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호작용 가족놀이치료가 모-자녀 간 상호작용 및 모의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 모자공동생활가정을 중심으로 -

        김명애 ( Kim Myung-ae ),선우현 ( Sunwoo Hyun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6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상호작용 가족놀이치료가 모-자녀 간 상호작용 및 모의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수도권 소재 모자공동생활시설에 거주하는 모자가족으로 프로그램 전, 사정평가로 실시한 부모-자녀 상호작용 평가(MIM)에서 상호작용의 어려움을 보인 5가족으로 구성되었다. Sunwoo(2013)에 의해 개발된 상호작용 가족놀이치료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총 8회기의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상호작용 가족놀이치료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변화 과정을 질적분석하였다. 또한 사전 및 사후에 상호작용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부모양육태도검사(PAT)와 가족놀이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적 상호작용, 부모 주도 상호작용, 아동주도 상호작용의 변화가 나타났다. 부모 주도 놀이와 아동 주도 놀이에서 즐거운 놀이경험은 모와 자녀의 주도성을 높이고 긍정적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을 촉진하였다. 둘째, 모의 양육태도에 변화가 나타났다. 모의 양육태도에서 지지표현과 합리적 설명은 향상되고, 간섭과 비일관성은 감소되는 변화를 가져왔다. 또한 가족놀이평가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상호작용 가족놀이치료가 모-자녀 간 정서적 친밀감을 높이고 긍정적인 상호작용은 모의 양육태도를 변화시키는 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tested the effects that family play therapy for parent-children interaction exerts on changes in the mother-child interaction and parenting attitud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five families with a mother and children who live in mother-child group homes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and who had difficulty in using interacting using the Marschak Interaction Method (MIM), which was used as a pre-program assessment. Based on the family play therapy for parent-children interaction program, as developed by Hyun Sunwoo (2013), the program was organized into total of 8 sessions. To verify the effect, the examiner performed a qualitative analysis on the change process. Additionally, to evaluate the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interaction, this examiner conducted an evaluation using the Parenting Attitude Test (PAT) and family pla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it drove the changes in emotional interaction, parent-directed interaction and child-directed interaction. Secondly, There were changes in the mother`s parenting attitude. It improved supportive expression and rational expression in the mother`s parenting attitude while diminishing high involvement and inconsequence by ther child. This shows that family play therapy for parent-children interaction is effective in promoting mother-child bonding and positive interaction is effective in changing the mother`s parenting attitude.

      • KCI등재

        만 5세 남녀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와 부모의 언어통제유형간 관계

        문혜련,엄정애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9 교육과학연구 Vol.4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와 부모의 언어통제유형이 어떠하며, 특히 유아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 유아의 성별에 따라 두 변인의 관계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부모 160쌍과 그들의 자녀 160명이었으며, 연구도구는 교사가 평정하는 상호작용적 또래놀이 척도와 설문지를 통한 부모의 자기보고 형식으로 이루어진 언어통제유형 측정도구가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 양상에서 놀이 상호작용이 가장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성별에 따른 차이는 놀이 상호작용과 놀이 방해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2)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지위적 통제를 가장 많이사용하고 명령적 통제를 가장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부모간 평균 비교결과 어머니가 아버지에 비해 인성적 통제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성별에 따른 차이는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3) 어머니가 명령적 언어통제유형을 사용하는 것과 남아의 놀이 상호작용, 어머니가 지위적 언어통제유형을 사용하는 것과 여아의 놀이 상호작용에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러나 아버지가 사용하는 언어통제유형과 자녀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전체적인 놀이상황에서의 유아들의 행동과 부모의 언어통제유형간 관계를 살펴볼 수 있었고, 특히 유아와 함께 시간을 많이 보내는 성인의 영향력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interactive peer play of male and female children, and parents’ verbal control style. 160 children and their parents were selected as subjects in this study. The verbal control style was confirmed by analyzing the parents' questionnaires developed by Do (1997). The interactive peer play was measured by using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The obtained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Play interaction was most frequently shown among the interactive peer play, and the play interaction and the play disrupti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gender dependent; 2) Mothers and fathers have mostly used position-oriented verbal control and have used imperative verbal control least. Comparison of verbal control style of mothers and father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son-oriented verbal control, bu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and 3) Nega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mothers’ imperative verbal control and male children's play interaction. Similar results were found between mothers’ position-oriented verbal control and female children's play interaction. But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fathers’ verbal control and children's interactive peer play.

