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강화 고구리암각화의 성격과 의미

        한국암각화학회 한국암각화학회 2015 한국암각화연구 Vol.19 No.-

        2014년 11월 22일 울산대학교 반구대암각화유적보존연구소와 한국암각화학회는 강화 교동 도 화개산 일원에서 선각암각화 1곳, 바위구멍 유적 2곳, 윷판형 암각화 1곳을 새로 발견하였 다. 고구리암각화는 한반도 최북단에 소재한 무산 지초리암각화를 제외하면 한국 암각화 가운 데 가장 북쪽에서 발견된 유적이다. 대부분의 암각화 유적이 경상남북도 지역에서 발견되었음 을 고려하면 강화 고구리암각화는 한국 암각화 문화권을 한반도 중부까지 확대시킬 수 있게 하 는 유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제주도를 제외한 일반 도서지역도 암각화 문화권에 포함시킬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도 강화 고구리암각화의 발견과 보고는 연구사적 의의를 지닌다고 하겠다. 강화 고구리암각화는 각선과 바위구멍을 조합시킨 선각암각화이다. 선각암각화는 경주, 포항 등 경상남북도에서도 여러 차례 발견되었고 제주도 광령리에서도 확인되었다. 한국의 암각화 연구자들은 선각암각화를 한국 청동기시대 후기의 농경용 기우의례, 혹은 풍요의례와 관련하여 해석하기도 한다. 강화 고구리암각화에도 이와 같은 해석이 적용될 수 있는지는 앞으로의 연구 를 기다려야 할 것이다. 현재까지 발견된 선각암각화는 암각화유적에서 확인되는 다음과 같은 요소를 고려하며 연구될 필요가 있다. 암각화 유적이 물과 관련이 깊은 곳에 입지하는 경향, 암각화 유적 주변에 고인돌 무덤을 비롯한 청동기시대 문화의 흔적들이 다수 남아 있는 경우가 자주 보인다는 사실, 암각화 유적과 성혈유적이 같이 발견되는 사례가 적지 않은 점, 암각화유적 중 상당수가 성소로서의 이 미지를 덧입고 후대까지 신앙의례의 장소로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는 점 등이다. On November 22th 2014, University of Ulsan Bangudae Petroglyphs Conservation Institute and Korea Petroglyphs Research Association discovered in Gangwha Gyodong-do Hwagae mountain area one line engraving, two rock hole sites, and one grid-type petroglyph. Gogu-ri petroglyph is the northernmost site among Korean petroglyphs with an exception of Musan Jicho-ri in the uppermost region of Korean Peninsula. Considering that most of the petroglyphs were found in Gyeongsangnam- do and Gyeongsangbuk-do, Gogu-ri site expands the Korean petroglyph cultural zone to central Peninsula. Additionally, the discovery holds further academic value in that it brings regions other than Jeju-do into the petroglyph culture. Gangwha Gogu-ri petroglyphs consist of line engravings that connect holes on the rock surface. Line engravings have been found multiple times in various regions of Gyeongsangnam-do and Gyeongsangbuk- do including Gyeongju and Pohang as well as Gwnagryung-ri in Jeju-do. Korean petroglyph researchers analyze such line engravings in relation to late Bronze Age rain ceremony or fecundity rituals. Whether or not such analysis can be applied to Gogu-ri Petroglyph remains to be seen. Line engravings discovered until today need to be studied considering following factors: the fact that the site is usually located in places deeply related to water, the fact that dolmen graves and other traces of Brone Age culture are found along with the petroglyphs, and the fact that many of such sites are later sanctified to function as religious and ceremonial place.

