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꽃축제를 활용한 관광자원 개발 가능성 고찰

        이장철,안병주,이동수 한국문화산업학회 2017 문화산업연구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불꽃축제 유료화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함으로써 부산불꽃축제를 활용한 관광자원 개발의 가능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방법은 (사)부산문화관광축제조직위원회의 관련 자료와 부산불꽃축제 유료화에 대한 언론 보도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현재 부산불꽃축제의 만족도는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내국인 보다 타 지역에서 축제를 관람하기 위하여 참여하는 관광객의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부산불꽃축제의 유료화를 안착시키고, 관광자원으로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서는 축제 제반 환경을 개선시키고, 유료화 티켓 구매 절차와 비용에 대한 대응책 마련을 통해 향후 재참여를 촉진하고, 구전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마케팅을 통하여 관광자원으로 적극 개발하여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atisfaction rate of ticketed Busan Fireworks Festival, and study the possibility of tourism resource development utilizing Busan Fireworks Festival. The research of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nalyzing the data related to Busan Culture & Tourism Festival Organizing Committee and the press release data on the ticketed Busan Fireworks Festival. The conclusion we can draw from these results is that, the overall satisfaction of Busan Fireworks Festival was relatively higher among those visiting from outside of Busan city than the local Busan citizens. Therefore, in order to establish ticketing system and actively develop the festival as one of tourism resources, it is necessary to improve overall environment of the festival, promote re-participation of the people by developing more efficient ticket buying procedures, prepare countermeasures for charges, and develop marketing strategies to maximize word-of-mouth effect.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불꽃축제 유료화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함으로써 부산불꽃축제를 활용한 관광자원 개발의 가능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방법은 (사)부산문화관광축제조직위원회의 관련 자료와 부산불꽃축제 유료화에 대한 언론 보도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현재 부산불꽃축제의 만족도는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내국인 보다 타 지역에서 축제를 관람하기 위하여 참여하는 관광객의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부산불꽃축제의 유료화를 안착시키고, 관광자원으로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서는 축제 제반 환경을 개선시키고, 유료화 티켓 구매 절차와 비용에 대한 대응책 마련을 통해 향후 재참여를 촉진하고, 구전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마케팅을 통하여 관광자원으로 적극 개발하여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atisfaction rate of ticketed Busan Fireworks Festival, and study the possibility of tourism resource development utilizing Busan Fireworks Festival. The research of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nalyzing the data related to Busan Culture & Tourism Festival Organizing Committee and the press release data on the ticketed Busan Fireworks Festival. The conclusion we can draw from these results is that, the overall satisfaction of Busan Fireworks Festival was relatively higher among those visiting from outside of Busan city than the local Busan citizens. Therefore, in order to establish ticketing system and actively develop the festival as one of tourism resources, it is necessary to improve overall environment of the festival, promote re-participation of the people by developing more efficient ticket buying procedures, prepare countermeasures for charges, and develop marketing strategies to maximize word-of-mouth effect.

      • KCI등재

        친환경적 국내 꽃축제 개최방안 연구 -관광산업 목적을 중심으로-

        우미나,손수연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23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49 No.-

