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문(漢文)의 활용(活用)-한문(漢文)과 인성(人性), 한문(漢文)과 문화(文化)영역(領域)의 내용(內容) 요소(要素)와 성취기준(成就基準) 분석

        김왕규 ( Wang Kyu Kim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6 한문교육논집 Vol.46 No.-

        2015년, 국가는 교육과정을 개정, 공시했다.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경우,한문(한자, 어휘, 문장, 글)에 대한 학습을 ‘이해’로, 한문을 통한 학습을 ‘활용’으로 구분하고, 한문과를 구성하는 2개의 내용 영역으로 ‘한문의 이해’, ‘한문의 활용’을 설정했다. 이 글의 핵심 내용은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한문의 활용’ 영역 가운데, ‘漢文과 人性’, ‘漢文과 文化’의 내용 요소와 성취기준을 분석한 것이다. 한문 학습을 통한 다양한 활용 가운데,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 ‘한문과 인성’, ‘한문과 문화’를 ‘核心 槪念’으로 설정했다. 학년(군) 및 학교 급을 통해서 한문 학습자들이 배우는 학습 내용의 일반 원리가 ‘일반화된 지식’인데, 학습자들이 배워야 할핵심적인 내용 지식인 ‘내용 요소’를 왜 학습해야 하는지의 근거로서 작용한다. ‘내용 요소’를 학습한 뒤, 학생들이 할 수 있어야 할, 또는 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능력이 바로 ‘技能’인데, ‘이해와 공감하기’, ‘토의·토론하기’, ‘적용하기’ 등을 강조했다. 한문과 성취기준은 한문과를 통해 학생이 배워야 할 지식과 기능을 의미하며, 수업후 학생들이 할 수 있어야 할, 또는 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능력을 나타낸다. 성취기준의 기술 및 구성 방식은 ‘내용 요소 + 기능’이다. 예컨대, 내용 요소인 ‘선인들의 지혜와 사상’과 ‘이해와 공감하기’, ‘적용하기’ 등의 기능을 결합하여, “한문 기록에 담긴선인들의 지혜, 사상 등을 이해하고, 현재적 의미에서 가치가 있는 것을 내면화하여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한다.”라는 ‘한문과 인성’의 성취기준을 진술했다. 또한, ‘한문과 문화’의 성취기준에서 “~태도를 형성한다.”라는 진술은 기능 가운데 하나인 ‘적용하기’의 連繫·變容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성취기준은 한문과 교수·학습의 방향을 안내하고 한문과 평가 방향 및 기준 설정의 근거로서 작용한다. 거듭되는 문제 제기이지만, ‘인성’과 ‘문화’ 영역의 성취기준은 ‘정의적 태도, 능력’과 관련되는 기준이기 때문에, 교수·학습 및 평가와의 연계·수용 事例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요청된다. 그리고 인성, 문화 역량을 교과서에서 수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하는데, 제재 발굴과 단원 구성이 향후의 핵심 과제일 것이다 In 2015,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ed the revised curriculum. This curriculum of classical Chinese established two domains, understanding of classical Chinese and utilization of classical Chinese, defining learning classical Chinese as ‘understanding,’ and learning through classical Chinese as ‘utiliz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ntent factors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personality and classical Chinese’ and ‘culture and classical Chinese’ at the domain of utilization of classical Chinese in the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in 2015. Through the utilization of a variety of learning classical Chinese, it has set up a "Chinese vocabulary and language, life``, ``classical Chinese and personality," "classical Chinese and culture as ``main concept``. Through the year (group) and school-level general principles of learning content that classical Chinese learners learn is ``generalized knowledge``, which acts as the basis of the information why should learn. After learning ``content elements``, ability to look forward to, or to be able to do is skill, ``understanding and empathy,`` ``discuss and debate,`` ``apply,`` etc. are emphasized. Classical Chinese achievement standards means that the student knowledge and skills which should be learnt from the classical Chinese, indicates an ability to look forward to, or be able to be students after class. Description and composi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are ``content element + skill. For example, the content element, ``understanding and empathy`` and ``wisdom and spirit of the ancestors`` and ``application`` are combining features such as "to understand wisdom and spirit from classical Chinese text and to internalize valuable thing in the view of current meaning." "Form attitude like something.", this description can be shown as collaboration or change of application. and achievement standards acts as the basis of direction of teaching-learning and evaluation. Even though it is continual question, research on combination and application between teaching-learning and evaluation is needed to study constantly becaus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domain of ‘personality’ and ‘culture’ is related to ‘affective manner and ability.’ And we should find some ways to accept the personality and power of culture in the textbook, in this procedure, discovering materials and organizing units are key tasks.

