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공간구조와 교통에너지 소비의 상관성 분석

        이갑정(Lee, Gabjeong),윤갑식(Yun, Kapsik) 한국도시행정학회 2013 도시 행정 학보 Vol.2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도시를 대상으로 도시공간구조의 변화를 분석하고, 더불어 도시공간구조 유형별 1인당 교통에너지의 소비관계를 분석하여 에너지 효율적인 도시공간구조의 형태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하에 진행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도시의 공간구조를 인구밀도경사함수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2000년부터 2010년까지 도시공간구조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 도시들의 도심 인구밀도는 평균적으로 감소하고 인구밀도 경사도는 완만해지고 있어, 우리나라 도시들의 공간구조는 도심 집중현상보다 외곽지역으로의 확산이 활발하게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밀도경사함수에 포함된 파라메타인 도심 인구밀도와 인구밀도 경사도를 바탕으로 도시공간구조를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각 유형별 공간구조 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기간 동안 도심 인구밀도가 높고 인구밀도 경사도 절댓값이 작은 type Ⅱ에서만 도심 집중현상이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곽지역으로의 확산은 모든 유형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우리나라 도시의 1인당 교통에너지 소비실태를 살펴본 결과, 2000년 이후 1인당 교통에너지 소비량은 평균적으로 증가했지만, 1인당 교통에너지 소비량이 가장 많은 지역과 가장 적은 지역의 차이는 줄어들었다. 그리고 수도권 지역 도시들의 1인당 교통에너지 소비량이 비수도권 지역 도시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도시공간구조 유형별 1인당 교통에너지 소비량을 분석한 결과, 도심 인구밀도가 높고 인구밀도 경사도 절댓값이 작은 type Ⅱ의 에너지 소비량이 가장 적은 반면 도심 인구밀도가 낮고 인구밀도 경사도 절댓값이 작은 type Ⅲ의 에너지 소비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인당 교통에너지 소비량은 인구밀도 경사도보다는 도심 인구밀도와 큰 상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도심 인구밀도가 높을수록 1인당 교통에너지 소비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우리나라 도시공간구조는 2000년 이후 도심 집중보다는 외곽지역으로의 확산이 우세하게 진행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가 탄소저감대책 차원에서 에너지 효율적인 도시공간구조를 이루기 위해서는 도시외곽으로의 무분별한 확산보다는 도심재생 등을 통한 도심개발 중심의 도시개발 정책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This paper aims to measure and classify urban spatial structure in Korea, furthermore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ransportation energy consumption and urban spatial structure. Urban spatial structure is measured by C.Clark’s population gradient curve, characterized by population density in CBD and density gradients and categorized into 4 types in terms of the two factors. In this paper change in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spatial structure is analyzed between 2000 and 2010. The result shows that most of cities in Korea have experienced suburbanization rather than concentration during the period. Second, it shows that the volume of transportation energy consumption per capita had been rising from 4.287Bbl to 5.586Bbl in the time. Third, the result demonstrates that urban spatial structure characterized high population density in CBD with low density gradients is most energy efficient, whereas urban spatial structure characterized low population density in CBD with low density gradients is most energy inefficient. Moreover, population density in CBD has strong relationship with urban transportation energy consumption. This result implies that most of cities in Korea have been changed to energy inefficient urban spatial structure. Finally, it suggests that the future urban development policy should be designed for inner city regeneration rather than suburbanization.