      • KCI등재

        아버지의 놀이성이 아버지-유아 놀이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모역할신념의 조절효과

        신소은,김지현 가정과삶의질학회 2024 가정과삶의질연구 Vol.42 No.1

        본 연구는 유아 자녀를 둔 아버지의 놀이상호작용이 가지는 중요성에 주목하고, 아버지-유아 놀이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살펴보는데 영향이 있다. 이를 위해 유아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아버지들을 대상으로 아버지-유아 놀이상호작용, 아버지의 놀이성과 아버지의 부모역할신념의 관계를 파악하고, 아버지의 놀이성과 아버지-유아놀이상호작용 간의 관계를 부모역할신념이 조절하는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경기에 위치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3, 4, 5세 유아 자녀를 둔 아버지 467명이다. 연구대상자는 모두 연구자가 임의표집하여 모집한 후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아버지-유아 놀이상호작용과 관련성이 있는 변인 및측정을 위하여 아버지-유아 놀이상호작용, 아버지의 놀이성, 부모역할신념 도구를 선정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변인간의관계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아버지의 놀이성과 아버지-유아 놀이상호작용의 관계에 대한부모역할신념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Hayes(2013)가 제안한 조절효과 모형(model 1)을 실시하였다. Aiken et al.(1991)가제안한 방법에 따라 부모역할신념의 평균값과 ±1 표준편차값을 기준으로 3개의 집단으로 구분하여 단순기울기를 분석하여 보다구체적으로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상관관계 분석과 회귀분석 시에는 가정의 소득수준과 맞벌이 여부를 통제하였다. 첫째, 유아자녀를 둔 아버지의 놀이성은 아버지-유아 놀이상호작용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아버지의 놀이성과 아버지-유아 놀이상호작용의 관계에서 부모역할신념은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놀이성이 낮은 아버지의 경우에도 부모역할신념이 높으면 놀이상호작용을빈번하게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놀이성 수준이 높은 아버지는 놀이상호작용 빈도가 높지만, 놀이성이 낮은 아버지도 부모역할신념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놀이성이 높은 아버지와 차이 없이 놀이상호작용을 빈번하게 하였다. 따라서 부모역할신념이 놀이성이 낮은아버지의 경우에도 자녀와의 놀이상호작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중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play interactions of fathers with childs and examined the variables that affect father-child play interactions. For this, this study looked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child play interaction, father’s playfulness, and father’s parental role beliefs for fathers raising childs, and then verified whether parental role beliefs control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playfulness and father-child play inter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67 fathers with children aged 3, 4, and 5 who are enrolled in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All study subjects were randomly sampled by the author and then a questionnaire survey of them was conducted. For variables and measurements related to father-child play interactions, such tools as father-child play interactions, father’s playfulness, and parental role beliefs were selected and measured. In order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In order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al role belief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playfulness and father-child play interaction, this study conducted the moderating effect model (model 1) proposed by Hayes (2013). And then, according to the method proposed by Aiken et al.,.(1991) the moderating effect was verified more specifically by analyzing the simple slope by dividing it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 median value and the ±1 standard deviation value of the parental role belief. In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income level of the family and whether or not they were double-income were controlled. First, the playfulness of fathers with child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evel of father-child play interaction.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playfulness and father-child play interaction, parental role beliefs showed a moderating effect. This result means that even in the case of father’s low playfulness, if the parental role belief is high, play interactions can be frequently carried out. Fathers with a high level of playfulness presented a high frequency of play interaction with child, but fathers with low playfulness also presented the same frequency of play interaction with child as fathers with a high level of playfulness when their level of parental role beliefs were high. Therefore, parental role beliefs can play a mediating role to facilitate play interaction with childs of fathers with low playfulness

