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설화의 남성성은 어디에서 탄생했는가, 남성성(男性性) 연구사의 마이너러티와 젠더적 남성성의 시작점 문제 -<최진후 설화>에 나타난 여신살해와 남성성 탄생의 이니시에이션을 중심으로-

        권도경 ( Do Kyung Kwon ) 한민족어문학회 2014 韓民族語文學 Vol.0 No.68

        본 연구는 한국설화의 젠더적(gender) 남성성 탄생과정을 규명해 보고자 했다. 남성성 이 지배적 관념의 위상을 차지하게 된 부계제가 모계제를 대체하여 구축되었다는 점에서 젠더적 남성성의 탄생을 여성성과의 상대적 관계성 속에서 규명하고자 하였다. 즉, 여성 성이 지배적 관념성의 주체성과 등치되던 모계제 시대에도 존재했었던 생물학적 남성성 이 어떻게 여성성을 종속화 시켜서 군림하는 사회적 지배관념으로 거듭날 수 있었는가의 문제가 된다. 일단, 생물학적.젠더적 여성성에 대응되는 생물학적.젠더적 남성성의 층위는 생물학적 남성성으로 부성과 육체성.호전성, 젠더적 남성성으로 지배성.주체 성을 정리해 볼 수 있다. 특히, 후자의 젠더적 남성성은 젠더화 된 결과가 남성중심적 사회이념 체계의 종속적인 객체성으로 나타나는 여성성과는 정반대의 경우에 위치한다. 주로 여성을 대상으로 발휘되는 것으로, 육체적.정신적으로 여성을 지배하고 폭력을 행사하며, 역설적으로 생물학적 여성성을 젠더 속에서 발현시켜서 젠더적 여성성으로 만들어주는 남성적 상관물이 된다. 젠더적 남성성의 탄생기제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생물학적 여성성이 젠더적 남성성과 의 관계 속에서 젠더화 되는 특정한 대상 자료가 요구된다. 본 연구가 모성.생산성의 생물학적 여성성의 대명사인 주인공인 마고여신을 살해하고 젠더적 남성성을 획득한 강원도의 실존인물 최진후(崔鎭厚)에 관한 설화를 연구대상으로 삼은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마고는 여신의 고유명사이자 전국적으로 산재한 여성신의 일반명사이기도 하다. 지역에 따라서 다양한 이름으로 변주되기도 하지만 이들은 천지를 창조하고 자연지물을 탄생시키며 생명과 풍요를 주관하는 마고여신이 각 지역마다 특수하게 변주된 지역적 변이형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강원도의 마고여신을 살해하고 지배적 남성성을 관념적으로 보편화 시킨 유교적 교화를 강원도 지역에 구축한 최진후는 전국에서 마고여 신을 살해하고 젠더적 남성성을 획득한 남성신으로 보편화 시켜서 치환할 수 있는 인물 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대상 텍스트들 속에서 최진후는 남성성이 특별히 부각되지 않는 인물에서 젠더적 남성 성을 폭발적으로 과시하는 남성으로 재탄생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최진후의 젠더적 남성으로의 재탄생은 모계제 사회의 대모신인 마고여신의 생물학적 살해와 젠더 적 재배치를 통해 이루어진다. 즉, 마고여신 살해를 통한 여신의 생물학적 여성성을 젠더 적으로 재배치하는 과정은 최진후란 남성이 젠더적 남성으로 확고히 재탄생되는 통과제의가 된다고 할 수 있다. 최진후를 젠더적 남성으로 탄생시키는 사회문화적 기제는 오늘 날의 17세기 전후 시기 강릉.삼척 일대에 구축되어 가던 사족세력의 유교적 교화를 확장이란 지배관념의 역사적 지평과도 맥락이 닿는다. 유교란 이데올로기가 17세기 이후 의 조선사회를 지배한 관념이라고 할때, 유교적 관념체계 구축에 앞장 선 최진후의 젠더적 남성성 획득은 곧 전 지역을 아우르는 지배적 관념성으로서의 남성성 구축에 해당된 다고 할 수 있다. 강원도 지역설화인 <최진후설화>를 통해서 확인해본 여신살해와 젠더 적 남성성의 탄생기제의 각 지역별 확인은 다음의 후속 과제가 된다. This paper was willing to investigate the birth of the Masculinity in Korean Folktale. It is to inquire into the Birth of the gendered Masculinity in relativity with womanhood in the point that a patrilineal system was replaced Matrilimy. there are paternity and physicality.bellicosity as biological masculinity and masculinity.subjectivity as gendered masculinity in masculinity corre sponding to biological.gendered womanhood. Especially the latter gendered masculinity is that dominates and uses violence against woman. Paradoxically it is masculine correlative that fetches out biological womanhood in gender and makes it gendered womanhood.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the Birth of the Masculinity, materials that biological womanhood comes to be gender in the relationship with gendered masculinity is necessary. This is the reason that this study makes folktale about a historical real person at Gangwondo Choi jin hoo to kill godmother Mago goddess and to accept gendered masculinity research object. In target texts, Choi jin hoo is being reborned from the person who masculinity is not highlighted specifically to character make a show of gendered masculinity explosively. This Choi jin hoo’s rebirth to gendered masculinity gets accomplished through killing Margo biologically and gendered replacement. That is to say, the process that replace goddess’s biological womanhood a sort of gender through killing Margo is initiation that Choi jin hoo is reborn gendered man. Sociocultural mechanism that is reborn Choi jin hoo as gendered man reaches the context to historical prospect of ruling conception that local noble family spreaded confucian indoctrination in Gangneung.Samcheok around the 17th century. It is conform to building of masculinity as dominant ideality to cover all areas that Choi jin hoo acquired gendered masculinity, as the notion that confucian ideology ruled Chosun society around the 17th century.

