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사회적 책무성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홍선연(Sun Yeun Hong),박강우(Gang Woo Park),박진식(Jin Sik Park),하종욱(Jong Uk Ha) 안전문화포럼 2023 안전문화연구 Vol.- No.25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긍정적 대학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사회적 책무성,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를 확인하고,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G도시에 소재한 일 간호대학의 1학년에서 4학년 학생으로, 총 191명이다. 자료수집기간은 2022년 9월 1일부터 9월 15일까지로 구조화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도구는 사회적 지지, 사회적 책무성, 대학생활 적응이다. 연구대상자의 수는 G power 3.1.2를 이용하여 최소 대상자 수를 확인한 후 총 191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검정(t-test), 분산분석(ANOVA), 피어슨 상관관계(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사회적 지지 점수는 5점 만점에 평균 4.34±0.66점, 사회적 책무성 점수는 5점 만점에 평균 3.98±0.55점, 대학생활 적응 점수는 5점 만점에 3.54±0.69점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는 사회적 책무성(r=.67, p<.001), 대학생활 적응(r=.50, p<.001) 간에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사회적 책무성 또한 대학생활 적응(r=.49, p<.001)과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각 변인들의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설명력은 29%(F=38.39, p<.001)였으며, 사회적 지지(β=.31, p<.001), 사회적 책무성(β=.28, p<.001)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책무성이 대학생활 적응의 중요한 영향요인임을 확인하였다. 간호대학은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을 위해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책무성 향상을 위한 대인관계 및 인문학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social responsibility, and college life adaptation of nursing students in order to lead a positive college life for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91 students in the first to fourth grades of a work nursing college located in G city.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September 1 to September 15, 2022, using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survey tools are social support, social responsibility,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A total of 191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fter confirming the minimum number of subjects using G Power 3.1.2.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iefficients, multiple linear regression using SPSS/WIN 23.0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verage social support score was 4.34±0.66, Social responsibility score was 3.98±0.55, and College life Adjustment score was 3.54±0.69.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Social responsibility(r=.67, p<.001), Social support and College life Adjustment(r=.50, p<.001), Social responsibility and College life adaptation(r=.49, p<.001). In addition,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for College life Adjustment was 29%(F=38.39, p<.001), Social responsibility(β=.28, p<.001) Social support(β=.31, p<.001)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on College life Adjustment.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support and social responsibility are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college life adaptation. Nursing colleges should improve social support and social responsibility for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interpersonal relationship improvement programs and humanities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social support and social responsibility.

      • KCI우수등재

        의과대학의 사회적 책무성 수행 유형과 우선순위 과제

        이상미(Lee, sangmi),양은배(Yang, eunbae)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8

        이 연구는 의과대학의 사회적 책무성 수행 유형과 과제를 도출하여 분석하였다. 의과대학의 사회적 책무성 수행 유형과 우선순위 과제를 도출하기 위해 연구진은 “의과대학의 사회적 책무성 수행 요인의 중요도와 현황에 대한 의견 설문조사지”를 개발하였다. 각 의과대학의 의학교육 전반에 책임을 맡고 있으며, 각 의과대학의 사회적 책무성 수행에 대한 의견을 대표할 수 있는 전국 40개 의과대학의 현직 학장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모든 의과대학이 설문에 응답하였다. 군집 분석을 한 결과, 의과대학의 사회적 책무성 수행 유형은 크게 선도형, 성장형, 잠재형 대학으로 구분되었다. 40개 의과대학 중 5개 의과대학이 선도형 대학에 포함되었으며, 높은 수준의 사회적 책무성 수행 기준을 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도-수행 분석인 IPA 방법을 통한 주요 우선순위 과제는 선도형, 성장형, 그리고 잠재형 대학 세 그룹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으며, 의과대학의 사회적 책무성 수행 수준에 따라 주요 과제가 다르게 나타났다. 선도형 대학은 사회적 책무성 수행 모니터링 체계와 지표 개발이 우선순위가 높은 과제로 도출되었으며, 성장형, 잠재형 대학은 사회적 책무성 수행을 위한 예산확보와 물리적 환경이 가장 큰 과제로 나타났다. 따라서, 의과대학은 사회적 책무성 수행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으로 주요 이해관계자와의 파트너십을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대학이 처한 사회적, 문화적 맥락에 따라 차별적인 전략을 수립하는 것을 제안한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types of and priority tasks for social accountability in medical school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the deans of 40 medical schools in Korea who were currently responsible for the schools and could present opinions on the implementation of social accountability. We developed the survey used in this study, entitled “Opinion Survey on the Importance and Status of Factors Influencing the Implementation of Social Accountability by Medical Schools.” The deans from all 40 medical schools (100 percent) provided responses. Cluster analysis revealed three types of social accountability in medical schools: leading, growing, and potential. Five out of the forty medical schools were considered leading medical schools with a high level of social accountability.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revealed the main common priority tasks in medical schools; it was also found that challenging tasks differed based on the level of social accountability in medical schools. The leading medical schools were found to highly prioritize the establishment of monitoring systems and the development of indicators, while growing and potential medical schools were found to prioritize tasks in the areas of physical and financial environmental. Therefore, medical schools need to strengthen partnerships with major stakeholders and establish different ways of meeting social accountability according to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of the school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건강앰버서더 활동 경험이 변혁적 리더십, 전공몰입, 사회적 책무성에 미치는 영향

