칭다오 브랜드의 맥주 패키지디자인을 연구하여 향후 맥주산업에 많은 발전이 있기를 기대한다. 연구방법은 패키지 디자인과 편의성 디자인의 문헌적 고찰을 통해 이론적 근거를 확립하고, 유로모니터 데이터에 따른 2022년 세계 판매순위 TOP 20위 맥주브랜드 패키지를 분석하여 칭다오 맥주 패키지디자인의 시안을 제시하고, 편의성 기반 패키지디자인 사례를 다속성 비교 분석해 평가하였다. 맥주 패키지의 편의성 요소는 전시, 운반, 사용 순으로 자주 나타났으며, 편의성 중심으로 칭다오 맥주 패키지를 18개 스케치한 후, 전문가 평가를 거쳐 최종 2개의 패키지디자인을 완성하고, 소비자를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편의성을 강화한 칭타오 패키지디자인이 기존 패키지보다 합리성, 혁신성, 디자인, 편의성, 주목성에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개봉과 사용이 편리한 점이 주목되었다. 편의성 디자인은 현대 사회에 맥주 패키지 분야 이외에도 다양하고 쉽게 적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칭다오 맥주 소비시장을 연구대상으로 제한하여 진행되었으나 편의성 강화 디자인은 다양한 산업에서 적용 가능하므로, 향후 본 연구가 전략적이고 효과적인 디자인 설계를 위한 토대로써 이바지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어린이 인지감각 활용의 어덜키즈 화장품패키지디자인 연구

        표연희 ( Pyo Yeon Hee ),정연자 ( Jung Yeon Ja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18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5 No.-

        오늘날의 어덜키즈 문화는 계속해서 확산되어 어린이를 위한 어린이 전용 화장품 브랜드, 어린이들만을 위한 문화 행사 등 어린이들만의 고유문화를 형성해 나아가고 있다. 이에 따라 어린이 감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어린이 감각을 자극할 수 있는 어덜키즈를 위한 시각적 디자인이 필요하다. 이는 뷰티상품 문화 형성에 있어서 패키지디자인을 통한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으로의 표현이며 어른의 화장문화에 대한 무조건적 수용에서 벗어나 어린이만을 위한 상품문화 형성의 기반을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어린이 인지감각을 반영한 어덜키즈 화장품 패키지디자인 도출을 위한 개발제안을 목적으로 하며 어린이 공간 및 사물 디자인에 활용된 디자인을 분석하여 디자인 특성을 도출하였다. 어린이 공간으로는 어린이놀이터, 어린이 감각발달센터, 어린이 치유 및 상담공간을 중심으로 형태 및 색채를 도출하였으며 어린이 장난감 패키지디자인 및 어린이 선호 캐릭터 디자인의 형태와 색채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형용사이미지스케일에 적용하여 어린이 인지감각을 반영한 디자인 이미지를 고찰하였다. 오늘날 상품시장에서 패키지디자인은 브랜드이미지와 더불어 소비자의 소비심리를 자극하여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다. 어린이라는 소비자 특성에 따라 캐릭터 중심의 패키지디자인에서 나아가 어린이의 흥미와 감각을 자극할 수 있는 새로운 패키지디자인의 개발이 이뤄져야 하며 본 연구를 바탕으로 화장품뿐만 아니라 다양한 어덜키즈 상품 패키지디자인 개발에 있어 기초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Today's kids' culture continues to spread, creating children's unique culture such as children's cosmetics brand for children and cultural events for children only.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have a visual design for childhood children who can stimulate children's senses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children's emotions. This is the expression of visual communication through the package design in the formation of the beauty product culture and it is possible to form the foundation of the product culture for the children only from the unconditional acceptance of the adult makeup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development of a children's cosmetic package design reflecting children's sense of cognition. Children's playground, children's sensory development center, children's healing and counseling space were extracted from the form and color, and the shapes and colors of children's toy package design and children's preferred character design were analyzed. Also, we applied this to adjective image scale and examined the design image reflecting children's sense. Today, package design in the commodity market is getting more important because it stimulates consumers' consumer sentiment along with brand image. Based on this research,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package design that can stimulate the interest and sense of the child in addition to the character-based package design according to the consumer characteristics of children. Based on this research, basic materials It is thought that it can be utilized as.

