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90년대 주류 소설에서 민주화 운동과 노동의 의미 - 최윤의 「회색 눈사람」과 백민석의 「내가 사랑한 캔디」를 통한 비운동권 소설과 노동 문학의 관계에 대한 재고

        양가영 민족어문학회 2023 어문논집 Vol.- No.98

        본 논의는 90년대 주류 소설에 대한 논의가 사회적 담론과 분리되거나 특히 노동 문학과는 양분되어 분석된 관습으로 인해, 노동 운동과 시민 사회 그리고 문학이 중심이 되는 이를 둘러싼 문화에 대한 이해가 제한되고 있다고 보고 이를 해명하고자 하였다. 최윤과 백민석의 소설에서 인물의 정동과 서사의 관계를 통해 생산 과정이 인물의 삶에 미치는 유물론적 상황을 분석하고 민주화 운동이 서사에서 갖는 의미를 밝힘으로써 1990년대 소설에서 민주화 운동과 노동의 의미를 살피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비운동권 소설과 노동 소설의 관계를 재고하여 1990년대 소설사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최윤의 「회색 눈사람」에서는 극빈층 무산 계급의 모호하지만 강렬한 에로스 정동이 서사를 이끌어 가고 있음을 밝히고, 극빈층 무산 계급 노동자의 유물론적 상황이 노동에 대한 집착에 가까운 애착으로 드러나며, 동시에 민주화 운동이 전면에 배치되는 서사를 통해 지식인 주류의 모순이 드러남을 밝혔다. 또한, 그 강렬함에도 불구하고 강하원의 노동에 대한 에로스 정동과 민주화 운동에 대한 에로스 정동은 노동의 과정과 민주화 운동에서 이중으로 소외됨을 보였다. 이러한 이중의 소외는 군부에 저항하는 민주화 운동의 시민 사회의 자유에 대한 지향과 모순되며 안의 모순을 보여준다. 민주화 운동 주도의 지식인으로서의 안의 이러한 모순은 민주화 운동이 배태한 민주화 운동과 노동 운동의 간극으로 볼 수 있음을 밝혔다. 백민석의 「내가 사랑한 캔디」에서는 프레카리아트 노동자의 절제되고 물질적인 동성애 정동이 서사를 이끌어가고 있음을 밝히고, 주변부 노동의 유물론적 상황을 보여주는 생산과정과 그에 따른 주변부 노동의 정동이 드러나고 있으며, 동시에 민주화 운동 출몰 서사를 통해 이성애 주류의 폭력성을 폭로함을 밝혔다. 주변부 노동에 대한 “나”의 목도는 주변부 노동자들의 생산 과정의 불합리와 폭력성을 보여주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대의 노동 운동에서 소외되고 있음을 살폈다. 이 과정에서 동성애 정동은 노동 운동과 민주화 운동에서 이중의 소외를 보여주며, 이것은 노동 운동의 모순과 민주화 운동과 노동 운동 사이의 균열을 보여주었다. 최윤의 「회색 눈사람」과 백민석의 「내가 사랑한 캔디」는 경제적으로 그리고 사회적으로 다른 집단에 속하는 노동자에 주목한다. 그러나 노동자의 정동을 유물론적으로 주목하는 서사를 보여주며 그러한 서사를 통해 민주화 운동과 노동 운동의 균열을 보여준다는 공통점은 유의미하다. 또한, 전자는 정동의 모호함을 특성으로 함으로써 후자는 정동에 대한 물질적 전달을 특성으로 함으로써 이념에 따른 이해에 저항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념으로 분석되지 않았던 두 소설에서, 민주화 운동과 노동의 주요한 담론이 이념에 저항하면서도 서사의 중심에 놓임 살폈다. 이는 노동 문학과 주류 문학에 대한 연구가 경계를 두고 이루어졌던 90년대 문학에 대한 재고의 필요성을 촉구한다. 주류 문학과 노동 문학이 서로 분리되어 진행된 논의는 한계를 가지며 서로의 경계를 흐트리고 간섭하는 작품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의의를 갖는다. 나아가서는 본 논의는 노동 문학과 주류 문학의 경계에서 일어나는 간섭 현상에 대한 연구를 시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마련함으로써, 문학 ...

