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구성 체제 비교 및 교사 선호도 조사

        김판수,임미인,장혜원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7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21 No.2

        교과서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초등학교 수업 장면을 고려할 때 교과서의 구성 체제가 수학 수업에 미치는 영향은 크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교사의 수업 계획은 교과서의 단원 및 차시를 토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단원 및 차시 구성 체제는 수학 수업과 직결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단원 및 차시 구성 체제에 대한 종적, 횡적 비교 분석을 실시하고 그로부터 추출한 주요 특징에 대해 초등학교 교사들의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 교육과정기별 수학 교과서 및 한국, 일본, 미국, 핀란드 수학 교과서의 구성 체제에는 몇 가지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며, 그에 기초하여 구성한 설문 조사 결과, 초등학교 교사들이 선호하는 단원 및 차시 구성 체제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로부터 교과서 개발 시 구성 체제 측면에 있어서의 몇 가지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New mathematics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under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Not only contents but also framework of textbooks may be interesting to the mathematics educators and researchers. Considering the high dependency on textbooks in elementary classrooms, the influence of the framework of textbooks in mathematics learning cannot be overlooked. The unit and lesson frameworks of the textbook are important because they are directly related to the quality of mathematic lessons, especially when teachers make a lesson plan based on the unit and lesson frameworks of the textbook.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unit and lesson frameworks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and to find out elementary school teachers’ preference about its analysed key points. For longitudinal analysis, we selected 3rd-grade mathematics textbooks of 5th, 6th, 7th, the 2007, and the 2009 national revised curriculums. For horizontal analysis, we selected 3rd-grade mathematics textbooks of Korea, Japan, United States and Finland. We compared unit and lesson frameworks of various textbooks, and abstracted key elements of the textbook frameworks, and constructed survey questions. Looking at results from survey questions based on analysed key points, we were able to grasp the teachers’ preference for unit and lesson frameworks for mathematics textbook.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om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framework for new mathematics textbooks are suggested.

      • KCI등재

        중학교 <국어> 교과서‘문학’ 영역의 단원 체제 고찰

        김혜영 국어문학회 2019 국어문학 Vol.71 No.-

        이 연구는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문학’ 영역 단원 체제를 분석 대상으로 삼아 단원 체제가 문학교육의 목적이나 목표를 구현하기에 적합한가의 여부를 고찰하였다. 교과서의 단원 체제는 학습의 내용, 방법, 절차를 조직해내는 틀로서, 어떠한 체제로 단원을 구성하는가에 따라 학습의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 주목, 단원 체제가 학습내용을 조직하는 방식에서 연계성, 통합성이 고려되고 있는가를 분석의 기준으로 삼았다. 1차 국어과 교육과정기부터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기까지 통시적인 접근과 공시적인 접근을 병행하여 ‘문학’ 영역의 단원 체제가 어떠한 방향을 지향해 왔는지, 그러한 방향성은 적절한 것이었는지를 분석하였다.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단원 체제의 세분화가 두드러졌으며, 이러한 경향이 학습내용의 연계성과 통합성을 방해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문학의 감상과 해석을 고려한 단원 체제의 구성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appointed an analysis object of unit system concerning on middle school <national language> textbook 'literature' area to grasp the suitability of unit system concerning on the 'literature' area. The unit system, a frame which constructs the content, method, and procedure of learning, is an important part, because the learning content and learning direction can change, depending on the system by which the unit is constructed. As a result of the discussion, this paper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text unit by the minimal system, and that it is desirable for the rest to be constructed by the learning contents. In this paper, the minimal system means that, in arranging the unit, it is necessary to present a variety of mutual text activity, centering on small unit combination activity, and small unit system means that, in 'wing' activity, the learners can make progress of learning activity by themselves in the course of making the questions related to learning targets the spaces for them to make up for the period of reading. It is effective in dissolve the disconnection phenomena among the activities and in reducing the quantity of 'learning activity, if the teacher should reduce the small unit to make a 'learning activity'.