      • KCI등재

        한문교육학(漢文敎育學) 연구방법론(硏究方法論)

        김왕규 ( Wang Kyu Kim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1 한문교육논집 Vol.37 No.-

        한문교육학 연구방법론에 대한 논의 經路는 두 가지이다. 하나는 교육연구방법론의 일방적 수용이라는 시각이다. 다른 하나는 한문교육학 연구방법론의 擴大와 提高를 위한 비평이다. 이 글은 후자의 시각을 堅持한다. 한문교육학 연구방법론에 대한 논의에서 분류 체계를 먼저 제안했다. 인식론, 방법, 연구 대상, 연구 목적 등을 분류 체계 및 범주의 기준으로 제시했다. 분류와 체계 수립의 목적은 연구 목적과 연구 방법의 유기적 관련성에 있다. 그 간의 성과를 점검했다. 우선, 이전에 비해 연구방법 運用의 확대가 주목된다. 질적 연구의 성과는 놀랍다. 통합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한문교육 현상을 다각도에서 조명했다. 문항 분석, 통계 분석, 사고 구술 등의 방법이 새롭다. 연구 방법의 핵심은 연구 목적에 적합한 연구 방법의 選擇과 과학적 適用에 있다. 연구 목적에 적합한 연구 방법을 운용한 경우,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 수 있다. 그래서 둘 사이의 連繫가 중요하다. 결국, 논의의 초점은 한문교육학에 대한 학문적 觀點에 歸結된다. 한문학을 절대 優位에 두는 관점, 교육학과의 단순 結合이라는 認識과 慣行 아래에서는 학문적 정립이 요원하다. 내용과 방법, 곧 한문과 교육은 둘이 아니다. 연구 주체의 力量이 높을수록 한문교육학 안에서 내용과 방법은 상호작용하고 統合된다. 바로 그 지점에서 한문교육학의 학문적 定立이 가능하다. 우리 同學들의 任務이다. There are two perspectives on methodology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studies. One is unilateral acceptance of teaching methodology and the other is the review to expand and improve methodology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studies. This paper adheres closely to the later. I propose a system of classification in a discussion of methodology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studies and present epistemology, a method, an object of study, a purpose of study and so on as a criteria of the category. This aims at the organic relationship to the purpose of study, the object of study and the research method. I look at the achievements in the meanwhile. The expansion of the research method application is noticed. The achievements of qualitative research are amazing. Making use of an integrated research method, I shed light on the current situation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from various angles. Methods like item analysis, statistical analysis and think-aloud are new things. The kernel of the research method resides in a choice of suitable research method and a scientific application. A new prospect in the field of the research could be opened if proper research method was used. For this reason, a connection between two things is important. Ultimately, the focus of argument is down to an academic perspective o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studies. Under the viewpoint that Chinese literature is in a superior position to classical Chinese education studies and recognition that classical Chinese education studies is an integration of pedagogy and Chinese literature, the academic establishment will not be easy. Chinese literature and subject matter education are not divided up into Learning contents and method. As a researcher`s capability is high, learning contents will integrate with method in the field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studies. At that point, its academic foundation would be possible.

      • KCI등재

        기획주제(企劃主題) : 한문과(漢文科) 성취기준(成就基準) 및 성취수준(成就水準)의 내용(內容) 분석(分析)과 적용(適用) 방안(方案) 모색(摸索) ; 기조(基調) 발표(發表) : "문화(文化)" 영역 성취기준(成就基準)및 성취수준(成就水準) 내용 분석

        김왕규 ( Wang Kyu Kim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2 漢字 漢文敎育 Vol.29 No.-

