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권도경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08 선도문화 Vol.4 No.-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being aspects and regional identification of Dokdo Gwangpocheonseol. 1. Dokdo legend 「Hole-rock」 is the text that Korean ‘rolling rock legend’ is localized. The old man who makes the hole rock move, is the person, who the giant god is vulgarized. Generally giant god appears the divinity in the korean legend. Therefore this text is the example that the dominium of the Dokdo is realized literary. 2. The second part is dominium of the Dokdo is realized literary by comparing the Dockdo legend with the japanese legend. The old man, who appears in the japanese legend, corresponds with the old man in Dokdo legend 「Hole-rock」. Then this old man in the japanese legend is the exceptent giant god in the japanese originality. This giant god in the japanese legend is originated in korean legend. In result, this japanese Dokdo legend can make confirmed that the dominium of the Dokdo is in Korea. 본 연구는 독도전설의 존재양상과 특징이 한국전설의 일반적인 유형성 속에 있다는 점을 밝힘으로써 독도의 지역적 정체성을 문학 적으로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1. 「구멍바위」에서 바위를 이동시키는 노인은 산이나 바위와 같 은 거대한 자연지물을 재조정하는 천지창조의 신에 기원을 둔 것으 로, 원래는 천지만물을 창조한 거인신이 속화된 형태라고 할 수 있 다. 노인이 독도의 바위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보여주는 바, 거대 자연지물을 제어하는 압도적인 능력을 상실한 모습은 천지만물을 * 상지대학교 인문사회연구소 객원연구원. 232 仙道文化 제 4 집 창조하고 재조정하는 거인신이 일상화․비속화 되는 파편화된 흔적 을 담고 있는 한국전설의 일반적인 보편성 속에 있다. 한국의 설화 체계 속에서 거인 창조신에 관한 신화는 온전한 모습으로 전하지 않으며, 희화화 된 모습으로 전설화 된 텍스트의 형태로 전한다. 전 설화 된 거인 창조신에 관한 신화는 대부분 지역 전설화 되어 한반 도 각 지역의 지명 전설화 되어 오늘날까지 전승된다. 바위 이동 전설은 이러한 거인 창조신이 지역의 지명유래 전설화 된 예로 볼 수 있는 측면이 있는데, 독도의 바위 이동 전설인 「구멍바위」는 거 대 자연지물을 이동시키는 주체인 신격이 신성성을 상실하고 비속 화 된 양상을 형상화 하고 있다는 점에서 천지 창조신에 대한 신화 가 독도 지역에서 구멍바위라는 지명과 관련하여 지역화․특수화 된 경우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구멍바위」에서 확인되는 독도의 신격에 대한 신앙 관념 해체 양상은 한국의 전설 속에 나타 난 신격의 신성 관념 해체 양상과 동일한 맥락 속에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2. 일본 독도 전설과의 비교를 통한 독도의 지역적 정체성 확인 이다. 잔타이헤이키(殘太平記) 의 권7에 전하는 「죄인원도유형평정 지사(罪人遠島流刑評定之事)」조에 전하는 이야기는 원칙적으로 일 본의 울릉도 전설에 해당하지만 고대의 독도와 울릉도에 존재하는 신앙 관념과 풍속․문화는 고대 한․일 해양 교역의 중간 기착지라 는 보편적 정체성을 공유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독도에 관한 지역적 정체성을 담고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이 전설자료로부터 독 도․울릉도 광역 도서권역에 관한 일본 전설 속의 신격이 일본신화 정체성 속에서는 드문 거인신으로, 「구멍바위」의 노인과 같은 한국 신화의 거인 창조신의 면모에 대응된다는 점을 입증하였다. 이 독 도․울릉도 광역 도서권역에 관한 일본 전설 자료는 일본의 설화 체계가 아닌 한국의 설화 체계 속에 그 원류를 두고 있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일본의 독도․울릉도 광역 도서권역에 대한 설화는 역 독도 광포전설의 존재양상과 그 지역적 정체성․권도경 233 설적으로 한․일 고대 해양 교역사 속에서 중간 기착지로 존재한 독도․울릉도의 광역 도서권역의 지역적 정체성이 한국의 그것 속 에 위치해 있음을 확인시켜 준다고 할 수 있다.