        김윤경,박현정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The Impact of Nursing Students’ Health Ambassador Experience 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Major Commitment,and Social ResponsibilityYunkyoung Kim & Hyunjung Park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 of nursing students’ health ambassador activity experience 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major commitment, and social responsibility.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one group pre/post test design targeting 28 3rd and 4th year nursing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health ambassador activities at a university located in G city. The study period was from June 20, 2022 to Aug. 31, 2022, For data analysis, SPSS WIN 27.0 program was used,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were analyzed by real number,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by paired t-test to test the effect of health ambassador activit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3.444, p=.002) of nursing students who had experience in health ambassador activiti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ajor commitment (t=-1.200, p=.240) and social responsibility (t=-.374, p=.712)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t was confirmed that nursing students’ experience of health ambassador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t is expected that various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such as health ambassador activities will be activated to improve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Key Words: Nursing College Student, Health Ambassado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Major Commitment, Social Responsibility 간호대학생의 건강앰버서더 활동 경험이 변혁적 리더십, 전공몰입,사회적 책무성에 미치는 영향김 윤 경**ㆍ박 현 정*** 연구 목적: 이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건강앰버서더 활동 경험이 변혁적 리더십, 전공몰입, 사회적 책무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 연구 대상은 G광역시 소재 일개 대학의 건강앰버서더 활동에 참여한 3, 4학년 간호대학생 28명을 대상으로 한 단일군 사전・사후 실험설계(one group pre/post test design)이다. 연구기간은 2022년 6월 20일부터 2022년 8월 31일까지였고, 자료 분석은 SPSS WIN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및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으며, 건강앰버서더 활동의 효과 검정을 위해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연구결과, 건강앰버서더 활동 경험을 한 간호대학생의 변혁적 리더십(t=-3.444, p=.002)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전공몰입(t=-1.200, p=.240)과 사회적 책무성(t=-.374, p=.712)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및 제언: 간호대학생의 건강앰버서더 활동 경험은 변혁적 리더십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변혁적 리더십을 향상하기 위해 건강앰버서더 활동과 같은 다양한 사회적 참여 활동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핵심어: 간호대학생, 건강앰버서더, 변혁적 리더십, 전공몰입, 사회적 책무성 □ 접수일: 2022년 11월 6일, 수정일: 2022년 11월 22일, 게재확정일: 2022년 12월 20일* 이 논문은 2022년 광주대학교의 학술연구비 지원을 받아 수행된 것임. ** 주저자, 광주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First Author, Professor, Gwangju Univ., Email: kyk09177@naver.com)*** 교신저자, 광주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Gwangju Univ., Email: hjpark@gwanju.ac.kr)

      • KCI등재

        서비스-러닝과 장소 기반 지역 협력을 통한 대학교육의 변화 지향

        권상철(Kwon, Sangcheol),오정훈(Oh, Johnny)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1 교육과학연구 Vol.23 No.4