      • KCI등재

        부모의 놀이신념과 유아의 자아탄력성,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최민자 ( Choi Min Ja ),김진경 ( Kim Jin Kyeong ) 한국아동권리학회 2022 아동과 권리 Vol.26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부모의 놀이신념과 유아의 자아탄력성,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강원도 S시, 경기도 P시, G시, 전라북도 J시, 충청남도 D시 지역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 3~5세 유아 305명과 그들의 부모 6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와 Person 상관분석, 동시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결과: 첫째,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유아의 자아탄력성,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유아의 놀이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반면 아버지의 놀이신념은 놀이성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부모의 놀이신념과 유아의 자아탄력성,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유아의 놀이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유아의 놀이성 전체에는 또래놀이 상호작용 중 놀이방해, 놀이단절, 아버지의 학습중심 놀이신념이 부적 영향을, 또래놀이 상호작용 중 긍정적 상호작용이 정적 영향을 미쳤다. 놀이성의 하위요인인 신체적 자발성에는 놀이방해, 놀이단절이 부적 영향을 긍정적 상호작용과 어머니의 놀이지지 놀이신념이 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사회적 자발성에는 놀이방해, 놀이단절이 부적 영향을, 긍정적 상호작용이 정적 영향을 미쳤다. 인지적 자발성에는 또래놀이 상호작용 중 놀이방해, 놀이단절, 아버지의 학습중심 놀이신념이 부적 영향을, 유아의 자아탄력성 중 주도성, 긍정적 상호작용이 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즐거움의 표현에는 놀이방해, 놀이단절이 부적 영향을, 자아탄력성 중 주도성, 자기통제, 긍정적 상호작용이 정적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유머감각에는 놀이방해, 놀이단절이 부적 영향을, 긍정적 상호작용이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부모의 놀이신념과, 유아의 자아탄력성,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유아의 놀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침을 모색함으로써, 유아의 놀이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방안 모색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parent’s play beliefs, child’s self-resilience, and peer-play interaction on young child’s playfulness. Method: This study targeted on 305 children from ages 3-5 years and 610 parents at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located in City S in Gangwon-do, City P and City G in Gyeonggi-do, City J in Jeollabuk-do, and City D in Chungcheongnam-do.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simultaneous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First, mother’s play beliefs, child’s self-resilience, and peer-play interac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child’s playfulness while father’s play beliefs did no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playfulness. Secondly, the parent’s play beliefs, child’s self-resilience, and peer-play interac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hild’s playfulness. In details, father’s learning-centered play beliefs, play disruption and, play discontinuity among peer-play interaction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child’s playfulness while the positive interaction among peer-play interac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hild’s playfulness. In addition, play disruption and play discontinuity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physical spontaneity, which is the sub-factor of playfulness, while the positive interaction and mother’s play support belief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hysical spontaneity. Moreover, play disruption and play discontinuity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social spontaneity while positive interac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ocial spontaneity. In case of cognitive spontaneity, father’s learning-centered play beliefs, play disruption and, play discontinuity among peer-play interaction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cognitive spontaneity while the initiative and positive interaction among child’s self-resilience had a positive influence. In addition, for the expression of pleasure, play disruption and play discontinuity had a negative influence while initiative, self-regulation, and positive interaction among the self-resilience had a positive influence. Lastly, play disruption and play discontinuity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sense of humor while the positive interac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ense of humor. Conclusion: This study figured out the effects of parent’s play beliefs, child’s self-resilience, and peer-play interaction on young child’s playfulness and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the primary data for finding various measures for enhancing the child’s playfulness.