      • KCI등재

        국어 교과서 단원 구성 방식과 체제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2011 고등 『국어 Ⅰ, Ⅱ』를 중심으로-

        김동욱 ( Dong Uk Gim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5 청람어문교육 Vol.56 No.-

        이 연구의 목적은 교수·학습의 구체적 실행 단위인 교과서 단원(unit)의 구성 방식과 체제에 관련된 교사들의 다양한 인식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1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된 『국어Ⅰ, Ⅱ』를 대상으로 중등 교사 92명의 인식을 설문 방식으로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는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단원 구성 방식에 대한 인식의 경우 『국어Ⅰ, Ⅱ』교과서 단원 구성 방식인 목표 중심 구성 방식에 대한 만족도는 높았으나 개인적으로는 문종 중심 구성 방식을 더 선호했다. 또한 다양한 단원 구성 방식의 적용에 대해서는 다양성을 선호하는 입장과 일관성을 선호하는 입장으로 구분 되었다. 둘째, 단원 구성 체제에 대한 인식의 경우 『국어Ⅰ, Ⅱ』교과서 단원 구성 체제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편이었으며, 이에 대한 긍정적, 부정적 평가가 함께 존재했다. 또한 단원 구성 요소의 배열 순서는 만족하지만 단원 구성 요소들의 내용, 종류에 대해서는 부정적 평가를 내렸다. 셋째, 교과서 단원 구성 방향에 대한 요구 조사 결과 학습자의 흥미, 자기주도적 학습 여부, 효과적인 교수·학습 등을 고려해야 한다고 나타났다. 이러한 조사 결과를 통해 교과서 단원 구성 방식과 체제가 다양해질 필요가 있으며 추가로 다각적인 논의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various perceptions of teachers about unit organization method and system which is specific practical basis of teaching and learning. For this examination, investigation was proceeded targeting 92 secondary teachers with 『Korean LanguageⅠ, Ⅱ』textbooks which 2011 revised curriculum is applied. First, teachers are satisfied with aim-focused organization method which is chosen in nowadays textbooks, but they more prefer genre-focused organization method personally. Also, two different stances are appeared with the issue about application of various unit organization methods. One is preferring variety, the other is preferring consistency. Second, teachers are generally satisfied with current unit organization system. Positive and negative evaluations coexist. Also, generally they evaluated the order of the unit organization elements positively, but side of contents and type are negatively evaluated. Finally, it is suggested that students’ interest, self directed learning abilities,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are should considered to make textbooks through the demand survey about textbook’s unit organization direction. Finally, considering the result of survey, it is proved that textbook’s unit organization method and system should be varied and additional discussion is necessary for this change.

      • KCI등재

        초등학교 漢文 교과서 單元 구성의原理와 方案

        김왕규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0 漢字 漢文敎育 Vol.25 No.-

        이 연구는 한문과 교재론 영역 가운데 초등학교 한문 교과서 단원 구성의 원리와 방안 모색에 중점을 두었다. 단원 구성 방식에서 주목을 요하는 것은 대단원을 묶는 기제가 무엇인가라는 점과 개별 소단원을 어떤 원리에 따라 조직하는가라는 점이다. 단원 구성 체제의 핵심은 소단원의 구성 요소가 무엇이며 어떤 원리에 의해 조직할 수 있을 것인가라는 문제이다. 초등학교 한문 교과서의 주요 변인은 초등학생 학습자, 초등학교 교사 그리고 초등학교 한문 교육과정이다. 그리고 초등학교 한문 교과서 단원 구성에 작용하는 주요 원리를 목표, 활동, 조직 세 가지 층위에서 논의했다. 세 가지 층위는 단원 구성 및 체제와 연계되면서 상호 작용한다. 초등학교 단원 구성의 방안으로 주제 중심 통합 단원 구성을 제안했다. 주제 중심 통합 단원 구성 방식은 주제를 중심축으로 교육과정의 영역, 내용, 제재, 목표 그리고 교과를 통합하는 방안이다. 그리고 단원 구성 체제 방안으로 교수‧학습 활동 중심 구성 체제를 제시했다. 매체 환경의 변화에 맞추어 향후 초등학교 한문 교과서 제작에 활동 중심의 워크북 교재와 미디어 활동 자료집이 유효하다. 제작된 교과서의 교실 수업에로의 검증 작업과 국가적 지원 또한 긴요하다. In this research, I focused on the principle and the alternative of classical Chinese textbooks’ units’ formation in elementary school. The crucial factors in the units’ formation are the mechanism covering the chapters and the principle organizing the parts. The main issues of units’ formation system are the elements of parts’ formation and the principle of organization. The main factors of classical Chinese textbooks in elementary school are the leaner, the teacher and the curriculum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nd the main principles of the classical Chinese textbooks’ units’ formation in elementary school are discussed on the three levels or goal, activity and organization. These three levels interact connecting with units’ formation and system. I suggest the united units’ formation according to the themes as an alternative of units’ formation. The united units’ formation according to the themes is the alternative which combined realm, contents, materials, goal and curriculum according to the themes. And I show the formation system focused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as an alternative of units’ for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multi-media environment, the workbooks focused on activities and the materials for the multi-media activities are useful for the writing a future classical Chinese textbook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verification of the written textbooks at the school and the governmental support are necessary.