      •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도시침수 관리 정책 개선방안 연구

        이승수,양일주,이문환,노성진 한국환경연구원 2022 기본연구보고서 Vol.2022 No.-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본 연구는 기후위기에 대응해 도시침수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한 정책개선 방안 도출을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음 Ⅱ. 해외 정책 현황 □ 제2장에서는 일본, 미국, 유럽, 중국 등 해외의 도시침수 관리 정책 현황에 대한 사례 조사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였음 ㅇ 일본은 침수피해의 발생을 방지하는 구조적 대책을 중점적으로 시행하였으나,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도시침수 발생 위험이 증가함에 따라 침수 발생 이후 인명피해 저감을 위한 비구조적 대책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음 ㅇ 미국은 국가홍수보험 프로그램과 주정부의 대책을 연계해 주정부의 적극적인 자구책 마련을 독려하는 체계를 운영하고 있음 ㅇ 유럽은 적극적인 홍수위험에 대한 정보공개를 바탕으로 사전 홍수위험 평가와 위험 지역 선정 관리계획 수립 및 이행평가를 연계해 선순환 구조를 가진 관리체계 마련하였음 ㅇ 중국의 스펀지도시 조성사업은 획일적이고 단편적인 대책의 위험성과 한계성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큼 Ⅲ. 국내 정책 현황 □ 제3장에서는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도시침수 관리현황을 파악하고, 그간 시행된 다양한 대책을 구조적 대책과 비구조적 대책으로 구분해 도시침수 저감대책 현황을 조사하고, 국내 도시침수 관련 연구현황을 조사·분석해 연구의 성과와 한계점 그리고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제시하였음 Ⅳ. 도시침수 관리 정책의 한계점 □ 제4장에서는 제3장에서 파악된 다양한 대책의 한계점을 도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음 ㅇ 다양한 구조적 대책이 시행되고 있음에도 기후변화로 인해 달라진 강우의 변동성을 고려할 때 구조적 대책 중심의 정책만으로는 피해저감 효과에 한계가 있을 것으로 파악되었음 ㅇ 대표적 비구조적 대책인 홍수위험지도는 단순한 침수심 정보제공 수준에 그쳐 실제 상황 발생 시 대처를 위한 정보가 부족함 ㅇ 지자체의 경우 도시침수 예경보를 위한 시스템이 마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운영을 위한 기술적 역량과 법적 근거가 미비해 실제 활용성은 매우 저조함 ㅇ 도시침수 현황 분석과 대응책의 효과 분석에 필수적이라 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의 근거자료가 되는 하수관로 GIS 정보화율을 확인한 결과, 지자체별 정보화율의 편차가 컸으며 특히, 국가 하수도통계와 정보화율의 수치 및 속성정보 누락과 같이 자료의 신뢰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견되었음 ㅇ 지자체 관리체계의 대응현황을 조사한 결과, 지자체별로 예산과 인력 등에 따라 대응 수준의 차이가 큰 것으로 파악되었음 ㅇ 지자체 담당자 면담을 통해 대책 수립과 이행에 관한 애로사항을 조사한 결과, 도시침수 관리사업이 환경부와 행정안전부로 이원화되어 두 부처의 정책이 유사하면서도 미세한 차이가 있어 지자체 단위에서 혼선을 야기한 것으로 파악되었음 ㅇ 국고보조사업으로 추진되고 있는 하수도정비중점관리구역과 재해위험개선지구로 지정된 지역 내에서만 사업이 추진될 수 있어 정책집행의 유연성이 부족함 Ⅳ. 정책제언 □ 본 연구에서 조사 및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을 제언함 - ㅇ 구조적 대책 중심에서 비구조적 대책과의 조화에 기반한 정책수립 기조 확립 필요 강우 변동의 불확실성을 고려해 구조적 대책과 비구조적 대책의 효과적인 조합을 통해 침수피해 발생 억제와 침수 발생으로 인한 인명피해 저감을 위한 정책방향 수립이 필요 ㅇ 기후변화 영향평가를 통한 시나리오별 대응방안 마련 -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시간 단위(hourly) 강우자료를 생산하고, 이를 이용해 기후변화로 인한 침수영향 평가를 수행한 후 시나리오별 맞춤형 대책 수립 필요 ㅇ 비구조적 대책의 법적 근거 마련 - 홍수위험지도 관리 개선을 위한 법적 근거 마련 - 인명피해 저감을 위해 침수시나리오에 따라 동, 구 단위의 대응(침수정보 제공방식, 대피장소 마련, 피난경로 개발 등) 시나리오 개발 - 지자체 단위의 도시침수 예경보 시행을 위한 법·제도 마련 ㅇ (가칭) 도시침수 관리지역 지정 및 관리체계 개선 - 하수도정비중점관리지역과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를 병합해 ‘(가칭)도시침수 관리 지역’으로 지정하고 관리지역을 선정하기 위한 평가체계 및 대책 수립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체계 마련 ㅇ 하수관로 정보화 자료의 신뢰성 제고방안 마련 - 하수관로 정보화사업 수행 시 구축된 자료의 신뢰도 평가 절차 마련 ㅇ 지역맞춤형 대책 개발을 통한 시민참여 확대 - 지역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도시침수 피해 저감을 위한 지역맞춤형 대책을 수립해 시민 참여도를 높이고 정책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안 마련 Ⅰ. Background and Aims of Research □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deriving policy improvement measures to reduce damage caused by urban inundation in response to the climate crisis. Ⅱ. Status of Overseas Policies □ In Chapter 2, implications were drawn from case studies on the current status of ountermeasures against urban inundation in Japan, the United States, Europe, and China. ㅇ Japan focused on structural measures to prevent urban inundation damage. However, as urban inundation risks have increased due to recent climate change, non-structural measures to reduce human damage after flooding are being actively implemented. ㅇ The United States operates a system that encourages state governments to actively prepare self-rescue measures by linking the national flood insurance program with state governments’ countermeasures. ㅇ The EU established a management system designed to boost virtuous cycle by linking preliminary flood risk assessment with the establishment of risk area selection management plans and implementation evaluation based on active disclosure of flood risk information. ㅇ China’s sponge city development project has many implications for the dangers and limitations of uniform and fragmentary measures. Ⅲ. Domestic Policy Status □ In Chapter 3, the current status of urban inundation control by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was identified, and the current status of urban inundation reduction measures was investigated by classifying the various measures implemented so far into structural and non-structural measures. In addition,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related to urban flooding in