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대학생의 연상반응 분석

        이윤선(YunSun Lee),원성옥(SeongWok Won),김지숙(JiSook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7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2 No.2

        Background & Objectives: It has been known that deaf individuals tend to have limited mental lexicon, and that it takes longer time for them to access semantic knowledge of a given wor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sponses in word association tasks(word association set, association motif, word class) in college students who were deaf or were not. Methods: The subjects included 30 deaf college students and 29 normal-hearing(NH) college students. Each student had to read 12 word cards and also had to write down words associated with a given stimulus word within 10 seconds. Results: First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deaf and the NH students in the size of the associative set for a given word and the strength of the most frequently occurred response. Second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subject groups regarding association motif. Thirdly, both groups frequently associated noun responses to the noun stimulus. Discussion & Conclusion: These findings imply that deaf students should improve their lexical competence based on organization and use of their mental lexicon. 배경 및 목적: 단어연상하기 과제에서 농학생들은 어휘집이 작고, 단어의 의미에 접근하는데 더 오랜 시간이 걸린다. 본 연구는 농대학생과 건청대학생이 단어연상과제에서 보인 명사자극어에 대한 연상반응(단어연상, 연상동기, 자극어에 따른 단어부류)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대상은 같은 대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농학생 30명과 건청학생 29명이다. 학생들은 제시된 자극어를 읽고 10초 내에 연상되는 단어를 적었다. 결과: 첫째, 농대학생과 건청대학생이 보인 총반응수와 연상강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단어연상의 동기에 따라서 언어적 연상과 경험적 연상으로 분류하였는데, 두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명사자극어에 대한 반응어의 단어부류에 있어서 농학생과 건청학생 모두 명사자극어에 대해 명사로 연상하는 경우가 높았다. 논의 및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농학생들의 어휘집특성을 고려하여 어휘량을 증대시킬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국어 관형사의 문법사 연구 시론

        서형국 국어사학회 2010 국어사연구 Vol.0 No.10

        이 논문은 국어 관형사에 대한 역사적 연구의 기초가 되는 사항을 논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논의의 대상이 되는 단어 부류가 갖는 특성을 상세히 논하고 몇몇 사례를 통하여 분석의 과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논의와 분석을 통하여 이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잠정적 결론을 제시하였다. 첫째, 명사구 전부 요소의 역사적 연구와 관련하여, ‘단어임의 위상 변화’, ‘형태 변화’, ‘단어/접두사로서의 자격 획득 여부’, ‘명사구 핵과의 논항 관계 상실/획득’ 등이 논의될 수 있다. 둘째, 관형사 문법사는 고유어 관형사와 한자어 관형사로 구분하여 진행되어야 한다. 셋째, 관형사의 문법사 논의는 구성 양식별로 그 변화 양상을 추적하여야 한다. This paper aims at drafting the basis of arguments for the historical research on adnominal word class in Korean. For the purpose, it is suggested that the object of arguments is analysed in detail, and the course of arguments is followed by that analysis. Through the arguments and analysis, this paper has the result as following: 1. The arguments on historical research on adnominal word class are related with ‘becoming word’, ‘morphological change’, ‘gaining the status of word’, ‘gaining/losing the argument relation with the head of NP.’ 2. The arguments must be treated in separation in one hand the pure-Korean determiner, in the other hand the Sino-Korean determiner. 3. The research must be revolved around the change in the constructional pattern.