      • KCI등재

        기획주제(企劃主題) : 초등학교(初等學校) 한자(漢字) 교육(敎育) 방향(方向) 정립(定立)과 실행(實行) 방안(方案) ; 초등학교 한문(漢文) 교과서 단원(單元) 구성의 원리(原理)와 방안(方案)

        김왕규 ( Wang Kyu Kim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0 漢字 漢文敎育 Vol.25 No.-

        이 연구는 한문과 교재론 영역 가운데 초등학교 한문 교과서 단원 구성의 원리와 방안 모색에 중점을 두었다. 단원 구성 방식에서 주목을 요하는 것은 대단원을 묶는 기제가 무엇인가라는 점과 개별 소단원을 어떤 원리에 따라 조직하는가라는 점이다. 단원 구성 체제의 핵심은 소단원의 구성 요소가 무엇이며 어떤 원리에 의해 조직할 수 있을 것인가라는 문제이다. 초등학교 한문 교과서의 주요 변인은 초등학생 학습자, 초등학교 교사 그리고 초등학교 한문 교육과정이다. 그리고 초등학교 한문 교과서 단원 구성에 작용하는 주요 원리를 목표, 활동, 조직 세 가지 층위에서 논의했다. 세 가지 층위는 단원 구성 및 체제와 연계되면서 상호 작용한다. 초등학교 단원 구성의 방안으로 주제 중심 통합 단원 구성을 제안했다. 주제 중심 통합 단원 구성 방식은 주제를 중심축으로 교육과정의 영역, 내용, 제재, 목표 그리고 교과를 통합하는 방안이다. 그리고 단원 구성 체제 방안으로 교수·학습 활동 중심 구성 체제를 제시했다. 매체 환경의 변화에 맞추어 향후 초등학교 한문 교과서 제작에 활동 중심의 워크북 교재와 미디어 활동 자료집이 유효하다. 제작된 교과서의 교실 수업에로의 검증 작업과 국가적 지원 또한 긴요하다. In this research, I focused on the principle and the alternative of classical Chinese textbooks` units` formation in elementary school. The crucial factors in the units` formation are the mechanism covering the chapters and the principle organizing the parts. The main issues of units` formation system are the elements of parts` formation and the principle of organization. The main factors of classical Chinese textbooks in elementary school are the leaner, the teacher and the curriculum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nd the main principles of the classical Chinese textbooks` units` formation in elementary school are discussed on the three levels or goal, activity and organization. These three levels interact connecting with units` formation and system. I suggest the united units` formation according to the themes as an alternative of units` formation. The united units` formation according to the themes is the alternative which combined realm, contents, materials, goal and curriculum according to the themes. And I show the formation system focused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as an alternative of units` for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multi-media environment, the workbooks focused on activities and the materials for the multi-media activities are useful for the writing a future classical Chinese textbook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verification of the written textbooks at the school and the governmental support are necessary.

