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유와 평화, 불교 순례를 위한 만해수행길조성의 의의와 구축 방향

        전한성,윤재웅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2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5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meaning and necessity of creating Manhae pilgrimage route and to propose the direction of construction of Manhae Pilgrimage route based on this. Manhae Han Yong-woon is an independence activist who devoted his entire life to national independence as a monk and a poet who wrote a monumental collection of poems, 『Silence』. The idea of Manhae is vast and difficult to define as one. However, what can be guessed from his cultural heritage is that he dreamed of world peace through the pursuit of freedom and equality based on Buddhism. This study revealed the meaning and necessity of creating a Manhae pilgrimage route by linking natural and cultural resources, centering on temples in Gangwon-do.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the creation of the Manhae pilgrimage route was presented. First, it is to create a belt for Buddhist cultural heritage of Manhae in Gangwon-do. Second, it is the construction of the Larchiveum of the Manhae Free Peace Museum in Manhae Village. Third, it is to develop a trekking course and camping campsite on Manhae pilgrimage rout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ed the direction of Buddhist pilgrimage that could spread Korea’s long-standing traditional Buddhist culture and the idea of Manhae’s free peace to the world through the creation of Manhae pilgrimage route. 본 연구는 만해수행길 조성의 의미와 필요성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만해수행길의 구축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만해 한용운은 선승으로서 평생을 민족 독립을 위해 헌신한 독립운동가이자 기념비적인 시집 님의 침묵 을 쓴 시인이다. 만해의 사상은 실로 방대하여 하나로 규정하기 어렵지만, 그가 남긴 문화유산을 통해 짐작할 수 있는 것은 그가 불교에 기반을 둔 자유와 평등 추구로 세계평화를 꿈꾸었다는 점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강원도 지역(고성군, 인제군, 속초시, 양양군 등)의 사찰을 중심으로 천연자원과 문화자원을 연계한 만해수행길 조성의 의미와 필요성을 밝혔다. 아울러 만해수행길 조성의 방향으로 첫째, 강원도지역의 만해불교문화유산의 벨트 조성, 둘째, 만해마을의 만해자유평화박물관 라키비움 구축, 셋째, 만해수행길 트레킹 코스 및 캠핑 야영장 개발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만해수행길 조성을 통해 한국의 유구한 전통 불교문화와 만해의 자유평화사상을 전 세계에 널리 알릴 수 있는 불교 순례의 실제적인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한국에서 유라시아 문명교류사 연구의 성과와 과제

        권오영 국립문화재연구원 2015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8 No.3

        Recently, as an enonomic importance of the Eurasian Continent raises, the necessity of east-west connecting ancient transport roads research is increasing. Although domestic research of eastern-western international exchange in the Eurasia is not yet very active, the studies of history, archaeology, art history, folklore, costume history have been advanced steadily. An attention for the exchange through steppe route originated from the interest in Korean folk and Korean culture and the research range is extending to Xiungnu, Kurgan culture as a direct investigation on the remains of Mongolia and Kazakhstan has been achieved constantly. The art history has been leading the research of exchange which is based on desert and oasis. The field research of Iran, Uzbekistan, Azerbaijan, etc progressed in various routes, and the research on diverse topics including Silla's golden culture, transmission of glass, and the Buddhism is improving. Research on the maritime silk road is weaker, compared to other parts. Buddhist and Hindu temples of Southeast Asia attracted some interest to people, but the research should focus on the restoration of sea route and consideration of its meaning. Research of this part is expected to be more activative, as domestic researchers investigate Don Son culture and Sa Huynh culture of Vietnam by themselves. From now on, we should focus on topics that are not directly connected to Korean history, and Korean culture. Because it is also our duty to study and conserve the culture of entire human community. 최근 세계적으로 유라시아 대륙의 경제적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동서를 연결하던 고대 교통로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국내 학계에서 유라시아 동서 문명 교섭에 대한 연구는 아직은 그다지 활발할 편이 아니지만 역사학, 고고학, 미술사, 민속학, 복 식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꾸준히 연구를 진행시켜 왔다. 북방 초원길을 통한 교섭사는 한민족과 한국문화의 기원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되었는데, 몽골과 카자흐스탄지역의 유적에 대한 직접적인 조사가 꾸준히 이루어지면서 흉노, 쿠르간 문화 등으로 연구영역이 확장되고 있다. 사막과 오아시스의 길을 통한 교섭은 미술사 분야에서 연구를 주도해왔다. 이란, 우즈베키스탄, 아제르바이잔 등에 대한 현지조 사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진행되면서 신라의 황금문화, 유리의 전래, 불교문화의 동전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연구가 심화되고 있다. 바닷길에 대한 연구는 다른 분야에 비해 부진한 편이다. 동남아시아에 소재하는 불교와 힌두교 사원에 대한 관심은 적지 않았으 나 이 유적들을 연결하는 바닷길의 복원과 그 의미에 대한 연구로 확산되어야 한다. 베트남의 돈 손 문화와 싸 후인 문화 유적을 국내 연구자들이 직접 조사하게 됨으로써 앞으로 이 분야 연구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는 한국사, 한국 문화와 직접 관련이 없는 주제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인류 공동의 문명을 연구하고 보존하는 것 도 우리의 책임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