Korea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and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presented. Ⅳ. Limitations in Current Urban Flood Management Policies □ In Chapter 4, the limitations of various countermeasures investigated in Chapter 3 were identifi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ㅇ Even though various structural measures are being implemented, damage reduction might be limited with the structural measures only, when the variability of rainfall caused by climate change is taken into account. ㅇ Flood risk mapping, a representative non-structural countermeasure, is limited to simply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depth of flooding and inundation, so there is insufficient information in the event of an actual situation. ㅇ In the case of local governments, although a system for the forecasting and warning of urban inundation already exists, it is not being utilized due to a lack of technical capacity and legal basis for operation. ㅇ Checking the GIS informatization rate for the sewer system which is the basis for simulations essential for analyzing the current state of urban inundation and the effectiveness of countermeasures, wide variations in informatization rates were found according to local governments. In particular, problems that de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data were found, includ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national sewage statistics and the informatization rates, and the omission of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GIS data. ㅇ We looked into how well the management system of each local government responds to urban inundation, and found out that the level of response varies greatly depending on the budget and manpower of each local government. ㅇ We examined the difficulties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countermeasures through interviews with local government officials. As the urban inundation management project is manag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and their policies are similar but have subtle differences, confusion is caused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ㅇ Flexibility in policy implementation is lacking as the project can only be carried out within areas designated as sewage maintenance intensive management zones and disaster risk improvement zones, which are being promoted as government subsidy projects. Ⅴ. Policy Suggestions □ Based on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and analysis in this report, the following policies are suggested. ㅇ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basis for policy establishment based on harmony between structural measures and non-structural measures. - Considering the uncertainty of rainfall intensit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policy directions for reducing damage caused by flooding through an effective combination of structural and non-structural measures. ㅇ Prepare response plans for each scenario through climate change impact assessment -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ustomized measures for each scenario after producing hourly rainfall data according to the climate change scenario and using it to evaluate the impact of inundation due to climate change. ㅇ Preparation of legal basis for non-structural measures - Establishment of legal basis for improving flood risk map management - Develop scenarios for response (provision of flood information, preparation of evacuation sites, development of evacuation routes, etc.) at the district level according to inundation scenarios to reduce human casualties - Establishment of laws and systems for the implementation of urban flood forecasting and warning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ㅇ Designation of urban inundation management areas (tentative name) and improvement of management systems - Establish a system to evaluate the effect of establishing an evaluation system and countermeasures to designate ‘urban inundation management areas (tentative name)’ by merging the sewerage priority management area and the natural disaster risk area ㅇ Prepare measures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information data on sewerage systems - Establishment of a procedure for evaluating the reliability of data established during the sewage pipe informatization project ㅇ Expansion of citizen particip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regionally tailored measures - Establish regionally tailored measures to reduce urban inundation damage targeting local residents with a high understanding of the region to increase citizen participation and prepare a plan to maximize the effect of the policy