      • KCI등재

        기술 문법의 관점에서 살펴본 학교 문법의 형태론 - ‘언어와 매체’ 교과서를 중심으로 -

        오규환 ( Oh¸ Gyu-hwan ) 반교어문학회 2021 泮橋語文硏究 Vol.- No.57

        이 글에서는 5종의 ‘언어와 매체’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형태론 분야의 여러 설명들이 기술 문법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기술 문법의 관점에서 확인하였다. 이 글에서 논의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문법의 단어는 음운론적 단어로 정의하여도 문제될 것이 없으나 음운론적 단어를 수용하면서도 그 기술이 일관되지 않으며, ‘단일어’의 정의도 만족스럽지 않은 일부 교과서의 기술은 문제가 있다. 둘째, 기술 문법에서는 혼성과 두음절어 형성을 구별하기도 하지만 학교 문법에서 형식의 감소가 전제되는 새말의 형성을 설명할 때에 이 두 과정을 구별하지 않기도 한다. 셋째, 학교 문법에서 단어 부류를 분류할 때에 기술 문법의 설명과 차이를 보이거나 비정합적인 설명을 베풀고 있는 품사에는 ‘조사’, ‘관형사’, ‘감탄사’, ‘대명사’ 등이 있다. 넷째, 학교 문법에서 품사 분류 기준으로 ‘형태’를 설명하거나 용언의 활용에서 관찰되는 이형태교체를 설명할 때에 ‘형태 변화’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과 ‘불변어/가변어’ 개념이 정합적이지 못하다는 점은 기술 문법의 관점에서 쉽게 이해하기 어렵다. In this paper, I compared some explanation about morphological phenomena of Korean school grammar(henceforth, KSG) with them of Korean descriptive grammar(henceforth, KDG) from the perspective of KDG.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any Korean school grmmar literature generally consider the notion of ‘word’ as phonological word, however, it is a problem that the definition of simple word is not satisfactory in KSG. Second, KDG distinguishes acronym from blends, however, some KSG does not distinguish acronym from blends. Third, cosa, adnominal, interjection, and pronoun show the differences on explaining word class in KDG and KSG. Fourth, between KDG and KSG, there are two differences on explanation about verbal conjugation. One is the notion of ‘formal change’ and the ohter is the notion of ‘(un)inflected form’.

      • KCI등재

        자연부류 단어들의 의미기술

        조남신 한국슬라브어학회 2008 슬라브어연구 Vol.13 No.-

        Lexicographers must change their view about the semantic component in dictionary definitions. The definition of an entry word has to include encyclopedic information retrieved by the stereotype. In addition to factual information about a referent, denotational information of a conceptual stereotype and information by cultural association with an item should be given in a dictionary. Especially words for natural kinds have to have all the information above. These ideas are not just a bundle of necessary-sufficient features, but acquired by stereotypical features. This corresponds to a language theory emphasizing the role of a prototype in folk classifications. From a perspective of cognitive linguistics, meanings may be inaccurate just showing denotational meaning. We, lexicographers carry a duty of providing a basis for correct definitions by stereotypical information. These definitions by stereotypical information are better than the definitions in the current dictionaries. Definitions for natural kinds cannot be reduced to a schema or a type, but require a standard system what to be described in the definitions.