        Local festivals in Korea achieved rapid quantitative growth due to the influence of the local autonomy system in 1995. There are 1,129 local festivals in Korea that have been held or are scheduled to be held in 2023, of which 173 are flower-themed festivals, accounting for about 15% of all local festivals. In the case of the domestic flower festival “Jinhae Gunhangje Festival,” which was held in 2023 as regulations caused by COVID-19 were eased, 4.5 million visitors visited for 10 days. As such, the local flower festival for the purpose of the tourism industry is attracting many visitors and is expected to be activated in the future. Despite this positive trend, the currently held flower festival is vulnerable to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carbon and waste, so there is a limit to becoming a future-oriented festival. Although the flower festival organizers did not disclose specific figures on this, considering the number of visitors, it is expected that a large amount of trash and carbon were emitted. From this point of view, most domestic flower festivals are insensitive to environmental problems that abuse disposable produ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possibility of a flower festival where humans and nature coexist through an eco-friendly approach. First, the function and value of plants were foun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using domestic books, academic research, and statistical data. In addition, statistics on festival waste emissions monitored by some flower festival operating institutions and associations were used. At this time, the scope of the study was limited to Korean flower festivals, and as an example for eco-friendly flower festivals, we focused on two overseas flower festivals and flower festivals held in Suncheonman Bay in Korea. Despite the increase in visitors and social interest, the domestic flower festival currently being held lacks many eco-friendly elements. In the case of flower festivals that welcome a large number of visitors in nature, it is thought that eco-friendly awareness will be more strongly required. However, both organizers and visitors currently recognize participation in the flower festival as part of entertainment and do not make environmental approaches or efforts in this regard. In order to hold an eco-friendly flower festival, two aspects are required: first, developing programs related to the flower festival, and second, changing the perception of the festival organizers and visitors. Flower festival programs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practical programs to increase green areas and improve the environment, and educational programs to raise awareness of flower festivals. I think practical programs that realize carbon reduction and green space increase can develop flower festivals in an eco-friendly direction. However, the fact that most host local governments and institutions that hold flower festivals do not show quantitative indicators of carbon emissions and waste is something that needs to be improved. It was also found that many visitors perceive the flower festival as simply an object of leisure. It is the trend of the times related to the natural environment that the environment should not be negatively affected for human play. In order for the flower festival to develop into a sustainable form of content that leads to future generations, it is judged that changes in perception through practical action and education are necessary. At a time when interest and importance in the environment are emerging around the world, I think it is time for interest in holding an environmentally friendly flower festival suitable for it to continue. 우리나라의 지역축제는 1995년 실시된 지방자치제의 영향으로 급속한 양적 성장을 이루었다. 2023년 개최했거나예정인 국내 지역축제는 1,129개이며, 이 중 꽃을 주제로 하는 축제는 173개로 전체 지역축제의 약 15%를 차지하고 있다. 2023년 코로나19로 인한 규제가 완화되면서 개최된 국내 꽃축제 <진해군항제>의 경우 10일간 450만 명의방문객이 다녀간 것으로 집계되었다. 이처럼 관광산업 목적의 지역 꽃축제는 많은 관람객을 유치하고 있으며 향후에도 활성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긍정적 흐름에도 불구하고 현재 개최되는 꽃축제는 발생하는 탄소와 쓰레기등 환경 문제에 취약해 미래지향적 축제가 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꽃축제 주최 측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수치를 공개하지 않았지만, 방문객의 수로 미루어볼 때 다량의 쓰레기와 탄소가 배출되었을 것으로 예측된다. 이 같은 관점에서 대부분의 국내 꽃축제는 일회용품을 남용하는 환경 문제에 둔감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연구는 친환경적 접근을 통해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꽃축제의 가능성을 찾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먼저 국내단행본과 학술연구, 통계자료 등을 이용한 문헌 연구를 통해 식물의 기능과 가치를 찾아보았다. 또한 일부 꽃축제운영 기관 및 협회가 모니터링 한 축제 쓰레기 배출량 통계자료를 사용하였다. 이때 연구 대상의 범위는 한국의 꽃축제로 한정하였으며, 친환경 꽃축제를 위한 사례로 해외의 두 가지 꽃축제와 국내의 순천만에서 개최되는 꽃축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현재 개최 중인 국내 꽃축제는 방문객의 증가와 사회적인 관심에도 불구하고 친환경적인요소가 많이 결여된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 속에서 다수의 방문객을 맞이하는 꽃축제의 경우 친환경적 인식이 더강하게 요구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현재 주최 측이나 방문객 양측 모두 꽃축제 참여를 오락의 일부로 인식할뿐 이와 관련한 환경적인 접근이나 노력은 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됐다. 친환경 꽃축제 개최를 위해서는 첫째, 꽃축제 관련 프로그램 개발과 둘째, 축제 주최 측과 방문객의 인식변화 두 가지 측면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꽃축제프로그램은 녹지 증가와 환경 개선을 위한 실천적 프로그램과 꽃축제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는 교육적인 프로그램두 가지로 나눠 볼 수 있다. 탄소 저감과 녹지 증가를 실현하는 실천적 프로그램은 친환경적인 방향으로 꽃축제를발전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꽃축제를 개최하는 대부분의 주최 지자체나 기관 등에서 탄소배출과 쓰레기의 정량적인 지표를 보여주지 않는 것은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다. 또한 많은 방문객이 꽃축제를 단순히 여가의 대상으로 인식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인간의 유희를 위해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 자연환경과 관련된 시대적 흐름이다. 꽃축제가 미래세대로 이어지는 지속 가능한 형태의 콘텐츠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실천적 행동과 교육에 따른 인식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한다. 전 세계적으로 환경에 관한 관심과 중요성이 대두되는상황에서 그에 적합한 환경친화적 꽃축제 개최에 관한 관심이 계속되어야 할 시점이라 생각한다.