      • KCI등재후보

        물질문화 시대의 문학노동과 문학노동자론

        김승환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09 한국문화연구 Vol.16 No.-

        문학이란 무엇이며 작가란 누구인가라는 물음은 수천 년 동안 반복적으로 제기되는 근원적인 문제다. 이 글은 문학노동과 문학노동자라는 의제가 성립하는가를 묻는 것이다. 20세기 자본주의 물질문화가 완성되면서 문학환경에 심대한 변화가 생겼다. 작가는 사용가치를 생산하는 고상한 존재라는 전통적인 인식 또한 변할 수밖에 없다. 여기서 자본주의적 생산양식에 편입되어야 하는 문학노동자인 작가와 작가의 노동이 생산한 결과가 문학작품이라는 전제가 자연스럽게 대두한다. 이런 이유 때문에 ‘작가는 노동자다’ 그리고 ‘작품은 노동의 결과로 생산된 상품이다’라는 의제가 성립한다. 작가가 의식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결과적으로 보면 작가는 상품을 생산하는 것이고 그 상품은 시장에서 유통되어야 한다. 그런 점에서 문학의 교환가치를 부정할 수 없는 동시에 작가의 문학노동이 인정된다. 따라서 이 교환가치를 생산하는 주체를 문학노동자라고 하고, 그 생산과 과정을 문학노동이라고 하는 것은 무리한 관점이 아니다. 이리하여 작가는 작품창조자, 상품생산자, 작품창조자겸 상품생산자라는 세 가지 정체성을 가진 주체가 된다. 현대 사회의 작가는 문학 작품/활동의 결과를 인정받는 방법인 사용가치(효용가치) 지향의 작가와 문학 작품/활동의 과정을 인정받는 방법인 교환가치(노동가치) 지향의 작가로 구분된다. 작가가 노동가치를 인정받지 못한다면 자본주의 사회에서 작가의 존재는 부정될 수도 있다. 일부 시장에서 성공한 작가들의 존재만으로 문학은 효용가치를 추구하는 고상한 창조행위라고 주장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고상한 문인(文人)으로는 살아갈 수 없는 시대에 문학노동과 문학노동자의 개념을 생각해 보는 것은, 21세기 예술가들 누구나가 고민해야 할 중요한 의제다. Can a writer be a laborer or not? Can literary work be a commodity or not? In the pre modern age, being a writer was a noble existence and literary work was not seen as a commodity. As well, writers disagreed with being seen in the status of laborer, but agreed with the status of the nobility. That is, until the modern era. As time passed, and societies developed into dominant capitalistic systems, the stance of the writer has gradually evolved into merely the producer of artifacts. The traditional notion of the writer and their literary work has been changed in the capitalist era. It is inevitable that a writer must now sell his own work within the capitalistic apparatus, the market. A writer’s work, his writing, must now be found to have value, and then be exchanged for that value in the form of money. When a writer writes with his or her imagination, he/she does not have any idea of money but rather it is his/her real noble effort to make marvelous literary work. But just at the moment when the writer finishes his/her writing, the work automatically changes into a commodity. He/she might sell his/her scripts to the magazine or publishing company where they evaluate these precious scripts based on the possibility of making money in the marketplace. The writer’s original idea, his/her marvelous literary work, suddenly disappears in the shadows of the powerful capitalist system that seeks to find monetary value in everything. This leads the writer into a dilemma and a tragedy. The gravity of capitalism strikes at the traditional idea of a writer and interpolates the writer to be a commodity producer. Even though he is trying to reject this interpolation, he should not but obey this oppressive order. He automatically becomes a literature labourer and his work suddenly becomes a commodity. It is an existent condition of the material culture in the age of capitalism. For the writer, the labour of writing has both sides, a delightful devotion for literature, and a sorrowful hardship for the market. It is not unreasonable to now consider a writer as a labourer and his/her literary work as being a commodity. If we agree with this conclusion, we can go further. Who will be a literature capitalist? And is there any surplus value in the literary society? These are the next questions to be answered.

      • KCI등재

        1990년대 ‘노동자 문학’의 재생산 연구 : 전태일문학상 수상작품집의 생활글을 중심으로

        송상덕 ( Song Sang-duck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21 민족문학사연구 Vol.75 No.-