      • KCI등재

        중국의 산업구조 변화가 도시화에 미친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고정식,유일성 한중사회과학학회 2017 한중사회과학연구 Vol.15 No.4

        본 논문의 목적은 중국의 산업구조 변화가 도시화에 미친 영향을 실증분석 하는데 있다. 중국의 경제 발전 과정에서 산업구조의 변화가 수반되었는데, 이러한 산업구조 변화가 도시화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 대상 시기는 1989∼ 2014년까지 약25년 기간으로 31개 성시, 자치구의 산업구조 변화와 도시화의 상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기존연구 논문에서 사용한 변수들 중 본 연구에서는 제2차 산업과 제3차 산업의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 교육수준에 따른 인력비중, 해당지역의 농촌과 도시의 소비성 지출 비중 등의 변수를 활용하였다. 이러한 요인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각 성별 지역의 경제발전과 산업구조변화 정도에 따라서 도시화가 다른 유형으로 진행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산업구조 변화에 따른 도시화 정도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몇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산업구조 변화와 도시화의 결합도 개념을 활용하여 실증모델을 수립한 이후 산업구조 변화와 도시화의 상관성을 각 성시, 지구별로 분석한 결과 일반적으로 6개 등급으로 분류할 수 있다는 사실도 파악하였다. 이는 산업구조 변화가 도시화에 어떻게 영향을 주었는지 실증분석 한 결과를 뒷받침해 주는 것이다. 본 논문의 주요 분석 내용을 다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의 도시화는 초기에는 제2차 산업구조 변화에 영향을 받다가 점차적으로 제3차산업구조의 변화에 더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13개 성시와 자치구의 도시화는 제2차 산업구조의 변화와 밀접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2000년대 들어오면서 3차 산업구조의 변화가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산동성의 예에서 잘 드러나고 있는데, 2차 산업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최고점에 이른 후 하락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반면 3차 산업의 비중은 증가 추세를 나타내면서 도시화도 이와 상관성이 큰 것으로 실증분석 결과 확인되었다. 둘째, 농촌의 수입과 지출의 비율은 도시화 진전과 상관성이 일정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농촌의 농민수입 증가가 반드시 소비지출 증가로 이어져서 도시화를 촉진하는 방향으로 작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산동성과 절강성은 농촌 소득이 향상되어 소비성 지출이 크게 확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도시화 진전과 상관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남성, 호남성, 호북성 등은 통계적으로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농민수입의 증가가 도시화를 촉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경제적으로 발전된 지역은 농민 수입이 증가하더라도 도시화 촉진의 동력으로 작용하기 어렵다는 것이고, 경제발전 정도가 중간 혹은 그 이하 지역은 농촌소득 향상이 농민 지출로 이어져 도시화 진전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셋째, 도시화 과정에서 인력의 중요성도 확인되었다. 교육수준에 따라 분포하는 인재의 비중이 해당지역의 도시화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나타났다. 따라서 해당지역에서 교육받는 인력의 비중 정도가 도시화의 진전에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로 분석되었다. 넷째, 산업구조 변화와 도시화의 결합도 개념을 응용하여 실증분석한 결과 중서부 지역의 성시 자치구는 도시화의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2차 산업의 자본과 기술이 충분히 축적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3차 산업도 도시화 발전의 동력이 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동성, 광동성, 절강성, 하남성, 호남성 등은 2차산업, 3차산업과의 결합도가 1등급으로 분석된 반면, 호북성, 산서성, 강서성, 안휘성 사천성 등은 모두 6등급으로 나타났다. 산업구조 고도화와 합리화는 산업간 자원배분의 재조정을 진전시키며, 사회적 수요공급의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생산요소의 공간적 조합과 재배치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산업구조의 고도화는 잉여노동력의 흡수와 취업구조의 변화, 노동력의 이동을 촉진시키며, 결과적으로 도시화 발전의 기본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31개 성시, 자치구의 25년 기간의 통계를 가지고 실증분석 한 결과 이에 대한 상관성을 충분히 확인하였다. 本文是以在中國産業結構轉型的背景下, 硏究産業改革對城鎭化的影響。首先本文介紹了第二産業與三産業對中國城鎭化進程的深遠影響以及實證所必要的要素分析。其次根据各個要素分析利用線性回歸模型做出實證結果。幷且根据各個變量作出各省數据比較后得出硏究目標省分, 接下來進行回歸分析得出結果, 幷進行第二三産業的協調度方面的分析后發現: 第一中國城鎭化産業改革應該以第二産業爲依托發展第三産業。第二在發展中地區因爲消費系統以具規模但農村收入與消費比例不成正比有必要提高農村居民收入水平以消費帶動農村進行城鎭化改造。第三 在城鎭化的進程中, 人才是必不可少的因素, 而人才取決于敎育水平, 敎育水平的高低也再次證明了敎育對城鎭化的發展的重要性。第四不适宜全國性的開展産業轉移, 而應該繼續大力發展城鎭化與第二産業后中西部省分進而進行産業改革。