        8~10세기 동아시아 속의 발해 교통로

        김은국(Kim Eun-guk) 고려사학회 2006 한국사학보 Vol.- No.24

        동아시아 역사에서 교통은 시간과 장소에 따라 다양한 명칭으로 명명되어 왔다. 그 중 가장 잘 알려진 교통로는 실크로드이다. 중국 대륙에서 隋唐王朝의 탄생은, 유라시아 大陸 동부의 정치변동의 결과임과 동시에, 유라시아 대륙 동부에 강한 정치 · 군사 · 경제적 영향을 주게 되었다. 隋唐王朝의 탄생에 대항할 필요에서, 8, 9세기에 들어와서는 지역 재편성의 움직임으로 인해 기존의 동서 교역로가 해상을 비롯한 여러 지선으로 다변화하여 갔다. 한편, 소그드인은 중앙아시아에서부터 동으로 이주하여 중원에, 혹은 당시 발해에 그들의 집단 거류지를 형성하여, 교역을 하여 역사 기록에 그 존재를 남겼다. 공교롭게도 이 소그드인은 동아시아의 동쪽에 위치하였던 발해에도 와서, 성곽 안에서 발해와 교역을 하였던 고고학적 발굴이 알려졌다. 발해는 5경 15부 62주의 행정제도와 함께 5교통로를 설치하여, 신라, 일본, 거란, 중원 등과 활발한 대외교류를 전개하였다. 그렇지만, 발해 스스로의 기록이 남아있지 않은 관계로, 발해에 대한 기록은 주변국의 시각이 더 크게 작용하여 왔다. 발해 대외교통로 역시 발해인이 설치한 대외교통로의 이름임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당, 거란, 일본, 신라가 중심이 된듯한 인상을 지닌다. 압록-조공도와 장령-영주도는 당과의 관계에서, 부여-거란도는 거란과, 용원-일본도는 일본, 그리고 신라도는 신라와의 틀 속에서만 조명된 결과였다. 발해의 대외교통에 대한 접근은 대외관계라는 전체적인 시각에서부터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러시아 측에서 제기한 ‘담비의 길’이라는 교통로는 주목할 만하다. 비록 문헌상의 교통로는 아니나, 발해가 당시 소그드 상인과의 교류를 통하여 다양한 문화를 접하였다는 교류의 흔적으로 재조명되어야 하는 것이다. 발해의 교통로는 동아시아의 교통로 역사 속에서 때론 주선으로 때론 그것을 받쳐주는 지선으로서 기능을 발휘하였던 것이다. 발해가 해동성국으로 구가될 수 있었던 데에는 바로 동아시아의 다양한 인적 · 물적 교류의 한 축이 되었기 때문이다. 발해가 지닌 지리적 개방성을 활용하면서, 발해가 사방으로 트인 대외교통의 다양한 루트의 설치와 운영은 발해가 더욱 개방적인 국가로 발전시켜 나갈 수 있게 해 주었다. 8~10세기 동아시아 속의 발해 교통로를 통해 살펴본 발해는, 대륙과 해양을 아울러 경영한 해양과 대륙의 강국임을 확인하여 주는 것이다. 사방이 탁 트인 교통로를 이용하여 주변국과 당당한 외교를 전개하며 발해의 위상을 제고시켰던 것이다.