      • KCI등재

        탕부(蕩婦)의 남자들과 힘의 동경 - 식민지 조선의 남성성과 욕망

        이주라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8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60

        This paper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masculinity of Korea during the colonial period. In the late 1920s, Korean literature paid attention to the question of sensuality. The expression of erotic sexuality was shaped through a femme fatale character. At the same time, various types of men have emerged around the femme fatale character. The men of femme fatale represented the diverse masculine characteristics of this era. This paper examined the desires of men, the orientation of masculinity and the cracks in masculinity revealed through femme fatale character. Some of the representative works are Choi Dok-Gyeon's Hayngwonyeomsa (Hyangwon’s Sex Diary) and Yeom Sang-seop's Yisim (Two Different Heart). Choi's novel presented the ideals of men’s ideology of the time and also suggested the escape logic of men who felt burdened with them. The Hayngwonyeomsa (Hyangwon’s Sex Diary) presented the ethics of contemporary society that men's instinctual desires should be suppressed, and at the same time, through setting up the femme fatale character, suggested the condition that the sexual desire of the male can be freely released. Yeom Sang-seop's work also expressed the desire of men that an ideal men cannot openly pursued. The male protagonist of Yisim (Two Different Heart) criticized femme fatale character, violently punished her, and finally embodied the power as a subject that was not ostensibly acceptable in contemporary society. In general, As shown in <Mr. Sunshine>, colonial masculinity is depicted as weak, helpless, and castrated thing. However, the masculinity of Korea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rough the femme fatale character, showed the longing for the primal power of sexual desire and violence. At the same time, the society considered a rational and responsible patriarch as ideal masculinity. Colonial masculinity required two contradictory ethics: rational control and instinctive debauchery. The femme fatale figure played a role in easily solving the contradictory demands imposed on masculinity and at the same time, it showed the desire of the masculine subject to divide between demands for contradictory masculinity. This paper revealed the crack of this contradictory masculinity by examining the masculinity that appears through the femme fatale. 이 논문에서는 식민지시기 한국의 남성성에 나타난 특징을 분석하였다. 1920년대 후반 한국 문학은 관능의 문제에 관심을 기울였다. 에로틱한 성욕의 표현은 탕부형 인물을 통해 형상화되었다. 동시에 탕부를 둘러싼 남성들의 다양한 유형을 등장시켰다. 탕부의 남자들은 이 시대의 다양한 남성성을 재현하였다. 이 논문은 탕부라는 인물형을 통해 드러나는 당대 남성들의 욕망과 남성성의 지향점 그리고 남성성의 균열을 살펴보았다. 그 대표적인 작품이 최독견의 『향원염사』와 염상섭의 『이심』이다. 최독견의 소설은 당대의 이상적 남성상의 기준을 제시하는 동시에 이에 부담을 느낀 남성들의 도피 논리도 함께 제시하였다. 『향원염사』는 남성의 본능적 욕망을 억제해야 한다는 당대 사회의 윤리를 제시하는 동시에 탕부형 인물형을 설정하여 남성의 성욕이 마음껏 발산될 수 있는 조건을 제시하였다. 염상섭의 작품 또한 이상적 남성이 드러내놓고 추구하지 못하는 남성의 욕망을 표현하였다. 『이심』의 남성 주인공은 탕부형 인물을 비판하고, 폭력적으로 징치하면서, 당대 사회에서 표면적으로 허용되지 않던 주체로서의 힘을 구현하였다. 일반적으로 식민지 남성성은 <미스터 션샤인>에 나타나듯이, 주체성을 거세당한, 나약하고 무기력한 모습으로 그려진다. 하지만 탕부형 인물을 통해 형상화된 식민지시기 한국의 남성성은 성욕과 폭력이라는 원초적 힘에 대한 동경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동시에 당대 사회는 이성적이고 책임감 있는 가장을 이상적 남성성으로 간주하였다. 식민지시기 남성성은 이성적 절제와 본능적 방탕이라는 두 가지 모순된 윤리를 남성 주체에게 요구하였다. 팜므파탈 형 인물은 남성성에 부과된 모순적 요구를 손쉽게 해결해 주는 역할을 담당하는 동시에 모순적 남성성에 대한 요구 사이에서 분열하는 남성 주체의 욕망이 드러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 논문은 팜므파탈 형 인물을 경유하여 나타나는 남성성을 살피면서 이러한 모순적 남성성의 균열을 드러내었다.

      • KCI등재

        20~30대 남성들의 하이브리드 남성성

        김엘리(Elli Kim) 한국여성학회 2020 한국여성학 Vol.36 No.1

        이 연구는 20~30대 남성들의 좀 다른 남성성 수행을 근대 남성성과는 다른 변화라고 보고 그 특성과 의미를 하이브리드 남성성의 개념으로 탐색한다. 한국사회에서 근대 남성성은 가장으로서의 생계부양자(경제)와 군인으로서의 국가안보주체자(군사)가 결합된 씩씩한 군사적 남성성이라면, 2000년대 이후에는 부드럽고 스마트한 자기경영자로서의 남성성 담론이 등장한다. 한편으로 분단사회에서 남성만의 병역의무제는 근대적 군사안보 통치와 신자유주의 자기경영주체의 자유 추구 사이에 모순을 일으키며 문화 격차를 내는데, 이 격차는 국가안보의 강한 통치와 더불어 군의 자기계발 정책 안에서 개인의 이익을 확대하는 방식으로 봉합된다. 20~30대 남성들은 근대 남성성을 수행할 수 없는 경제적 조건에서 이와 비판적 거리를 두고, 전통적으로 여성의 일로 간주된 것들을 차용하여 고정된 성별분업을 유연하게 만드는 교섭을 한다. 그래서 그들은 배제를 통해 남성성을 구성하는 근대적 헤게모니 남성성과는 달리, 이질적인 요소들을 혼융하는 하이브리드 남성성을 수행하며 복합성과 유동성, 분열성을 드러낸다. 그래서 이 연구는 포스트근대 남성성의 단서를 특징화하고, 20~30대 남성들의 여성혐오정동만이 아닌 좀 다른 남성성을 수행하는 남성들의 혼종성에 초점을 두어 젠더관계 조정을 위한 저항의 생성 가능성을 열어놓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hybrid masculinity reconstructed by men in their 20s and 30s, which is different from the modern hegemonic masculinity, and explores its characteristics and meaning in the context of neoliberalism. The masculinity of modern developmental society was characterized as strong militaristic masculinity combined the breadwinner as the head of family with the national security subject as a soldier. In contrast, a soft and smart self-management masculinity has newly emerged since the 2000s in neoliberal society. Besides, the male-only conscription system causes the contradiction between the rule of military security and the pursuit of liberty in neoliberal self-management and makes cultural gap between them. However, this gap is patched up in the way of expanding the individual interest of men within the self-development programs conducted by the military. The men in their 20s and 30s criticize masculinity negatively in economic condition, which is not able to perform modern masculinity, and negotiate with given gender rules for making strict gender division of labor flexible by performing women’s traditional roles. Thus they perform their hybrid masculinities which are charactered as complex, fluidity and ambivalence in contrast to modern hegemonic masculinity constructed through the exclusion of non-hegemonic elements. This study implies that this hybrid masculinity may signal a characteristic of post-modern masculinities and opens up a possibility for changing the gender relations by focusing on the hybridity of young males who perform slightly different masculinities, rather than speak misogyny.

