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독어독문계열 학과 및 학회의 현황과 과제

        진일상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8 獨語敎育 Vol.72 No.72

        Mit der Bildungsreform 1997 begann in Korea die Zahl der Deutsch-Studierenden und der Studienplätze für Deutsch drastisch zu sinken. Die Fachdisziplin, Deutsch und Deutsche Literatur verliert im Zuge des Rückgangs der Geisteswissenschaft langsam an Boden. Auch in den Schulen wurde der Schwerpunkt der Fremdsprache von den europäischen auf die asiatischen Sprachen verschoben. In dieser Studie wird die sogenannte Krise des Studienfaches - Deutsch und Deutsche Literatur - an den koreanischen Hochschulen durch Statistiken und Daten ausführlich dargestellt. Zudem wurde eine Umfrage unter den Lehrstuhlinhabern der Abteilung durchgeführt. Die Umfrage besteht aus Fragen zum Studienfach Deutsch und zur Rolle der fachbezogenen wissenschaftlichen Gesellschaften. Nach der Bildungsstatistik 2017 bieten insgesamt 46 Universitäten Studienplätze für Deutsch und Deutsche Literatur an. Insgesamt 7317 Studierenden sind im Bachelorstudiengang. Die Studierenden im Magistergang sind weniger als 50. Der Schwerpunkt der Lehrangebote liegt nunmehr auf der deutschen Kultur als auf der Literatur. Dies ist nicht zuletzt der Beschreibung der Abteilung zu entnehmen. Im Vordergrund der Lehrangebote steht anstelle der Literatur deutsche Kultur oder in einigen Fällen German Studies, welche Area Studies untergeordnet sind. Die Zahl der Deutschlehrer an Schulen ist in den letzten 20 Jahren von 219 auf 38 geschrumpft. Die Zahl der Schüler, die im Abitur Deutsch als zweite Fremdsprache wählen, ist von 6574 im Jahr 2007 auf 1152 zurückgegangen. Es gibt kaum noch wissenschaftlichen Nachwuchs und das Durchschnittsalter der Lehrkräfte wird immer höher. 60 Prozent der Lehrstuhlinhaber sind über 55 Jahre alt. Nur 4 Prozent sind unter 45. Obwohl die Zahl der jüngeren Wissenschaftler immer weiter zurückgeht, gibt es elf fachbezogenen Gesellschaften, die jährlich bis zu vier Journale herausgeben. An das Studienfach Deutsch und Deutsche Literatur wird die Forderung gestellt, sich mehr an dem Arbeitsmarkt zu orientieren und praktischen Lehrprogramme anzubieten. Die Umänderung der Lehrpläne auf sogenannte „German Studies“ findet in diesem Kontext statt. Nun ist der Zeitpunkt gekommen, sich zu fragen, was das Studienfach „German Studies“ beinhalten soll. Aber davor müssen wir uns fragen, was Deutschland bzw. die deutsche Kultur für uns bedeutet und wozu wir uns damit beschäftigen sollen. Weitere Fragen, nämlich wie die deutschsprachigen Länder unter dem Begriff Area Studies zusammenzufassen sind, wie und inwieweit die Zusammenarbeit mit anderen Fachdisziplinen betrieben werden soll, usw. sind erst danach zu beantworten. Dies alles hängt schließlich mit der Identität des Studienfaches Deutsch und Deutsche Kultur oder German Studies zusammen. Zur Fragestellung und zur Suche nach einer möglichen Antwort sind letztlich wir, die Germanisten und die fachbezogenen Gesellschaften, verpflichtet. 필자는 2002년 전국 인문대학장들의 ‘인문학 위기 선언’으로 공론화된 제도권 내 인문학의 문제를 독어독문학과의 범주 내에서 살펴보기 위해 <독어독문학과의 현황과 고등교육 정책>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한 바 있다. 당시 인문학의 위기는 군소학문으로 분류되는 독어독문학 분야에서 더욱 구체적이고 극단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부제 시행 및 학과의 통폐합 등의 구조조정과 함께 독문학과와 재학생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이는 독문학과 졸업생들이 마땅히 사회진출의 가능성이 없는 현실과 맞물리면서 가속화되고 있었다. 그 간 독문학과의 양적인 축소와 인위적인 구조조정에 대처하기 위해 대응책을 고민하는 노력이 있어왔다. 이 글은 2010년 이후 현재 독어독문계열 학과의 현황 및 관련 학회의 현황을 교육통계 등의 자료를 통해 파악하고 업데이트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독어독문 계열 학과 소속 전임교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현재 소속 학과의 교과과정 관련 변화의 내용에 대해 알아보고 관련학회의 발전 방향에 대한 의견을 물었다. 궁극적으로는 이 글이 독어독문 계열 학과 및 학회가 처한 현실을 직시하고, 발전적인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탄뎀소통을 통한 문화 간 소통역량 교육