        본고는 1990년대 문학장(文學場)이 재편되는 과정에서 현실이라는 외부의 조건을 배제하는 방식으로 등장한 ‘문학주의’와 달리 삶에 대한 체험이 강조되는 ‘노동자 문학’을 살펴봄으로써 90년대 ‘문학’이 어떻게 ‘현실’과 연결되는 양상을 1988년부터 1998년까지 전태일문학상 수상작품집의 생활글을 통해 통시적으로 살펴보고자 했다. 물론 ‘노동자 문학’은 체험을 강조하지만 텍스트에 나타난 ‘체험’ 역시 하나의 문학적 재료로서 기능한다. 그렇기 때문에 생산된 문학 텍스트는 여전히 이데올로기적 기획에 대부분 포섭되어 있으면서 미끄러지는 결여의 지점이 나타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1980년대 후반 투쟁기 · 보고문학 등의 글에서는 노동자의 계급성이 강조됨으로써 노동자와 지식인, 배움과 배우지 못함의 위계를 전복시키고, 노동자 본인의 욕망마저 은폐시키는 방식으로 작동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개인의 생활이 주된 재료로 묘사된 ‘생활글’에서는 노동자와 지식인, 배움과 배우지 못함의 위계를 전복시킴으로써 본 인의 욕망마저 은폐시키는 방식으로 작동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국 ‘인간해방’, ‘노동해방’이라는 이데올로기적 기획에 노동자의 욕망이 은폐됨으로써 끝없이 ‘인간해방’ 이라는 기획에 미끄러지는 것이다. 또한 노동 운동의 성과를 가늠할 표지가 되었던 87년이라는 지나간 미래로 강렬히 돌아가려는 강박이 텍스트의 결말에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표현적으로는 희망찬 미래를 외치지만 오히려 구조 상 과거로 끝없이 반복적으로 회귀하는 양상을 보여줌으로써 ‘미래’를 보류하고 지연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구호나 개념으로서의 ‘인간해방’, ‘노동해방’이라는 이데올로기적 기획이 90년대 중반 이후에 서서히 변화되는 지점도 확인하였다. 1990년대 중반에 다시 정립된 ‘생활글’은 일하는 사람의 삶과 밀접히 관련을 이루면서 그 글쓰기 방식은 실제 사용하는 말을 글로 옮기는 작업이었다. 이는 누구나 쉽게 쓰는 글, 전문 문인의 글을 거부하고 공통체적 소통을 강조함으로써 ‘문단 문학’과의 차별화되는 지점이기도 하다. 박영숙의 「운명이 아무리 괴롭힐지라도」, 안건모의 「시내버스를 정년까지」 등을 통해 살펴볼 수 있는 것은 ‘인간해방’, ‘노동해방’이라는 이데올로기적 기획 자체가 텍스트에 드러난 화자의 실제 체험과 불일치하며, 이 불일치 속에서 ‘인간해방’, ‘노동해방’이라는 기획이 변형되고 확장된다는 사실이다. 특히 화자의 체험은 이데올로기적 기획에 앞서 목적 없는 ‘함께-있음’을 지향함으로써 ‘해방’이라는 이데올로기적 기획에 포섭되지 않는 새로운 공동체를 사유할 수 있게 하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바로 이점에서 90년대 ‘노동자 문학’은 주류 문단의 문학장 바깥에서 ‘문학’을 새롭게 확장시킬 수 있다는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analyzes how ‘literature’ in the 1990s is connected with ‘reality’ by looking at ‘Workers’ literature’. In the 1990s, process of reorganizing the literary field, ‘Literaryism’ emerged as a way to exclude the external condition of reality. On the contrary, I tried to examine the texts of the ‘Jeon Tae-il’ literature Award Collection, which emphasizes the experience of life. ‘Workers’ literature’ emphasizes experience, but the ‘experience shown in the text also functions as a literary material.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produced literary texts are still contained in ideological projects and these texts show a point of lack of sliding. However,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ideological projects of “human liberation” and “labor liberation” were transformed in the late 1990s. It can be seen that the ideological project itself is inconsistent with the actual experience of the speaker of the text, and within this in consistency, the projects called ‘human liberation’ and ‘labor liberation’ are transformed and expanded. Through these texts, it presents the possibility of thinking about a new community that is not covered by ideological projects. From this point of view, ‘Workers’ literature’ in the 1990s has the significance that ‘literature’ can be newly expanded outside of the mainstream literature field.