<도화녀(桃花女) 비형랑(鼻荊郞)>에 나타난 도산도목(桃山桃木)·목랑두들(木郞 豆豆里) 신화 수용배경과 진지왕 왕권신화 구조
권도경 한국구비문학회 2014 口碑文學硏究 Vol.0 No.38
본 연구에서는 도화녀와 진지왕의 신이혼으로 탄생한 비형랑의 문신좌정을 진지왕의 왕권 재확인으로 등치시킨 <도화녀 비형랑> 서사체계의 성립배경을 진지왕계 집단의 특수한왕권신화 인식체계 속에서 규명해 보았다. 도화녀 비형랑>의 진지왕·도화녀의 인귀교혼은진지왕계 집단의 특정한 신화관념과 도화녀를 인격상징으로 하는 도목벽사 관념의 습합을신화적으로 상징한다고 할 수 있으며, 이 인귀교혼의 결과 탄생한 비형랑이 여우귀신을 죽여서 문신으로 좌정하는 과정은 진지왕계 집단이 도목문신 관념을 수용하여 왕권신화를 재구성하는 신화구성의 메타 이니시에이션이 된다고 가설을 세울 때 비형랑의 문신좌정이 진지왕의 왕권 재확인으로 등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진지왕계 집단이 지니고 있었던 특수한 시조기원은 소호금천씨다. 진지왕계 집단은 가야 김씨인 모계 혈통의 비정통성을 보완하기 위해 신라 김씨와 가야 김씨를 아우를 수 있는 소호금천씨를 시조기원으로 내세워 기존의 신라 김씨에 의해 확립되어 있던 건국신화 체계를 재편했다. 소호금천씨가 주관한 동방 변경의 신화지리지는 소호금천씨가 직접 주석한 뽕나무산(扶桑山)과 도목문신이 주석한 복숭아나무산(桃都山)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도산에 있는 대도목(大桃木)의 동쪽 가지(東桃枝) 끝을 도목문신(桃木門神)이 지키고 있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도목문신에 관한 신화가 세모(歲暮)의 도목추나 풍속으로 발전하면서 대문에 도목랑을 세우던 것이 도목문신 그림을 붙이는 것으로 전개되었다는 것이다. 진지왕계 집단이 소호금천씨를 기원으로 한 시조관념을 신라 김씨가 당초 갖고 있던 시조계보와 접맥시키고자 하였다면 이처럼 소호금천씨가 주관하던 중국신화의 동방 변경의 지리지를 신라 경주의 그것 속에 재구성해내야 하는데, 사량부의 각각 서쪽 경계와 동쪽 경계에 위치한 선도산과 왕가수가 여기에 부합한다. 사량부는 애초 급량부 나정 숲에 탄강한 박혁거세가 돌산고허촌 촌장 소벌도리에게 발견되어 양육된 뒤 신라 건국조로 등극한 곳이고, 선도산은 시조모 선도산성모가 주석한 곳으로 신라왕실의 도목벽사 관념의 중심지이고,왕가수는 도목벽사의 중심지인 선도산의 동방(東方)에 위치해 있는 신라 왕실의 목신 제사처가 된다. 이러한 진지왕계 집단의 신화지리 관념에 따르자면 선도산의 동쪽에 해당하는왕가수의 위치는 선도산 도목의 동방에 위치한 동도지의 끝이 된다. 이렇게 본다면 왕가의목신을 제사하던 왕가수는 동도지에 위치해 있던 귀문(鬼門)이 되고, 제의대상인 목랑은 도도산의 문신 형상을 도목에 조각하여 대문에 세워두었던 대도인인 도목랑에 대응되게 되는것이다. 이처럼 소호금천씨 시조 기원을 가진 진지왕계 집단의 왕권신화 체계에서 보자면모계 혈통을 선도산을 주석지로 하는 도목벽사 관념과 접목시켜서 탄생시킨 왕자가 도목문신으로 좌정하게 되면 전통적인 신라 건국신화와 소호금천씨 도목신화가 결합되어 정통성이 확보된 새로운 시조신화 체계가 확립되게 된다. <도화녀 비형랑>의 진지왕·도화녀의 인귀교혼은 진지왕계 집단의 시조관념과 선도산을 주석지(主席地)로 한 도목벽사 관념의 습합을 신화적으로 상징한다고 할 수 있으며, 이인귀교혼의 결과 탄생한 비형랑이 서천의 왕가수 언덕에서 여우귀신을 죽여서 문신으로 좌정하는 과정은 진지 ... This study investigated reception background of <Dowhayeo andBihyoungrang>’s narrative system in Jinjiwang group’s special recognitionsystem on royal authority myth. It’s because making a hypothesis thatintermarriage between Jinjiwang and Dowhayeo in <Dowhayeo andBihyoungrang> symbolizes acculturation between a certain Jinjiwang group’smythical concept and peachtree-exorcism that makes Dowhayeo personalsymbol and course Bihyoungrang who was born as the result this intermarriagesits as guardian deity is equal with meta initiation of myth composition thatJinjiwang group receiveed concept on peachtree-guardian deity andreconstructed royal authority myth, Bihyoungrang’s being guardian deity isequal with confirm about Jinjiwang’s royal authority. The person who Jinjiwang group recognized