        하수권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8 獨語敎育 Vol.72 No.72

        In dieser Arbeit geht es um die Frage, wie die interkulturelle Kommunikationsfähigkeit der Studierenden im Rahmen des universitären Erziehungssystems institutionell gefördert werden kann. Die Zunahme ausländischer Studierender an den meisten Universitäten in Korea verlangt eine Intensivierung zur Förderung des interkulturellen Verständnisses. Das Tandem-Lernen ist eine hierzu passende Lernmethode. Es gibt drei verschiedene Realisierungsmöglichkeiten des Tandem-Lernens zur Förderung interkultureller Kommunikationsfähigkeit der Studierenden im Rahmen des universitären Studiums. Der Tandemunterricht mit zwei Zielsprachen ist eine Möglichkeit davon. Dabei steht das Sprachlernen an erster Stelle, aber da findet die Förderung interkultureller Kommunikationsfähigkeit automatisch statt, da die Sprecher aus zwei verschiedenen Ländern stammen. Eine weitere Möglichkeit bietet der Tandemunterricht mit über 3 Zielsprachen. Die Förderung interkultureller Kommunikationsfähigkeit ergibt sich dabei automatisch aus dem kommunikationsstrukturellen Grund. Die dritte und letzte Möglichkeit wird im Curriculum für allgemeine Bildung angeboten. Diese Art des Tandemunterrichts wird hier 'interkultureller Tandemunterricht zur allgemeinen Bildung' genannt. In diesem Unterricht steht die Förderung interkultureller Kommunikationsfähigkeit an erster Stelle. 한국사회가 이미 다문화 사회로 전환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가 앞으로 강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은 이미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와 더불어 문화적 요인으로 인한 사회적 갈등이 사회 곳곳에서 심화될 수 있다. 이러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서는 한국사회로 유입되고 있는 다문화인들의 한국사회 적응교육과 더불어 한국인의 상호문화 역량 증진을 위한 교육이 병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상호문화 역량 증진 교육은 다양한 사회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면서, 초·중등뿐만 아니라 고등교육 그리고 평생교육에서도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한국인의 상호문화 역량 증진 교육 필요성은 한국의 산업구조와 일자리 창출과도 관련이 있다. 한국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고, 한국에 진출하는 외국기업들로 다양해지고 있다. 무엇보다 수출 지향적 산업구조를 가진 한국에 글로벌 시장 개척은 피할 수 없는 당면 과제이다. 대학생들이 전공을 불문하고 상호문화 소통능력을 함양하여야 하는 이유는 무엇보다 그들이 살아갈 국내외의 생활환경이 이것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상호문화 소통능력 함양은 이에 대한 이론적 지식교육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사실은 더 이상 논의가 필요 없는 사실이다. 지식 이해와 더불어 다양한 조건에서 상호문화 소통을 경험하면서 노하우를 쌓아야 한다. 오늘날 적잖은 대학생들이 해외여행, 교환학생 참여, 어학연수 등으로 해외에 체류하거나, 국내외에서의 글로벌 프로젝트 수행하기, 온라인으로 외국인 친구와 소통하기 등을 경험하면서 나름의 상호문화 소통경험을 축적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가까이에 있고 일상적으로 활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여건과 기회를 충분하게 활용하지 않는 것이 있다. 즉 증가하고 있는 다양한 국가에서 유입되고 있는 국내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들은 한국인 대학생들이 일상적으로 상호문화 소통을 체험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바로 이러한 대학교육 환경의 글로벌화를 대학생들의 상호 문화 소통역량 강화에 활용하는 교육적 수단으로 탄뎀학습을 제안하고, 탄뎀학습이 학생들의 상호 문화 소통 역량 함양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조사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우선 제2장에서 문화 간 소통역량 교육에 대한 본 연구의 이론적 기반을 기술하고, 이어 제3장에서 탄뎀학습을 통한 상호문화 소통역량 교육의 특수성과 구현방법을 기술한다. 그리고 제4장에서는 탄뎀학습을 통한 문화 간 소통역량 함양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조사한 수업경험과 설문조사 결과를 기술한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탄뎀학습을 통한 문화 간 소통역량 교육 방법 개선 방안을 제안한다.