      • KCI등재

        예술 지능에 기반한 호텔 객실의 디자인 사례 분석 - 은신처와 감각을 활용한 생명감 체험을 중심으로 -

        김나연,이현수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7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6 No.6

        The study is aimed to analyze cases of hotel room designs based on the 'Art Quotient'. It is focused on design elements of livability, analyzing the space design in terms of biophilic design and experiential marketing. This paper proposes a direction for hotel desig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The scope of the study includes the cases of 17 hotels in the area of Seoul achieving five stars in Korea. This paper presents an analysis whether the room space of hotels provide a user–oriented life experience from the perspective of biophilic design and experiential marketing. In this study, we focused on the concept of 'refuge', one of the biophilic design elements that express the value of life sense, and the element of 'sense', one of the strategic experiential modules of experiential marketing. After analyzing the hotel case studies, the space was evaluated using five factors of art quotient as a design method to provide a life experience in the hotel room. Analysis of the design space from the viewpoint of refuge, rather than architectural elements, proved that decorative elements appeared most commonly in all hotel rooms. Further, through an analysis based on the measures of ‘sense’, an experiential element, visual elements were mostly enforced in among the elements of the five senses. In other words, when designing a hotel room space, visual elements such as color, pattern, furniture, lighting and style are mainly utilized. Examining the analysis of the design elements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art quotient, the rooms of all the hotel's suite types include elements of 'communication'. Most of the hotel rooms focused on stimulating the aesthetic sensibility of customers. This resulted in the elements of ‘immersion’ showing poor results.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five senses of the arts index in a balanced manner to provide a life experience through the five senses. 예술 지능에 기반한 호텔 객실의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일차적 단계로서 호텔 객실의 디자인 사례 분석을 연구의 주요 내용으로 다룰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은신처’의 관점에서 공간 디자인 요소를 분석한다. 둘째, ‘감각’의 관점에서 공간 디자인 요소를 분석한다. 셋째, ‘예술 지능’의 관점에서 공간 디자인 요소를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호텔 디자인 계획 방향성을 제안한다. 연구 범위는 국내 위치한 5성급 이상 서울 지역의 17개 호텔을 사례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사용자가 투숙하는 호텔 객실을 대상으로 객실 공간이 사용자 위주의 생명감의 체험을 제공하는지를 바이오필릭 및 체험 마케팅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생명감의 가치를 표현하는 바이오필릭 디자인 요소 중의 하나인 ‘은신처(refuge)’의 개념과 체험마케팅의 전략적 체험 요소 중 하나인 ‘감각(sense)’의 요소를 초점으로 다루었다. 호텔 사례 분석 후, 객실 공간에 생명감 체험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으로 예술 지능을 5가지 요소를 활용하여 공간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호텔들을 대상으로 분석 척도를 적용하여 평가 결과를 수치화해서 예술 지능의 적용 여부를 양적 평가하였다. 호텔 객실 디자인의 공간을 은신처 관점에서 분석 결과, 모든 호텔에서 공통적으로 건축 요소보다는 장식요소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전체 호텔 객실 중 은신처의 요소가 가장 높게 나타는 호텔 사례는 사례 5였으며, 낮은 천정과 작은 창의 요소가 포함된 비교적 아늑한 공간 디자인이다. 체험 요소 중 하나인 ‘감각’의 측정 평가 도구를 기준으로 호텔 객실 공간 적용 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오감의 요소 중 시각 및 미각의 요소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청각의 요소가 가장 낮은 점수를 차지했다. 즉, 호텔 객실 공간의 디자인 설계 시, 칼라, 패턴, 가구, 조명, 스타일 등의 시각적인 요소를 주로 활용한다는 점이다. 특히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낸 사례 4는 5가지 요소가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으며, 오감을 활용한 감각적 디자인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예술 지수 관점에서 디자인 요소 분석 결과, 5가지 지수 중 모든 호텔의 스위트룸 유형의 객실은 ‘소통’의 요소를 포함한다. 예술 지수가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낸 호텔은 사례 16 및 사례 17이다. 대부분의 호텔 객실은 고객에게 미학적인 감성을 자극하는 위주의 공간이었으며, 대신 고객에게 집중을 요하는 몰입의 요소는 미비한 결과를 나타냈다. 향후 호텔 객실의 설계시에는 예술 지수의 5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균형 있게 디자인하여 생명감 체험을 오감을 통해 제공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디자인 진로적성검사:

        길임주(Imjoo Gil),이상선(Sangsun Y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2

        본 연구는 미래의 디자이너를 자신의 진로목표로 설정하고자하는 학생들이 디자인 진로적성을 탐색할 수 있도록 ‘디자인 진로적성검사: 확장형’을 개발하였다. 이는 기존의 디자인 진로적성검사(2009)에 비해 최근의 디자인 분야의 변화를 반영하여, 디자인 기초소양에서는 선행연구들의 분석을 통해 표현력, 창의력, 기획력의 세 영역으로 나누어 다시 세분화된 하위 요인을 추출하였다. 디자인 전공소양에서는 최근의 디자인 진로분야에 부합하는 요인모형을 설정하고, 각 분야의 디자인 전문가들의 타당성 검사를 거쳐 구성된 문항으로 예비 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의 대상은 전국 4년제 디자인 대학의 재학생 608명, 본조사의 대상은 1205명이었다. 개발된 문항들은 예비조사와 본 조사, 탐색적 요인분석과 디자인 전문가들의 내용타당도 조사 를 거쳐 디자인 진로적성을 구성하는 하위요인들을 추출하고 최종 검사 문항을 선별하였다. 추출된 하위요인들은 디자인기초소양 척도를 구성하는 소묘력 외 7개 요인, 디자인기초소양 척도를 구성하는 패션 디자인 외 6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완 성된 검사는 디자인 기초소양 척도 55문항, 디자인 전공소양 척도 4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완성된 디자인 진로적성검사에서 설정된 요인구조와 문항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모형이 지지되는가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매우 적합한 것으로 나 타났다. Extended version of Career Aptitude Test for Designers (CATD) was developed in this study. The test was intended for future designers to check if they have design talents or aptitude. This is a direct and supportive manner of guiding students in their design-career decisions. The item development of extended version started with updated and accurate classification of related factors in design ability and majors or departments in 4 year universities. The participants in the pilot study were 608 students majoring in design, and 1,251 students majoring in design across S. Korea were participated in the main stud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tent validity inspections by seven design experts were performed for all the items. Results showed that the 3 factors and eight-subfactor model of ‘basic design competency’ and the seven-factor model of ‘advanced design competency’ were extracted with 55 items and 45 items each. The structural model of extended version of CATD was evaluated wit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hich provided a very good fit. It is concluded that the extended version of CATD is a useful instrument for university students to identify their aptitude as future designers.

      • KCI등재

        친환경디자인 컨셉의 베이커리 카페에 적용된 바이오필릭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이소미(So Mi Lee) 한국외식경영학회 2022 외식경영연구 Vol.25 No.5

        본 연구는 친환경디자인 컨셉의 베이커리 카페 실내공간에 적용된 바이오필릭 디자인 사례를 조사하고, 선행연구를 통해 추출한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특성을 기준으로 나타나는 특성과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첫째, 바이오필릭 디자인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분석기준 도출을 위한 문헌연구와 둘째, 실제 조사대상 베이커리 카페 현장을 방문하여 바이오필릭 디자인 특성이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 분석하는 사례조사 연구를 순차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친환경 컨셉의 베이커리 카페에 적용된 바이오필릭 디자인 특성은 자연의 직접적 체험, 자연의 간접적 체험, 공간과 장소의 체험 3가지 측면의 속성으로 측정하였는데, 이 특성으로 사례대상 카페를 단독형, 조합형, 분리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둘째, 베이커리 카페에 적용된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적용 효과로 자연광, 식물, 물과 같은 요소를 적용하여 기능적 효과, 실내공간의 마감 및 가구의 재료와 색채 요소를 적용하여 심미적 효과, 외부 전망, 휴식처, 장소 애착 요소를 적용하여 정서적 효과를 표현하고 있었다. 이렇듯 베이커리 카페에 적용되는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특성이 차별적인 전략으로서 식음공간의 장소적 역할을 확장시키고 고객의 방문목적과 선호,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 추후 바이오필릭 디자인 적용 효과 측정을 위한 정량적 평가 매트릭스 수립 등 객관적 조사와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연구가 보완된다면 다양한 차별화 전략을 가진 베이커리카페 공간의 컨셉 개발과 효과적 운영에 중요한 지침과 자료를 제공할 것이라 사료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ase of biophilic design applied to bakery cafes with eco-friendly design concept,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biophilic design extracted through previous studies. First, the research results measured the biofilic design characteristics applied to bakery cafes with eco-friendly design concepts in three aspects: direct experience of nature, indirect experience of nature, and experience of space and place, and the cafe subject to the entire case was divided into single, combination, and separate. Second, the application effect of biophilic design in bakery cafes showed functional effects through natural light, plant, and water elements, aesthetic effects through interior space finish, and furniture material and color elements, external view, resting place, and place attachment elements. Since the characteristics of biofilic design applied to bakery cafes can expand the cafe's place role as a discriminatory strategy and positively affect customers' visit purpose, preference, and satisfaction, it will provide effective guidelines and data to develop the concept of bakery cafes with various differentiation strategies.