        이 글은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따른 ‘문화’ 영역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을 소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문화’ 영역은 3개의 중영역, 5개의 내용 요소로 구성, 조직되었으며, 내용 요소에 따라 학습내용 성취기준이 개발되었다. 그리고 학습내용 성취기준을 분석하여 성취기준을 개발하고, 성취기준에 따라 성취수준을 세 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했다.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은 학교의 교수·학습과 평가 활동에 활용될 수 있다. 이 점을 고려하여 ‘문화’ 영역 예시 평가 도구를 개발하였다. 선다형, 서술형, 그리고 수행 평가 도구를 몇 가지 예시했다. ‘문화’ 영역의 특성을 고려할 때, 정의적 영역평가 도구 개발이 후속 과제로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and analyse a level of achievement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culture`` pursuant to the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in 2009. The domain of ``culture`` consists of 3 medium-sized parts and 5 components of the content.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content are developed depending on the components. I develop achievement standards after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content and suggest the level of achievement categorized as three phases according to achievement standards. The level of achievement and achievement standards could be utilized for class. I develop an assessment tool for examples about ``culture`` in the light of the aforementioned situations. Tools for multiple choice, write-out answer, and performance assessment are illustrated in detail. The development of the assessment tool for an affective domain is required as follow-up measures.

      • KCI등재

        초중고 한문 학습 자전의 현황과 편찬 방안 한문 학습 字典 수록 “한문(漢文)” 용례(用例) 선정(選定) 및 조직(組織)

        김왕규 ( Wang Kyu Kim ),송병렬 ( Pyung Nyul Song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3 한문교육논집 Vol.41 No.-

        This research is the report on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examples,developed by teachers as researcher, in the classical Chinese dictionary for learners. We focus on what and how examples should be suggested. A subject for inquiry and discussions are as follows:First, examples utilized in high school classical Chinese textbooks become primary standard excepting cases where anomalism words are used. Second, what examples should be as easy as possible and as familiar and interesting as possible can be important standard. Third, it is distinctive that examples are categorized as middle level and high level considering academic standards. Fourth, several problems fac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examples about expletives. Fifth, there are another problems : a permissible range of Chinese poetry examples and examples out of education Hanja set 1,800 characters, standard on translation from classical Chinese to Korean, and a presentation range of plural example to discriminate meaning in the same meaning item title word.

      • KCI등재

        한문교육학(漢文敎育學)의 탐구(探究) 영역(領域)과 그 실제(實際)

        김왕규 ( Kim Wang-kyu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8 한문교육논집 Vol.50 No.-

        이 글의 焦點은 한문교육학 탐구 영역이다. 그리고 학계에 보고된 연구 성과를 검토하여 탐구 영역의 實際를 검증하였다. 교과의 탐구 영역은 교과의 개념과 교과를 이해하는 학문적 관점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개념과 관점의 규명에는 교과에서 쓰이는 용어에 대한 적확한 사용이 중요하다. 이 글에서 한문교육학의 용어, 개념을 먼저 검토한 이유이다. 한문교육학을 “한문에 대한 교육을 탐색하는 학문”으로 정의했다. 한문교육학의 탐구 영역을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성격ㆍ목표론, 내용론, 교수ㆍ학습 방법론, 평가론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내용론의 하위 영역으로 한문학, 한어학[문자학 포함], 그리고 한문 활용 영역을 설정했다. 또한 한문교육의 작용 요인에 따른 한문 교육 탐구 대상을 제시했다. 한문교육학의 탐구 영역을 檢證하기 위해 한문교육학 관련 단행본, 박사학위논문, 보고서을 검토했다. 한문과 교육과정론, 교수ㆍ학습 방법론, 평가론, 그리고 정책론을 중심으로 연구가 보고되었다. 교과의 학문적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한문 교육학의 내용론, 방법론, 평가론을 체계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한편으로, 교과의 位相을 제고하기 위해 국어[한국어]와의 連帶를 모색하는 전략이 요구된다. The focus of this article is on the field of study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n addition, the research results reported in the academia were reviewed to verify the actuality of the inquiry domain. The area of inquiry of the subject can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subject and the academic view that understands the subject. In this article, it is the reason that I have reviewed the terms first. Study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was defined as "study to search for classical Chinese education". Study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can be divided into character and goal theory, content theory, teaching and learning methodology and evaluation theory based on the curriculum. And I have set up the sub-domain of content theory as Chinese literature, Chinese language [including hieroglyphology], and classical Chinese application area. In addition, a study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ccording to the factors of study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was presented. Related monographs, doctoral dissertations, and reports were reviewed. The curriculum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ology, evaluation theory, and policy theory were reported. In order to establish academic identity, it is necessary to systematize the content theory, methodology, and evaluation theory. On the other hand, a strategy to seek solidarity with Korean language is needed to improve the status of the subject.