      • KCI등재

        이효석 소설과 남성성의 균열

        김미현(Kim, Mi-hyun) 한국비평문학회 2018 批評文學 Vol.- No.67

        이효석의 『화분』은 ‘애욕의 만화경’이나 ‘자연 상태의 난혼(亂婚)’을 통해 ‘색정의 유희’가 중심이 되는 일탈적 성을 보여준다. 이로 인해 겉으로는 자유분방한 일탈적 성을 보여주면서도 기존의 성 모랄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다거나, 여성의 성과 육체를 관음증적 대상으로 물화(物化)시킴으로써 남성 중심적인 시각을 강화하고 있다는 부정적 평가가 주로 제기되었다. 일제 말기의 시대 상황을 고려할 때도 이런 성의식을 통해 피식민주의자의 현실 순응을 보여주는 탈정치적이고 비역사적인 텍스트로 폄훼되었다. 그러나 남성과 여성의 관계뿐만 아니라 남성과 남성 간의 관계 혹은 남성 자체의 내면도 함께 논의할 수 있는 ‘남성성(masculinity)’의 개념을 도입하면 이 소설이 지닌 젠더적 권력 관계와 역사적 배치를 보다 입체적으로 문제 삼을 수 있다. 『화분』자체가 당대에 요구되었던 헤게모니적 남성성이 어떻게 주변화된 남성성의 도전과 저항에 의해 균열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 작품이기 때문이다. 『화분』에서 파격적으로 묘사되고 있는 ‘남성동성애(homo sexual)’는 그리스식 소년애로부터 출발하여 순수하게 남성과 남성 간의 성적인 끌림을 보여주는 진보적 성 의식을 보여주었으나, 점차 이성애를 기반으로 한 ‘남성동성사회(homo social)’의 특성과 착종을 일으킨다. 여성만이 아닌 남성의 육체조차 관음증적 시선으로 대상화함으로써 남성동성애를 남성과 남성이 아닌 ‘여성화된’ 남성의 성관계로 변질시키고 있기 때문이다.(2장) 이런 착종 현상은 ‘아름다운 남성’이라는 관념 자체가 허상에 불과함을 확인시켜준다. 아름다움 자체가 상품 혹은 재산으로 기능하기에 가부장적 자본주의 하에서의 상하관계를 그대로 노출시킨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도전받지 않는 가부장과 재산가로서의 남성성 또한 아름다움이라는 허상과 더불어 그 실체를 잃어버리게 된다.(3장) 이런 위기의 남성성은 박탈당한 처녀성을 적극적으로 거래하는 여성과 그런 여성의 인정을 필요로 하는 남성성으로 인해 더욱 약화된다. 탈아적(脫我的) 인정 욕망을 통해 남성성은 이중으로 구속되는 것이다.(4장) 이런『화분』 속 남성성의 균열 양상을 곧바로 작가의 페미니즘적 인식과 연결짓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그러나 불완전하고 불안정한 남성성을 통해 작가는 일제말기 부계공동체나 민족국가의 중심에 위치했던 ‘강한 남성성’이라는 상상 혹은 환상 자체를 (무)의식적으로 내파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강한 남성성에 향수를 느끼면서도 그런 전형적 남성성과는 거리를 두는 이중성을 통해 ‘친밀한 낯섦’이 아닌 ‘낯선 친밀감’으로 ‘젠더 허물기(undoing gender)’를 시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허물어진 젠더를 통해 작가는 단순히 성의 해방이나 타락 자체가 아니라 그로 인해 재구성되는 남성 젠더정체성에 주목했다고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당대의 우울과 혼란을 반영하는 남성성은 현재에도 여전히 재구성 중에 있는 허약한 젠더 구성물임도 재확인시켜 주고 있다. Hwa-bun is a potently sexual text showing the sexual awareness of the writer intensively. In the existing treatment of the work, this novel was criticised in that it emphasized only "instinct" or ‘nature’ so overlooked the sociality or exposed a perspective of anti-feminism by regarding a female body as an object for voyeurism. However, Hwa-bun shows effectively a realistic or gendered dilemma with which masculinity faced in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reason why is that it reveals how the hegemonic masculinity caused a rupture through the unconventional and decadent sexual descriptions. While displaying shocking sex of the homo sexual, it also shows a characteristic of the homo social based on the heterosexual. Hence, masculinity is rather enhanced. However, masculinity intensified comes to be challenged by another male, suffering a crisis. The pursuit of ‘beautiful sex’ is challenged by the patriarchy and capitalism. Masculinity at a crisis has ruptures all the more caused by a female dealing with virginity. The reason why is that a male who dispossessed virginity needs recognition by a female whose virginity was dispossessed. Through such a transition ‘intensification-crisis-deficiency’ shown from the novel, Hwa-bun demonstrates masculinity itself exists on such a feeble basis.