      • KCI등재

        고등학교 『한국사』교과서 단원 도입부의 형태와 특징

        송치중(Song, Chi-Jung) 역사실학회 2017 역사와실학 Vol.63 No.-

        이 연구의 목적은 해방 이후부터 2011 개정 교육과정까지 한국사교과서의 단원 도입부가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분석하려는 데 있다. 한국사교과서 단원 도입부는 한국사 수업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 단원 도입부는 해당 단원의 시대적 배경, 핵심사건이나 인물, 시·공간의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 학습자에게 흥미를 불러일으키거나 문제의식을 이끌어내는 등 역사적 사고력을 높이는 데에도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사전 작업으로 해방 이후부터 2011 개정 교육과정까지 한국사교과서의 목록을 확정하였다. 확정된 목록의 한국사교과서의 단원 도입부가 변화해 온 이유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교육과정의 변화, 집필진의 구성 요인, 역사학과 역사교육학 연구 성과의 축적, 출판사 및 편집진의 기술 축적, 출판 및 편집·인쇄 기술의 발달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그 중 본고에서는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교육과정의 변화와 집필진의 구성 요인을 중심에 놓고 각 교육과정별로 한국사교과서의 단원 도입부를 분석하였다. 교육과정 이전 시기부터 2011 개정 교육과정까지 교육과정의 한국사 관련 내용은 변화해 왔다. 제1차 교육과정부터 제6차 교육과정까지의 한국사교과서는 교육과정의 변화를 제대로 수용하지 못하였으며, 이는 제3차 교육과정부터 20년 넘게 지속된 국정 발행 체제가 가장 큰 이유로 작용하였다. 제7차 교육과정부터는 교육과정의 변화가 대폭 수용되었고, 3번의 검정 발행을 거치며 한국사교과서 체제는 다양하게 발전해 나아갔다. 이러한 발전에는 집필진의 구성도 큰 영향을 주었는데 제6차 교육과정까지 집필진의 구성은 사학 전공자 일색으로 이들은 한국사 연구 성과를 교과서에 반영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제7차 교육과정부터는 집필진의 구성이 사학 전공자 이외에 역사교사, 역사교육 전공자 등 역사교육의 다양한 전문가 집단이 참여하며 역사서가 아닌 교과서로서 한국사교과서를 개발해 나아갔다. 이에 따라 단원 도입부도 대단원에서 중단원으로, 다시 중단원에서 소단원으로 영역을 넓혀갔으며, 최근에는 각 한국사교과서의 대단원·중단원·소단원이 각기 다르게 활용되며 발전을 거듭하고 해오고 있다. 한국사교과서내 단원 도입부는 학생들의 흥미를 높이고, 배경 지식을 제공하고, 문제의식이 생기게 하여 역사적 사고력이 향상되는 등 역사교육의 목적을 달성하는 방향으로 발전해 갈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introductions of lessons in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have transformed since the independence to 2011 revised national curriculum. Lesson introductions in Korean history textbooks have a strong influence on Korean history classes. They provide historical backgrounds including historical events and characters, and important issues of certain time and place. They also enable learners to develop historical thinking by motivating them and questioning them. The list of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since the independence to 2011 revised curriculum has been confirmed in advance. It is to understand why introductions of lessons in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have changed. The variation is affected by many aspects such as the adjustment of the curriculum, the organization of the writers, the accumulation of studies of history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n publishing and printing industry. In this research, introductions of lessons are analyzed in regard of the variation of the curriculum and the organization of the writers which are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among all. History teaching in the curriculum has changed until 2011 revised curriculum. Korean history textbooks did not adapt the modification of the curriculum from the first curriculum to the sixth curriculum, which was mainly in result of twenty more years of the government-published textbooks started in the third curriculum. Those changes in the curriculum was adjusted a great deal from the seventh curriculum, leading to various Korean history textbook systems through several textbook authorization system. The organization of the writers played an important role. The writers of the Korean history textbooks until the sixth curriculum were mostly history majors, who put the most emphasis on the demonstration of Korean history researches on the textbooks. The writers from the seventh curriculum have been formed with many experts in Korean history education including Korean history teachers and Korean history education majors along with Korean history majors. Hence, Korean history textbooks began to work as Korean history "textbooks" not "Korean history" textbooks. Recently, lesson introductions were adopted and extended to smaller sections. All other small parts of a lesson are employed variously and developing. It is expected that introductions of lessons of Korean history textbooks would achieve the goal of history education by motivating the learners" interest, providing background knowledge, and helping the learners think critically by historical thinking.

      • KCI등재

        사회과 교과서 단원 구성 체제와 내용 제시 방식 분석 - 2015 개정 중학교 ‘사회’ 교과서를 중심으로 -

        강대현 ( Kang Dae-hyun ),은지용 ( Eun Ji-yong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0 시민교육연구 Vol.52 No.1

        이 연구는 2015 개정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단원 구성 체제와 내용 제시 방식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사회과 교과서 관련 선행 연구 경향을 정리하면서, 교과서 질 개선과 밀접하게 관련되는 교과서의 단원 구성 체제와 내용 제시 방식 관련 연구의 의의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2015 개정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단원 구성 체제를 출판사별로 비교하여 현행 교과서가 본문의 개념 설명, 자료 및 활동 제시, 정리와 같은 패턴으로 정형화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내용 제시 방식도 주로 교사 주도의 강의 위주 수업에 적합하게 본문의 설명 이후에 자료 및 활동의 제시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교과서의 단원 구성 체제와 내용 제시 방식은 학생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하면서 구체적인 맥락 속에서 발견 및 탐구 과정을 거치는 학생 활동 중심 수업과 역량중심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따라서 향후 교과서의 단원 구성 체제와 내용 제시 방식은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과 사고 과정을 촉진하는 형태로 개선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nit organization system and content construction method of 2015 revised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 To this end, we analyzed previous studies on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in particular, studies on the structure of textbooks and how to construct the contents,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overall textbook quality. Based on this, the unit organization system of 2015 revised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 was compared and its characteristics were extracted. The current middle school social textbooks were formalized with patterns such as conceptual explanations, case applications, related activities, and summaries so that a general model of the structure could be suggested. As a result, the content was organized in a deductive explanation-oriented manner that was specialized for teacher-led lectures. The textbook unit organization system and content construction described above makes it difficult for students to experience the process of discovery and inquiry in self-directed learning and concrete context.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tructure of textbook unit organization and content construction in the future in the form of strengthening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processes and encouraging the students to continue to use, refine and improve them.