      • KCI등재

        고등학교(高等學校) 한문과(漢文科) ‘선택과목(選擇科目)’ 교과목(敎科目) 편제(編制) 및 단원(單元) 구성(構成) 방안(方案) -‘고교학점제(高校學點制)’ 도입(導入)과 ‘학점제형(學點制型) 교육과정(敎育課程)’ 개정(改定)을 앞두고-

        金王奎 ( Kim Wang-kyu ) 한국한문교육학회 2021 한문교육논집 Vol.56 No.-

        교육부는 고교학점제를 導入하고, 이에 근거한 학점제형 교육과정 改定을 준비하고 있다. 이 글은 이에 대한 한문교육학 연구자의 代案이다. 그 대안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고등학교 한문과 ‘선택과목’ 교과목 편제 방안이다. 다른 하나는 한문과 ‘선택과목’ 대단원 구성 방안이다. ‘선택과목’ 교과목 편제 방안으로 3가지를 소개했고, 필자의 방안은 試案으로 제시했다. ‘선택과목’ 대단원 구성 방안에 앞서, 단원 구성 原理와 模型을 제시했다. 단원 구성 원리로 학습자의 수요 부응, 진로 연계, 자기 주도 학습, 그리고 문제 해결 학습을 기술했다. 다음으로, 한문과 기반 단원 구성의 지향점과 대단원 구성 모형을 圖式化했다. 이어서, 主題 中心 선택과목 대단원 구성 방안을 예시했다. 몇 가지 방안, 단원 구성 원리와 모형, 그리고 대단원 구성 방안 예시 등의 자료가 次期 한문과 교육과정 개정 작업에 참고 자료로 活用 되기를 期待한다.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introduced a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is preparing to revise the credit system curriculum based on this. This article is an alternative to the researcher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here are two alternatives. One is a plan for organizing “elective courses” in high school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he other is the composition plan of the main unit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nd ‘Elective Courses’. I introduced three options for organizing ‘elective courses’ courses, and my plan was presented as a draft. Prior to the composition plan of the “Elective Course” unit, the unit composition principle and model we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unit composition, it described responding to the needs of learners, career connection, self-directed learning, and problem-solving learning. Next, the orientation point of the basic unit composition and the grand unit composition model are schematically illustrated. Next, a plan for the composition of a subject-oriented elective course was exemplified. It is expected that materials such as several plans, principles and models of unit composition, and examples of the grand unit composition plan will be used as reference materials for the next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nd curriculum revision work.

      • KCI등재

        漢文科 敎育課程 學校 級別 敎育 內容 位階 設定을 위한 基礎 硏究

        金王奎 ( Kim Wang-kyu ) 한국한문교육학회 2021 한문교육논집 Vol.57 No.-

        이 글은 차기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학교 급별 교육 내용 位階 설정을 위한 기초 [예비] 연구이다. 經路는 두 가지인데, 그 하나는, 교과별 교육과정에 나타난 교육 내용 위계 방안을 분석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한문과 교육 내용 위계 설정 방안을 분석한 것이다. 두 가지 작업을 통해, 共有[共通]와 區別, 省略[減]과 追加[增], 數量, 補充, 擴張, 深化, 詳細 등과 ‘言語 材料[텍스트]’가 위계 설정의 주요 基準, 標識임을 말했다. 基準과 標識, 동학들의 先行 硏究 成果를 바탕으로 學校 級別 위계 설정 작업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article is a basic [preliminary] study for setting the educational content hierarchy by school level for the next revised Classical Chinese education curriculum. There are two paths, one of which is to analyze the educational content hierarchy shown in the curriculum for each subject. The other is an analysis of how to set the hierarchy of Through the two works, it was said that Classical Chinese education. ‘language material [text]’ is the main criterion and cover for hierarchical setting, such as sharing [common] and distinction, omission and addition, quantity, supplementation, expansion, deepening, detail, etc.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setting the hierarchy by school level based on standards, covers, and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 KCI등재

        "주제(主題)" 파악하기 교수학습(敎授學習) 방법(方法) 시론(試論)