      • KCI등재

        주변화된 남성성과 가부장제의 균열

        정인혁(Jung, In-hyouk) 한국고전연구학회 2021 한국고전연구 Vol.0 No.52

        본 연구의 목적은 『東廂記纂』 소재 <金安國>을 통해 가부장제의 전통적 남성상에서 벗어난 주인공 김안국의 남성성을 살피는 것이다. 그리고 이 텍스트가 지닌 사회문화적 의미에 대해 살피고자 하였다. 소위 사회적 기준을 통해 ‘정상’과 ‘비정상’을 구분하는 이분법적 사고의 한계에 대해 재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텍스트에 재현된 김안국의 주변화된 남성성의 양상과 헤게모니적 남성성에 의한 배제의 양상을 살폈다. 둘째, 헤게모니적 남성성에 의해 배제되었던 김안국과 부인 이 씨의 연대의 관계를 살폈다. 부인 이 씨가 김안국의 능력을 끌어낸 방법은 전통적인 가부장제의 기준에서는 다소 파격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 파격적인 방법을 가능하게 한 이면에는 기존의 가부장제 사회의 질서 체제에서 벗어나 있는 주변화된 남성성과 타자로서 종속되었던 여성성 간의 상호이해를 바탕으로 한 연대가 있다. <김안국>에서 김안국이 성공하는 방식과 그에 대한 주변인들의 인식 변화는 헤게모니적 남성성이 추구하던 가치의 균열을 드러낸다. 가부장으로서 한 집안, 나아가 가부장제 사회를 이끌 김안국은 지금까지 절대적인 방법이라고 생각되어 왔던 것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한다. 헤게모니적 남성성의 전통적인 양상에서 벗어난, 소위 ‘정상’을 벗어난 김안국을 가부장으로서 한 집안과 사회를 이끌 인물로 인정하게 된다는 점에서 기존의 질서 체제는 균열을 드러내기 시작한다. 일견 김안국이 전통적인 가부장제 사회가 제시한 기준, 곧 ‘과거급제’라는 기준을 충족했기에 가부장제 질서 체제가 공고히 유지되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지금껏 행하지 않았던 방법, 여성에 의해 주도된 이질적인 방법이 사용된 과정을 인정했다는 점에서 헤게모니적 남성성이 지배해 온 공고했던 가부장제 질서는 한계를 자인한다. 이제 하나의 절대적인 헤게모니적 남성성과 그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규정하는 ‘정상적인’ 방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김안국>은 이렇게 전통적인 남성성이 지향하는 이상과 현실의 불일치를 보여준다. 주변화된 남성성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사회체제를 공고하게 유지해 온 기존의 질서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가능하게 한다. 기존의 전통적 가부장제 질서와 그것을 구성하기 위한 규칙과 방법들은 사실 허구적인 것에 불과하다는 것이 드러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asculinity of Kim An-guk, the main character who is excluded from the traditional male image of the patriarchal system, and the socio-cultural meaning of “Kim An-guk” in “Dong-sang Gi-chan.” Through this study, I intended to reflect on the limitations of dichotomous thinking that distinguishes “normal” from “unnormal” through the so-called social standards. First, I looked at the aspect of Kim An-guk’s marginalized masculinity and the aspect of exclusion by hegemonic masculinity. Second, I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Kim An-guk and his wife Lee, who were excluded by hegemonic masculinity. The way Kim An-guk’s wife, Lee, drew his ability was somewhat unconventional in the traditional patriarchal standards. Behind that unconventional method was a solidarity based on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the marginalized masculinity and the femininity that was subordinated to the other, following the existing orderly system of patriarchal society. The way Kim An-guk succeeds in “Kim An-guk” and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the others reveal the cracks in the values that hegemonic masculinity pursued. Kim An-guk, who will lead a family and further a patriarchal society as a patriarch, demonstrates his abilities in a completely different way from what had been thought to be an absolute method so far. In terms of hegemonic masculinity, the existing order system begins to crack in that Kim An-guk, who used a so-called “unnormal” method that did not conform to tradition, is qualified to lead a family and society as a patriarch. At a glance, the patriarchal order seems to be maintained solidly because it met the standards presented by the traditional patriarchal society. However, it acknowledges the limitations of the traditional patriarchal order, which had been dominated by hegemonic masculinity, which had been solidified by acknowledging ways that have not been done before and heterogeneous methods led by femininities. Now, there is no ‘normal’ method to define one absolute hegemonic masculinity and its hegemonic masculinity. “Kim An-guk” shows the mismatch between the ideal and reality that traditional masculinity aims for.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marginalized masculinity will promote a new perception of the existing order that has kept the social system solid. It turns out that the existing traditional patriarchal order and the rules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it are, in fact, nothing but fiction. Masculinity faces the change.