      • KCI등재

        1960년대 대서울계획의 동심원구조와 선형도시구조 대안이 서울의 도시구조에 미친 영향

        김혜영,이상헌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23 서울학연구 Vol.- No.90

        본 연구는 서울이 한강이남으로 시역이 확장되어 오늘날과 같은 도시구조를 형성하기 시작하는 1960년대 ‘대서울 도시계획’과 ‘담론’, ‘현실적 도시개발’을 살 펴봄으로써 서울의 도시구조를 명확하게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서울은 1950 년대부터 구상되기 시작하여 서울도시기본계획(1966)의 근간이 된 대서울계획에 의해, 수도 대서울의 건설을 위한 국토및지역·도시계획의 체계 속에서 동심원 구조로 구상되었다. 대서울계획의 동심원구조는 처음 구상된 이후 1970년대 초 까지 서울도시계획의 기조로 유지되었다고 볼 수 있지만, 원래의 계획대로 구현 되지 못하고 변형되었다. 1960년대 중반부터 HURPI를 비롯한 외국인계획가들 이 대서울 동심원구조를 비판하고 선형도시구조 대안을 제안하면서 대서울의 동 심원구조 계획이 수정되었다. 선형도시계획은 서울의 도시구조로 수용되지 못했 지만, 서울대도시권에서 서울단위도시의 동심원구조에 대상형 도시구조가 단편 적으로 중첩되면서 연담화되는 변형된 방식으로 구현되었다. 한편, 서울단위도 시구조는 1960년대 초 동심원구조의 구상을 따라 방사순환형 가로망체계와 그린 벨트가 구축되어 동심원적 구조의 틀이 유지되었다. 그러나 1960년대 후반 서울 시의 강남개발은 건설부의 대서울 동심원계획, 그리고 선형도시구조 담론과 무 관하게 추진되어 동심원구조의 내부가 격자형태로 변하였고, 동심원의 밀도계획이 무의미해져서 구도심이 평면적으로 확장되는 시가지 형태로 개발되었다. 그 결과 서울단위도시구조는 서울대도시권 동심원구조와 체계적인 정합을 이루지 못하게 되어 서울대도시권 전체로 보면 더 이상 동심원구조로 부를 수 없을 정 도로 변형되고 비대화되었다. 결론적으로, 현재 서울의 도시구조는 1960년대 도 시계획의 체계가 미비한 상황에서 계획된 대서울계획의 동심원구조가 일관성있 게 구현되지 못하고, 동심원구조에 대한 비판적 대안으로 제시된 선형도시구조 담론의 영향과 현실적 도시개발이 복잡하게 얽히고 중첩되면서 형성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일본 현(도도부)청 소재지 도시의 경제구조

        김용민(Kim, Yong Min),윤일현(Yoon, Il Hyun) 동아시아일본학회 2016 일본문화연구 Vol.0 No.58

        본고의 목적은 일본의 도시경제 구조를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은 주성분분석의 상위 2개의 주성분을 이용하고 주성분득점을 토대로 경제구조를 유형화하여 이를 비교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첫째, 도시경제가 경직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는 도시의 경제구조가 대도시 중심으로 재편되어 있고 경기침체가 장기화 될수록 중소도시의 경제구조가 약화되는 구조로 고착화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경제 구조의 역동성이 관찰되고 있는 도시는 규모가 작은 중소도시로 일본경제의 구조개혁을 위한 원동력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이는 도시 간 경제관계가 약화되고 있다는 것으로, 경제구조의 양극화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analyze the structure of Japan"s urban economy by typology. The top two principal components were used for analysis and were compared and examined based on the principal component score. The analysis led to several conclusions. First, the city"s economy is too inflexible. This means that the city"s economic structure has been reorganized into a metropolitan center; the economic structures of small and medium cities become permanently weakened when economic recessions continue for extended periods. Second, the size of the city being observed, regarding the dynamics of its economic structure, does not influence structural reform of the Japanese economy. This means that the economic relationship between the cities has been weakened, and polarization of the economic structure has thus become defined.

      • KCI등재

        한일 양국에 있어서의 역사적 계획도시의 도시공간구조 형성특성 및 변화과정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 한국 화성과 일본 히코네성의 사례연구