      • KCI등재

        『노동해방문학』의 성격과 ‘노동해방문학실’의 문예조직운동 (1) 보고문학

        허요한 구보학회 2023 구보학보 Vol.- No.35

        This study focused on the magazine 『Nodonghaebangmunhak』 published in the late 1980s and early 1990s. The magazine was created by ‘Sanomang’, a South Korean revolutionary movement-oriented organization, and its collaborators. This paper analyzes the contents of magazines. Reportage(documentary literature) was one of the important creative practices of the ‘Nodonghaebangmunhaksil’, a collective literary creation movement organization based on the ideology of labor liberation. Reportage, in ‘Nodonghaebangmunhaksil’ is a tactic of the socialist movement, and it is a literary practice that aims to lead literature (writers) to join the struggle, inform the content of the struggle, and even shape the direction of the struggle’s development and instigate it. In this article, I tried to summarize the concept and category of Lefortage in 『Nodonghaebangmunhak』. Based on this result, subsequent work analysis can be expected. 이 글은 1980년대 말 1990년대 초 발간된 잡지 『노동해방문학』을 다루었다. 『노동해방문학』은 한국의 혁명운동단체를 표방한 사노맹과 잡지 운동에 동참한 조력자들에 의해 만들어졌다. 본고에서는 잡지의 선전・선동적 성격을 분석하고, 보고문학 개념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추적했다. 보고문학은 노동해방의 이념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집단적 문예창작운동 조직 ‘노동해방문학실’의 중요한 창작 실천 중의 하나였다. 보고문학은 사회주의 운동의 하나의 전술로서 문학(인)이 투쟁전선에 동참하여 투쟁의 내용을 선전하고, 투쟁과정에서 얻은 사상의 구체성과 과학성을 기반으로 투쟁의 발전방향까지 형상화하여 현장 지도에까지 이르는 것을 목표로 하는 문예실천이다. 이 글에서는 『노동해방문학』에서 나타난 보고문학의 개념과 범주를 정리하고자 했다. ‘노동해방문학실’이 실험하고자 했던 보고문학은, 작업 결과물로 한정한다면 1990년 2월 이후의 한정적 르포르타주와 기획단계의 메모들을 통해 그 성격을 추측해 볼 수 있었다. 그러나 범위를 넓혀서 『노동해방문학』의 전체 기획, 즉 투쟁의 현장을 선전하고 선동할 수 있는 글쓰기 실천이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잡지의 창간호에서 종간까지 다수의 보고문학이 제작되어 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작품분석을 통해 보고문학의 구체적 실천양상에서 드러나는 특징을 정리하고, 이를 이론화하는 작업을 기대할 수 있다.

      • KCI등재

        노동자 생활글의 노동문학사적 맥락

        김성환 한국문학회 2020 韓國文學論叢 Vol.85 No.-

        The life-writings of working class are a type of the literature of the working class practiced in the category of the labor movement in the 1980s. The life-writings inherited the laborer's essays in the 1970s, and it was published in a collection of life-writings in the 1980s and played a social role. Although the life-writings, which is part of laborer's literature, was noted as a form that embodies the self-reliance and classiness of working class, and was given the meaning of resistance to the elite-centered literary discourse, discussions on its literary nature were not carried out in earnest in connection with the labor novels. Since the 1990s, the space for the life-writings has been reduced and discussions on literary nature seem to have stopped. At this time, the life-writings can be isolated as a form of writing movement expressed in a short period of 10 years. In this article, looking at the significance of the life-writings of working class, not the existence of it alone, but the significance of the whole space of the literature of the working class and how it expanded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Although the life-writings are bound by the self-regulation of ’simple writing’, the writing of working class is carried out in various ways by the direction of the subjectivity and class of laborer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it can lead to refined writing, and it can be connected to the true novels. This is possible because there was awareness of writing and willingness to negotiate actively with literary forms. As a result, the life-writings pioneered the horizon of labor literature and became the source of the analysis of the literacy of working class through the life-long history of the academic world. With the weakening of the labor movement in the 1990s, the writing of working class also unfolded in a different way, and the life-writings section of the Jeon Tae-il Literary Award(전태일 문학상) shows the aspect well. It can be seen that Jeon Tae-il's writings in literature have already been developed in competition with the mass media, and have spread to formalized and popular writing under the influence of the media. As such, the writings of the working class were a form of writing that could be extended in various directions due to the unformatted formality. The life-writings are considered to function as an active literary style experimenting with new writing mode within the category of labor literature. 노동자 생활글은 1980년대 노동운동의 범주 속에서 실천된 노동자 글쓰기의 한 유형이다. 생활글은 1970년대 노동자 수기의 성과를 이어받은 것으로, 1980년대 생활글 모음집으로 묶여 나오며 사회적 역할을 담당했다. 노동자 생활글은 노동자의 주체성과 계급성을 형상화하는 노동자 문학의 중요한 양식이었으며, 엘리트 중심의 문학담론에 대한 저항이라는 의미도 부여받았다. 그러나 지금까지 연구의 관심은 본격 노동소설에 맞춰져 노동자 생활글의 문학성에 관한 논의는 본격적으로 진행되지 않았다. 1990년대 이후 생활글의 공간은 축소되고 문학성의 논의도 중단된 듯이 보인다. 이때 생활글은 10여 년의 짧은 시기에 표출된 글쓰기 운동의 한 양태로 고립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노동자 생활글이 단독적으로 존재한 것이 아니라 노동자 문학의 전체 공간에 어떤 의의를 가지고 있으며 상황에 따라 어떻게 확장해갔는지를 살펴보았다. 생활글은 소박한 글쓰기라는 자기규정에 묶여 있지만, 노동자 주체성과 계급성이라는 지향점에 따라 노동문학으로서 다양한 실천양상으로 전개된다. 즉 노동자 생활글은 매체의 특성에 따라 세련된 글쓰기로 이어지기도 하며, 본격적인 소설 양식과 접속하기도 한다. 이것이 가능한 데에는 글쓰기에 대한 자각과 문학 양식과의 적극적인 교섭 의지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로 인해 생활글은 노동문학의 지평을 개척할 수 있었으며, 학술장에서 생애사 서술을 통해 노동자 리터러시(literacy)에 대한 분석을 가능케 한 근원이 되었다. 1990년대 노동운동이 약화되면서 노동자 생활글도 다른 양상으로 전개되는데, 전태일 문학상의 생활글 부문이 그 양상을 잘 보여준다. 전태일 문학상의 생활글은 이미 대중매체와의 경합 속에서 전개되었으며, 매체의 영향력 속에서 정형화되고 대중적인 글쓰기로 확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노동자 생활글은 글쓰기의 한 양식으로 비정형의 양식성으로 인해 다양한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었다. 생활글은 노동문학의 범주 속에서 새로운 글쓰기를 실험하는 능동적인 문예 양식으로 기능할 것으로 평가된다.