      • KCI등재

        1990년대 중국소설에 나타난 남성성 연구(2) — <雨天的棉花糖>과 <那个夏季那个秋天>을 중심으로

        崔銀晶(Choi, Eun-Jeong) 한국중국소설학회 2020 中國小說論叢 Vol.62 No.-

        본고는 <雨天的棉花糖>과 <那个夏季那个秋天>를 대상으로 하여, 남성성이 남성자아의 정체성 구축에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홍더우와 겅동량은 가부장제에서 규정한 남성성에서 일탈한 개별화된 남성성을 전시한다. 이들의 비극은 두 가지 측면에서 사유할 가치가 있다. 첫째, 지배적 남성성의 해체이다. 이는 두 가지 측면에서 나타난다. 하나는 지배적 남성성이 남성자아를 억압함으로써 실천된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지배적 남성성의 구축 여부와는 별개로 나타나는 남성자아의 분열이다. 이는 지배적 남성성의 실현 불가능성, 허상성을 보여준다. 둘째, 이분화된 성별 시스템의 공고함이다. 홍더우의 죽음은 이분화된 성별 구조 안에서 개별화된 남성성을 수용하지 않는 사회문화적 심리를 보여준다. 반면, 겅동량의 자아분열은 개인에게 내면화된 이분화된 성별 인식을 증명한다. 요컨대, 이들의 비극은 이분화된 성별 구조 안에서, 다양한 남성성/들이 문화적으로 재현되는 것과 이러한 다양한 남성성/들이 동일한 가치를 부여받고 수용되는가에 대한 문제는 별개임을 설명한다. 개별화된 남성성을 부여받은 소년들의 ‘남성 되기’ 서사가 보여주는 의미가 여기에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how masculinity contributes to establish its identity as male subjectivity by observations on <雨天的棉花糖> and <那个夏季那个秋天>. Their tragedies are worthy to be evaluated in two aspects. The first one is the deconstruction of hegemonic masculinity. It appears in two ways. The hegemonic masculinity is practiced by suppressing male subjectivity, and male subjectivity is deconstructed regardless of success or failure in winning hegemonic masculinity. It proves that hegemonic masculinity is unachievable and illusive. The second aspect is the firmness of the bisected gender system. The social and cultural mentality does not accommodate individualized masculinity in the bisected gender system, and it is rigid enough to lead Hong Dewu to his death. On the other hand, Geng Dongliang feels lost because he recognizes his internalized recognition of bisected genders. The tragedies explain that whether various masculinities are practiced in culture or not is one question, and whether the masculinities deserve equal value and get accepted or not is another question in the bisected gender system. As Hong Dewu and Geng Dongliang’s tragedies, the space for various masculinities will get narrower when the subjectivities, which does not be explained as dominant and universal, get suppressed in the processes of becoming males. The writer must have had enough his reasons and meanings for focusing on these particularly non masculine boys, and making narratives on their journeys of becoming a man.

      • KCI등재

        실창판소리 남성성 연구

        서유석 한국구비문학회 2019 口碑文學硏究 Vol.0 No.53

        본고는 소리를 잃어버린 판소리 작품에 등장하는 남성 주인공들이 보여주는 다양한 남성성의 양상과 의미를 확인하고자 하는 연구 목적을 가지고 있다. 남성성이란 개념은 하나로 정의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모든 남성들을 하나의 가치 규범 아래 묶을 수는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실창판소리의 남성 주인공들은 모두 ‘부정적인 형상’을 가지고 있는데, 이들이 보여주는 ‘부정적인 형상’은 다양한 남성성들의 분화를 통해 확인할 수 있기에,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의 성격을 남성성과 연관해서 연구해 볼 수 있는 가치는 충분하다. 실창판소리에서 다양한 남성성이 드러난다는 것은 그 자체로 의미가 크다. 남성들만이 인식과 시선의 주체가 되는 것이 아니라 남성들도 시선의 대상이 되고, 객체화될 수 있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규범화할 수 없는 남성성은 사회적 관계 속에서 표상된다. 남성성은 젠더 관계의 장소이자 남녀 모두의 실천으로 이루어지는 것이기에 실창판소리 남성 주인공들의 다양한 남성성들과 ‘부정적 형상’은 모두 남성을 객체화하는 시선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여기에는 남성성이 분화되고 있는 것을 예리하게 포착하는 여성적 시선의 존재 가능성을 찾아볼 수 있다. 당대 사회의 가부장제를 체현하면서 동시에 시대의 변화에 따라 유동하는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획득할 수 있는 실창판소리의 주인공은 존재하지 않는다. 오히려 이들은 ‘헤게모니적 남성성’과 ‘공모된 남성성’을 획득하여 가부장제의 배당금을 얻어내거나 ‘주변화된 남성성’을 통해 ‘헤게모니적 남성성’에 권위를 부여할 뿐이다. ‘공모된 남성성’은 가부장제의 이념에서 탈주하려는 여성적 시선에 의해 드러난다. 가부장제의 배당금을 획득하기 위해 여성에 대한 상대적 존중과 타협을 보여주는 배비장과 무숙이는 자신들을 곤궁에 빠뜨린 애랑과 의양에 의해 구원받는다. 가부장제 이념에서의 탈주라는 여성적 시선이 ‘공모된 남성성’을 오히려 부각시키는 셈이다. 과도한 남성정욕의 화신으로 보이는 변강쇠와, 여성에 대한 직접적인 폭력으로 가부장제 권위 재확립의 최전선에 서 있는 장끼는 자신들의 남성성을 강하게 과시하고 있다. 하지만 그들의 ‘과도한 남성성 표출’이 다른 계급의 남성들에게 영향을 끼칠 수는 없다. 따라서 그들의 남성승은 오히려 ‘헤게모니적 남성성’에 권위를 부여하고 주변화된다. 그리고 이들의 ‘주변화된 남성성’은 이들을 ‘괴물’과 같은 존재로 드러내는 남성을 객체로 바라보는 새로운 시선에 의해 구체화된다. 결국 실창판소리에 드러나는 남성성들은 조선후기에 다양한 갈래로 분화하는 가부장제 이념의 모순에 대응하고 있는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various patterns and meanings of the masculinity of male protagonists in Silchang (Sound-Lost) pansori (a genre of musical storytelling). The male sex cannot be defined as one single concept. This is because all males cannot be categorized into one value norm. All the male protagonists in Silchang pansori have negative images, and these images can be identified through diverse masculine differentiations. The personalities of the protagonists in the work are worth studying in regard to their masculinities. The various masculinities in Silchang pansori itself are very meaningful. This is because men are not only the subjects of awareness and gaze but also the objects of gaze and can be objectified. Those males who cannot be normalized are represented in social relations. Because masculinity is a place for gender relations and can be achieved by the participation of both men and women, the “excessive masculinities” and the “negative image” of the male characters in Silchang pansori are created by a gaze that objectifies men. Here, there is the existence of the feminine gaze, which can instantly spot masculinities being differentiated. In Silchang pansori, there are no characters that acquire the floating “hegemonic masculinities” that embody the patriarchy of society. Rather, they acquire “hegemonic masculinities” and “complicit masculinities” to obtain patriarchal dividends or authorize “hegemonic masculinities” through “marginalized masculinities.” The “complicit masculinities” are revealed by the feminine gaze’s attempts to escape from the ideology of patriarchy. Baebijang and Musugi, who show a relative amount of respect for and compromising attitude toward women to obtain patriarchal dividends, are saved by Aerang and Uiyang, who had caused them to feel distress. The female gaze, escaping from the patriarchal ideology, emphasizes “complicit masculinities.” Byeongangsoe, who appears to be a representation of excessive male lust, and Jangkki, who stands at the forefront of attempts to reestablish patriarchal authority with direct violence against women, show off their masculinities. However, their “excessive masculinity” cannot influence men of other classes; it authorizes “hegemonic masculinities” and becomes marginalized. The “marginalized masculinities” are also embodied by the feminine gaze, which reveals them to have a “monster”-like existence. The masculinities in Silchang pansori are deemed to be the outcome of responding to the contradiction of the ideology of patriarchy being differentiated in the second half of Joseon.