      • KCI등재후보

        『플랑드르의 길La route des Flandres』의 혼종의 글쓰기

        황혜영 ( Hye Young Hwang )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人文科學硏究 Vol.33 No.-

        La route des Flandres of Claude Simon presents past experiences of the narrator Georges, such as war, the death of his captain, the love with the wife of his captain Corinne, etc., returning incessemment in his memory. In this novel, the stories are not chronological, but they come in a fragmentary form, the one following the other in their internal relationship.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reflect on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 to realize the real perceived by the narrator of this novel. In fact, the writing of this novel bears the specific aspects in several perspectives. Firstly, The view which moves between the first and third person in an extremely elongated sentence without any explicit explanation nor the change of the paragraph destroys the boundary between inside and outside, between subject and object, between self and other, and at the same time it binds disparate aspects on one line of temporality. The writing of La route des Flandres often destroying punctuation by removing points, question marks or double quotes makes "the adventure of writing". This novel tries to present both underground aspects in the consciousness of the narrator in which the real, the memory and the imagination mingle with each other and at the same time reveal the specific materiality of writing. Transforming the normal spelling, the writing of this novel reveals the sonorous and musical aspects and gives the internal real tangible and concrete aspect.

      • KCI등재

        클로드 시몽의 『플랑드르의 길』에 나타난 내면 현실의 풍경

        황혜영 한국프랑스학회 2016 한국프랑스학논집 Vol.93 No.-

        La Route des Flandres de Claude Simon est de montrer la réalité interne dans la conscience du narrateur Georges. L’auteur tente de “présenter” le paysage de l’intérieur au lieu de “représenter” l’aspect extérieur de la réalité comme on le voit dans les romans classiques. Le but de cette étude est de réfléchir sur les traits caractéristiques des paysages internes du réel dans la conscience du narrateur. Les événements dans le roman ne se révèlent pas chronologiquement, mais ils se présentent en fragments à travers les compositions des souvenirs de différents moments selon la logique mystérieuse interne propre à la conscience. En particulier les expériences de la situation extrê̂me comme la catastrophe pendant la guerre au mois de mai 1940, la mort de son capitaine de Reixach, sa captivité, le train qui l’a emmené au camp de prisonniers, etc., hantent le narrateur perpétuellement s'entremêlant incessamment avec les souvenirs d’éroticisme qu’il partage avec Corinne. Dans le paysage d'intérieur, l’expérience réelle, la mémoire et l’imagination ne sont pas distinguées mais elles coexistent. La frontière des identités entre soi et autrui, entre les ê̂tres humains, les animaux et les matières inertes disparaissent et il s’effectue une sorte de transsubstantiation. La route des Flandres concrétise les fragments de la mémoire dont la présence ne consiste que dans la concience du narrateur en leur offrant des aspects sensoriels et matérielles et tente de montrer le processus de restauration de l'identité du narrateur à travers la disparition de la conscience du soi et son ouverture vers l'infini.