      • KCI등재

        노동소설의 운동성과 소설교육

        선주원 청람어문교육학회 2004 청람어문교육 Vol.28 No.-

        본고는 1930년대와 1980년대의 문학 운동에 대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1930년대와 1980년대 문학 운동에 나타난 문학성을 노동소설을 통해 살펴보았다. 본고가 이것을 논의한 것은 지금까지의 연구들에서 비교적 간과되어 왔던 문학성을 강조하고 싶었기 때문이었다. 본고는 이러한 연구 의도로 인해 문학 텍스트가 갖는 문학성과 운동성 중에서 문학성에 좀더 초점을 두어 ‘운동으로서의 문학’이 갖는 의의를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이북명의 소설들, 한설야의「과도기」와 「황혼」, 방현석, 정화진의 노동소설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이를 통해 이 소설들이 ‘운동으로서의 문학’을 어떻게 구현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80년대의 노동소설을 ‘운동으로서의 문학’으로 규정하고, 이러한 문학이 학교 현장에서 어떻게 가르쳐질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논의의 결과 학습자들이 소설 텍스트의 내용에 대한 이해와 평가행위를 통해, 텍스트의 내용을 자기화하고 보다 나은 삶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사회의 변혁 과정을 형상화하고 선도했던 노동 소설들에 대한 학습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텍스트들에 대한학습을 통해 학습자들은 보다 다양한 삶의 영역들을 이해하는 가운 데 삶의 경험을 확장함으로써, 자신과 세계에 대한 인식을 보다 확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운동으로서의 문학은 소설교육 대상으로서의 의의를 충분히 갖는다고 할 수 있다. This thesis examined literary nature in 1930's and 1980's period through labor-novel, basing on research outcome about literary movement of 1930's and 1980's period. This thesis has this research purpose, because does emphasize literary nature has been overlook in former times research outcome. This thesis examined significance of literature as a movement, focusing literary nature of literary text, because of basic proposition literature as a movement is still valid in our period. For this, this thesis focuses labor-novel produced in KAPF period and 1980's period. Especially, this thesis did prior treat Lee Buk Myoung's novels, Han Seol Ya's 「A transitional stage」,「Twilight」,Bang Hyeun Seok's, Jung Hwa Jin's labor-novels, examined how these novels embody 'literature as a movement' through this, and examined how this literature can be teach in school spot. Students must learn novel text representing and leading process of social reform, for self-fulfillment of text-content and planning of better life through action of understanding and valuing about content of novel text. Through learning about these texts, students expand life's experience in understanding fields of more various life through learning about these texts, and more expand appreciation about self and world. Therefore, literature as a movement has enough significance as an object of teaching of novel.