      • KCI등재

        한국설화의 남성성은 어디에서 탄생했는가, 남성성(男性性) 연구사의 마이너러티와 젠더적 남성성의 시작점 문제 - <최진후 설화>에 나타난 여신살해와 남성성 탄생의 이니시에이션을 중심으로-

        권도경 한민족어문학회 2014 韓民族語文學 Vol.0 No.68

        This paper was willing to investigate the birth of the Masculinity in Korean Folktale. It is to inquire into the Birth of the gendered Masculinity in relativity with womanhood in the point that a patrilineal system was replaced Matrilimy. there are paternity and physicality․bellicosity as biological masculinity and masculinity․subjectivity as gendered masculinity in masculinity corre sponding to biological․gendered womanhood. Especially the latter gendered masculinity is that dominates and uses violence against woman. Paradoxically it is masculine correlative that fetches out biological womanhood in gender and makes it gendered womanhood.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the Birth of the Masculinity, materials that biological womanhood comes to be gender in the relationship with gendered masculinity is necessary. This is the reason that this study makes folktale about a historical real person at Gangwondo Choi jin hoo to kill godmother Mago goddess and to accept gendered masculinity research object. In target texts, Choi jin hoo is being reborned from the person who masculinity is not highlighted specifically to character make a show of gendered masculinity explosively. This Choi jin hoo’s rebirth to gendered masculinity gets accomplished through killing Margo biologically and gendered replacement. That is to say, the process that replace goddess’s biological womanhood a sort of gender through killing Margo is initiation that Choi jin hoo is reborn gendered man. Sociocultural mechanism that is reborn Choi jin hoo as gendered man reaches the context to historical prospect of ruling conception that local noble family spreaded confucian indoctrination in Gangneung․Samcheok around the 17th century. It is conform to building of masculinity as dominant ideality to cover all areas that Choi jin hoo acquired gendered masculinity, as the notion that confucian ideology ruled Chosun society around the 17th century. 본 연구는 한국설화의 젠더적(gender) 남성성 탄생과정을 규명해 보고자 했다. 남성성이 지배적 관념의 위상을 차지하게 된 부계제가 모계제를 대체하여 구축되었다는 점에서젠더적 남성성의 탄생을 여성성과의 상대적 관계성 속에서 규명하고자 하였다. 즉, 여성성이 지배적 관념성의 주체성과 등치되던 모계제 시대에도 존재했었던 생물학적 남성성이 어떻게 여성성을 종속화 시켜서 군림하는 사회적 지배관념으로 거듭날 수 있었는가의문제가 된다. 일단, 생물학적․젠더적 여성성에 대응되는 생물학적․젠더적 남성성의 층위는 생물학적 남성성으로 부성과 육체성․호전성, 젠더적 남성성으로 지배성․주체성을 정리해 볼 수 있다. 특히, 후자의 젠더적 남성성은 젠더화 된 결과가 남성중심적사회이념 체계의 종속적인 객체성으로 나타나는 여성성과는 정반대의 경우에 위치한다. 주로 여성을 대상으로 발휘되는 것으로, 육체적․정신적으로 여성을 지배하고 폭력을행사하며, 역설적으로 생물학적 여성성을 젠더 속에서 발현시켜서 젠더적 여성성으로만들어주는 남성적 상관물이 된다. 젠더적 남성성의 탄생기제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생물학적 여성성이 젠더적 남성성과의 관계 속에서 젠더화 되는 특정한 대상 자료가 요구된다. 본 연구가 모성․생산성의생물학적 여성성의 대명사인 주인공인 마고여신을 살해하고 젠더적 남성성을 획득한강원도의 실존인물 최진후(崔鎭厚)에 관한 설화를 연구대상으로 삼은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마고는 여신의 고유명사이자 전국적으로 산재한 여성신의 일반명사이기도 하다. 지역에 따라서 다양한 이름으로 변주되기도 하지만 이들은 천지를 창조하고 자연지물을탄생시키며 생명과 풍요를 주관하는 마고여신이 각 지역마다 특수하게 변주된 지역적변이형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강원도의 마고여신을 살해하고 지배적 남성성을관념적으로 보편화 시킨 유교적 교화를 강원도 지역에 구축한 최진후는 전국에서 마고여신을 살해하고 젠더적 남성성을 획득한 남성신으로 보편화 시켜서 치환할 수 있는 인물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대상 텍스트들 속에서 최진후는 남성성이 특별히 부각되지 않는 인물에서 젠더적 남성성을 폭발적으로 과시하는 남성으로 재탄생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최진후의젠더적 남성으로의 재탄생은 모계제 사회의 대모신인 마고여신의 생물학적 살해와 젠더적 재배치를 통해 이루어진다. 즉, 마고여신 살해를 통한 여신의 생물학적 여성성을 젠더적으로 재배치하는 과정은 최진후란 남성이 젠더적 남성으로 확고히 재탄생되는 통과제의가 된다고 할 수 있다. 최진후를 젠더적 남성으로 탄생시키는 사회문화적 기제는 오늘날의 17세기 전후 시기 강릉․삼척 일대에 구축되어 가던 사족세력의 유교적 교화를확장이란 지배관념의 역사적 지평과도 맥락이 닿는다. 유교란 이데올로기가 17세기 이후의 조선사회를 지배한 관념이라고 할 때, 유교적 관념체계 구축에 앞장 선 최진후의 젠더적 남성성 획득은 곧 전 지역을 아우르는 지배적 관념성으로서의 남성성 구축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강원도 지역설화인 <최진후설화>를 통해서 확인해본 여신살해와 젠더적 남성성의 탄생기제의 각 지역별 확인은 다음의 후속 과제가 된다.