as progenitor isSohokeumchun. Jinjiwang group reorganized Silla myth system that wasestablished by Silla Kims nominating Sohokeumchun as progenitor for makingup for mother blood’s unorthodoxy be born from Gaya. Eastern margin’s mythical geography that Sohokeumchun ruled is consisted of Busangsan whichSohokeumchun sitted directly at and Dodosan which peachtree-guardian deitysitted at. It is peachtree-guardian deity that guards eastern brach’s end of bigpeachtree. As myth about this peachtree-guardian deity progressed toyear-end’s custom exorcism, it is that building peachtree-man followed toattaching picture on peachtree-guardian deity at gate. If Jinjiwang groupattempted to combine concept that Sohokeumchun is progenitor with SillaKims’s progenitor myth, it is necessary that reconstruct eastern margin’smythical geography that Sohokeumchun ruled at Kyungjoo in Silla. Sundosanand Wanggasu which situates each at western and eastern boundary ofSaryangbu accords with this condition. Saryangbu is place whichBakhyuckgusye was made king as Silla’s founder in, Sundosan is not onlyplace which progenitor’s mother was seated in but also center ofpeachtree-exorcism. So, it is that Wanggasu is religious service of Silla royalfamily’s tree god place which situates at eastern end of Sundosan that is centerof peachtree-exorcism. According to this Jinjiwang group’s mythical geographyconcept, it is that Wanggasu’s location corresponding to Sundosan’s easternend is end of peachtree’s eastern branch. Seen in this light, it is that Wanggasuthat did memorial rites to royal familly’s tree god corresponds to ghost’s gatelocated at end of peachtree’s eastern branch, tree-man corresponds to bigpeachtree-man that carved Dodosan’s gate guardian on peachtree and was builtat gate. Like this, if prince who made a birth to combine maternal renegewith peachtree-exorcism that makes Sundosan main tranmission place take aseat as peachtree god, it is tht a new Silla myth affiliated with Jinjiwang whomakes Sohokeumchun a progenitor is established. There it is that intermarriage between Jinjiwang and Dowhayeo in <Dowhayeo and Bihyoungrang> symbolizes mythical combination Jinjiwanggroup’s progenitor concept and peachtree-exorcism that makes Sundosan maintranmission place, and course which Bihyoungrang who was born as the resultof this intermarriage takes a seat as gate god by killing foxy ghost atWanggasu’s western slop is meta initiation of myth composition that Jinjiwanggroup accepted concept on peachtree-god of Sohokeumchuns’s myth andreconstructed Jinjiwang’s royal authority myth.