      • 지역축제의 방문동기가 만족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의성산수유꽃축제 서포터즈 중심으로 -

        이재만 한국관광서비스학회 2016 관광서비스연구 Vol.14 No.1

        지역축제를 운영시 자원봉사자의 역할과 서포터즈의 역할을 파악하여 다양한 계층에 공유할 수 있도록 축제 분위기를 만들어가는 역할에 서포터즈의 필요성을 가지게되었다. On-Off line에서 활동하는 서포터즈의 역할이 지역축제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를 바탕으로 2016년3월26일부터4월 4일까지 9일간 자연과 어울어진 산수유를 가지고 축제로 진행한 의성산수유꽃축제를 통해서 지역축제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이고 또 현재 진행되고 있는 지역축제 서포터즈에 대해 관심도를 가져보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라 사료되어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것은 지역축제 참여 계층을 다양하게 확대하는 과정에서 서포터즈의역할인 sns홍보, 축제참여홍보, 지역간 서포터즈 교류를 통하여 지역축제서포터즈의 역할이얼마나 중요한 가에 대한 의미를 가져오고 왔다. 의성산수유꽃축제에서 나타난 것은 지역축제를 방문하는 서포터즈의 역할이 지역간 교류역할, 지역문화체험, 지역정보습득에 영향을미치고 있다. 또한 의성산수유축제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 것은 지역간 교류서포터즈의 역할이 방문동기에 따라 영향을 미친다는 것과 지역주민의 만족감을 가져오는데 높은 영향을 미치고 재방문의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역축제 서포터즈에 대한 방향이 온, 오프라인을 통하여 다양한 형태의 지역축제 서포터즈를 운영함으로써 지역축제 서포터즈의 역할이 지역축제를 활성화 시키는 하나의 방향이 될 수 있고 지역간 교류 증대확대와 지역축제 서포터즈의 역할을 통해 체험프로그램 다양성을 운영함으로써 축제장을 찾아오는 방문객의 만족을 높이고 재방문의도를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점이다

      • KCI등재

        박람회 ESG 활동이 축제 방문객의 만족도, 신뢰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고양국제꽃박람회를 중심으로 -

        김경민,윤영혜 한국무역전시학회 2024 무역전시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2023년 고양국제꽃박람회를 사례로 삼아, 지역축제 방문객들에게 미치는 ESG 활동의 영향을 조사하고자 한다. 만족도, 행동 의도, 신뢰도 등을 중심으로 지역축제의 ESG 활동이 축제 방문객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 MICE 산업에서의 ESG 경영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해서 실증분석을 2023년 4월 28일부터 6월 21일까지 약 7주간 실시하였으며, 조사대상은 고양국제꽃박람회를 대상지로 하여 축제를 방문한 방문객들로 설정하였다. 설문지는 총 2,500부를 배포하여 회수하였고, 총 1,838부가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실증분석을 위해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변수 간 상호작용을 조사하고 각 변수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연구 모델을 설계하고, 이를 토대로 가설을 세워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모든 가설이 유의하게 결과가 나타남으로써 지역축제의 ESG 활동은 방문객의 만족도, 신뢰도 및 행동의도에 영향을 끼치는 걸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국내 관광·MICE 산업의 주요 이해관계자들이 ESG 경영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지속가능한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In light of global challenges like COVID-19 and climate change, there is a growing emphasis on ESG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management in the corporate sector. This trend is evident in South Korea, where the government and the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are intensifying efforts towards ESG, particularly in the MICE industry, where local governments and corporations are actively developing and implementing ESG guidelin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ESG activities at the 2023 Goyang International Flower Expo on festival visitors. The focus is on how ESG activities of local festivals impact visitor satisfaction, behavioral intentions, and trust, highlighting the significance of ESG management in the MICE industry and offering relevant insights. The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over approximately seven weeks, from April 28 to June 21, 2023. Visitors to the Goyang International Flower Expo we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From the 2,500 questionnaires distributed, 1,838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The study involved developing a research model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ous variables and setting hypotheses for empirical testing. These significant findings across all hypotheses confirm the effect of ESG activities at local festivals on visitors' satisfaction, trustworthiness, and behavioral intentions. The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essential data for stakeholders in Korea's tourism and MICE industries, underlining the importance of ESG management and guiding sustainable practices.