        윤효진(Yoon Hyo Jin),이종호(Rhee Jong Ho) 대한토목학회 2007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27 No.4D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일본에 있어서의 역사적 계획도시의 형성 당시의 도시공간구조의 주요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양국의 계획적 도시들에서 나타나는 유사성과 상이성을 명확히 함과 동시에 근대적 도시생활구조에 맞추어 변화되어져 온 변화특성의 배경 및 원인, 역사적 계획도시로서의 잠재력과 오늘날의 과제를 명확히 하는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역사적 계획도시의 사례지역으로서 한국의 수원시와 일본의 히코네시를 설정하여, 도시형성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의 가로 및 토지이용형태, 산업구조, 인구구조 등의 도시공간구조의 변화특성 및 주요 도시관련정책을 비교, 분석하였다. 비교분석결과, 양국의 역사적 계획도시들에서 형성당시의 사회, 경제, 문화적 배경 및 입지특성, 도시형성의 목적, 계획가의 의도 등에 따라, 일부 기능상의 유사한 점도 있었지만 각자 독자적인 도시공간구조를 형성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양국 모두 도시의 형성 및 변화 과정에는 당시의 정치, 경제적 배경 및 입지조건 등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각 사례도시들의 도시공간구조적 변화과정을 보면 양국 모두 근대화과정을 거치면서 도시생활환경의 변화에 대응하고 초기도시공간구조의 제약요인을 극복하면서, 가로 등의 내부 도시공간구조 및 토지이용형태가 크게 변모되어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양국이 시기별로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중심시가지의 번성기 혹은 변화기를 거쳐 시가지 확장에 따른 기존 중심시가지의 침체라는 공통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최근, 사례의 두 도시들은 역사적 계획도시가 갖고 있는 문화경제학적 가치에 눈을 뜨고, 또한 기존시가지의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시도 및 접근을 하고 있으며, 결과에 따라 이후 두 도시는 또 다른 변화의 과정을 겪을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이후의 역사적 계획도시들이 안고 있는 도시계획상 과제의 하나는 각각의 도시들이 추진하고 있는 기성시가화지역의 역사문화적 환경조성과 함께 새로운 도시생활환경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면서 침체된 경제력을 보다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보다 다양한 도시정책 및 계획수법의 모색 및 전개라고 말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otential and challenges of the historic planned cities in Korea and Japan by comparison of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their urban spatial structur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 among cities are investigated and the inter-temporal changes and the reasons of them are analyzed for the purpose. In particular, transportation network, urban land use, industrial structure, population structure, and urban policies of the case study areas, Suwon City and Hikone City, are compared in order to find important implications. The results provide the evidences that each city has, the unique urban spatial structure though some similarities in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backgrounds and locational characteristics are found. There are common factors in emerging the urban area and changes of the two cities: those are political and economic backgrounds and locational conditions. In addition, the two cities have experienced radical changes of street network and land use during the modernization era. Above all, they have common problem, deterioration of the old C.B.D. by expansion of urbanized area according to the growth. Currently, the two cities discover the cultural and economical value of the historic planned city and try to revitalize the old C.B.D. by various approaches. The strategies by them can make a new positive changes in the two cities.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for the historic planned cities to develop and execute a planning technique responding a new cultural needs of the old C.B.D. and changes of new urban life.

      • KCI등재

        뉴욕 대도시권을 통해 본 다핵도시의 철도교통체계가 갖는 구조적 특성 연구

        임희지(Lim, Hee-Ji) 한국도시설계학회 2010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1 No.5

        본 연구는 대도시의 에너지효율 모델인 다핵도시 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로서 다핵도시의 골격을 형성하는 철도체계의 구조를 파악하는 연구이다. 연구방법은 철도중심으로 형성된 다핵의 대도시를 선정하여 철도체계의 구조를 파악하였다. 사례 대상지는 뉴욕 대도시권을 선정하였다. 뉴욕 대도시권은 맨하탄과 부르클린이 통합된 다핵도시로서 자동차교통이 일반화되기 이전 철도교통이 주요 교통수단으로 이용되던 시기에 형성된 철도교통 기반의 도시이다. 뉴욕 대도시권의 철도교통체계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특성을 찾을 수 있었다. 연구결과, 시가화된 지역은 시내 곳곳을 긴밀하게 연결할 수 있는 지하철체계를 구축하였고, 교외지역은 중심시가지로 빠르게 연결시킬 수 있는 통근철도체계를 구축하고 있었다. 또한, 시가지는 격자형과 방사형구조로 노선이 만들어져 있었고, 교외지역은 나뭇가지형으로 만들어져 있었다. 주핵과 부핵들에는 터미널을 위치시키고, 이들 터미널과 지하철이 서로 교차하도록 하여 모든 지역에서 가장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철도연계구조를 형성하고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multinucleated city as an energyefficient city model. For this purpose, it explores the structure of an urban railway system as a skeleton of the multinucleated city. And it investigates the urban railway system of the New York Metropolitan Areas that was formed the city areas at the age of railroads before the suburbanization. The New York Metropolitan Areas is divided into the center city areas (Manhattan below the Central Park), residential city areas (Harlem, Brooklyn, Bronx, Queens, Jersey City-Hoboken, Hudson and Bergen County), and suburban areas. And the New York Metropolitan Areas has 2 main cores (Lower Town and Midtown) and 2 sub-cores (Brooklyn Downtown and Jersey City-Hoboken). It analyzed the structure of the transit system depending on the city areas and cores structure. The findings are as following. Firstly, The New York Metropolitan Areas has the dual system; city areas are served as a subway system and suburban area is served as a commuter train system. The commuter train system has the self-supporting system divided by 3 regions (New Jersey, North New York, and Long Island), and subway system is linked closely by lines. Secondly, the structure of the lines is diverse depending on the city structure: (1) center city areas: grid-type, (2) the residential city areas: a radial-type, (3) the suburban areas: a tree-type. Finally, the terminal is located at the cores so that it has easy accessibility to any stations. Every core is also connected directly by the subway system.