        대학은 교육과 연구 그리고 비교적 늦게 미국 주립대학의 공공서비스 전통에서 시작한 봉사를 핵심 이념으로 하고 있다. 세계화와 더불어 경쟁 심화와 경제 변화 상황에서 대학은 순위와 취업 경쟁에 치중하며 본연의 역할과 거리를 두었다. 그러나 대학은 최근 교육의 내실을 기하며 사회 공헌도 확대하는 서비스-러닝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서비스-러닝은 1990년대 미국에서 대학교육이 사회 문제에는 무관심한 체 학생들의 개인 역량에만 주력하는 상황에서 대학의 자성적 노력과 정부, 사회기관의 지원으로 확대 되었다. 대학의 사회적 책무와 관련하여 서비스-러닝은 사회문제에 대해 비판적 안목으로 지역사회와의 호혜적 관계를 강조하고, 한정된 지역을 대상으로 대학과 지역사회가 종합적인 협업을 강조하는 장소 기반의 지역 협력으로 발전하고 있다. 한국도 교육 현장에서 다양한 봉사활동을 강조하며 최근 일부 대학에서 서비스-러닝을 현장과 연계한 지역기반학습으로 진행하는데 아직 특정 지역, 학과에 한정되어 있다. 대학은 보편적으로 지역사회와 특정 문제를 중심으로 협력하는데, 지역사회의 협회, 기관, 기반시설 등 자산에서 잠재력을 찾는 새로운 안목과 시도를 고려해 볼 수 있다. 대학의 서비스-러닝과 연계한 지역의 수요와 자산에 대한 조사와 연구는 학습 효과를 높이고 지역 변화를 이끌어 내는 또 다른 방법이 될 수 있다. 서비스-러닝과 대학-지역 협력은 보다 나은 세상을 위한 대학의 변화 노력이다. Universities pursue teaching, research and service as central roles in which the service was added lately from the public service tradition in US state university. As university education became popular, students devoted their time to individual capacity building, and increased competition with globalization put universities into ranking and employment pressure. In the 1990s, universities distanced from social issues began service-learning and community engagement to emphasize practical experience and service to communities. Governments and social organizations supported such change to take place in numerous universities. With regard to the university social responsibility, service-learning emphasizes critical approach to social issues and reciprocal relationships with community. Place-based community engagement is another approach university cooperates with specified place diverse activities with long-term commitment. Korea has emphasized volunteering activities for education, but service-learning has been adopted by only a few universities and majors. Community engagement often has taken problem-focused approach. New perspectives and efforts are needed to find the potential in the assets of the community such as associations and institutions. A research activity of local assets carried out in connection with the service-learning would increase the effects of learning and regional change. Service-learning with university-community collaboration is a transformational efforts at universities for a better world.

      • KCI등재

        ESG 기반 기독교대학 교양교육의 방향성 모색

        장유정,박현정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23 생명과 말씀 Vol.35 No.1

        The concept of ESG, which emphasizes environmental and social responsibility, and governanc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s attracting atten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rapid climate change. In this context, this study first analyzed ESG-based university education. It classified it into two types— one type focuses on forming organizations or committees for innovation and offering related subjects and the other focuses on providing ESG management consulting through business or research agreements with local governments and public corporation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ed a direction for developing liberal arts courses in Christian universities related to the concept of ESG. For this, it is urged that "God," "the world," and "me" should be deeply considered as core elements in learn-ing and practicing ESG. Based on this, a 4-year curriculum related to ESG in a Christian university was proposed.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God's creation and the integrated self-identification in the 1st and 2nd grades, the 3rd graders were asked to analyze problematic circumstances related to ESG and seek solutions. In the 4th year, PBL (Project/Problem-based Learning) and capstone design learning could be applied to observe ESG problems in companies or organizations and propose improvement plans. Through this 4-year process, the 3C (Creation, Collaboration, Contribution) competency and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are expected to be developed. It also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an implicit curriculum in which university members recognize the significance of ESG and practice.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팬데믹과 급격한 기후 변화를 겪으며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환경적 책임, 사회적 책임, 지배구조의책임을 강조하는 ESG라는 개념이 시선을 끌면서 공공기관을 비롯하여 초·중·고·대학의 교육과정, 그리고 대학평가에 이르기까지 적용방안이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이렇듯 ESG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고 전문 인력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는 추이에따라, 본 연구는 먼저 ESG 기반 대학 교육의 현황 자료를 검색하여 두 개의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고등교육혁신기구 또는 위원회를 만들고 교과 개설에 중점을 둔 유형과 지방자치단체, 공기업등과 업무협약, 또는 연구협약을 맺어 ESG 경영 컨설팅을 제공하는 등 산학협력에 중점을 둔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다음 단계로 아직 대학에서 환경, 조세, 경영 등 ESG와 직접적관련이 있는 전공들을 중심으로 교과가 개설되고 있는 단계지만, 관련 학과 간 융복합연구 및 교양 교과 개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 ESG에 대한 기독교신앙적 해석이 이뤄지고 있다는 점을 반영하여 ESG를 주제로 기독교대학 교양과목 개발 방향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기독교교육과정을 구성하는 핵심적 요소인 “하나님”과 “세상”, 그리고 “나”의 관점에서 ESG를조망함으로써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1학년부터 4학년까지 연계성을 고려하여 1학년에서는 하나님과 창조세계에 대한 이해를, 2학년에서는 나의 본질에 대한 이해를, 3학년에서는 세상과 나의 본질에 대한 이해에 근거한 ESG 실천을, 4학년에서는 ESG를 통한 사회적 참여가 이뤄지도록 제언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전공적 차이를 뛰어넘어 ESG라는 주제를 가지고‘창조주 하나님’, ‘자연과 세상’, 그리고 ‘책임 있는 자아로서 나’ 에 대한 관점을 재해석하고 정립하는 공동의 경험을 가지도록 하였다. 1~2학년에서 하나님의 창조세계와 통합적 자아에 대한 이해를바탕으로 3학년에서 ESG와 관련한 문제 상황을 분석하고 그 해결책을 모색하도록 하였는데, 개인적 혹은 팀별로 국제 청소년성취 포상제도(The Duke of Edinburgh’s Award)에 참여하거나, 그 취지를 살려 학생 스스로 목표를 세우고 실천하도록 하였다. 4학년에서는 캡스톤 디자인 러닝을 도입하여 기업 혹은 기관을정해 ESG 관련 문제를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하도록 하였다. 아울러 주도적 참여와 학습이 이뤄지도록 PBL(Project/Problem Based Learning)로 진행하여 졸업 후 마주할 수 있는 현실적인문제에 대한 해결 능력과 더불어 3C(Creation, Collaboration, Contribution)의 역량을 키우도록 제안하였다. 이러한 명시적 교양수업 개설 방향을 제언함과 동시에 대학구성원들이 ESG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ESG가 실천될 수 있는 여건과 문화를 조성함으로써 ESG가 교육될 수 있는 잠재적 환경을 조성할 것을 촉구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대학입학사정관제의 특징 및 개선방안 분석 -Cooper 등의 4차원 정책분석모형을 사용하여