      • KCI등재

        고사성어 교수(故事成語 敎授),학습활동(學習活動) 및 단원(單元) 구성(構成) 방안(方案)

        김옥규 ( Wang Kyu Kim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2 한문교육논집 Vol.38 No.-

        The subject of this paper is to comprehend the underlying meaning of idioms derived from an ancient event. In case of novice Learners, they would definitely be unaware of the underlying meaning through the pronunciation of Chinese character, its meaning, and denotative definition idioms have. However, as for the current textbook, the extensional definition is published in company with the underlying meaning of idioms derived from an ancient event. The learning process of being able to grasp the underlying meaning is nonexistent. Consequently forementioned problems promote awareness of the method for composition of units about idiom derived from an ancient event. A couple of methods are suggested. The first thing is to make teaching-learning method which can acquaint Learners with the underlying meaning. The point is that understanding the underlying meaning through the learning process which has the phase of the fundamentals, applications, and summary. The second thing is method for the composition of units. In case of the composition of chapters, each sub-unit has its own stages respectively. And then each sub-unit, in the chapter, functions effectively through teaching-learning activities related to comprehending the underlying meaning of idioms. It is the phase of the fundamentals, applications, advances, and summary between each sub-unit. Both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nd method for the composition of units, debated in this paper, are applicable to a text of Chinese characters, such as short sentences, prose, and Chinese poetry. Chances are the abovementioned suggestions are realized according to application of a principle to practice.