      • 다수 자율주행용 센서 기반 멀티모달 딥러닝을 통한 레이더 고스트 표적 탐지

        이인균(Ingyun Lee),이현희(Hyunhee Lee),신동준(Dong-Joon Shin) 한국통신학회 2022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2

        본 논문은 레이더에서 고스트 표적(ghost target) 탐지를 위해 기존 레이더, 라이다를 이용하는 멀티모달 딥러닝(multimodal deep learning) transformer 모델을 발전시켜 레이더, 라이다, 카메라를 이용하는 새로운 멀티모달 딥러닝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된 딥러닝 모델에서 카메라, 레이더 및 라이다의 융합(fusion) 방법을 제안하고 제안된 딥러닝 모델이 기존 딥러닝 모델보다 향상된 성능을 보임을 확인한다.

      • KCI등재

        그림책 중심 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놀이성, 또래 상호작용과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제지원,정수진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The Effects of Picture Book-based Play Programon the Young Children’s Playfulness,Peer Interaction and Teacher-Child InteractionJiwon Jae & Sujin Jeong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icture book-based play program on the young children playfulness, peer interaction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in the mixed-age class. The subjects were 14 young children in the mixed- age class in S kindergarten located in N city. The experiments was done 17 week period using picture book-based play program.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paired sample t-test for the pre-and post using the SPSS 25.0 program. The picture book-based play program showed positive effects on the young children playfulness, peer interaction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Therefore, it suggests that the picture book-based play program is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for developing young children playfulness, peer interaction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Key Words: Picture Book-based Play Program, Young Children, Playfulness, Peer Interaction, Teacher-Child Interaction 그림책 중심 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놀이성, 또래 상호작용과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제 지 원*ㆍ정 수 진** 연구 목적: 본 연구는 그림책 중심 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놀이성, 또래 상호작용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연구대상은 N시에 소재한 S병설유치원 재원중인 혼합연령반 유아 14명이며, 실험처치는 그림책 중심 놀이 프로그램을 17주 동안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사전 및 사후 차이에 대한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그림책 중심 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놀이성, 또래 상호작용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결론 및 제언: 그림책 중심 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놀이성, 또래 상호작용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임을 시사한다. 핵심어: 그림책 중심 놀이 프로그램, 유아, 놀이성, 또래 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 □ 접수일: 2022년 9월 27일, 수정일: 2022년 10월 16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주저자, 상주초등학교 병설유치원 교사(First Author, Teacher, Sangju Elementary School, Email: jiwon.93@hanmail.net)** 교신저자, 경상국립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Gyeongsang National Univ., Email: sjinjeong@gnu.ac.kr)

      • KCI등재

        놀이에서 나타나는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영아 놀이 탐색

        유영옥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2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1 No.1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verbal interactions and infant's play at a child care center. The research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7 infants and 1 class teacher in J child care center located in K city. Gangwon Province. This study used ethnographic research methodology for analysis. which included observations of participants playing free selective activities in the morning, 2 or 3 times per week. From June 2010 to October 2010. a total number of 40 sessions were conducted.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verbal interactions and infant's play can be interpreted as follows: rhythmic verbal interaction accompanying action. which means “I want to continue playing”, verbal interaction accompanying concrete description and explanation. which means “I can play”, verbal interaction accompanying obvious and rigorous attitude. which means “I will play again”, verbal interaction accompanying question and asking. which means “I can play like this”, verbal interaction accompanying permission and praise. which means “I can play alone”, and verbal interaction accompanying direct showing. which means “Let's play together.” Therefore, teachers' direct verbal interactions with infants caused infants to understand and learn their play easily and recognize its value. Infants were given the opportunity to sustain and expand their play with a sense of confidence and accomplishment. 본 연구는 어린이집 영아반의 놀이에 나타나는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영아 놀이가 어떠한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강원도 K시의 J어린이집 영아 7명과 그 반의 담임교사 1명이었다.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2010년 6월부터 10월까지 총 40회 이루어졌는데, 주로 오전 자유선택활동의 놀이를 주 2~3회 참여 관찰하여 문화기술적인 연구방법에 의해 실행·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놀이에서 나타나는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영아 놀이는 행동을 수반한 운율적인 언어적 상호작용으로 계속 놀이 하고 싶어요, 구체적 묘사와 설명을 수반한 언어적 상호작용으로 나도 놀이 할 수 있어요, 분명하고 엄한 태도를 수반한 언어적 상호작용으로 다시 놀이 해 볼 거야, 질문과 발문을 수반한 언어적 상호작용으로 이렇게도 놀이 할 수 있어요, 인정과 칭찬을 수반한 언어적 상호작용으로 혼자서도 놀이 할 수 있어요, 직접 보여주기를 수반한 언어적 상호작용으로 우리 함께 놀이 하자 등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놀이에서의 직접적인 교사-영아간의 다양한 언어적 상호작용은 영아들에게 보다 쉽게 자신의 놀이를 이해하고, 놀이 행동을 배우며 인정받게 하여 놀이에 대한 자신감과 성취감을 갖게 함으로써 영아 놀이를 유지·지속하고 확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 KCI등재

