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한용수 한중인문학회 2012 한중인문학연구 Vol.35 No.-
‘옷이 날개다’는 말은 자기 자신을 더 아름답게 추구하려는 본능에서 나오는 것으로, 문화 표현의 일종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 봉건사회의 조정에서 관복의 디자인, 색깔, 옷감 재질, 장식무늬에 대해서 엄격한 규정이 있었는데, 이는 지위에 대한 사회의 상징이었다. 현대사회 에서 옷차림은 사회지위를 나타내기도 하고, 특정한 제복 역시 일정한 직업신분을 나타내기도 한다. 이러한 복식문화에서 옷차림을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신분, 종교에 따른 옷차림. 둘째, 지역적 특색에 따른 옷차림. 셋째, 사회 활동에 따른 적절한 옷차림. 넷째, 예술과 기타 활동에 관한 옷차림. 언어표현에서 ‘衣’가 의식주 중 첫 번째로 꼽히는 것은, 옷이 우리 삶에서 가장 필요하다는 것을 표현한 것이다. 사회가 발전하고 문명의 발달로 의복은 몸을 가리고 추위와 더위를 해결 하는 물질적인 기능 이외에, 아름다움과 예절, 계급지위 등 문명의 표지로 점점 발전하여 하나 의 문화적 계승물이 되었다. 고대 중국의 복식은 매우 복잡한 등급과 계급성으로 과거 봉건적 예의를 보여주는 형식 중의 하나가 되었다. 이러한 복식과 관련하여 표현되는 어휘들은 깊은 문화적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러한 복식과 관련된 어휘의 파악은 중국 문화의 일면을 이해하는데도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보며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복식과 관련된 한자와 관련하여 나타난 어휘 를 중심으로 의미를 살펴보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The proverb of "fine clothes make the man" is one of the cultural expressions, prompted by natural instinct of human being who always wants to pursue beauty more than ever. Royal court in China at the feudal system had strict regulations governing the official attire about design, color, quality of clothing materials, patterns in fabric and so on. This idea of regulations was caused by the thoughts regarding clothing as the symbol of social positions. Clothing in modern times also shows people's social positions. Certain uniforms also refer to specific vocations. The styles of Clothing usually differentiated from each other due to following factors. At first, Status and Religion makes Clothing different. Secondly, regional characteristics influence the way of clothing. Thirdly, social activities are also one of the factors that cause people to dress in a suitable form. fourthly, Behaviors in certain occupations such as artists and musicians make different in people's dressing ways. Clothing is one of the most necessary parts in life. Since society and civilization developed, clothing was considered to be one of cultural heritage functioning the standard of civilization besides the protection of body. Clothing in china at ancient times performed a sort of important role to present feudal manners and politeness due to a complicate status system. This paper aims at considering the meaning of Chinese words and characters related with clothing, because these words include the cultural aspects and its meaning. Therefore, classifying and understanding their meaning help the cultural studies to be more fluent.
한용수 한중인문학회 2009 한중인문학연구 Vol.28 No.-
피휘는 아직까지도 우리의 삶에 가까이 있다. 옛날 전제왕건 시대에는 일생생활에서 어려움이 있을 정도로 많은 글자가 제한된 글자로 있어 불편함이 있어 왔으나 한국과 중국의 왕들의 사용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여 왔다. 조선시대의 국왕들은 일반 백성의 불편함을 고려하여 읽기 힘든 어려운 글자와 외자로 이름을 지어 피휘자의 불편을 최소화하려고 노력하였으나, 중국에 서는 피휘에 해당된 글자들의 확대로 일반인들의 글자 사용과 표현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춘추(春秋)』에는 존경하는 사람과 친지, 현자를 위해 피휘를 하였다고 하였고, 『춘추』에 이미 각기 다른 이름이 있는 것으로 보아 이미 오랜 기간 피휘를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우리가 처음 만나는 상대방의 이름을 묻는 표현에서도 상대방에 따라 정중의 도가 다를 수 있으니 호칭을 부를 때에는 존경의 직접적인 표현과 관련하여 우리는 타인의 이름과 호를 사용함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과거 한국이나 중국에서 엄격히 지켰던 피휘, 그 중에서도 국휘(國諱)는 민주사회인 오늘 날의 기준으로 보면 매우 불합리한 일이었다. 다만 과거의 일들을 통해 고적 사료의 문헌을 살펴서 그 시대적 상황을 파악하고 그 시대의 상황 등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가 될 수 있으니 휘에 사용된 글자들의 면면을 파헤쳐 경사류 등 서적의 연구에 이를 잘 탐독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다. Naming taboo(避諱) is still close to our lives. At old times of Dynasties, it had been very inconvenient to communicate each other with language due to the restriction on some specific letters as much as being difficult to do something in ordinary lives. There are differences of naming taboo between Korea and Chinese of Dynasties. Kings in both Dynasties had made different applications of naming taboo. Kings in Joseon Dynasty made an effort to minimize the inconveniency about naming taboo by means of taking as Kings' names some difficult letters to read and using only one letter for given names. Compared to Joseon Dynasty, normal people in China had many trouble to use some letters in their language and express their thoughts because of the excessive extension of limited letters corresponding to naming taboo. A book, Spring and Fall(ChunQiu)『春秋』recorded that naming taboo had been used for the purpose of showing some respects relatives, honorable people and wise men. As many different kinds of designations for naming taboo already had been written in the book of Spring and Fall(ChunQiu)『春秋』, it is clear that some designations for naming taboo had been often widely used for a long time ago. When we meet people for the first time, we are very careful to ask one's name with a polite way. Because Calling one's name are very different under the circumstances, it should be done with polite expressions and manner corresponding to their position, status and situations of people in conversation with us. The expressions in naming and calling are supposed to show respect them with suitable usage of name and pen name. Considering that societies with democracy are developed in a modern time, in some respects, it is irrational to persist this limitation, particularly naming taboo for Kings' name among other naming taboo kept with sever restriction in both Korea and China. However, it is very useful to understand the phases and circumstance of the time through historical review researching old resources in historical docum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old letters used for naming taboo with a close look. This work can be helpful to study historical books and documents and gain the knowledge about the old time in history.