      • KCI등재

        우리나라 억새와 갈대관련 지역축제의 콘텐츠 특성 비교 -영남알프스 억새축제, 명성산 억새꽃축제, 순천만 갈대축제-

        황사연 ( Hwang Sa Youn ),최화열 ( Choi Hwa Yeol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6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6 No.4

        본 연구는 우리나라 가을철 억새와 갈대관련 3개 지역축제를 소개하고 각 축제를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비교의 준거점은 공연, 체험, 전시 프로그램 유무와 축제콘텐츠의 다양성이다. 축제의 구성요소로서 각 축제는 개최의 주기성, 프로그램의 복합성, 개최목적의 공공성, 참여의 개방성 등을 구성요소로 가지고 있지만 축제의 규모나 주최의 차원에서 콘텐츠에서 다소 차이가 있다. 본 연구는 각 축제를 비교하여 시사점을 제시한다. 첫째, 영남알프스억새축제는 보다 많은 공연, 체험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전국적인 축제로 발돋움해야 하고, 둘째, 명성산 억새꽃축제는 긴 축제기간의 이점을 활용하여 수도권 시민이 일탈을 위해 즐겨 찾는 수도권 국민산악축제로서 방향이 필요하다. 셋째, 순천만 갈대축제는 축제기간을 늘려 관광객의 분산을 유도해야 할 것이다. 축제가 일회성, 국지적인 축제를 벗어나기 위해서는 지자체 지원도 중요하지만 관광객이 장소에서 체험할 수 있는 축제콘텐츠나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ree local festivals related to the autumn Eulalia and Reeds-related festival in Korea and to compare each festival. The reference point of comparison is performance, experience, existence of exhibition program and diversity of festival contents. As a component of the festival, each festival has components such as the periodicity of the event, the complexity of the program, the publicness of the purpose of the event, and the openness of participation, but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in contents from the level of the festival or the sponsor. This study compares the festivals and suggests implications. First, Yeongnam Alps Eulalia Festival should be a nationwide festival by introducing more performances and experience programs. Second, Mt. Myeongseongsan Eulalia Festival, taking advantage of the long festival period, is necessary for the citizens of the metropolitan area to enjoy the festival as a national mountain festival. Third, Suncheon Bay Reed Festival should induce diversification of tourists by increasing festival period. In order for festivals to escape from one-time, local festivals, it is important that local government sponsorship be provided, but tourists should be provided with festival contents or programs to experience holding places.