      • KCI등재

        浅析汉语新词语 - 以 '中国语言生活状况报告' 公布的2006-2008汉语新词语和网络流行语为例 -

        김영희,한용수 한중인문학회 2010 한중인문학연구 Vol.30 No.-

        중국 교육부산하 ‘중국언어문자공작위원회’에서는 해마다 이전 연도의 언어, 문자사용 상황에 대한 보고(中国语言生活状况报告)를 발표하고 있다. 지금까지 출판된 보고 내용에는 해마다 그 이전 연도의 신조어 통계가 포함되어 있는데, 그것은 2006년 171개, 2007년 254개, 2008년 359개의 신조어이다. 그렇지만 인터넷에서 유행하고 있는 신조어는 이 보고에서 발표하고 있는 신조어보다 훨씬 많다. 이런 신조어를 한국의 중국어 학습자에게 소개할 필요가 있는지, 소개한다면 어떻게 소개해야 하는지, 이런 고민에서 출발하여 본문을 작성했다. 작성하는 과정에서 신조어에 대한 소개는 이 보고에서 나열한 총 784개의 신조어에 만 국한해서는 안 된다는 생각이 들었다. 왜냐하면 신조어는 그 내용이 더 중요하지, 몇 백 개라는 숫자는 인위적인 통계를 통해 나온 숫자이기 때문에 이 많은 신조어를 한국의 중국어 학습자에게 다 소개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다만 이런 신조어 가운데 같은 부류의 어휘가 많기 때문에 한데 묶어서 소개할 필요는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거의 모든 신조어는 문화적 내용이 있기 때문에, 이런 내용을 모르고서는 이 단어의 뜻을 알 수가 없는 것이므로 때문에 이런 신조어가 나타나게 된 원인조사를 통해 그 단어에 있는 중국인들의 정치, 경제, 문화, 생활 등 여러 면의 정보를 더 많이 알게 되는 것 또한 사실이다. 신조어라고 해서 많은 중국인이 다 알고 또한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사실 많은 중국인조차 발표된 신조어에 대하여 모르는 경우가 많고, 논쟁도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다고 중국인도 모르는 단어를 우리가 배울 필요가 있겠는가 하 는 생각을 가져서는 더욱 안 된다고 본다. 오히려 이런 신조어를 접하면서 현대의 중국문화와 중국어를 배우는데 더 효과적일 수도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From 2005 the Chinese Government makes a briefing on language using the year before. There is a part on this report specially describing the new appeared words. According to this report there appeared 171 new words in 2006, 254 in 2007, and 359 in 2008. Besides these new words actually there are much more of them being used on the internet. For the foreigners, should they learn these new words? If the teachers teaches these new words to the students, how should they introduce so many words and in what way? On the other hands, even to the Chinese living in China, many “new” words are “new” to them too. Even so, we had better introduce some of the new words to students. Because these by learning these new words students can easily understand the developing Chinese living situation and Chinese. One of the best way to learn these new words is the grouping them. many of the new words are grouping words, eg, in 2008, there was Olympic Game in Beijing, so there are many new words concerning Olympic. Another way of making new words is like “X+Slave”, “S+gate” etc. So when we master the making ways of the new words, these new words will not be as “new” and difficult as they looks.

      • KCI등재

        독일어의 모음부류와 정서법

        유시택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5 獨語敎育 Vol.63 No.63

        In den Analysen mit nur einer oder zwei Vokalreihen bezieht sich keine Bedingung in der Graphematik auf kurze gespannte Vokale. Aus zwei Gründen müssen jedoch kurze gespannte Vokale in die Beschreibung der deutschen Graphematik intergriert werden. Erstens beruft sich die Wortakzentregel auf die Differenzierung der Länge bei gespannten Vokalen. Auch wenn kurze gespannte Vokale vorwiegend in Fremdwörtern erscheinen, ist es unvermeidlich, sie als phonologische Grundeinheiten anzunehmen, auf welche die Wortakzentregeln operieren. Zweitens rekurrieren einige graphotaktische Beschränkungen auf kurze gespannte Vokale. Nach der Anwendung der Wortakzentregeln werden Vokale sowohl in der Länge als auch in der Gespanntheit phonetisch voll spezifiziert. Korrespondenzregeln beziehen sich auf diese Vokale auf der phonetischen Repräsentationsebene. Die Verschriftung von Schwa bei Wörtern mit Schwa-Ø-Alternation unterstützt die hier vorgelegte These, dass die phonetische Repräsentation die Basis für die Orthogaphie darstellt. 기존의 자소론 Graphematik 연구는 자소-음소-대응관계 Graphem-Phonem- Korrespondenz (이하에서 GPK)를 설명하기 위해 독일어 모음 음소가 (1a)처럼 단 한 개의 모음계열(Primus 2010; Everts/Primus 2013; Bredel/Fuhrhop /Noack 2011), 혹은 (1b)처럼 두 개의 모음계열로 이루어진다고 가정한다(Eisenberg 2004; Fuhrhop 2006). 한 개의 모음계열에서는 분절음 층위 segmentale Ebene에서 긴장도 Gespanntheit나 장단 Länge의 대립이 없다. 두 개의 모음계열에서는 긴장도 혹은 장단이 분절음 층위에서 변별적 distinktiv이며, 대부분의 분석은 긴장도와 장단 사이에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고 가정한다: [+lang] -> [+gespannt], [-lang] -> [-gespannt]. (1) a. 한 개의 모음계열/i/, /y/, /u/, /e/, /ø/, /o/, /a/, /ə/ b. 두 개의 모음계열/ɪ/, /i/, /ʏ/, /y/, /ʊ/, /u/, /ɛ/, /e/, /œ/, /ø/, /ɔ/, /o/, /a/, /ɑ/, /ə/