      • KCI등재

        東明(T‘umen) 루트: 몽·한「활겨레」(Qalqa obog,弓族) 分族考

        주채혁 한국몽골학회 2013 몽골학 Vol.0 No.34

        The original names of Ancient Chosun and Koguryo are Chosun and Koryo. Koguryo people themselves called their own country Koryo, not Koguryo. Chosun can be seen as a name which came out of the combination of two outsiders names Cho-tribe and Soyon-tribe. Cho「朝」implies 朝鹿(Chaa bog)-馴鹿(reindeer) and Sun「鮮」signifies 小山(Sopka), where 蘚(Niokq) the moss, the main food of reindeer grows. This 小山 or「鮮」are distributed, mainly following the Mongolian route, in the Eurasian or North-American Taiga or Tundra areas. So we have named, in our own way, this reindeer nomads' migration route 「Lichen Road(鮮의 蘚路-‘Ni,ukinii jam’: the moss road」. On the other hand, 槁離(Qori) and 鄂倫(Orun) signify, together with the Gungye(弓裔; 鐵原 弓氏), Gung obog(弓族) "a bow tribe" in the same sense as ‘Qalqa' of Qalqa Mongolian. We came to this conclusion after a long fieldwork in the Qalqyn Gol area around the year of 2000, integrating into it the view of B. Sumiyabaatar who called the original birthplace of Koguryo was Qalqyn Gol(紇升骨: 忽本) in his presentation in the middle of 1970ies. Especially seeing also the fact that in the case of talking about this root in Tibetan, Mongol is referred to as 'Khor Mongol', where 'Khor' means [hwar-a quiver], [Kharkha] of Kharkha Mongol used in talking about this root of Mongol should certainly be 'hwar', and seeing the use of Harha obok(Qalqa obog) in ‘Qori’- the Harha tribe should be "a bow tribe"[弓族]. The Dongmyong(東明) legend reflects the embrio history common to Mongolian and Korean and is a trial to present the theory of split of a 'bow- tribe' into Mongolian and Korean. Thus this can also be called a hypothesis, which came out of reconstruction of reindeer-riding, reindeer herding nomadism, a period of nearly 10,000 years before the steppe has entered the stage of horse-riding, sheep herding nomadism. Of course, the problem of the split of Qalqa(弓)tribe into Mongolian and Korean tribes.「蒙·韓 弓(Qalqa)族 分族論」is proposed on the basis that has already been implied in connection with the history of grafting on 'the early stage North babarian(北狄)' Schythian vanguard iron-making technology, and converting it to the names 'the North barbarian(北夷)'(『論衡』「吉驗編」, Qori )and 'the East barbarian(東夷).'They combined the Schythian iron-making technology in 6~5 century B.C, and advanced as far as the Mongolian steppe, and changing from reindeer-riding, reindeer herding nomadism to horse-riding sheep herding nomadism, thus acquiring in the same time the most advanced horse-riding-shooting「騎馬射術」and becoming fearful archer group(弓士集團), the Qori(槁離 or 高麗) tribe -Qalqa tribe(弓族) grew into the leading groups of reindeer herding nomads. And they appeared at the background of Tundra and forested Tundra, vast and limitless bases of reindeer herding nomadism making so far existing nomadic-agricultural empire impossible to exist. This became the foundation of the reindeer herding nomadism of Orianqai-Qorianqai-Qori(弓)tribe. Therefore seen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existing nomadic-agricultural empire, it was a direction to become a Qorči-Orunchun Group reindeer herding nomadism using a bow of Oranqai-‘Qori’, which was impossible for them to become skillful in. It can be reasoned that this very reindeer herding nomadism 「Qori(弓)tribe-Chaabogtang(馴鹿遊牧民)」which the Oranqai(Oranke)-Qori(弓)tribes were practising was to become Qorči(弓士: 箭筒士-Харваач)=Orunchun=Oranqai’s Chaabog that is ‘Orun bog’. The reason why, in Olkhon Island of Lake Baikal, one centre of Siberia, an altar for Burqan-worship ceremony (不咸 祭天壇) where the legend of the birth of Qori tribe founder is located, is transmitted and handed down together with the legend, will be found right here. They, combined with the Schythian iron-making technolo...

      • KCI등재

        제주창조 여신을 통해 본 제주다움과 올레 개발 방향성 고찰

        강준수,송영민 한국해양관광학회 2023 해양관광학연구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rry out specific discussions on the direction of Jeju Olle development through the presentation and realization of a specific image of the nature of Jeju seen through the value of Jeju's creative goddess. This study discusses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Jeju tourism industry through the discussion of the creative goddess culture with unique values of Jeju. Jeju Island, as the hometown of mythology, is unique in that most of the gods are composed of goddesses. Goddess culture can be said to be a special value unique to Jeju Island as a value of matrilineal society in the Neolithic Age. The core elements of the nature of Jeju identified through the culture of the Jeju Creation Goddess include the vitality of the land, subjective femininity, altruistic maternal love, equal compromise, closeness between humans and nature, and sacredness of nature. Despite the long and arduous journey of the Camino de Santiago, hikers have a sacred and holy experience towards their destination rather than complaining. On the other hand, Jeju Olle hikers complain of various inconveniences. This means that Jeju Olle brought only the motif of ‘road’ from the Santiago pilgrimage route. The pilgrimage route to Santiago does not mean a simple ‘road’, but has symbolic images, sacredness, and storytelling of holiness that can be recognized as the hardships and journeys of life. Santiago hikers experience joy in the process of realizing the special image and value of the pilgrimage route. This means that Jeju Olle needs to build values and images of sanctity, holiness, and mystery through storytelling using the Jeju creation goddess.