      • KCI등재

        참여 동기에 따른 축제 방문객의 시장세분화에 관한 연구 - 2010 대관령겨울눈꽃축제 중심으로 -

        김영표,윤태환 한국자료분석학회 201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2 No.4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ajor motivation factors in Daegwallyeong Snow Festival. For this, market segmentation analysis was considered as the best method to analyze the market. Frequency and descriptive analysis were applied to get the profile of the respondents, 23 motivation factors were used for factor analysis and then reliability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hierarchical cluster and K-mean analysis, the market segmentations were achieved. In result six major tourism motivations for Daegwallyeong Snow Festival were draw: family affinity, escape from daily life, sociability, mystics, festival entertainment, and connected tourism. In cluster analysis the major marke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 compositive value-oriented(n=70, 25%), family value-oriented (n=132, 48%), simple participation(n=73, 27%). In result the suggestions for tourism development were made.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겨울축제인 대관령겨울눈꽃축제의 방문객을 대상으로 축제방문요인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이를 다시 군집세분화하여 각 세분시장이 가진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빈도분석 및 기술 분석을 통해 응답자의 프로파일을 살펴보았고, 다음 단계로 측정된 23개의 동기항목들에 대한 자료를 가지고 요인분석을 통해 동기요인을 밝혔으며 도출된 동기요인은 신뢰계수(Cronbach alpha)를 이용하여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도출된 동기요인을 가지고 계층적 군집분석과(hierarchical cluster) 과 비계층적 K_Mean 군집분석을 수행하여 집단의 수를 세분화하고 집단 간 축제참여 동기요인에 대하여 차이가 있는 지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대관령겨울눈꽃축제 방문객들의 축제참여동기로 가족친화성, 일상탈출, 사교성, 신비성, 축제유희성, 연계관광 등 6개 요인이 추출되었고 이를 군집 분석한 결과. 복합가치추구형(n=70, 25%), 가족가치추구형(n=132, 48%), 단순참여형(n=73, 27%) 등 3개의 주요 집단으로 세분화 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에서는 도출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차별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 축제와 일반농가민박을 이용한 지역활성화 방안 : 의성 산수유꽃축제와 프랑스지트 도입을 중심으로

        신오식,박문규,조광식,주현진,MILHAUD Marianne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5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1

        축제와 민박을 연계하여 농촌 활성화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하여 프랑스와 유럽의 사례를 비교, 연구하며 도출한 결과는, 지금까지 경제도약을 위하여 우리 사회가 조금은 등한시한 친환경, 미화, 여성, 다문화, 슬로라이프, 개성 등의 가치에 좀 더 진지한 의미를 부여하고 이를 근거로 일반농가민박을 성공적으로 활성화하여 도시민을 농촌으로 초대하는 것이다. 환경용량제를 도입하여 군 지역 전체를 청정 농촌으로 바꾸고, 고택만이 아니라 농민들이 거주하고 있는 농가와 주변을 아름답게 손질하여 정성이 담긴 농가음식을 함께 나누는 것이 도시민들의 감성을 자극하는 지름길이 될 것이다. 이러한 역할을 주도적으로 담당할 여성들에게는 마땅히 합당한 처우를 해야 할 것이며 미래의 세대교체에 일익을 담당할 다문화 가정의 이주여성들에게는 그들만의 공간을 제공하여 새로운 융합다문화 시대를 여는데 동참시켜야 할 것이다. 지역사회에 남아 있는 5일장과 같은 무형문화재의 보존과 달구지 활성화와 같은 슬로시티의 구체적인 실천을 함으로써 지나가는 도시민의 발걸음을 멈추게 하고, 농가민박 활성화가 농촌 사회의 고용문제 해결로 이어질 수 있다는 신념을 가지고 민박사업에 대한 전문가적 자질을 갖추도록 노력을 경주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활성화 사업에 있어서 각기 다른 농가의 사정에 적합한 행정관청의 맞춤형지원이 뒤따른다면 이는 분명, 농촌 사회의 새로운 도약에 윤활유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축제와 일반농가민박을 이용한 지역활성화 방안 -의성 산수유꽃축제와 프랑스지트 도입을 중심으로-

        신오식 ( O Sik Shin ),박문규 ( Moon Kyou Park ),조광식 ( Kwang Shik Cho ),주현진 ( Hyoun Jin Ju ),( Milhaud Marianne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학연구 Vol.52 No.2