      • 한국 암각화의 파급 경로에 대하여

        이하우 한국암각화학회 2021 한국암각화연구 Vol.25 No.-

        1970년의 첫 발견에 이어, 긴 시간 동안 우리 암각화 연구는 크게 발전해 왔다고 할 수 있다. 암각화 양적인 부분에서부터 연구의 질적 문제에 이르기까지 상당한 업적을 쌓아 왔다. 그동안 조 사된 암각화 유적은 그 분포상태가 암시하고 있는 대략적인 의미까지도 살펴볼 수 있는 수준에 이 르렀다. 38개로 집계되는 암각화 유적의 분포도를 보면, 그 대부분은 일정하게 나타난 경로상의 흐름과 같은 것을 찾아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러한 분포도, 위치가 말하는 것처럼 한국 암각화가 어디에서 시작하여 어떻게 이동하면서 발전하였는가 하는 전반의 면모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것은 일차적으로 한국 암각화의 전파 또는 이동 경로의 양상과 같은 것이다. 현시점에서 바라보는 암각화의 전파 또는 파급하여 가는 경로는 한반도 동쪽에서 시작하여 서 쪽으로 진행하고 있다. 그리고 그곳에서 북상하여 확산해가는 현상을 그려볼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한국 암각화의 루트를 살펴보고자 하는 본 연구는 그 자체로서 의미는 그렇게 크지 않을 수도 있 겠지만,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이어지는 암각화의 연구는 물론, 암각화의 전파를 통하여 야기되는 또 다른 문화현상의 전개를 이해함에 있어서 하나의 방향타와 같은 무엇을 찾아볼 수도 있을 거라 는 기대가 있다. 그런 의미에서 문화전파, 그 경로를 다투어보고 싶은 것이다. Since the discovery of the 1970s, research on Korean petroglyphs has developed significantly over a l ong period of time. From the number of p etroglyphs to the qualitative part, it has made significant achievements. According to the remains of the petroglyphs investigated so far, t he o verall n ature of t he d istribution status h as n ow reached a point where it can look at the approximate meaning. Looking at the d istribution of 38 remains, most of t hem s how the same t hing a s a steady path f low. Therefore,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distribution map, as its location suggests, where and how Korean petroglyphs developed as they moved, and the path of Korean petroglyphs. Research on the propagation route, or ripple route of petroglyphs viewed at this point allows us to draw a model that moves from the east of the Korean Peninsula to the west, and that moves northward from there. Therefore, the study, which seeks to examine the root of Korean rock art, may not have much meaning in itself. However, through this study, i t is h oped that there will be a k ind of rudd er i n developing another cultural phenomenon caused by Korean petroglyphs and the propagation of petroglyphs, and in that sen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al with a kind of cultural propagation and its path.

      • 석검형ㆍ석촉형ㆍ검파형 암각화의 도상과 상징 - 남성과 여성의 성적 표현을 중심으로 -

        한국암각화학회 한국암각화학회 2015 한국암각화연구 Vol.19 No.-

        마제석검과 마제석촉은 청동기시대 고인돌무덤에서 대표적으로 출토하는 도구다. 석검과 석 촉은 무기, 의기로 사용되었으며, 남자들이 제작하고 소유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마제석검과 마 제석촉이 영일만 일대 포항, 경주지역의 암각화에 등장하고 있다. 영일 인비리 고인돌 개석에는 석검과 석촉 문양이 새겨져 있는데, 석검의 검파식(劍把飾)에서 장식(裝飾)이 등장한다. 석검의 검파식에서 파생된 검파형 문양이 흥해 칠포리에서 발달하고, 마제석촉이 경주 금장대 암각화에 서 인형상으로 묘사되어 나타나는데, 이 신상암각화는 조상신상(祖上神像)을 표현한 것으로 보 인다. 인비리의 석검문양은 남자생식기 문양으로 변모하는 모습도 보이고. 석검의 검파식이 석 검에서 분리되어 검파형으로 발달하면서 독자적인 신상암각화로 변모한다. 검파형 암각화는 여 자생식기 암각화와 함께 한곳에 새겨져 여자상 또는 여신상(女神像)으로 해석이 가능해졌다. 그 리고 여자생식기는 실물모사형부터 역삼각형의 도상까지 다양하게 제작되어 있다. 이와같이 칠 포리와 금장대 암각화에서 마제석검과 마제석촉의 주인공들이 종족번식과 풍요다산을 기원하는 신앙의례로서 석검형·석촉형·검파형·여자생식기형 암각화를 발달시켰다. 이처럼 성적 상징 의 암각화가 영일만 일대에서 발달할 수 있는 배경에는 장식석검이 있었다. 장식석검은 마제석 검의 검파식에 여러개의 구멍을 갈아파서 장식한 석검을 말하는데, 포항 흥해, 경주지역을 중심 으로 하는 경상남북도에서 출토하고 있다. 검파형 암각화도 흥해 칠포리에서 발달하여 경상남 북도 전역으로 확산되어 갔다는 점에서, 장식석검과 검파형 암각화는 상호 연관성이 매우 깊다. Majaesukgeom (a stone sword) and Majaesukchok (a stone arrowhead) are tools excavated from Dolmen. They were made during the period of Bronze. The stone swords and stone arrowheads were made by men and used as weapons and vessels for ritual ceremonies. These appear in petroglyphs found in Pohang around Youngilman and Kyeongju. There are stone swords and stone arrowheads carved on Dolmen in Inbi-ri, Youngil and the stone swords have a grip-like shape. This shape was developed in chilpo-ri, Hoonghae. Stone arrowheads appear as a doll in petroglyphs found in Gumjangdae in Kyongju, which looks like an ancestor. The stone sword-shape found in Inbi-ri has turned into a shape of man’s genital. The gumpa (grip of a stone sword) was separated from the stone sword and became an independent shape and it was called gumpahyeong (gumpa-shape). The gumpahhyeong petroglyph was interpreted as a shape of a woman or a goodness since it was carved with woman’s genital. The shapes of them were various, such as an inverted triangle and a copy of a woman’s genital. The petroglyphs carved in Sukgeom-shape, sukchok-shape, gumpa-shape, and woman’s genitalshape were developed via Majaesukgeom and Majaesukchok found in Chilpo-ri and in Gumjangdae for ritual ceremonies for breeding of the race and fertility. The back ground of the development of the petroglyphs that have genitals of male and female was Jangshiksukgeom. The Jangshiksukgeom is a sukgeom that has many holes on the grip of Majaesukgeom, which come from Gyeongsangnamdo and Gyongsangbuk-do, especially Pohang in Honghae and Kyeongju. The petroglyphs that have a Gumpa-shape were also developed in Chilpo-ri in Honghae and went to Gyeongsangnam-do and Gyongsangbuk-do, which suggests Jangshiksukgeom and Gumpa-shaped petroglyphs are connected each other.