      • KCI등재

        헤게모니적 남성성의 교체와 남성성들로부터의 탈주

        이소윤 한국구비문학회 2019 口碑文學硏究 Vol.0 No.53

        <세경본풀이>에서 자청비, 정수남, 문도령의 관계는 삼각관계의 구도로 지적되어 왔다. 그러나 실상 두 남성 인물은 서사 속에서 직접적으로 대면하지 않는다. 왜 두 남성 인물은 조우하지 않는 것인가. 그렇다면 이들의 관계를 삼각관계로 볼 수 있는 것일까. 본고의 논의는 바로 이러한 물음들로부터 시작된다. 이를 해명하기 위해서는 먼저 정수남과 문도령의 남성성이 이질적이라는 것을 자각할 필요가 있다. 정수남의 남성성은 그의 육체를 떠나서는 이야기될 수 없다. 남근을 중심으로 한 몸과 남근 중심의 섹슈얼리티, 그리고 육체노동으로 이어지는 의미망의 연쇄가 정수남의 남성성을 구축한다. 문도령의 남성성은 문선왕과 문도령, 삼천선비로 연결되는 수직적 위계제에서 비롯된다. 문도령은 문선왕의 권위에 기대고 있다는 점에서 공모적 남성성이며, 끝내 자청비를 쟁취해내는 알파 수컷이라는 점에서 헤게모니적 남성성이기도 하다. 이 점 때문에 문도령은 삼천선비가 질투하는 쟁투의 대상이 된다. 다음으로 주목해야 하는 것은 문도령의 남성성이 부상하고 정수남의 남성성이 격하되고 있는 양상이다. 문도령이 헤게모니적 남성성이 되는 것에 대해서는 우선적으로 조선시대 제주도 내의 지방관과 유배인이 점했던 위치를 유념할 필요가 있다. 이들은 중앙 정계에서는 힘을 쓸 수 없는 처지였지만 제주도에서는 선진 문물인 유학을 소개하는 외부인으로서 극진한 대접을 받았다. 이들의 중간자적 위치가 서사 내에서는 무력한 인물이지만 결과적으로는 상세경으로 좌정하는 문도령으로 표현되고 있는 것이다. 정수남이 헤게모니적 남성성이 되지 못 하는 것은 심방의 말처럼 더 이상 육체 노동이 긴요하지 않게 된 현실의 필연적 결과라 할 수 있다. 이는 몇몇 이본에서 정수남이 하세경에서 세경장남으로 밀려나는 연유를 설명할 수 있는 것이기도 하다. 이렇듯 두 남성 인물이 서사에서 직접적으로 만나지 않는 것은 정수남으로 표상되는 주변화된 남성성에서 문도령으로 형상화된 공모적 남성성으로 헤게모니적 남성성이 교체되는 현실과 관련이 있다. 이상 <세경본풀이>에 드러나는 남성성들은 역으로 자청비의 인물 형상을 부각한다. ‘탈의’를 통해 여성들을 배제하고, 남성들을 서열화하려는 시험에서 남장을 한 자청비는 기지를 발휘하여 승리한다. 이때 끊임없이 자청비의 성별을 의심하는 거무선생의 독백은 그 자체로 자청비가 <세경본풀이>의 남성성을 뒤흔들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자청비는 남장을 한 채로 서천꽃밭의 짐정승 딸애기와 혼인함으로써 결정적으로 섹스와 젠더의 구분을 무화시킨다. 이는 결국 섹스와 젠더의 구분이 허구적 구성물이듯이 <세경본풀이>의 남성성들 또한 허구적 구성물임을 폭로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자청비는 정수남의 남성성과 문도령의 남성성 사이에서 그 누구와도 결연하지 않는다. 이러한 자청비의 행로는 그녀가 남성지배의 여러 형식‘들’로부터 탈주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정수남으로 상징되는 남성성과 문도령으로 상징되는 남성성, 곧 생산 양식의 층위에서 여성을 억압하는 남성성과 문화 양식의 층위에서 여성을 희생시키는 남성성 모두를 거부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청비는 서사 말미에서 성격이 변화된 문도령과 정수남을 배제하지 않고 포용함으로써 ‘농경’이라는 새로운 문화로의 이행을 예고한다. ... The relationship among Jacheongbi, Cheongsoonam, and Moondoryeong in the Segyeong-Bonpuri has been identified as a love triangle structure by researchers. However, the two male characters in the narrative do not ever meet each other in person. Why is this? Can we genuinely call their relationship as a love triangle? The discussion in this study originates from these questions. To find the answers, we first need to understand that Cheongsoonam and Moondoryeong have different masculinities. Cheongsoonam’s masculinity is concentrated on his physical qualities, which are represented by the semantic network of the phallus-centric body, the phallus-centric sexuality, and the performance of physical labors. However, the masculinity of Moondoryeong originates from the vertical hierarchy of his father, Moonseonwang, and is passed down to Moondoryeong and Samcheonseonbi. Moondoryeong shows complicit masculinity, demonstrated by the fact that he is dependent on the power of his father. However, in the end, he shows hegemonic masculinity by obtaining Jacheongbi through marriage. Because of Moondoryeong’s success with Jacheongbi, he becomes Samcheonseonbi’s object of jealousy. Next, in the narrative, the masculinity of Moondoryeong is highlighted whereas the masculinity of Cheongsoonam is overshadowed. To explain Moondoryeong’s position of hegemonic masculinity, we first have to understand the position that the administrator and the exiled had within Jeju island during the Choseon dynasty. Though they were powerless in the mainland, in Jeju island, they were treated highly for having introduced the advanced culture of Confucianism there. The positions of the administrator and the exiled are represented through Moondoryeong’s image as a powerless man who eventually rises to the position of Upper Segyeong. The failure of Cheongsoonam to be a symbol of hegemonic masculinity is due to a society that no longer appreciates physical labor. This explain why Cheongsoonam is demoted from Lower Segyeong to Segyeong-jangnam in some versions. Hence the reason that the two characters do not meet in the narrative lies in the fact that Moondoryeong’s complicit masculinity replaces Cheongsoonam’s marginalized masculinity in the position of hegemonic masculinity. Therefore, the masculinities shown in the Segyeong-Bonpuri highlights the character of Jacheongbi. Jacheongbi, disguised as a man, outsmarts the tests administered to her to prove her sex and wins over Moondoryeong. The constant monologue by Geomu-seonsaeng who suspects Jacheongbi is female also hinders the masculinity presented in the Segyeong-Bonpuri. The marriage between Jacheongbi, who is disguised as a man, and the daughter of Jim-jeongseung in the Seocheon flower garden also eliminates the distinction between sex and gender. Just as this proves that sex and gender are a fabricated construct in the Segyeong-Bonpuri, it also exposes the fabricated nature of masculinities. As a result, Jacheongbi does not end up with either Cheongsoonam and or Moondoryeong. Jacheongbi’s actions indicate that she is escaping from various forms of male domination. She rejects both the masculinities symbolized by Cheongsoonam and Moondoryeong, which keep women restricted to the level of a mode of production, and sacrifice them on the alter of culture style. Nonetheless, Jacheongbi foresees the transition to a new culture called “agriculture” by embracing Moondoryeong and Cheongsoonam, and she changes to a god along with them at the end of the narrative. This shows that feminism is not a concept that exists to confront, replace, or resist men. In the current era, where a powerful wave of feminism is rising, we have fresh reasons to examine the character of Jacheongbi.