        김왕규 ( Wang Kyu Kim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5 한문교육논집 Vol.45 No.-

        이 글의 핵심 내용은 주제 파악하기 교수·학습 방법이다. 단, 주제 파악하기에 앞서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의 槪念 및 原理에 대해 시론한다. 필자는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을, "한문 교실 수업 장면에서 한문 교사와 한문 학습자가 漢文을 가르치고 배우는 節次와 技法"으로 定義한다. 대상, 주체, 내용, 절차를 기준으로 정의했다. 특히 ``節次``가 중요한데, ``段階``, ``過程``과 換置할 수 있으며, 절차로서의 방법은 단위 수업 시간 전체의 흐름이나 수업 전개 방식에 중심축으로 作動함을 强調한 것이다. ``技法``은 수업의 특정 국면에 ``部分的``으로, 혹은 ``技能的``으로 동원되는 각종 활동을 이른다. 교수·학습 방법의 運用 과정에는 몇 가지 원리가 作動한다. ``相互 作用의 원리``, ``相互 統合의 원리``, ``責任 移讓의 원리`` 등이 그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한문과 주제 파악하기 교수·학습 절차와 기법을 圖式化했다. 원리를 따르되, 節次로서의 ``方法``과 活動으로서의 ``技法``을 자유롭게 選擇, 結合, 配置하여 運用할 수있는데, 이것이 핵심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oncept of classical Chines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Understanding topic or theme is technique to investigate the concept. I define classical Chines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s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or technique in classical Chinese class. In classical Chinese class means that object and dimension of education are restricted. Teacher and learner means subject of education, and classical Chinese means object of eduction. These include all the field of content structure of the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Teaching and learning means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Process is important because it replaces with phase or process and method as process highlights that it works as the central axis at the stream or style of class. Technique means various activities inserted at specific circumstance in class. In the process of manag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several principles, such as interaction, integration, and devolution, are acting. Based on these principles, I display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or technique in diagram form. We follow these principles, but can arrange the method as process and technique as activities from the existing state of things, and that is the very point.

      • KCI등재후보

        한문과 교과 교육 내용 체계 및 내용 교재 개발

        김왕규 ( Wang Kyu Kim ),원용석 ( Yong Seok Won ),한은수 ( Eun Su Han ),김동규 ( Dong Kyu Kim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6 漢字 漢文敎育 Vol.17 No.-