권도경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10 선도문화 Vol.9 No.-
This study attempted to restructure a demention of Soseono’s historical truth and status being before Goguryo history and mythology was come into exsistence around Jumong. What this paper investigated concretly is two point like the flowing. The first is a truth of political relationship Soseono between Jumong and the aspect of her political actions by this. It seems that Soseono seeked for a new development of Jolbon-Buyu by constituting political union with Jumong, leader of a group from Buyu. This Union with Jumong was situated in extention of political action progressed after solidarity with Yuntabal being father and king of Jolbon-Buyu, Utae being first husband and leader moving from North-Buyu, one by one. The second is polical-sociological background why the union between Soseno and Jumong was dissolved and her group was drived out. It seems that he union between Soseno and Jumong was dissolved as Jumong banded together with Yuri group being a new imigrant group. As union between Jumong and Yuri came to power of the early part of Goguyo, in conjunction with toppling Soseono group and excluding Soseono from the early part of Goguyo progressed. 본 연구는 주몽 중심의 고구려 건국 역사 및 신화의 성립 이전에존재했던 소서노의 역사적 실체와 위상의 한 단면을 재구해 보고자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체적으로 규명한 부분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문제이다. 첫 번째는 소서노가 주몽과 맺고 있었던 정치적인 관계의 실상과이를 매개로 한 정치적인 활동의 양상이다. 소서노는 부여계 이주집단의 수장인 주몽과 정치적인 연합을 구성함으로써 졸본부여의 새로운 발전을 모색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주몽과의 연합은 졸본부여의 왕이자 아버지인 연타발, 북부여계 이주집단의 수장이자 첫 남편인 우태와의 연대에 이어 진행된 정치적 활동의 연장선이었다고할 수 있다. 연합과 역사적 활동의 실상이 떠오르게 된다. 두 번째는 소서노와 주몽의 연합이 해체되고 소서노 집단이 축출되기까지의 정치사회적 배경이다. 소서노ㆍ주몽 연합은 주몽이 새로운 이주 집단인 유리 집단과 정치적인 연대를 구성하게 됨에 따라해체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주몽ㆍ유리의 연합이 초기 고구려의 기득권을 장악하게 됨에 따라 소서노 집단의 축출과 함께 초기 고구려역사와 신화의 소서노 배제가 함께 진행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한성백제문화제의 한성백제신화 재매개화 스토리두잉 시스템 분석과 리모델링 스토리두잉의 학술적 입안점 제안
권도경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인문논총 Vol.76 No.4
This paper is an analysis on the reparametrization storydoing system of the <Hanseong Baekje Myth> for the academic planning design of the <Hanseong Baekje Cultural Festival> remodeling. This study follows two directions. Firstly, this study analyzes the reparametrization storydoing system of the <Hanseong Baekje Myth> in the <Hanseong Baekje Cultural Festival> from two approaches: 1) examining the reparametrization storydoing zone of the <Hanseong Baekje Foundation Myth>; 2) by examining the reparametrization storydoing zone of