        양성관 한국교육정치학회 2009 敎育政治學硏究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ocial diversity of admission officer system, historical and institutional context relating to college admission, benefits of various interest groups, universities, high school teachers, applicants and their parents, and other research institutions, and professionalism of newly hired admission officer. Cooper, Fusarelli, and Randall(2004)'s four dimension policy lenses-normative, structural, constituent, and technical- are used to enable new admission officer system in a range of complex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mprehensive review in the selection process should be focused on the consideration of underserved group of students in class, region, and type of high school. Second, new admission officer system should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battle filed between central government and university. Universities should implement this system collaborating with high school teachers to encourage admission officers to be proactive in the consideration of applicants' high school curriculum activities and to reduce the effects of private college admission consulting company. Third, financial supports of the central government for admission officer system should take into account college characteristics, private vs. public, central vs local, small vs. large institutions. The supports should extend to high school teachers, and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ion in order to spread the information about new admission officer system toward students and their parents. Fourth, professional development of newly hired admission officer should be enhanced by each college's educational program. In conclusion, admission officer system should set up an accountability system by informing the plan of college admission and selected students profile and monitoring the college admission decision process. 이 연구는 입학사정관제와 관련된 대입제도의 구조와 입학사정관제가 추구하는 다양성의 가치를 이와 관련된 이해당사자의 입장에서 분석하고, 입학사정관의 전문성과 입학사정관 전형의 개선방안 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입학사정관제의 역사적 맥락을 검토하고 개념을 재해석 한 뒤, 입학사정관제를 Cooper, Fusarelli, Randall이 고안한 다차원 교육정책분석틀을 사용하여 입학 사정관제를 규범적, 구조적, 구성원, 기술적 차원으로 분석하였다. 규범적 차원에서는 인재의 다양성 을 사회적 다양성으로 확대하고, 구조적 차원에서는 고교 교육과정을 개인적 역량을 파악하는 수준 에서 반영하여 사교육의 영향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고교등급제에 대한 불신을 해소함으로써 대학의 책무성을 증진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구성원 차원에서는 대학의 특성에 따라 입학사정관제 지원의 필요성, 고교 지원의 필요성, 학부모에 대한 입학사정관 전형 안내의 중요성이 논의되었다. 기술적 차원에서는 입학사정관의 전문성을 자격기준보다 교육훈련을 통한 증진을 강조하였고 입학사정관 전 형요소의 통합 및 기타 전형의 통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책무성, 정치효능감이 윤리적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김윤경,조경아 한국비즈니스학회 2023 비즈니스융복합연구 Vol.8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nursing college students' social responsibility and political efficacy on ethical values. The study targeted 117 fourth-year nursing students from two universities in J province and one university in G cit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8, 2022, to December 16, 2022. Data analysis utilized SPSS 27.0,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calculations, independent t-test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post-hoc analysis using Scheffé's test.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was examined through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factors influencing ethical values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ethical values and social responsibility (r= .53, p< .01) as well as political efficacy (r= .21, p< .05). The regression model was found to be significant (F=8.69, p< .01). The factor with the greatest influence on ethical values was the consideration aspect of social responsibility (β= .40), followed by leadership (β= .28), and the overall explanatory power was 34.7%.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suggested that the development and practical implementation of curriculum and extracurricular programs are necessary to foster nursing students' social responsibility, political efficacy, and the formation of positive and desirable ethical val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