      • KCI등재후보

        태국어의 □□□/짝/과 □□□/틍/의 문법화

        정환승 ( Hwan Seung Jung )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 2006 언어와 언어학 Vol.0 No.38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Thai multi-function words /cak/ and /thueng/ in aspect of their word-class, because the analysis of these two words appeared in the former studies are controversial. The problematic analysis is that /cak/ and /thueng/ are considered to belong to the preposition word-class, following the criteria that the preposition cannot co-occur with the negative word /mai/. The contradictory argue is that the subsidiary verbs cannot co-occur with the negative word /mai/ as well as the preposition. So the new criteria which can be used specifically for these two words should be suggested. In this article, the function of /cak/ and /thueng/ are analyzed in two aspects, the grammatical condition and the semantic condition.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ings : a) their appearance in the locative phrase shows their grammaticalization, then the prepositions /cak/ and /thueng/ have derived from verb ; (b) their appearance in the verb phrase shows that they are the verbs. This article suggests the clear definition of preposition and also the future direction of analyses on the other Thai multi-function words.

      • KCI등재후보

        20세기 초중반 한국어학의 사상적 면모 : 주시경과 게봉우를 중심으로

        조원형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한국학연구 Vol.0 No.23

        이 연구에서는 주시경이 지은 『국어문법』과 게봉우가 지은 『조선말의 되어진 법』에 드러난 민족주의적 면모와 일반언어학적 면모를 밝히고자 한다 이 두 저서는 각각 20세기 초반과 20세기 중반에 집필한 것으로서 일반언어학적 원리를 바탕으로 한국어의 주체성을 강조하고자 한 저자의 의지가 각 저서에 공통적으로 드러나 있다 주시경은 고유어 문법 용어를 고안하여 한국어 문법을 분석하였으며 ‘말’과 ‘일’의 관계를 통하여 기호학적 개념을 발전시켰다 게봉우는 역사비교 언어학의 방법론을 참고하여 한국어 단어의 어원을 고유어 안에서 찾고자 노력하였다 이들의 연구 성과 자체는 비록 후대에 충실히 계승되지 못하였으나 이 두 학자가 지녔던 언어관과 언어 사상은 그 의의가 충분히 인정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nationalistic and general linguistic features of the linguistic writings of Gugeomunbeop(Korean Grammar) written by Ju Si gyeong and Joseonmareui Doeeojin Beop(The Etymology of Korean Language) written by Ge Bong u. These two writings, written in early and middle 20th Century, emphasizes the subjectivity of Korean language, based on general linguistic principles. Ju Si gyeong analysed the Korean grammar with his own linguistic terms stemed from original Korean words, while he developed the semiotic ideas with the relationship of ‘mal’(word) and ‘il’(matter). Ge Bong u tried to find the etymology of Korean words only in the original Korean words, consulting the methodology of historical comparative linguistics. The standpoint and thought of these two linguists must be considerably recognised, although their linguistic study results themselves are not wholly succeeded.

      • KCI등재
      • KCI우수등재

        한국어 범주 횡단 현상과 다의성 -의존명사 ‘이’를 중심으로-

        정해권 국어학회 2019 국어학 Vol.0 No.92

        국어에서 동일한 형태의 내용어가 형태 변화 없이 여러 품사로 사용되는 품사 전성 현상과 달리 동일한 형태의 기능어가 서로 다른 품사의 어간과 결합하는 범주 횡단 사용에 대해서는 그리 주목 받지 못하였다. 교착어의 접사가 보이는 범주 횡단 사용은 일종의 통사적 자율성을 드러낸다. 한국어의 ‘들’, ‘요’, ‘이’와 같은 접사는 동일한 형태에 동일한 의미를 갖지만 결합하는 내용어의 품사에 따라 서로 다른 의존적 요소로 구분되기도 한다. 이는 이 요소들의 근본적인 특징을 제대로 반영한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한국어에서 의존명사, 대명사, 계사, 접사 등으로 처리되는 ‘이’는 ‘사람’을 나타내는 원형 의미를 바탕으로 다의적 관계를 형성한다고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단어의 품사에 대한 고정적 관점보다 유연한 관점에서 서로 상이한 요소들과 결합하는 문법 표지들에 대한 총체적 표상을 파악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