韓容洙 중한인문과학연구회 2002 국제학술대회 Vol.- No.8
本文欲通過考察韓國近代漢語敎學的歷史對韓國近代漢語敎學狀況有一個正確的, 全面的認識. 有人說在韓國進行有系統地漢語敎學是從朝鮮時期代開始的, 事實上, 這以前就已經開始了. 19世己末到20世己初朝鮮時代建立了近代學校. 1895年5月10日政府又公布了外國語學校的官制, 建立了外國語專門學校. 官制第一條規定建立 外國語學校的目的是敎授各種外國語語言. 官制第二條規定所學語種根据需要而定. 第三條規定必要時可說地方分校. 此后, 韓國的外國語學校又分爲官立漢城日語學校, 官立漢城漢語學校, 官立漢城英語學校, 官立漢城德語學校, 官立漢城俄語學校, 官立漢城法語學校等. 其后, 這些學校又合幷爲官立漢城外國語學校, 分爲日語部, 漢語部等. 1910年因"韓日合方"學校關門了. 過去韓國的漢語硏究是爲培養漢語번譯人才和發展中韓關系而進行的, 這給當今韓國的漢語敎學和硏究也帶來了一定的影響.
한용수,속윤걸 중국어문연구회 2014 中國語文論叢 Vol.0 No.62
상(aspect)은 어법 범주에 속하며 하나의 기본 언어 현상으로 언어 속에 존재하고 있다. ``起來``는 현대중국어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복합방향동사로 다른 방향동사와 같이 술어동사와 결합하여 ``V+起來`` 구조를 형성하며 문장에서 방향 보어의 역할을 한다. 우선 본 논문은 고대중국어 자료정리를 통해서 ``起來``의 어법화 과정을 설명한 연후 학자 연구 성과에 따른 ``起來`` 현대중국어의 각 언어의미를 분류했는데, 시작 의미를 나타나는 ``起來``를 ``起來₃``으로 표기한다. 중국어의 발전역사를 보면 단어의 분포 형태는 어법 수단으로 표시를 하고 있고 문법구조에서 벗어날 수 없다. ``起來``도 분포 형태에 따라서 다른 기능을 나타난다. 각 형태 분류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起來``의 어법의미를 귀납하고 ``起來``는 현대중국어에 있어서 실사에서 허사로 바꾸는 확대과정을 살펴보았다. ``起來``가 공간위치의 변화를 나타나는 본래의 의미에서 공간이 아닌 다른 비유 의미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은 ``起來``의 어법화 과정에 아주 중요한 표시이다. 그래서 ``起來₃``이 표시할 수 있는 시간 범위에 대한 연구가 아주 중요하다. 본 논문은 다른 동사와 결합하여 나타난 예문을 분석하여 ``起來₃``이 나타난 시간 범위를 논술하였다. 이런 분석을 통해서 ``起來₃``은 주로 행동 시작 표시를 나타내지만 동사와 결합한 다음에 ``起來₃``이 표시할 수 있는 시간 범위로 확대되었다. 동작이 시작할 때부터 동작이 끝난 다음까지 각 분기로 그 표시를 다 할 수 있다. 그리고 끝난 다음에 지속된 상태까지도 표시가 가능하다. 그것에 근거하여 ``起來₃``의 언어 활용과 언어특징을 찾고자 하였으며, 예문분석을 통해 만약 단순히 ``起來₃``이 시간과 공간에 있는 2차원 공간에 있다고 본다면 어느 방면에서든 좀 부족한 부분으로 여겨지므로 그래서 우리는 ``起來₃``은 시간, 공간, 상태 3차원 공간의 교점이라고 가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