        상호작용 가족놀이치료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선우현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013 놀이치료연구 Vol.17 No.1

        This study aimed to helping children with emotional and social problem through the family play therapy for parent-children interaction. Family members experienced comfort, a naturally physical contact, and pleasure & sympathy of being together and experienced the wait for demand and the positive self-expression. In the meantime, the emotional interac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came to be more active. Family play therapy for parent-children interaction were participate 11 families of child with emotional and social problem of peer group in 6 cours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rough MIM test and family Interaction before and after carrying out the family play therapy, the parent-child interaction was changed into the positive interaction. In conclusion, the family play therapy can be considered to be effective for positive influence upon parent-child interaction. These results have their significances in terms that can activate the parent-child family play therapy far more for many parent and their children. 가족 간의 상호작용은 아동의 정서적 및 사회적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부모와 자녀 간의 긍정적 상호작용은 아동이 또래와의 상호작용에서 보다 긍정적이고 사회적으로 수용되는 특성을 나타낸다고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부모와의 상호작용이 긍정적이지 못할 경우 아동은 사회적으로 부정적인 문제행동을 보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가족 간 상호작용의 어려움으로 인해 정서 및 사회적 문제행동을 갖고 있고 또래관계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내담아동과 그 가족을 위한 상호작용 가족놀이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가족놀이치료의 선행연구를 토대로 구조화된 신체놀이와 협동놀이 그리고 자녀의 욕구에 따른 자유놀이를 통합하여 상호작용 가족놀이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는 예비실험을 위한 1가족을 제외하고 총 11가족 간 상호작용의 촉진이 정서 및 또래관계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내담아동과 그 가족에게 나타난 상호작용 특성을 평가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상호작용 가족놀이치료를 통해 실험에 참여한 가족들은 첫째, 자녀의 욕구에 따른 정서적 상호작용에서 변화가 나타났으며, 둘째, 부모-자녀 간 긍정적 상호작용 방식에 변화가 있었다. 따라서 가족 간의 긍정적 상호작용은 가족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개방적 의사소통과 긍정적 시각으로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더 나아가 자녀들의 문제행동의 감소로 이어짐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놀이에 나타난 또래 간 놀이 상호작용 행동 및 반응 양상 탐구

        임민정 ( Lim Min Jung ),문소영 ( Mun So Yo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4 유아교육연구 Vol.44 No.4