      • 도시개발사업에 의한 광주도시구조 변화 연구

        박준필 호남대학교산업기술연구소 2011 산업기술연구논문집 Vol.17 No.2

        광주는 주택 등을 공급하기 위하여 도시개발사업을 시행한 결과 급격한 토지이용이 변화되었고, 이에 따른 시가지 확장으로 도시구조가 변화되기 시작하였다. 또, 광주 도시구조는 정책적 목적에 의한 행정구역 확장으로 시가지가 동쪽과 서쪽으로 단절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것은 계획적인 개발에 의한 것이 아니고 단순한 행정구역 확장으로 주거지 등 시가지의 분산화가 주로 서쪽지역에서 이루어진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또, 인위적인 행정구역 확장으로 단절된 도시구조를 나타내고 있는 것은 확장 이전 행정구역 서쪽 경계를 이루던 영산강(榮山江)이 도시 중앙부를 관통하게 된 결과이며, 또한 광주공항의 항공기 이착륙 방향에 대한 도시계획 규제가 시가지 분리를 더욱 강화시켰다. 그러나 도시 전체로 볼 때 광주 도시구조는 동심원구조→동심원․선형구조→다핵구조로 변화되어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광주 도시구조를 효율적으로 추진시키기 위해서는 영산강을 녹지․수경 중심축으로 하고, 광주공항 이전 등의 정책적인 조치가 필요하다. 이렇게 된다면 미래 광주 도시구조는 무등산을 중심으로 서쪽으로 발전되는 5지(五指) 형태로 유도할 필요가 있다. 주요어: 도시구조, 토지구획정리사업, 택지개발사업, 조선시가지계획령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ransfer place selection in a lots of bus stops using transfer demand prediction results. Transfer place has an effect to the city that is adjacent area of bus stop and subway station, bus terminal, railway terminal etc. Transfer place is almost not determined by spontaneous but artificially in the present compared with the past. That is not to be created artificially, transfer place also not performing its functions. Transfer demand pre-diction is very important process because of transfer place is determined by transfer demand. This papers is focused on transfer demand prediction to decided place that is conveniently available of public transportation user. Key words: Transfer Place, Transfer, Transfer Demand, Adjacent Area

      • KCI등재

        도시적 삶과 폭력의 양상

        이양숙(Lee, Yangsook)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7 외국문학연구 Vol.- No.67

