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나라 어린이 도서실 사서의 서비스 정도 및 취학전 자녀와 부모의 도서실 이용에 대한 실태조사

        이수현,김명순 한국아동권리학회 2003 아동과 권리 Vol.7 No.2

        본 실태조사는 서울에 위치한 어린이 도서실의 운영 현황, 어린이 도서실 사서의 서비스 실태 및 취학전 자녀와 부모의 도서실 이용에 대한 인식 및 현황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실태조사의 대상은 국회?공립?사립 25곳의 어린이 도서실로서 각 도서실을 운영하는 담당 사서 1명씩 총 25명과 이 어린이 도서실을 이용하는 취학전 자녀의 부모 65명이었다. 어린이 도서실의 운영 실태 질문지는 선행 연구들을 기초로 본 연구자가 작성하였다. 수집된 질문지는 연구 문제에 따라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어린이 도서실은 예산, 시설, 자료의 확충이 필요하다. 둘째, 어린이 도서실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인원 충원과 주제별 사서로서의 계속 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어린이 도서실은 이용하는 모든 대상에게 독서, 여가 활동, 문화의 종합적인 공간이 되어야 한다.

      • KCI등재

        한국의 도서관 명칭 수용 및 쟁점 연구 - 일본홍도회 부산포지회 도서실을 중심으로 -

        윤희윤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3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4 No.1

        The history of modern libraries in Korea is less than 150 years. Nevertheless, there are various issues about when the word library appeared, how it was transformed, and the name and overall appearance of the library opened by the Busanpo branch of the Nihon Kodo-kai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and argued many issu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word library appeared in poetry collections, tombstones, and diaries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Although it was widely held that the library was first introduced by Yu Gil-jun’s 「Seoyugyeonmun, 1895」, it appeared in Lee Hun-young’s 「Iisajipryak」 and was also introduced in 「Hanseongsunbo, 1884」. And the first name given to the facility was Kodo library, which was opened by the Busanpo branch on October 10, 1901. Book club, reading club(library), Busan(Busan district) library, Kodo bookstore, Kodo-kai library, etc. which are described in many documents are all errors. The location of the library was a temporary house on a leased site in Seosanhajeong of Yongdusan mountain. And it is presumed that it has secured about one room and 1,000 Japanese and Western books, and provided fee-based services to Japanese residents. Although the Kodo library is not the first public library established by a Korean, it is undeniable that it was the first public library to exist in Korea. Therefore, when defining the character of the Kodo library, it is necessary to have a coolness and discernment beyond national emotions, historical conflicts, and ideological frames. 한국의 근현대 도서관 역사는 150년에 불과하다. 그럼에도 도서실(관)이란 말이 언제 등장하여 어떻게 변용되어 왔는지, 그리고 개화기 일본홍도회 부산포지회가 개설한 도서관의 명칭 및 전모에 대해서는 쟁점이 많다. 이에 본 연구는 여러 쟁점을 분석하고 논증하였다. 그 결과, 도서실이란 말은 조선 초기부터 시문집, 묘비명, 일기에 등장한 것으로 밝혀졌다. 도서관은 1895년 유길준이 「서유견문」을 통해 최초로 소개하였다는 것이 중론이었으나 1881년 이헌영의 「일사집략」에 등장하며, 1884년 「한성순보」에도 소개되었다. 그리고 시설명에 부여한 최초의 명칭은 1901년 10월 10일 부산포지회가 개설한 홍도도서실이다. 많은 문헌에 기술된 도서구락부, 독서구락부(도서실), 부산(부산지부)도서실(관), 홍도도서관 등은 오류다. 홍도도서실 위치는 용두산 서산하정 임차지의 임시 가옥이었고, 규모는 방 1칸 정도와 화한서와 양서로 구성된 장서 1천권 내외였으며, 일본 거류민을 대상으로 유료서비스를 제공한 것으로 짐작된다. 비록 홍도도서실이 한국인에 의해 설립한 최초 공공도서관은 아니지만, 한국에 존재한 최초 공공도서관이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따라서 홍도도서실의 성격을 규정할 때는 민족적 정서, 역사적 갈등, 이념적 프레임을 초월하는 냉정함과 분별력이 요구된다.