        축제와 민박을 연계하여 농촌 활성화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하여 프랑스와 유럽의 사례를 비교, 연구하며 도출한 결과는, 지금까지 경제도약을 위하여 우리 사회가 조금은 등한시한 친환경, 미화, 여성, 다문화, 슬로라이프, 개성 등의 가치에 좀 더 진지한 의미를 부여하고 이를 근거로 일반농가민박을 성공적으로 활성화하여 도시민을 농촌으로 초대하는 것이다. 환경용량제를 도입하여 군 지역 전체를 청정 농촌으로 바꾸고, 고택만이 아니라 농민들이 거주하고 있는 농가와 주변을 아름답게 손질하여 정성이 담긴 농가음식을 함께 나누는 것이 도시민들의 감성을 자극하는 지름길이 될 것이다. 이러한 역할을 주도적으로 담당할 여성들에게는 마땅히 합당한 처우를 해야 할 것이며 미래의 세대교체에 일익을 담당할 다문화 가정의 이주여성들에게는 그들만의 공간을 제공하여 새로운 융합다문화 시대를 여는데 동참시켜야 할 것이다. 지역 사회에 남아 있는 5일장과 같은 무형문화재의 보존과 달구지 활성화와 같은 슬로시티 실천으로 지나가는 도시민의 발걸음을 멈추게 해야 할 필요가 있고, 농가민박 활성화가 농촌 사회의 고용문제 해결로 이어질 수 있다는 신념을 가지고 민박사업에 대한 전문가적 자질을 갖추도록 노력을 경주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활성화 사업에 있어서 각기 다른 농가의 사정에 적합한 행정관청의 맞춤형지원이 뒤따른다면 분명, 농촌 사회의 새로운 도약에 윤활유가 될 것이다. After analyzing the Sansuyu Flower Festival and Farmstay of the Uiseong region by comparing with examples of France and Europe, we got some suggestions contributive to their improvement. In the future Korean society will be integrated into a wide variety of policies, concepts and values regarding Eco-village, Beautiful village, women, Pluriculturalism, Time value, Slow City, personality and so on. By applying the Environmental Volume System to each village, the first step towards improvement consists of the cleanliness of the countryside. If we create a garden of flowers to attract citizens next to garbage like bottles of chemical product for agriculture or the waste of greenhouse plastic, this place would be visited by some bees but no tourists because a human being might, first, detect the contamination. We also need to reconsider the concept of rural houses. If we recognize that Gite de France does not count only on the old traditional houses, rare in Korea and concentrated to certain regions, we must broaden the concept of rural rent house up to ordinary houses. Human relationship between the house owner and the guest would be greater for the development of rural tourism than ghostly traditional house. Role and right of women are to be redefined. Task of beautifying the countryside depends almost on the hands of women. However, they are often invited to perform the tasks but disregarded in compensation. If the share of their endeavor is accumulated directly on the bank account without going through their husbands, they will be more motivated.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we need to agree for the necessity of a square, space not only during the festival but also routinely. This kind of consideration will encourage increasingly their will of integration in Korean society. The unequal sharing of the restroom space will be also a part of realization of the equality between two sexes. The Slow City performance needs be carried out during the festival as well as in everyday life: carts drawn by oxen or 5th day markets without car for example. All these proposals are feasible under two conditions. The farmers engaging to Gite Korea Project ought to acquire the qualification of the tourist business. On the other hand, the administration needs to adopt other tactics than the centrism: respect differences of each Korean farmhouse and offer tailored support.

      • KCI등재

        무궁화 축제의 현황과 발전방안 연구

        김영만 ( Young Mann Kim ),박상천 ( Sang Chun Park ) 한국언어문화학회 2008 한국언어문화 Vol.0 No.36

        Festivals have a sociocultural function of promoting social integration and solidifying the existing order. This is in correspondence with the purpose fulfilled by the nation`s symbol for the sake of the country`s perpetuity. The national flower of Korea is the rose of Sharon. The Festival of Rose of Sharon is the one and only festival which is themed with the nation`s symbol. Although the festival has little history so far and its conditions do not meet the standard of a festival, it is decided that such business is essential both in terms of our cultural identity and national dimension. The development scheme for the festival of Rose of Sharon, the national flower, is as follows. The purpose of holding the festival should be oriented to consumers not suppliers, and the body of the festival should be a voluntary private organization. In addition, it should be based on a specific regional area and provide spectacles as well as programs to visitors such as a hill of Rose of Sharon in a massive scale that go beyond their daily experience. The adequate period to hold the festival is considered to be around the time of Liberation Day, in the period of which flowers blossom and social interests are high on national affection. However, the Arbor Day can also be a consideration to facilitate more people involvement. In order to draw out voluntary participation, which is regarded as a critical factor in festivals, some illusionary outcomes different from reality should be acquired through the play of festival, and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nature of the festival, that is, its role as a social integration of a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