the <Hanseong Baekje Royal Authority Myth>. Secondly, this study considers the academical points of the <Hanseong Baekje Cultural Festival> remodeling for the development of new tourist interest. Three points are illuminated: 1) the mythical prototypicality and historical reality of the classical narrative prototype and original text of <Hanseong Baekje Myth>; 2) the structural completion that facilitates the reparametrization of the <Hanseong Baekje Myth> to the <Hanseong Baekje Cultural Festival>; 3) identification of the reparametrization storydoing system of the <Hanseong Baekje Myth>. This study will lead to the next concrete remodeling planning of the preexisting storydoing system of <Hanseong Baekje Cultural Festival> for the development of new tourist interest. This study will provide the basis for that future study. 본 연구는 <한성백제문화제>는 웅진⋅사비백제를 모두 아우를 수있는 동명왕 제의로부터 시작하는 게 아니라 한성백제에만 한정되는온조왕 제의로부터 축제가 시작되어야 하며, 이후의 연쇄적인 체험존들에서 이루어지는 스토리두잉 또한 현행의 백제왕비선발대회, 백제왕행군식, 백제마을체험, 백제먹거리체험 등 공주와 부여의 <부여공주백제문화제>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 한성⋅웅진⋅사비백제 보편의백제문화를 재매개화 한 것에서 탈피되어야만 한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했다. 서울의 특수한 지리적 경계를 배경으로 한 한성백제의 신화적 공간성을 <한성백제문화제>의 스토리두잉화 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며, 이러한 <한성백제문화제>의 새로운 스토리두잉 결과물은 현행의 <부여공주백제문화제>의 그것과 차별성이 인정될 수 있어야만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두 가지방향에서 진행되었다. 첫 번째는 현행 <한성백제문화제>에 나타난 <한성백제신화>의 공간적 구현양상과 스토리두잉 시스템을 <한성백제건국신화> 재매개화 스토리두잉 체험존과 <한성백제왕권신화> 재매개화스토리두잉 체험존으로 크게 양분하여 분석했다. 두 번째는 새로운 관객 개발 및 확충을 위해 현행 <한성백제문화제>의 <한성백제문화제> 재매개화 리모델링 스토리두잉 입안점을 제시했다. <한성백제신화> 고전서사원형의 신화적 원형성과 역사적 사실성의 연계성 문제, 고전서사원형이 되는 <한성백제신화>를 <한성백제문화제>화 하는 스토리두잉 구조상의 완결성 문제, <한성백제생활문화담> 재매개화 스토리두잉의 정체성 문제 등의 세 가지 차원으로 정리하여 <한성백제문화제> 리모델링 스토리두잉을 위한 입안점을 제안했다. 본 연구는 <한성백제건국신화>의 관객 확충을 위해 기존 스토리두잉 시스템을 리모델링 할 기획 디자인 연구로 이어질 것이다. 앞으로의후속연구에서는 <한성백제건국신화>의 특수한 신화적 콘텍스트와 상상력을 한성백제의 지리적 경계인 서울 도시 공간을 중심 센터로 하여스토리두잉을 리모델링 하는 디자인이 진행될 것이다. 본 연구는 이 후속 연구 진행을 위한 이론적 기반이 된다.
권도경 한국중국소설학회 2004 中國小說論叢 Vol.19 No.-
This paper is a genre convention and a hero-novelistic character of 「Seol-wuol-mae-chon」. 「Seol-wuol-mae-chon」 have a wit and a beauty-novelistic character in the point that a wit and a beauty appear as a main acter. But 「Seol-wuol-mae-chon」 is the work over the boundry of a wit and a beauty-novel. Because around the hero's achievement, love between hero and heroin is added. 「Seol-wuol-mae-chon」 is just exactly a heroic novel. A nothworthy point is what 「Seol-wuol-mae-chon」 is created in the end of the highlight of a wit and a beauty-novel genre. As this 「Seol-wuol-mae-chon」 could overcom the articulation of the heroic novel.