      • KCI등재

        한국에서의 ‘프롤레타리아의 밤’ : 1980-90년대 노동자 글쓰기를 중심으로

        장성규(Jang, sungkyu) 한국현대문학회 2021 한국현대문학연구 Vol.- No.63

        이 글은 1980년대 후반부터 90년대까지 지속된 노동자 문학회의 활동을 살펴보고, 그 고유한 운동의 메커니즘과 ‘글’을 둘러싼 ‘또 다른’ 문화를 복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당대 노동자 문학과 글쓰기에 대한 기존 연구는 그 양적 · 질적 성과에도 불구하고 현재 시점에서는 다소간의 한계를 지니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노동자 글쓰기를 투명하고 명징한 방식으로 ‘해석’하려는 경향은, 종종 대상에 대한 동일시적 환원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그 한계가 크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이 글은 랑시에르의 접근 방식, 즉 노동자 글쓰기의 아카이브에 숨겨진 기록들을 복권시키고자 했다. 그 결과 당대 노동자 글쓰기는 시인과 노동자라는 ‘분할’을 넘어, 문학을 ‘재분할’하고 위계를 전도시키려 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이들은 노동력 재생산을 위해 ‘배치’된 ‘밤’을 해체하고, 문학의 민주주의를 구현하기 위한 시간으로서의 ‘밤’을 구축했다. 그 결과의미와 감각의 ‘또 다른’ 공동체가 노동자문학회라는 형식으로 출현했으며, 이를 통해 노동자들은 스스로를 문학사의 자리에 기입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노동자 글쓰기의 성취는 기존의 문학 개념으로 해명되지 않는 문학과 정치, 분할과 재분할, 투명한 말과 침묵하는 말 사이의 역동적인 운동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activities of the Workers’ Literature Society, which lasted from the late 1980s to the 90s, and to restore its unique mechanism of movement and another culture surrounding the writing. Existing researches are believed to have some limitations at this point despite it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performance. In particular, the tendency to interpret workers’ writing in a transparent and clear way is limited in that it often leads to a identification return to the target. To overcome this limitation, the article sought to reinstate the records hidden in the archives of Rancière’s approach, namely worker writing.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workers writing tried to repartage literature and evangelize hierarchy beyond the partage of poets and workers. Furthermore, they dismantled the night deployed to reproduction of labor and built a night as a time to implement democracy in literature. As a result, another community of meaning and sense emerged in the form of the Workers" Literature Society, which allowed workers to fill themselves in the position of literary history. This achievement of worker writing is significant in that it shows a dynamic movement between literature and politics, partage and repartage, transparent words and silent words, which are not explained by existing literary concepts.

      • KCI등재

        노동문학의 역사적 변화와 문학교육

        김성진 ( Kim Sung-jin ),김미혜 ( Kim Mi-hye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6 문학교육학 Vol.0 No.53

        이 논문에서는 1970년대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노동자의 삶을 다룬 대표 작품들을 재현, 창작 주체, 새로운 장르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1970년대의 민중문학을 대표하는 작가는 황석영과 신경림이다. 황석영의 「객지」와 신경림의 『농무』는 리얼리즘의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당시 노동자와 농민의 현실을 예술적으로 재현했다. 그러나 이 시기 민중은 전문적인 작가가 재현하는 소재나 대상에 머무르고 있다. 그들은 자신의 목소리로 직접 말하는 창작의 주 체가 되지 못하는 것이다. 1970년대 후반 열악한 노동 환경을 고발하고 노동조합 활동을 통해 얻게 된 노동자로서의 자부심을 표현한 유동우의 에세이 『어느 돌멩이의 외침』은 당시 독자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노동자 수기 장르는 1980년대 초 석정남의 『불타는 눈물』, 송효순의 『서울로 가는 길』, 장남수의 『빼앗긴 일터』의 발표로 이어지면서 민중 문학의 대표 장르가 된다. 이 과정에서 민중이 직접 작품을 쓰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 `민중문학론`이 등장한다. 1984년 박노해의 시집 『노동의 새벽』 출간 이후 다수의 노동자 시인이 등장한다. 이들의 시는 문학의 범위를 넘어서 정치적 선전 선동의 도구로 변화하기도 한다. 잡지 『노동해방문학』은 이 경향을 잘 보여주는데 이들은 직업적 혁명가로서의 문학인의 역할을 강조 했다. 『노동해방문학』 소속 비평가들은 누가 쓰느냐가 아니라 작품에 `당파성`을 담고 있는가가 더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이 주장은 전문가가 쓰고 작품이 대중에게 전달된다는 근대 문학의 소통 구조를 벗어나지 못하는 한계를 보여준다. 그러나 창작 주체의 문제는 문학과 대중의 새로운 관계를 모색하기 위한 문제의식을 담고 있다. 대중이 직접 생산하고 전문가의 매개 없이 자신의 삶을 강화하는 새로운 문학적 소통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의 민중문학은 세 가지 차원으로 진행되고 있다. 첫째는 사회적 이슈를 다루면서 문학의 사회적 효용을 강조하는 방식이다. 송경동의 시가 이를 대표 한다. 둘째는 아마추어 문학 창작 모임의 방식이다. 농촌의 할머니들이 쓴 시 들은 시의 치유 기능에 충실한 모습을 보여준다. 세 번째는 웹툰과 같은 새로 운 서사 장르를 활용하는 방식이다. 화이트컬러 비정규직 인턴사원이 주인공 인 『미생』과 대형마트에서 일하는 여성 노동자들을 다룬 『송곳』은 드라마로 만들어질 정도로 큰 인기를 얻었다. 노동소설의 역할이 축소되는 것과 대비되는 현상이다. 많은 학생들은 졸업 이후 노동자로 살아가게 된다. 학교의 문학교육이 노동문학을 다루지 않음으로써 그들의 문학에 대한 경험은 축소된다. 문학교육이 노동문학의 실제에 관한 교육적 실천을 본격적으로 시작해야 한다. This paper examines outstanding works dealing with laborers` life from the 1970s to the present day with focus on their representation, creative subjects, and possibility of new genre. It is Hwang Seok-yeong and Shin Gyeong-rim who stand for people`s literature in the 1970s. Hwang`s `Strange Land(「객지」) and Shin`s `farmer`s dance`(『농무』) artfully represent the reality of laborers and farmers. However, the people in 1970s remain as subject matters or objects that the professional writers represent. They cannot manage to be subjects of creation who speak directly in their voice. Yu Dong-u`s essay `A Stone`s Shout`(『어느 돌멩이의 외침』) gave a great shock to the readers in the 1970s as it charged inferior labor environments at that time and expressed his pride as a laborer, which he gained through union activities. The genre of laborers` memoirs is representative in people`s literature with the successive publication of works like Seok Jeong-nam`s `Burning Tears`(『불타는 눈물』), Song Hyo-sun`s `Road to Seoul`(『서울로 가는 길』), and Jang Nam-su`s `Deprived Workplaces`(『빼앗긴 일터』) in the early 1980s. Meanwhile, the `Thesis of People`s Literature` appeared which put focus on people writing their own literary works. Numerous laborer-poets have appeared since the publication of Park No-hae`s `Dawn of Labor`(『노동의 새벽』) in 1984. Their poems came beyond the realm of literature to turn out as a tool for political propaganda. The magazine `Literature for Labor Liberation`(『노동해방문학』) emphasized the role of literary persons as professional revolutionists. Critics affiliated with `Literature for Labor Liberation` claimed that what is important is not who writes but whether the `partisanship` is contained in works. This claim did not overcome the communicative structure of early modern literature in which a professional writes a work, which in turn is delivered to common people. The issue of the subject of creation, however, contains the problem of the exploration of a new relation between literature and common people. The current people`s literature is progressing in three ways. A first way is to emphasize the social efficacy of literature while dealing with social issues. Song Gyeong-dong`s poems represent that. A second way is of amateur literary creation groups. Old ladies from rural areas write poems to show a full therapeutic function of poetry. A third way is to use new narrative genres like Webtoon. `Still not living (『미생』), in which a white-collar nonregular intern is a main character, and `The Gimlet`(『송곳』), which deals with female laborers working for a great supermarket, enjoyed such great popularity that they were reproduced in TV shows. This is a phenomenon contrasting with labor novels being contracted in their roles. Many students live as laborers after their graduation. Their experience of literature reduces as school literary education does not touch the issue of labor literature. Literature education should take on full education of the reality of labor literature.