        본 연구는 놀이에 나타난 또래 간 놀이 상호작용 행동 및 반응 양상을 탐구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2023년 5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여름 방학을 제외한 6개월간 G유치원 5세 우정반 24명을 대상으로 놀이를 비참여 관찰하였다. 놀이 상호작용 행동과 놀이 반응을 양적, 질적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놀이에 나타난 또래 간 놀이 상호작용의 양상을 살펴본 결과 놀이 상호작용행동은 설명, 제안, 지시 · 명령, 질문, 시범 범주가 높은 순위로 관찰되었고 대부분 또래에 의해 수용되었다. 또래 간 놀이 상호작용 경험의 의미를 분석한 결과 설명을 통해 함께 하는 놀이 이해시키기, 질문을 통해 놀이를 구체화 시키고 문제 해결하기, 생각 표현을 통해 차이를 조율하고 놀이 변형하기로 분석되었다. 놀이 상호작용 행동에 내재한 의미로는 공감으로 놀이 지속하기, 리더로서 놀이 이끌기, 놀이에 함께 하고 싶은 마음 표현하기와 거부하기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놀이 속 상호작용자의 개념을 교사가 아닌 또래로 바라보며 탐색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유아의 관점으로 경험한 놀이 속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교사의 놀이 상호작용 방향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peer play interaction behaviors and response patterns in children’s play. Non-participant observations of play were conducted involving 24 five-year-old children in the “Friendship” class at G Kindergarten from May 1, 2023, to November 30, 2023, excluding the summer vacation period.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were performed on the observed play interaction behaviors and responses. The results revealed that most frequent the play interaction behaviors were explanation, suggestion, command/ordering, questioning, and modeling, with most of these behaviors being accepted by peers. Analysis of the meaning of peer play interaction experiences indicated that explanation was used to help peers understand and participate in the play, questioning was employed to clarify and resolve issues within the play, and expression of thoughts was utilized to negotiate differences and modify the play. The inherent meanings of play interaction behaviors included sustaining play through empathy, guiding and directing the play as a leader, and expressing the desire to participate in the play as well as the act of rejecting participa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s the concept of play interaction agents not as teachers, but as peers. The findings provide foundational data that can be used to inform teachers about the direction of their own play interactions, based on the children’s perspectives and experiences.

      • KCI등재

        아버지의 부모역할신념이 아버지-유아 놀이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부모자녀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신소은,김지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4

        Objectives This study is intended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Child Play Interaction, Fathers’ Parental Role Belief and Parent-Child Relationship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athers' parental role belief on father-child play intera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child relationship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parental role belief and father-child play interaction.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467 father of 3, 4 and 5 years old children attending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To check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items, cronbach's α was calculated, and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Nex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roposed by Baron & Kenney(1986)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father's belief in father's role on father-child play interaction. Results First, father’s parental role belief had biggest effect on father-child play interaction, and it was followed by parent-child relationships in order. Second, parent-child relationships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father’s parental role belief on father-child play interaction. This means that fathers need to recognize their parent-child relationship more positively as well as admit their parental role & beliefs more actively in order to have more frequent play interactions with their children. Conclusions In order for fathers to have active play interactions with their children, it is necessary to actively recognize fathers' beliefs in parental roles. Active recognition of fathers' parental role belief can increase play interaction through mediating effect path in which fathers positively perceive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목적 본 연구는 아버지-유아 놀이상호작용과 부모역할신념, 부모자녀관계의 관계를 알아보고, 아버지의 부모역할신념과 아버지유아 놀이상호작용의 관계에서 부모자녀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아버지의 부모역할신념이 아버지-유아 놀이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 경기 소재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3, 4, 5세 자녀를 둔 아버지 467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질문지 문항에 대한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고, 변인 간의 상관관계 및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편상관분석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아버지의 부모역할신념이 아버지-유아 놀이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자녀관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3단계 중다회귀분석을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아버지-유아 놀이상호작용은 아버지의 부모역할신념, 부모자녀관계와 정적 상관이 있으며 아버지의 부모역할신념, 부모자녀관계 순으로 영향력을 가진다. 둘째, 아버지의 부모역할신념과 아버지-유아 놀이상호작용의 관계에서 부모자녀관계는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아버지가 유아와의 놀이상호작용을 활발하게 하기 위해서는 아버지의 부모역할신념 뿐만 아니라 그 신념을 바탕으로 유아와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인식하여 부모자녀관계가 향상될 때 유아와의 놀이상호작용이 활성화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 유아기 아버지의 자녀와의 놀이상호작용이 활발해지기 위해서는 아버지가 부모역할을 능동적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부모역할신념의 인식은 아버지가 유아자녀와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매개 경로를 통해 놀이상호작용의 향상을 가져올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