      • KCI등재후보

        1970년대 소설과 저항 주체의 남성성

        김은하(Kim Eun-Ha) 한국여성연구소 2007 페미니즘 연구 Vol.7 No.2

        본고는 70년대 소설이 제시한 저항 주체가 남성성이 과잉된 성별화된 주체이며, 이는 박정희 혁명 정부가 근대화 주체로 호명한 규범적 남성성에 대한 모방적 재현임을 밝힘으로써 진보주의 문학의 무의식을 엿보고자 한다. 남성성 신화는 남성성의 특성으로 의지력, 목표지향성, 독립성, 비타협성, 지성을 부가하며 이것이 생득적인 것인 양신념화하는 경향이 있지만, 남성성을 궁극적으로 퍼포먼스를 통해 이루어진 사회적, 문화적 구성물로 보아야 한다. 남성성 논의는 한국 문학 담론에 존재하는 성별에 대한 위계화된 이분법을 극복하기 위해서도 긴요하다. 본고는 황석영 소설을 통해 한국 현대 소설을 지배하는 서사적 문법의 형성 경로와 정치적 무의식을 엿봄으로써 소설 양식과 젠더 규범의 관련성에 대한 논의를 활성화하고자 한다. 황석영 소설에서 몸은 남성성이 결핍, 부족,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기록하고 비추는 거울이자 남성성을 담론의 구성물이 아닌 남성의 본질인 양 제시하는, 원초적 남성다움이 내재된 장소이다. 훼손되지 않은 남성성으로 제시한 몸은 타자에 의해 대상화 혹은 도구화 될 수 없는 전체로서의 몸으로서 남성성을 초월적 주체성의 은유로 표상한다. 또한 주체되기는 여성적인 것과 분리함으로써 남성성을 획득하는 성별화된 여정으로서, 형제애에 기반을 둔 공동체에 대한 지향과 민중남성에 대한 선망이 두드러진다. 다른 한편으로 멜러적 감수성은 자기에 대한 연민과 억울함을 호소함으로써 지배담론으로서의 남성성의 허위를 은폐하며, 여성은 자기의 창부성과 분열을 은폐하려는 알리바이이다. This thesis is aimed to examine the unconsciousness of progressive literature through identification of the Subject of Resistance proposed in the novels of 1970’s as a gendered subject of excessive masculinity, and also imitated reproduction of the stereotyped masculinity, which the revolutionary government of Park, chung-hee dubbed as the subject of modernization. The myth of masculinity is characterized by such traits as volition, goal orientation, independence, intransigence, intelligence, and it tends to treat them with conviction as if they are innate. However, the masculinity is a social and cultural structure ultimately realized through performance. A discussion about the masculinity is essential to overcome the hierarchical dichotomy which exists in the discourse of Korean literature. This study, through the Whang’s novels, makes inquiries into the formation process of epic grammars and the political unconsciousness dominant in the Korean contemporary novels, and also tries to revitalize the discussion abo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ovel patterns and gender stereotype. The body in the Whang’s novels is a mirror which records and reflects a dearth and insufficiency of masculinity. It is also a place where the primitive masculinity, an innate nature of man, not a structure of discourse, is inherent. The body proposed in the work as unscathed masculinity is a body in aggregate, which can not be objectified, nor made instrument by others, represents the masculinity as the metaphor of transcendental subjectivity. Besides, being a subject of masculinity as a gendered journey to acquire the masculinity through the separation from the femininity attain eminence in the respect for community and aspiration for the popular man based on the brotherhood. On the other hand, the melodramatic sensibility covers up the falsehood of masculinity as a dominant discourse by appealing to the self-pity and being victimized, and the women are alibis who are trying to hide their nature of prostitution and break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