        한문 교육은 교과 교육의 하나이고, 모든 교과는 내용 체계를 가지고 있다. 주지하듯이 교과의 내용 체계는 교과에서 교육할 내용을 집약적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을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본 연구의 핵심 과제는, 한문과 내용 체계의 영역 구분의 기준과 내용 조직의 원리를 탐색하고 내용 체계 시안을 개발한 뒤, 이에 따른 한문과 내용 교재를 개발하는 것이다. 현행 한문과 내용 체계와 학계에 보고된 내용 체계 관련 선행 연구를 검토한 결과, 배경 학문의 지식 결여, 용어의 개념과 범위 혼동, 한문 교과의 학문적 구조반영 미흡 등의 문제가 지적되었다. 이에 본 연구진은 내용 체계의 세로축 곧 영역 구분을 한자 생활, 한문 지식, 한문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가로축 곧 내용 조직과 관련된 범주화 및 구조화를 각각 몇 개의 안으로 설정하였다. 설문 조사, 전문가 협의회, 연구진 협의회 등을 거쳐 세 개의 내용 체계 안을 조정하여 ``내용체계 시안``을 확정하였다. 연구진은 내용 체계 시안을 바탕으로 한문과 내용 교재를 개발하였다. 교재 개발은 우선 한자 생활, 한문 영역 내의 중영역을 대단원으로, 소영역을 한 개의 소단원으로 설정하였다. 단, 한문 지식 영역은 독립 단원으로 편성하지 않고, 학습자료로 교재의 말미에 편찬하였다. 결국 한문과 내용 교재는 5개의 대단원, 14개의 소단원, 그리고 참고 자료로 구성, 편찬되었다. 한문과 내용 교재는 무엇보다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구현하는데 치중하였다. 편찬의 기본 방침은 특히 본문의 학습 활동을 통하여 나타나 있다. 기존의 교과서와 달리, 학습 목표의 결과를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과정과 절차를 제시하도록 노력하였다. 한편 연구진은 중학교 한 곳, 고등학교 한곳을 택하여 개발된 실험용 한문 교재를 사용하여 현장 시연을 실시하였다. 학생들의 반응과 현장 교사들의 의견, 그리고 협력 교사의 비평 등을 참고, 활용하여 교재의 문제점을 수정, 보완하였다. ``한문과 교과 교육 내용 체계 및 내용 교재 개발``의 결과물은 한문교육을 담당하는 한문 교사에게 한문과의 학문적 정체성이 무엇인지, 학습자에게 전수할 한문과 학습 내용의 핵심이 무엇인지에 대한 방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내용 체계가 바뀌면 학교 현장의 한문교육의 양상도 바뀌게 될 것이다. 내용체계의 변화는 내용의 변화를 수반하며 이를 수행하기 위한 교재로서의 교과서 개편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우선 교과서를 구성하는 방식에서 다양한 변화가 예견되며, 이는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학교 교실 수업의 교수-학습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치게 될 것이다. The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s one of curricular educations, and every curriculum has its content system. As you are well aware, the importance on the content system of curriculum cannot be overemphasized in that it intensively suggest contents to be educated in the curriculum. The key task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criteria for dividing the fields of content system as well as the principle of content system for the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develop the tentative plan of content system, and then to develop a content textbook for the classical Chinese education department according to this. As a result of having reviewe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content system reported in the academic circle, many problems were pointed out, including the lack of knowledge on background learning, confusion about the concept and scope of terminologies, and insufficiency of reflecting the academic structure of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group set up the vertical axis of content system, namely the division of fields, as classical Chinese life, knowledge on Chinese characters, and classical Chinese. And we set the horizontal axis, in other words, each of the categorization and structurization related to content system, as several plans. After three content system plans were adjusted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questionnaires, expert consultation, and consultation of research groups, the "tentative content system plan" was developed. The research group developed a content text for the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based on the tentative content system plan. In the first place, the text development set up middle fields in classical Chinese knowledge and classical Chinese field as a large unit and the small field as a small unit. However, the classical Chinese knowledge field was not made as an independent unit but was compiled at the end of the text as a reference material. After all, the content text for the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was composed of and compiled with 5 large units, 14 small units and a reference material at the end of it. The content textbook for the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placed a lot of emphasis in materializing learner-oriented education above everything else. The basic direction of compilation is demonstrated especially through the learning activities of main text. Unlike existing textbooks, it doesn`t suggest the result of learning objectives but sought to propose the process and procedure to reach the learning objectives. On the other hand, the research group conducted preliminary field application tests for the developed content text by selecting one middle school and one high school. Taking account of and utilizing a lot of inputs, including the responses from students, opinions of field teachers, and comments of cooperative teachers, the group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 problems of the textbook. The results of the "development of curricular education content system and content text for the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will be able to provide classical Chinese teachers in charge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with directions on what the academic identity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department is and what the key points of the classical Chinese and learning contents to be taught to learners are. If the content system is changed, the aspect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t school fields will also be changed. It is thought that the change of content system will accompany a change in contents and the modification of textbook for accommodating the change will be inevitable. To start with, a variety of changes in the method forming textbooks are foreseen, and these will als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eaching-learning of classroom class at schools in order to achieve educational objectives.

      • KCI등재

        2007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특징과 그 위상(位相)

        김왕규 ( Wang Kyu Kim ) 청람어문교육학회 2007 청람어문교육 Vol.36 No.-

        This study aims to describe and discuss major features and its presence of 2007 updated Chinese education curriculum in terms of curriculum identity, content structure and each category and presence change based on organization and time alloca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2007 updated Chinese education curriculum provides many advantages: improve students` reading skills and focus on the ability to use Chinese language; establish new standards and theories for categorization and structurization based on academic and linguistic features select and organize category and contents considering hierarchy and systematization. However, the presence of Chinese language department in ``organization and time allocation`` degenerated into ``adherence to subject options``. More than anything else, members involved in Chinese teaching should discuss what and how to improve the profile of Chinese language department. The purpose of discussion is to integrate capabilities into curriculum contents and actively respond to challenges and changes of external environment. In my opinion, the core element of overcoming any challenges related to Chinese language department is strengthening curriculum identity and establishing academic presence of Chinese teaching. This study is one of the fundamental researches to achieve this go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