      • KCI등재

        수에즈 운하 건설에 대한 영국 정부와 자본가의 태도

        김종원 호남사학회 2010 역사학연구 Vol.40 No.-

        영국인들이 이집트를 경유하여 인도로 가는 길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은 대체로 1820년대부터였다. 이 관심은 산업화와 전략적 문제 등이 결합하면서 나타났다. 이때부터 수에즈 운하가 완공될 때까지 운하(또는 이집트를 경유하는 길)에 대한 영국의 정책은 몇 가지 국면을 통과해왔다. 희망봉 항로를 지배하고 있던 영국은 처음에는 상업적 관심보다는 우편 업무와 여객 수송이라는 측면에서 더 짧은 길을 원했다. 영국인들은 이집트 노선과 유프라테스 강을 통한 노선을 놓고 저울질을 했다. 그 다음 국면에서는 운하와 철도를 놓고 갈등했다. 물론 영국 정부는 일찌감치 철도로 방향을 정했지만, 자본가들 사이에서는 운하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했다. 프랑스가 주도한 운하 건설 계획이 구체화되면서 영국 정부는 몇 가지 이유를 들어 운하에 반대했다. 첫째는 운하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며 비용이 많이 든다는 이유였다. 둘째는 그것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너무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것이었다. 세 번째 반대는 운하 계획이 영국에 적대적인 정책에 기반을 둔 것으로, 오스만 제국에서 이집트를 분리시키려는 것이며 이집트를 식민화하여 프랑스의 요새로 만들려는 목적이라는 영국 정부의 의심에서 나왔다. 네 번째 반대 이유는 인도로 가는 새로운 노선이 영국의 상업적 이해관계를 저해하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British policy towards the construction of the Suez Canal. The French expedition to Egypt not only directed the attention of British Statesmen to Near East, but it revealed the need of a shorter route to India. The Cape route was no longer regarded as entirely adequate. Great Britain in the nineteenth century evinced an ever-growing interest in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a shorter route to her Asiatic possessions whether by the Red Sea and Egypt or by the Persian Gulf and the Euphrates Valley. Then there was the struggle over the rival canal and railway projects. Many capitalists preferred a canal to a railway. But the British government choose a railway project. The British government put forward some objections to the Suez Canal project. The first was that the canal was physically impossible. The second objection was that the canal would require a long time for its execution. The third objection was that the canal project was founded upon an antagonistic policy on the part of France in regard to Egypt. That is, because of a possibility that the Suez Canal Company might establish a foreign colony in the Isthmus and convert the warehouses into disguised fortresses, and that the French might detached Egypt from Turkey in order to disturb the easiest means of communication between England and India, the British government opposed the construction of the Suez Canal. The fourth objection consisted in the fear of seeing the commercial and maritime relation of Great Britain disturbed by opening of a new route.