중국 문화와 지역학 연구 성과물 집적 동향 - 문화연구를 중심으로
권도경 한국중국어문학회 2018 中國文學 Vol.95 No.-
본 연구는 중국의 최근 10년간의 문화연구 현황을 정리한 것으로, 베이징, 상하이 및 기타 지역의 주요 문화연구센터와 연구자들을 소개하고, 그들의 연구 성과물을 정리, 분석했다. 문 화연구의 주요 연구자인 다이진화, 왕샤오밍, 타오둥펑 및 청년 학자들의 연구 성과를 통해 현재 중국의 문화연구의 범위와 주제가 확대되고 다양해졌음을 알 수 있다. 문화연구의 연구 방법과 문화연구자를 양성하는 방식은 국내 중어중문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새로운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권도경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2 민족문화연구 Vol.36 No.-
「빙허자방화록」은 사족남성이 중인여성의 정조를 의심하고 다른 여성을 따르는 배신에 의해서 파탄을 맞고 있다는 점에서 전대 전기소설의 애정 갈등과는 다른 양상을 보여준다. 신분의 차이, 방해자형 인물, 전란 모티프등 전대 전기소설의 외적 장애요인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이 변함없이 출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빙허자방화록」에서 애정비극은 이러한 외적 요인이 아니라 애정 당사자인 남성의 배신에 의해 직접적으로 초래된다. 「빙허자방화록」의 애정비극은 남녀 주인공 간의 변치않는 절의가 운명적인 외부 장애에 의해서 초래되었던 전대 작품과는 달리 상대에 대한 신의를 준수하지 못하는 당사자의 변심에 의해서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빙허자방화록」의 비극은 애정에 대한 남녀 주인공 간의 상이한 입장차이에 의해서 발생되며, 갈등이 본격화 되기 전부터 의사소통의 어긋남과 와해 양상을 통해 표명화 되고 있다. 「Bing-hu-ja-bang-wha-rok」 is different from the love motive of the former work as the gentry suspect the middle class woman and love the other woman. The tragedy of 「Bing-hu-ja-bang-wha-rok」 isn't bringed about these external cause but the man's betrayal althought the external obstacle appeares without change like the class struggle, disturing character and war motive. This tragedy of 「Bing-hu-ja-bang-wha-rok」 is resulted from the different position about love and appeares as the collapse of communication before love struggle is becomed serious. But the author's sight of 「Bing-hu-ja-bang-wha-rok」 is the male-centered as the meaning of the man's betrayal isn't reflected critically but ended in the rationalization. The gist on the change of mind in Love-Romances in the latter age of Chosun is different from the main idea on immortal love in the sense of value because love is not decided by deology.
『오옥기담(五玉奇談)』의 애정전기소설 양식적 규정과 20세기 초 애정전기소설사의 향방
권도경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0 민족문화연구 Vol.86 No.-
This paper intended to investigate that the love romance was continued until the early 20th century in the accordance with the epochal change of the early 20th century. Until now, the early 20th century’s love romance hasn’t be studied. The history of research on the love romance was ended in the 18⋅19th, til recently. This study realized the aim of this paper through the narrative change and the consciousness of the times. The contents of this study is largely classified to two parts. The first part is that O-ok-ki-dam is not the new-style novel of the retro theme and the old-fashioned style or the edited version of the five enlightening-korean short classical novel, but the results of the love romance history’s subjective change to intend to narratively agree with the early 20th century’s epochal issue, in the stylistic tradition of the love romance. The second part is that the love romance history still carried the flow to agree with the literary calling of fictional concordance to the changes of the times since the 18⋅19th. 본 연구는 선행연구사에서 18⋅9세기까지 지속된 역사적 양식으로 논의되어온 애정전기소설이 20세기 초엽의 시대사적 변화에 조응하는 가운데 지속되었다는 사실을 서사적 전변과 시대의식을 통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오옥기담 소재 <금잠가연>⋅<변씨열행>⋅<선분기담>⋅<취란방기>⋅<청루의녀>가 단순한 복고적 주제와 구투의 문체로 된 신소설 혹은 다섯 편의 계몽적 단편국문고소설을 묶은 편집본이 아니라 애정전기소설의 양식적 전통 속에서 개화기라는 20세기 초엽의 국가적 이슈에 서사적으로 대응해나가고자 한 애정전기소설사의 주체적인 전변 결과물이라는 사실을 입증하고자 하였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애정전기소설사가 18⋅9세기 이후에도 시대적 변화에 대한 허구적인 응전이라는 문학적 소명에 부응하고자 하는 흐름을 여전히 이어가고 있었다는 사실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목적은 구체적으로 크게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향에서 실현되었다. 첫 번째는 오옥기담 소재 <금잠가연>⋅<변씨열행>⋅<선분기담>⋅<취란방기>⋅<청루의녀>의 애정전기소설 양식적 규정이다. 오옥기담 소재 다섯 편 텍스트가 애정전기소설의 보편적인 양식에 부합하는 작품이면서도 이전 시기 애정전기소설 텍스트들에서 찾아볼 수 없는 특수성을 구현한 독창적인 작품이라는 사실을 입증하고, 『오옥기담』 소재 다섯 편 텍스트의 애정전기소설 양식적 특수성이 지니는 애정전기소설 통시사적인 의미를 규명하였다. 두 번째는 『오옥기담』 소재 다섯 편 텍스트에서 도출해낸 애정전기소설 양식적 미학의 전변 국면이 지니는 시대사적 의의이다. 『오옥기담』 소재 다섯 편의 텍스트들에서 도출한 애정전기소설 양식적 전변 국면이 20세기 초엽의 변화된 시대의식 및 환경세계와의 조응을 통해 이루어진 결과물이라는 사실을 전제로 한다. 즉, 『오옥기담』 이 <금잠가연>⋅<변씨열행>⋅<선분기담>⋅<취란방기>⋅<청루의녀>라는 다섯 편의 텍스트를 특별히 선택하여 편집한 데에는 편집자의 특별한 편집의도가 내재해 있다고 할 수 있는 바, 『오옥기담』 편집자의 편집의도를 20세기 초엽의 시대의식 및 시대배경 속에서 규명해낼 수 있었다.