        이 글에서는 최근 소설에 나타난 도시적 폭력의 문제를 탐구하였다. 문학의 영역에서 폭력은 구조적인 병리에 대한 거부나 일상적인 현실질서의 억압적 성격을 드러내고 그것으로부터 일탈하고자 하는 욕망을 형상화함으로써 사회에 대한 비판의식을 드러내왔다. 그러나 최근 소설에서 폭력은 사회비판을 넘어 사회와 개인의 철저한 파괴(소멸)를 추구한다는 차이점을 보인다. 여기에는 폭력을 체감하면서도 어디에서 그 문제의 해결책을 찾아야 할지 알 수 없는 현대적 상황이 존재한다. 이 글에서는 현대도시에서 ‘공간의 분리’와 ‘사회적 배제’로 야기된 구조적 폭력이 ‘주관적 폭력’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분석하고 그것이 환기하는 사회적 물음에 주목하였다. 현대 도시에서 벌어지는 구조적 폭력과 그 폭력이 야기하는 불안과 두려움, 고립감은 특히 청년들에게 극심한 고통으로 나타난다. 염승숙과 김사과는 모두 1980년대 초에 출생한 젊은 소설가들로 이들의 작품에는 청년세대의 위기위식과 불안의 정동이 세밀하게 표현되어 있다. 염승숙이 존재감 없는 사람들의 위기의식과 소외감을 다루고 있다면 김사과는 사회적 소외가 불러일으킨 분노의 정동에 주목해왔다. 두 작가는 서로 다른 작품경향을 보여주면서도 공존이 허용되지 않는 현대도시에서의 고립에 주목한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이 글에서는 도시의 공적영역과 공공성의 부재로 야기된 ‘구조적 폭력’이 개인의 삶에 투영되는 두 양상을 검토함으로써 도시적 폭력의 현대적 특징을 검토하고자 한다.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recognition of a no-exit society and the literary response to it in recent Korean novels. The situation in which we experience violence but do not know where to find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violence is a peculiarly modern one. This paper analyzes urban violence in Korean literature in the early 2000s. ‘Structural violence’ in modern cities and the anxiety, fear, and isolation caused by violence appear to be particularly painful for young people. Sungsuk Yeom and Sagua Kim are all young novelists born in the early 1980s, and their works express in detail the crisis of the younger generation and their anxiety. If Yeom is dealing with the crisis of consciousness and sense of alienation of people without a presence, Kim has focused on the impatience and anger caused by social alienation. The two writers have a common point in that they presuppose isolation in a modern city that shows different works of art but do not allow coexistence. This paper examines the modern characteristics of urban violence by examining two aspects of "structural violence" caused by the absence of the public realm and publicity in the city. 이 글에서는 최근 소설에 나타난 도시적 폭력의 문제를 탐구하였다. 문학의 영역에서 폭력은 구조적인 병리에 대한 거부나 일상적인 현실질서의 억압적 성격을 드러내고 그것으로부터 일탈하고자 하는 욕망을 형상화함으로써 사회에 대한 비판의식을 드러내왔다. 그러나 최근 소설에서 폭력은 사회비판을 넘어 사회와 개인의 철저한 파괴(소멸)를 추구한다는 차이점을 보인다. 여기에는 폭력을 체감하면서도 어디에서 그 문제의 해결책을 찾아야 할지 알 수 없는 현대적 상황이 존재한다. 이 글에서는 현대도시에서 ‘공간의 분리’와 ‘사회적 배제’로 야기된 구조적 폭력이 ‘주관적 폭력’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분석하고 그것이 환기하는 사회적 물음에 주목하였다. 현대 도시에서 벌어지는 구조적 폭력과 그 폭력이 야기하는 불안과 두려움, 고립감은 특히 청년들에게 극심한 고통으로 나타난다. 염승숙과 김사과는 모두 1980년대 초에 출생한 젊은 소설가들로 이들의 작품에는 청년세대의 위기위식과 불안의 정동이 세밀하게 표현되어 있다. 염승숙이 존재감 없는 사람들의 위기의식과 소외감을 다루고 있다면 김사과는 사회적 소외가 불러일으킨 분노의 정동에 주목해왔다. 두 작가는 서로 다른 작품경향을 보여주면서도 공존이 허용되지 않는 현대도시에서의 고립에 주목한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이 글에서는 도시의 공적영역과 공공성의 부재로 야기된 ‘구조적 폭력’이 개인의 삶에 투영되는 두 양상을 검토함으로써 도시적 폭력의 현대적 특징을 검토하고자 한다.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recognition of a no-exit society and the literary response to it in recent Korean novels. The situation in which we experience violence but do not know where to find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violence is a peculiarly modern one. This paper analyzes urban violence in Korean literature in the early 2000s. ‘Structural violence’ in modern cities and the anxiety, fear, and isolation caused by violence appear to be particularly painful for young people. Sungsuk Yeom and Sagua Kim are all young novelists born in the early 1980s, and their works express in detail the crisis of the younger generation and their anxiety. If Yeom is dealing with the crisis of consciousness and sense of alienation of people without a presence, Kim has focused on the impatience and anger caused by social alienation. The two writers have a common point in that they presuppose isolation in a modern city that shows different works of art but do not allow coexistence. This paper examines the modern characteristics of urban violence by examining two aspects of "structural violence" caused by the absence of the public realm and publicity in the city.

      • 도시공간구조변화와 도시재생을 위한 공·폐가 발생특성에 관한 연구

        손영옥,나주몽 한국지역개발학회 2017 한국지역개발학회 세미나 논문집 Vol.2017 No.1

        현대사회에서 인구구조의 변화와 산업구조의 변화에 따른 도시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면서 도시공간 구조를 변화시키고 있다. 인구구조와 산업구조의 변화는 도심지 쇠퇴원인으로작용하여 도심공동화 현상으로 도시 내에 공가와 폐가를 증가시키고 있다. 한국사회는 급격한고령인구의 증가와 저성장기조의 경제환경으로 도심지 내에 버려지는 집들이 지속적으로 증가 하고 있다. 2013년 12월 5일 시행된 『도시재생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 시행되면서 광주광역시의 원도심활성화프로젝트가 시행되면서 도시재생지원센터, 도시재생아카데미, 원도심 활력프로젝트사업을 운영하면서 도시재생프로젝트의 일환으로 2016년 광주광역시는 전국 최초로 공가와 폐가에 대하여 전수 조사하여 2054세대의 공·폐가에 대하여 3개의 유형으로 분류하고 재활용도등급 5단계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의 공·폐가 현황과 공·폐가 확산 현상을 진단하고, 공·폐가 발생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2054세대의 공·폐가의 데이터를 지리정보시스템(GIS) 기반으로 분포도를 작성하고 연구대상지역을 설정하여 도시기반시설 상태분석을 기반으로 범주화 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공·폐가 밀집지역을 추출하기 위하여 지리정보시스템(GIS)를 활용한 도시공간 공�폐가 특성분포도를작성하여 미래의 도시재생방향과 도시재생의 목표설정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를 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도시 재생의 관점에서 도시공간구조변화에 따른 공·폐가의 발생원인을 분석하고 도시 공간의 특성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정책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