      • 군위 수서리암각화의 발견과 의의

        한국암각화학회 한국암각화학회 2015 한국암각화연구 Vol.19 No.-

        검파형 암각화는 세계의 다른 지역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한국식 암각화로 부를 수 있다. 군위 수서리암각화는 경주 안심리 암각화의 조사 보고 이후 20년만의 검파형 암각화 발견 사례라는 점에서 한국 암각화 연구사상 지니는 의미가 크다. 군위 수서리암각화는 암각화 문화의 전파, 확산과정을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학술정보를 제공 해주는 유적이다. 군위 수서리암각화는 형산강이 흐르는 경주와 포항 일대에서 시작된 검파형 암각화의 조형 감각과 제의 관념이 영천을 거쳐 고령으로 이어지는 남쪽 길 외에 영천에서 군위 를 지나는 북쪽 길로도 전파되었음을 알게 한다. 선사 및 역사시대 초기를 아우르는 종교제의 및 미술문화 전파 경로가 여러 갈래였음을 확인시켜 주었다는 점에서 군위 수서리암각화가 지니는 종교문화사적 의의는 높이 평가 받아야 할 것이다. As hilt motif petroglyphs are not found in any other regions in the world, they can be reasonably categorized as Korean style petroglyphs. Gunwi Suseo-ri petroglyphs hold much meaning as it is the first discovery of hilt motif petroglyphs in twenty years since the examination of Gyeongju Anshim-ri. Gunwi Suseo-ri petroglyphs provide important academic information regarding the spread of petroglyph culture. The site shows that the formal characteristics and the ceremonial concept of hilt motif petroglyphs that originated in Gyeongju and Pohang regions spread south to Youngcheon through Goryeong and north to Gunwi. As a reminder of the fact that religious practices and artistic culture from prehistoric to early historic times spread through many routes, Gunwi Suseo-ri petroglyphs hold much significance in religious and cultural historical context.