서울 <한성백제신화>의 VR·AR·MR 테마파크 스토리두잉(Storydoing) 방법론과 기획 디자인 전략
권도경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2019 탈경계인문학 Vol.12 No.2
본 연구는 국문학의 차원에서 4차산업혁명시대를 준비하기 위한 장르적인 각론으로, 한국설화를 오리지널 프로토타입(original prototype)과 오리지널 텍스트(original text)로 한 관광문화콘텐츠 스토리두잉(storydoing) 기획을 디자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가 관광문화콘텐츠의 오리지널 텍스트·프로토타입으로 삼은 것은 서울의 대표적인 지역설화(local folktale)이자 한국의 대표적인 고대신화인 <한성백제신화>이다. <한성백제신화>를 오리지널 텍스트와 오리지널 프로토타입으로 하여 디자인하고자 하는 관광문화콘텐츠는 고정형 구조물로 축조되는 테마파크이다. 롯데월드·어린이대공원 등 대표적인 서울의 테마파크콘텐츠와 차별화되는 입점을 확보하는 동시에 서구설화를 오리지널 텍스트·프로토타입으로 한 글로벌 콘텐츠인 디즈니랜드에 대응되는 선도적인 파급력을 갖추기 위해 가상현실(VR)·증강현실(AR)·혼합현실(MR) 등의 4차산업 혁명기술을 오리지널 텍스트 프로토타입인 <한성백제신화>를 테마파크콘텐츠로 재매개화(reparametrization)하기 위한 매체로 활용한다. 2000년대부터 2010년대 초·중반기를 대표했던 디지털매체콘텐츠를 뒤이을 차세대 주력 콘텐츠인 이른바 4차 산업혁명 기술매체 콘텐츠가 된다고 할 수 있는 것으로, VR·AR·MR 매체로 재매개화 되는 신화테마파크가 된다고 할 수 있다. 이른바 VR·AR·MR 체험형 <한성백제신화> 테마파크다. 이 VR·AR·MR 테마파크는 오리지널 텍스트·프로토타입이 되는 <한성백제신화>가 서울의 대표적인 지역설화이자 한국고대사의 핵심적인 건국신화 중의 하나라는 점에서, 서울이란 지역 공간을 스토리두잉이 이루어지는 스토리체험공간으로 하는 서울 지역관광문화콘텐츠이되 해당 스토리체험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스토리체험이 한국고대사의 중요 지점을 현재화한 한국관광문화콘텐츠라는 중의성을 지니게 된다. This article is the genesis of a discussion to prepare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ary Age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literature. The aim is to design a plan of tourism cultural contents to make the Korean folk tale, the <Hansung Baekje myth>, the original text and prototype. The myth is not only Seoul‘s representative folktale but also an ancient Korean representative myth. The tourism cultural contents to make the Korean folktale the original text and prototype is a theme park <tema park> based on a fixed structure. This article uses technology such as Virtual Reality (VR), Augmented Reality (AR) and MixedReality (MR) to reparametrize the <Hansung Baekje myth> into a theme p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