      • KCI등재

        『노동해방문학』과 노동 재현의 규율

        허민 상허학회 2018 상허학보 Vol.52 No.-

        Nodonghaebangmunhak was the ‘mediator’ that connected local-level labor movements and it was the journal that was published to become the ‘teacher’ who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the class consciousness of laborers. That is, it was the medium to resolve the organizational task and the literary task for the progress of class consciousness in terms of labor movement. The organizational task referr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guidance organization-vanguard party which comprehensively took control of the political strifes by laborers whereas the literary task meant establishing the Nodonghaebangmunhak theory based on the partisanship of the working class. It is obvious that the two tasks could not be easily combined. The discourse strategy of Nodonghaebangmunhak was generated from this point. In other words, Nodonghaebangmunhak aimed to secure a new example of laborer revolutionary vanguard at the symbolic level so as to accomplish the movement task of organizing the working class into one political power. This problem setting was possible only when the organizational alternative for the working class was shifted to the representation task of having to present the moral materialization which embodies the leadership of the working class. This meant that the literary representation issue of the leader symbolizing the leadership of the guidance organization was important. However, when Nodonghaebangmunhak was published, the expectation that laborers can progress to revolutionary vanguards was gradually being disappeared. The main agents of Nodonghaebangmunhak established the rules of labor representation in order to resolve the inevitable rifts which occurred while fixing the impossible tasks and difficulties. These rules resulted from the intention of distinguishing and putting together the intellectual and ideological heterogeneity either between intellectuals and laborers or inside the working class. Until its end, Nodonghaebangmunhak did experiments on the criticality of rebelliousness which can be implied by the literary representation strategy through the rules of labor representation. 『노동해방문학』은 지역 단위 노동운동을 연결하는 ‘중계자’이자, 노동자의 계급의식 발전에 기여하는 ‘교사’가 되는 것을 목표로 발간된 잡지이다. 즉 노동운동에 있어 조직적 과제와, 계급의식 발전을 위한 문학적 과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한 매체였다는 것이다. 조직적 과제는 노동자의 정치투쟁을 총체적으로 관장하는 지도기관․전위당 건설을 의미한다면, 문학적 과제란 노동자 계급의 당파성에 입각한 ‘노동해방문학론’을 확립하는 것을 뜻했다. 물론 조직적 과제와 문학적 과제는 쉽게 합치될 수 없었다. 『노동해방문학』의 담론 전략은 여기서 발생했다. 다시 말해 노동자 계급을 하나의 정치 세력으로 조직하기 위한 운동사적 과제를 완수하기 위해, 표상의 차원에서 노동자 전위의 새로운 전범을 확보하려 했다는 것이다. 이는 노동자 계급을 위한 조직적 대안이 그 지도성을 담지하는 인격적 구현자를 표상해야한다는 재현의 과제로 이행될 때 가능한 문제설정이기도 했다. 지도기관의 지도력을 표상하는 지도자의 문학적인 재현문제가 중요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노동해방문학』이 발간되던 때는 노동자가 전위로 발전할 수 있을 거라는 전망이 점차 소실되고 있던 시기이기도 했다. 『노동해방문학』의 주체들은 이 불가능한 과제․곤경을 봉합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한 여러 균열들을 해소하기 위해 노동 재현의 규율을 확립했다. 이 규율이란 지식인과 노동자의 사이, 혹은 노동자 계급 내부의 지적․사상적 비균질성을 식별하고 종합하려는 의도에서 비롯된 것이기도 했다. 『노동해방문학』은 문학적인 재현전략이 함의할 수 있는 정치성(불온성)의 임계를 노동재현의 규율을 통해 끝까지 실험하고 있었던 것이다.