      • KCI등재

        Interkulturelle Germanistik in Suedkorea- Grundlagen, Konzepte und Vorschläge -

        김유리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04 獨語敎育 Vol.30 No.-

        한국독어독문학은 90년대 중반 이후로 지금까지 약 10여 년간이라는 세월동안 학문의 정체성과 교수모델 방향 설정의 측면에 있어 심각한 위기상황에 직면해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시기에 독어독문학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데 작은 보탬이 되고자 독일의 상호문화적인 독어독문학의 근원지라고 할 수 있는 바이로이트 대학의 모델을 분석해 봄으로써 한국 독어독문학 실정에 맞는 모델을 구상하고자 했다. 우선 바이로트대학의 상호문화적인 독어독문학의 모델 창설자인 Wierlacher 교수의 상호문화적인 해석학이론에 입각한 초기 모델은 독일 내에서조차 이론적이고, 추상적이며 서양문화중심의 문화이해라는 점에서 비판을 받게 된다. 그의 후임자인 Müller-Jacquier 교수는 이러한 비판을 염두에 두고, 보다 실용적이며 개별적인 문화를 고려한 실제적인 상호문화적 의사소통 능력 향상이라는 목표에 부합한 새로운 바이로트 모델을 제시한다. 본 논문은 Müller-Jacquier 교수의 바이로트 모델에서 출발하여 한국정서에 부합한 상호문화적 독어독문학 모델을 구상하고자 시도해 보았다. 따라서 이 모델에 대한 구상도 역시 상호문화적인 커뮤니케이션의 능력을 가르치자는 데 근본적인 목표가 있다. 이 모델 구상은 기존의 우리가 이미 지녀왔던 독문학과 독어학의 맥락에서 외국 문학과 언어학으로서 이미 내재하고 있는 상호문화적인 의사소통 요소를 강화하여 가르치자는데 취지를 두었다. 본 논문에서는 상호문화적인 측면의 인식과 이러한 차이들의 교육을 위한 한국형 상호문화적 독어독문학 모델을 구상해 보았다.

      • KCI등재
      • KCI등재

        외국어습득이론과 외국어교육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성상환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9 獨語敎育 Vol.76 No.76

        Der Erwerb einer zweiten Sprache ist häufig das Produkt einer systematischen Intervention, d.h. das Resultat der Schulbildung. Je nach Unterrichtsmethode können wir unterschiedliche Formen annehmen. In Bezug auf die Methoden kann von unkontrolliertem und gesteuertem Zweit- sprachenerwerb gesprochen werden, wobei mit letzterer der Fremd- sprachenerwerb gemeint ist. Je nach Klassenalter und Unterrichtsmethode ergeben sich teilweise verschiedene Untertypen. Wenn über die Art des Spracherwerbs gesprochen wird, ist zu beachten, dass es dahingehend auch unterschiedliche Spektren gibt. Die Formen können sich fließend ändern, und es ist durchaus möglich, dass die eine oder andere in einer anderen koexistiert. Vor diesem Hintergrund werden in der vorliegenden Arbeit die traditionellen Theorien des Fremdsprachenerwerbs oder des Zweitsprachen- erwerbs kritisch beleuchtet. Am Ende der Arbeit wird der kogntiv-orientierte Ansatz auch diskutiert. 본 연구는 이미 진행된 선행연구들(Edmondson/House 2000; Klein 2001; Saville-Troike 2006; Ortega 2009; Auer 2013)을 비판적으로 참고하였음을 밝힌다. 특히 다음 장에서 논의할 제2언어습득이론의 전개과정은 시대별로 정리된 Saville- Troike의 기술을 순서대로 참고하였으나 해당 이론과 관련하여 타 연구 성과들을 비교하며 비판적으로 논의하기로 한다. 또한 독일어 예시들을 추가적으로 제시하여 중점적으로 다루며 제2언어습득론의 논의의 장을 확대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제2언어습득이론에 대한 개괄적 연구는 한국의 독어교육 분야에서는 충분하지 못했다(신형욱 2009 참조). 독일어에서는 이해욱(2015)의 ‘초기아동의 시상습득에 관한 연구’, ‘구문문법’과 특정 구문을 중심으로 한 성상환(2015)의 연구, 이성은(2017)의 ‘신경언어학적 연구’ 등 구체적인 방법론과 주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습득연구가 있다. 또한 영어와 한국어의 비교연구로서는 최근 부정극어(Negative Polarity Item: NPI)를 중심으로 한 김보경(2018), 한국어교육에서는 ‘한국어습득에 있어서 인지·심리적 요인이 L2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백준오 외(2016), ‘체류경험을 중심으로 영어와 한국어의 유창성습득’을 분석한 강석한(2018) 등의 연구가 있다. 그러나 영어와 독일어, 한국어자료를 아우르는 비교를 통해 외국어/제2언어습득분야에서 발달한 이론들에 대한 개괄적인 접근을 한 경우는 국내연구에서 흔하지 않다. 본 연구는 이러한 노력의 일부임을 밝힌다.