      • KCI등재

        초등 도덕과 기본적 교수⋅학습 과정 및 단원 체제 개선 방안

        송영민 한국철학사연구회 2019 한국 철학논집 Vol.0 No.60

        Moral education is a instruction based on abstract moral values. The process of moral education expressing abstract moral values ​​is a very difficult task for teachers. In order to reduce the difficulties of moral education and to maintain the lesson appropriate for moral education, guidances should be provided. The basic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of moral education, the stage of unit organization system, and the main models of moral education are a kind of guidances. The main purpose of these process, stage, and models is a convenient and efficient moral instruction. However, moral education requires creativity of teachers with convenience and efficiency. Therefore, manualization of guidances are necessary to secure the openness which enables the creative instruction in the way of maintaining the efficiency. In terms of convenient efficiency, six processes of basic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and four stages of unit system in the current moral textbooks need to be unified numerically.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basic process, unit system and main moral instruction models should be analyzed in detail and its relevance should be informed. In terms of creative openness, preferential considerations should be avoided the terms of the sequential and linear concept of the basic process and unit system. The sequential linear concept restricts teacher's choice. Therefore, guidance of the text books should be presented in a nonlinear way that does not restrict the teacher's choice. In addition, the composition of unit should be based on the way that each stage of unit should be presented as an independent stage while the whole unites should have content cohesiveness. In short, the basic process and unit system should be convenient and efficient for the moral education, and openness for the creative teaching. In order to do this, we firstly need to find out the numerical consensus of the basic process and unit system, secondly, the clarification of the relation among the basic process and unit system and the main teaching models, thirdly, the introduction of nonlineal processes and stages, and fourthly, construction of unit emphasizing the independence in the context of contents coherence.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basic process and unit system of selective type for elementary moral education considering these aspects. 도덕과 수업은 추상적인 도덕적 가치를 주제로 표현하는 어려운 일이다. 이러한 어려움을 줄이면서 도덕 교과의 특성에 합당한 수업을 위해서는 적절한 안내와 조력이 있어야 한다. 그러한 안내와 조력으로서 편람화되어 제시된 것이 바로 도덕과 수업의 기본 과정⋅절차, 단원 구성의 단계, 주요 모형 등이다. 이처럼 편람화된 과정, 단계, 모형의 목적은 편리하고 효율적인 도덕과 수업을 구성하기 위해서이다. 하지만 도덕과 수업의 구성은 편리성 및 효율성과 더불어 교사의 창의성도 요구한다. 따라서 편람화라는 방식은 효율성을 유지하면서도 동시에 창의적 수업이 가능한 개방성도 확보해야 한다. 편리하고 효율적인 안내와 조력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현행 도덕과 교과용 도서에 제시된 6가지 도덕과 수업의 기본적 과정⋅절차와 단원 구성의 4단계는 수적으로 일치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주요 도덕과 수업 모형과 도덕과 수업의 기본적 과정⋅절차의 관계가 구체적으로 안내될 필요가 있다. 창의적 개방성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순차적이고 선형적인 순서로 제시된 도덕과 수업의 기본 과정⋅절차 및 단원 구성의 단계는 지양되어야 한다. 순차적인 선형적 순서는 교사의 선택지를 축소하고 제약하기 때문에, 교과용 도서의 차시 구성 및 운영은 비선형적인 방식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더불어, 단원 구성 및 운영의 개방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도덕성의 개념에 근거한 선형적 단계보다는, 학습 내용에 근거하여 차시별 수업 간에 내용적 결속성은 있지만, 각 차시가 독립적 단위도 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도덕과 수업의 기본적 과정⋅절차 및 단계는 합당한 도덕과 수업을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안내하면서도, 교사의 창의적 수업 구성을 위한 개방성도 확보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도덕과 수업의 기본적 과정⋅절차와 단원별 차시 구성 단계의 일치, 도덕과 수업의 기본적 과정⋅절차와 주요 수업 모형의 관련성 명료화, 비선형적이고 비순차적인 기본적 과정⋅절차 및 단원 체제의 도입, 내용적 결속성의 틀 속에서 차시별 독립성이 강조된 단원 구성 단계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본고에서는 이를 반영하기 위해 초등 도덕과의 선택형 기본 과정 및 단원 체제를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초등 읽기 단원 체제와 질문 분포 양상의 관계

        박수자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4 한국초등국어교육 Vol.54 No.-

        Reading theory based on constructive paradigm, have been focus on learners’strategic thinking possible as self-directed reader. This Paper focus on thestrategic values of questions, and analysis on the relations between readingtextbook’s unit system and reading textbook’s questions distributions in 7th~2009curriculum. This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E/RT questions focus on text contentcomprehension were mainly presented. And they were generally presented afterreading, meta-cognitive question characteristics of reading lessons was not found,also most of questions were ‘what & where’ types. So this paper proposed question presentation maxims for reading processdepth. expecting that next 2009 korean reading textbook will be changed, andhelp reading teachers to make their question manuals for effective readinglessons. 구성주의 읽기관에 따라 ‘전략적 읽기가 가능한 독자’는 자기주도적 독자로서,스스로 자신의 읽기 과정을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이 연구는 독해 과정의 조정까지 포함한 질문의 전략적 가치에 주목하고, 7차 및 2007 읽기 단원과 2009 읽기단원 중 비문학 제재의 ‘중심 내용 파악’ 단원을 대상으로 읽기 단원 체제와 질문분포 양상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세 시기의 질문 분포 양상을 분석한 결과, 이해학습보다는 적용학습에 읽기 질문이 주로 배치되었고, 읽기 전 질문은 전혀 제시되지 않고 읽는 중 질문은 일부 제재만 제시되어서 읽기 후 질문이 상대적으로 많은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질문의 수준도 제재 명시적 질문(글에 명시된 질문, 사실적 질문)이 대부분이었고, 읽기 과정의 조정하기 관련 질문은 전혀 제시되지 않았다. 질문의 형태(문장 표현)도 폐쇄형 질문(‘무엇’형, ‘어디’형)이 주를 이루었다. 이러한 결과는 세 차례 개정 동안 읽기 단원의 읽기 질문이 일정한 준거에 의해통일성 있게 관리된 것이 아니라는 점을 보여준다. 특히 현재 읽기 지도가 중점을두고 있는 과정 중심의 읽기 전략 지도와는 무관하게, 제재 학습과 관련된 질문을제시하여 내용교과 학습과 차별화하지 못하고 있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이 연구가 제시한 읽기 단원 질문의 분석 결과는 향후 읽기 단원 개발이나 읽기 수업교사용 질문 지침으로 기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