      • KCI등재

        소셜 네트워크 빅데이터를 활용한 은유 디자인 키워드 분석 -UI 은유 디자인을 중심으로-

        설표 ( Xue Biao ),정원준 ( Chung Won-ju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2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8 No.-

        본 연구는 소셜 네트워크 미디어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을 활용한 은유 디자인 관련 빅데이터 연구로, 은유디자인의 활용 및 인식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빅데이터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은유 디자인 관련 키워드를 분석하고 키워드를 수집 및 정제하였다. Ucinet를 이용하여 출현빈도가 비교적 높은 주요 키워드를 군집화하고 CONCOR 분석을 실시한 후 Gephi를 통해 주요 키워드에 대한 네트워크 그룹화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최근 5년 많은 시간 은유 디자인 개념 관련 또는 은유 디자인을 포함하고 있는 키워드를 수집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은유 디자인’, ‘UI(User Interface) 디자인’, ‘시각디자인’, ‘응용’, ‘추세’ 등 총 27,000건 이상의 상기 키워드 관련 정보를 수집하였다. 그중 ‘은유 디자인’ 관련 건수는 18,922건이었으며 ‘은유 디자인’ 키워드를 공출현빈도 300회를 기준으로 총 66개의 주요 키워드를 추출하여 연결정도 중심성 값을 토대로 네트워크 시각화를 실시하였다. 66개의 주요 키워드에 대하여 CONCOR 분석을 실시한 결과, ‘은유 디자인 동인1) 개념 응용’, ‘은유 디자인이 생성하는 사용자 반응’, ‘은유 디자인 발전 동향’, ‘은유 디자인이 형성하는 디자인 서비스’의 4개 그룹을 형성하였다. 향후 디자인 연구에서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여 UI 디자인에 나타난 은유 디자인 현황 및 향후 방향을 모색할 수 있으며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 은유 디자인의 향후 발전 방향과 전략적 제언이 관련 디자인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a big data study related to metaphor design using social network media text mining, and aims to understand the use and perception of metaphor design. Keywords related to metaphor design were analyzed and keywords were collected and refined through big data text mining. Using Ucinet, major keywords with relatively high frequency of appearance were clustered, CONCOR analysis was conducted, and network grouping analysis was conducted for major keywords through Gephi. As a result of searching for information related to 'metaphor design', 'UI design', 'visual design', 'application', and 'trend' by setting the last five years as a search period, a total of more than 27,000 cumulative cases were searched. Among them, 18,922 cases were related to "metaphor design", and a total of 66 main keywords were extracted based on the frequency of public appearance of the keyword "metaphor design" and network visualization was conducted based on the degree centrality value. As a result of CONCOR analysis on 66 major keywords, four groups were formed: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metaphor design driver', 'User reaction generated by metaphor design', 'Trend of development of metaphor design', and 'Design service formed by metaphor design'. In future design studies, big data analysis can be used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 of metaphor design in UI design, and it is expected that future development directions and strategic suggestions of metaphor desig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related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