      • KCI등재
      • KCI등재

        상호문화 관점에서의 다문화 이해 수업 방안 연구

        박현선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9 獨語敎育 Vol.76 No.76

        n dem vorliegenden Artikel werden das entsprechende Material und die Lehrmethode für den kulturellen Unterricht vorgeschlagen, die benötigt werden, um den Lernenden die Möglichkeit zu geben, ihre eigene sowie die fremde Kultur aus einer interkulturellen Perspektive zu verstehen. Zu diesem Zweck fand zunächst eine Erörterung der Vielfalt allgemeiner Kulturtypen statt, anschließend wurde eine Untersuchung der kulturellen Phänomene durchgeführt, die sich aufgrund unseres Verständnisses von Orient und Okzident voneinander unterscheiden können. Um dies in Bildungseinrichtungen wie Grundschulen oder Gymnasien zu nutzen, haben wir uns mit den kulturellen Elementen befasst, die im Bereich der allgemeinen Bildung behandelt werden können. Hier wurde zum Zwecke einer kontinuierlichen multikulturellen Erziehung, beispielsweise in der Grundschule, die multikulturelle Erziehung in koreanischen, sozialen und ethischen Klassen miteinander verknüpft. Anhand des Modells des Kulturunterrichts soll untersucht werden, wie sich die interkulturelle Perspektive Deutschlands auf die multikulturelle Bildung Koreas auswirken kann. Auf dieser Grundlage wurde ein Projektunterricht im Grundschule als Exempel unter einer interkulturellen Perspektive vorgestellt. Hier handelt es sich um einen Projektunterricht, durch den die eigenen Kultur mittels der fremden Kultur verstanden werden soll, so wird z.B. durch die Beschäftigung mit der deutschen Einigung das Einigungsproblem zwischen Nord- und Südkorea erfasst. Es ist zu erwarten, dass die deutsche Kulturvermittlung eine zentrale Rolle im grundlegenden theoretischen Bereich der Vermittlung kultureller Inhalte für die Grund-, Mittel- und Oberschulbildung über das Gymnasium und die Universität hinaus spielt. 현재 다문화 교육은 초등학교 단계에서부터 교육과정 틀 안에서 다문화 기초교육이 실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렇다면 초등학교 다문화 수업에 독일식 상호문화 관점을 접목시켜 다문화 기초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방안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며, 초등교육과 연계시켜 독일문화교육 연구 영역을 더 넓혀 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독일문화교육을 초등학교 다문화 교육소재와 연계하여 문화교육의 기초단계에서부터 학습자의 다문화 이해 역량을 강화시키는 방법에 초점을 맞춰 상호문화교육 관점에서의 다문화 수업 방안에 대해 연구를 수행해 보고자 한다. 따라서 2장에서는 초·중등학교에서 어떤 범위와 내용으로 다문화요소를 다룰 수 있는지 그 범위의 문제를 짚어보면서 다문화교육을 상호문화교육 입장에서 실시할 수 있도록 독일의 다문화교육 방향으로서의 상호문화교육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고자 한다. 3장에서는 다문화의 기본인 문화차이의 이해를 위해 문화유형에 따른 인식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동일 것을 인식함에도 문화권의 차이에 따라 다르게 인식할 수 있다는 점은 상대방의 입장을 배려하는 자세와 관련되기 때문에 학습자들에게는 이러한 문화차이의 이해가 중요하다. 4장에서는 독일어 문화 소재는 고등학교의 독일어 수업 상황에만 국한하지 않고,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융합하여 학습자 중심 문화 수업을 운용하는데 유익한 학습소재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아 볼 것이다. 이를 위해 독일의 상호문화 관점을 활용한 초등학교 다문화 수업의 사례를 제시해 볼 것이다. 특히 특정 문화권의 문제이지만 타문화나 독일의 사례를 통해 자국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찾는데 기여하는 문화요소를 중심으로 프로젝트형 다문화 수업의 예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모델 수업을 통해 ‘독일 문화교육 방법을 고등학교 범위를 넘어 초등학교 기초 단계의 다문화 학교 교육 현장과 연계하여 지속 발전 가능한 상호문화 교육’을 진행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타진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