      • 군위 수서리암각화의 발견과 의의

        한국암각화학회 한국암각화학회 2015 한국암각화연구 Vol.19 No.-

        검파형 암각화는 세계의 다른 지역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한국식 암각화로 부를 수 있다. 군위 수서리암각화는 경주 안심리 암각화의 조사 보고 이후 20년만의 검파형 암각화 발견 사례라는 점에서 한국 암각화 연구사상 지니는 의미가 크다. 군위 수서리암각화는 암각화 문화의 전파, 확산과정을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학술정보를 제공 해주는 유적이다. 군위 수서리암각화는 형산강이 흐르는 경주와 포항 일대에서 시작된 검파형 암각화의 조형 감각과 제의 관념이 영천을 거쳐 고령으로 이어지는 남쪽 길 외에 영천에서 군위 를 지나는 북쪽 길로도 전파되었음을 알게 한다. 선사 및 역사시대 초기를 아우르는 종교제의 및 미술문화 전파 경로가 여러 갈래였음을 확인시켜 주었다는 점에서 군위 수서리암각화가 지니는 종교문화사적 의의는 높이 평가 받아야 할 것이다. As hilt motif petroglyphs are not found in any other regions in the world, they can be reasonably categorized as Korean style petroglyphs. Gunwi Suseo-ri petroglyphs hold much meaning as it is the first discovery of hilt motif petroglyphs in twenty years since the examination of Gyeongju Anshim-ri. Gunwi Suseo-ri petroglyphs provide important academic information regarding the spread of petroglyph culture. The site shows that the formal characteristics and the ceremonial concept of hilt motif petroglyphs that originated in Gyeongju and Pohang regions spread south to Youngcheon through Goryeong and north to Gunwi. As a reminder of the fact that religious practices and artistic culture from prehistoric to early historic times spread through many routes, Gunwi Suseo-ri petroglyphs hold much significance in religious and cultural historical context.

      • KCI등재

        연구논문 : 수에즈 운하 건설에 대한 영국 정부와 자본가의 태도

        김종원 ( Jong Won Kim ) 호남사학회(구-전남사학회) 2010 역사학연구 Vol.40 No.-

        영국인들이 이집트를 경유하여 인도로 가는 길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은 대체로 1820년대부터였다. 이 관심은 산업화와 전략적 문제 등이 결합하면서 나타났다. 이때부터 수에즈 운하가 완공될 때까지 운하(또는 이집트를 경유하는 길)에 대한 영국의 정책은 몇 가지 국면을 통과해왔다. 희망봉 항로를 지배하고 있던 영국은 처음에는 상업적 관심보다는 우편 업무와 여객 수송이라는 측면에서 더 짧은 길을 원했다. 영국인들은 이집트 노선과 유프라테스 강을 통한 노선을 놓고 저울질을 했다. 그 다음 국면에서는 운하와 철도를 놓고 갈등했다. 물론 영국 정부는 일찌감치 철도로 방향을 정했지만, 자본가들 사이에서는 운하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했다. 프랑스가 주도한 운하 건설 계획이 구체화되면서 영국 정부는 몇 가지 이유를 들어 운하에 반대했다. 첫째는 운하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며 비용이 많이 든다는 이유였다. 둘째는 그것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너무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것이었다. 세 번째 반대는 운하 계획이 영국에 적대적인 정책에 기반을 둔 것으로, 오스만 제국에서 이집트를 분리시키려는 것이며 이집트를 식민화하여 프랑스의 요새로 만들려는 목적이라는 영국 정부의 의심에서 나왔다. 네 번째 반대 이유는 인도로 가는 새로운 노선이 영국의 상업적 이해관계를 저해하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British policy towards the construction of the Suez Canal. The French expedition to Egypt not only directed the attention of British Statesmen to Near East, but it revealed the need of a shorter route to India. The Cape route was no longer regarded as entirely adequate. Great Britain in the nineteenth century evinced an ever-growing interest in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a shorter route to her Asiatic possessions whether by the Red Sea and Egypt or by the Persian Gulf and the Euphrates Valley. Then there was the struggle over the rival canal and railway projects. Many capitalists preferred a canal to a railway. But the British government choose a railway project. The British government put forward some objections to the Suez Canal project. The first was that the canal was physically impossible. The second objection was that the canal would require a long time for its execution. The third objection was that the canal project was founded upon an antagonistic policy on the part of France in regard to Egypt. That is, because of a possibility that the Suez Canal Company might establish a foreign colony in the Isthmus and convert the warehouses into disguised fortresses, and that the French might detached Egypt from Turkey in order to disturb the easiest means of communication between England and India, the British government opposed the construction of the Suez Canal. The fourth objection consisted in the fear of seeing the commercial and maritime relation of Great Britain disturbed by opening of a new rou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