      • KCI등재

        서재에서 작업장으로. 거리로 나온 정치와 문학 - 독일의 «작업장 노동문학회»의 예

        조규희 한국독일어문학회 2022 독일어문학 Vol.97 No.-

        Das Hauptanliegen dieser Arbeit besteht darin, die literarische Praxis des Werkkreises Literatur der Arbeitswelt in Westdeutschland zu durchleuchten, der auf der Grundlage der Gesellschafts- und Kulturkritik der 68er ‘Neuen Linken’ entstanden ist. Der Werkkreis Literatur der Arbeitswelt als Organisation schreibender Arbeiter hatte das klare Ziel, bei den Arbeitenden durch Schreibpraxis kritische Meinungen zu bilden, also eine Basisöffentlichkeit der Arbeiter zu schaffen. Insbesondere geht es bei der Analyse literarischer Tätigkeiten des Werkkreises hauptsächlich um seine operative Funktionalität im gesellschaftlichen Umfeld und literarische Errungenschaften seiner Texte in den beiden Sammelbänden Ihr aber tragt das Risiko (1971) und Sehnsucht im Koffer (1981), die den Arbeitsalltag in den 70er und 80er Jahren darstellten. Die beiden Bände werden jeweils unter den Aspekten „Zerstörung/Krankheit“ und „Migrantenarbeit/Andersheit“ näher betrachtet. Darüber hinaus wird bei der Auseinandersetzung mit den einzelnen Texten versucht, die konkreten Sachlagen der Arbeitswelt und das Schreiben selbst als kulturelle Praxis für bessere Arbeitsund Lebensbedingungen mitzuberücksichtigen. 1960년대 말 서독의 신좌파 지식인들은 제도권 밖의 저항세력을 형성하며 의회를 벗어나 거리로 나서 정치적 투쟁을 주도하였다. 당대 서독의 실천문학 또한 주류의 부르주아 문학장을 벗어나 정치적 시위의 현장으로, 문화적 퍼포먼스가 펼쳐지는 거리로 나가 대중 속에서 ‘수행’되며권위적 시스템과 문화적 통념을 변화시키고자 하였다. 이러한 선전‧선동 문학의 발생에 뒤이어, 68혁명의 해체 시기에는 ‘일상에서의 민주주의 실천’이라는 의미에서 노동자들의 글쓰기 커뮤니티가 형성되기 시작하였는데, 1970년 이후 독일 대도시들의 다양한 작업장 ‘일터’에서 자생적으로 발생한 글쓰기 모임들이 그것이며, 이들이 연합하여 «작업장 노동문학회 Werkkreis Literatur der Arbeitswelt 70»라는 문학 조직이 결성되었다. 68혁명이라는 사회적 격변의 흐름을 타고 문학이라는 글쓰기 행위가 전문작가들의 전통적 글쓰기 공간인 서재로부터 일상의 노동현장으로 옮겨졌던 것이다. 저자는 독일의 68 신좌파 문화혁명 이념과 «작업장 노동문학회» 결성 사이의 연관성에서 출발하여, 넓게는 노동자 계층의 의사소통을 중재하는 노동자 공론장을만들어내려 했던 «작업장 노동문학회»의 문학 구상과 성과를 다루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작업장 노동문학회»의 글쓰기 작업 및 텍스트에 대한 분석은 두 권의 노동수기 모음집일터의 위험Ihr aber tragt das Risiko(1971)과저먼 드림 Sehnsucht im Koffer(1981)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