      • KCI등재

        「도서구입청구건」을 통해 본 이왕직 도서실의 서적 구입

        이혜정 한국서지학회 2012 서지학연구 Vol.52 No.-

        In the current research through the “book purchase demand case”(圖書購入請求件) content we tried to comprehend the publications purchased in the Yiwangjik library(李王職 圖書室). Before reviewing the “book purchase demand case”(圖書購入請求件), we examined the data related to the purchase among the list create in the same period in the royal library such as Yiwangjik(李王職), Gyujanggak(奎章閣) inside the palace, and reviewed the type created by each list. It can be examined that some list’s content show a condition that each list’s detail content concordes each other. In the next chapter, we examined the “book purchase demand case”(圖書購入請求件) of the draft document and content of the enclosure. We can verify that through the plan it acquires the approval from the library and accountancy room, and through the enclosure content we could verify the payer. It was verified that most of the payers were figures engaged in the delivery business, but we could also verify that the publisher of the publication that wishes to pay or the writer of the publication assuming the role of the payer. Lastly, through the classification by theme we divided the purchase publication into Joseon, Chinese and Japanese copy known through the “book purchase demand case”(圖書購入請求件) and examined the publications introduced to the Yiwangjik library(李王職 圖書室) during 3 years. 본 연구에서는 「도서구입청구건」의 내용을 통해서 이왕직 도서실에서 구입한 서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도서구입청구건」을 살펴보기에 앞서 궁내부와 이왕직, 규장각 등 왕실 도서관에서 같은 시기에 작성한 목록 중 구입과 관련된 자료를 살펴보고, 각 목록이 작성된 형식을 알아보았다. 일부 목록의 내용은 각각의 목록의 세부 내용과 서로 일치하는 양상을 살펴볼 수 있었다. 다음장에서는 「도서구입청구건」의 기안문과 별지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입안을 거쳐 도서실, 경리실의 결재를 얻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견적서의 내용을 통해서 납입자를 확인할 수 있었다. 용달업에 종사하는 인물이 납입하는 것이 대다수로 확인되지만, 구입하고자 하는 서적의 출판사 혹은 서적의 저자가 납입자의 역할을 맡고 있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도서구입청구건」을 통해서 알 수 있는 구입 서적을 조선본, 중국본, 일본본으로 나누고 주제별로 분류하여 3년간 이왕직 도서관으로 유입된 서적을 살펴보았다.

      • 『소련 한족사(韓族史)』에 나타난 도서관에 관한 연구

        박경자 ( Kyung Ja Park ) 대진대학교 독서문화연구소 2009 독서문화연구 Vol.8 No.-

        소련 한족사에 나타난 도서관에 대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에트 정권 초기 한인 노동자들의 중요한 문화·교육 활동은 주로 농촌 도서실이었다. 둘째, 농촌 도서실이 1차적으로 한 일은 문화 근원지에 훨씬 더 많은 거주자들을 참가하도록 하는 것과 함께 농촌 도서실 망을 확대시키는 것이었다. 셋째, 농촌 도서실의 재정 상태, 사업 내용, 조직망의 상태는 농민 대중의 신장된 문화적요구보다 뒤떨어져 있었다. 넷째, 촌락에서의 문화 건설 성공은 무엇보다도 대다수 농민들에게 오랜 과거의 짐을 극복하게 해주었다. 다섯째, 대중의 문화·정치 교육에 굉장한 의의를 지녔던 것은 정기 간행물과 잡지와 신문이었다. In the history of Korean rase in the Soviet Union, the library has a significant meaning as cultural and educational committee. In the early age of the Soviet government, the cultural and educational activities of Korean workers are mostly performed at the library in the rural area. The rural library primarily encourages more Koreans to attend in the cultural sources, and develops networking among rural libraries. The rural library lags much behind in many ways such as financial status, business scope and networking power while the cultural needs of rural people are on the increase. However, the success of cultural construction in rural area releases most of rural people from the long burdens of the past. The regular publication, magazines and newspapers take the lead in the public education on culture and politics.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교(初等學校) 도서실(圖書室)의 공간구성(空間構成)에 대(對)한 연구(硏究)

        허영환(Heo, Young-Hwan),김승근(Kim, Seung-Geun) 한국교육시설학회 2003 敎育施設 Vol.10 No.1

        The library of elementary schools, which plays a role in the basic education to grow a responsible social member in an information society and to develop ability for collection, selection, summary, and utilization of various information, could be considered as new educational center. It should be changed to the establishment of informational education for preparing the information society in 21st century through the functional extension of the conventional library as reading and bookstand. Furthermore, it is necessary of trials that converts to the support system for interchange between establishment and student, for preparing educational system of teaching or studying, and for opening establishment to local communities in the future.

      • 독서 습관 형성

        강복환 公州敎育大學 敎育硏究所 1995 公州敎大論叢 Vol.32 No.1

        1. 독서 지도는 지도에 앞서 목적을 뚜렷이 인식해야 할 것이며, 방향을 설정한 후에 지도해야 할 것이다. 2. 학년 단계에 맞고 교과와의 관련이 깊은 도서를 선정 확보하고 의도적으로 독서를 하게 함으로써 독서에 대한 흥미을 유발하는데 도움이 된다. 3. 도서실 환경을 개선하고 체계적인 교수 • 학습 독서지도와 의도적인 독서 활동을 전개하고 독후지도를 철저히 하면 독서 습관 형성에 효과적이다. 4. 독서활동은 어린이들 스스로 관심있는 내용을 창안 지도하면 독서 습관이 자연스럽게 형성되어가며, 자발적, 능동적으로 독서하려는 경향이 점차 높아진다.

      • KCI등재

        대전 시내 초등학교 도서실 현황에 관한 연구 - 교사 대상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이정우 한국농촌건축학회 2003 농촌건축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Vol.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present state of elementary school librarie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For this 50 schools are surveyed by questionnaires on two groups of teachers, those that take charge of school library and those who do not. As a results of this research following issues are emerged. First, the present state of surveyed school libraries is below standard with regard to the amount of books and size and it is required to improve these poor conditions. Second, the space programs are not sufficient to conduct enlarging scope of school libraries, which is conspicuous in spaces for affording librarians, supporting various activities and serving user's convenience. Third, in spite of poor conditions in school library facilities, respondents' satisfaction rate is not so low and there's no obvious demand for diversity of spac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