      • 반구대 암각화 조사 방법에 대한 일고찰 : 향후 연구방향과 관련하여

        강봉원 한국암각화학회 2013 한국암각화연구 Vol.17 No.-

        본고의 가장 핵심적인 내용은 반구대 암각화에 대한 과거 선학들의 학설을 답습하지 말고 의 문을 가지고 다른 각도에서도 접근하여 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고에서 반구대 암각화에 대 한 편년을 종래 청동기-초기철기시대로 간주하던 것을 신석기시대로 볼 수 있을 가능성이 높 다는 점을 피력하였다. 또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적용의 예가 많지 않은 암각화의 역 연대(曆 年 代, chronometric chronology) 측정법인‘양이온 비율’(cation-ratio, CR)과‘바니시 미세 적층’(微細 積層, varnish micro lamination) 분석법을 간단하게 소개하였다. 아울러 반구대 암각화에 대해 좀 더 심도있는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민족지 고고학(ethno-archaeology) 이나 인류학적 접근을 시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는 점을 피력하였다. 반구대 암각화의 연대는 우리나라 고등학교 국사교과서에‘청동기·철기시대’로 편년되어 현금에 이르고 있으며 거의 정설·고착화 되어 있다. 다른 한편, 반구대 암각화가 발견된 직후 부터 이를‘신석기시대’로 편년하여야 한다는 견해가 제시되었으며 현금 일부의 학자들도 이 편년 안을 지지하고 있다. 그러나 근래 반구대 암각화의 보존문제가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면서 우리나라 대부분의 언론 매체들은 이를‘신석기시대’의 것으로 보도 하고 있다. 이러한 모순된 견해를 다소나마 바로잡을 수 있고 아울러 반구대 암각화와 관련된 여러 가지 고고·인류학적 연구를 활성화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는 것이 본고의 취지이다. 본고에서 반구대 암각화를 신석기시대로 보아야 한다는 견해를 검증하기 위하여 과거 선학이 제시하여 놓은 제작 도구의 재질이 금속기라는 설에 대하여 광물의 상대굳기를 검토하였다. 즉, 반구대 암각화가 새겨진 암석은 경도 2.5-3에 이르는 쉐일(shale)인데 경도 6-7의 편마암이나 석영암으로 충분히 제작이 가능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한편 비교문화의 관점에서 유럽의 구 석기인들은 물론이고 미국의 원주민들조차도 금속기가 없는 기원전 11,000년 정도부터 암각화 를 제작하였다는 사실을 거론하였다. 반구대 암각화의 기원에 관해서는 주민의 이주와 전파를 염두에 두고 시베리아, 중국, 혹은 몽 고 등 외부에서 찾을 것이 아니라 구석기시대 이래 한반도에 거주하였던 토착인들이 제작하였 을 가능성이 높다는 견해를 제시하였다.

      • 고령 장기리암각화의 고고학적 위상

        신대곤 한국암각화학회 2017 한국암각화연구 Vol.21 No.-

        고고학적 자료를 중심으로 고령 장기리암각화 유적의 고고미술사적 계통성을 알아보고, 장기 리암각화가 한국 암각화 변천사에 있어서 어떠한 고고학적 위치에 있으며, 문화유산적 가치를 점유하고 있는 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한국의 암각화 중에서도 검파신체문1)암각화는 주로 영남 북부지역을 중심으로 독창적인 농경 의례 문화를 형성하였다. 주변국과는 다른 한반도 영남지방 고유의 특징적이면서도, 자생적인 암각화를 매개로 농경의례를 시행하였던 선사~고대인들의 정신세계를 여실히 반영하고 있다. 장기리암각화 유적은 농업경제를 기반으로 하는 재지인들의 우주와 자연에 대한 경외감과, 그들의 기원을 염원하던 제의 장소이다. 검파신체문 암각화 제작자는 청동기시대 재지 샤만이 며, 새롭게 대두되는 정치적 지배자와는 계통을 달리하는 청동기시대 이래 전승되어 오던 무속 신앙 주제자이다. 전기의 암각화는 태양천신 숭배를 반영하는 性穴 및 同心圓文岩刻畫(청동기시대 중기~초기 철기시대)時期가 가장 먼저 성행하였다. 청동기시대 제단 입석과 지석묘 상석 등에 농경의례와 관련하여 소규모로 암각이 나타난다. 성혈은 가장 이른시기에 출현하여 가장 늦은 시기까지 지 속되며, 동심원문은 祖上神, 穀靈信仰, 鳥靈信仰과 연결되며 태양신 숭배의 형태로 나타난다. 이후 劍把身體文 岩刻畫時期(초기철기시대~원삼국시대 전기)에는 제사의례의 대상을 지석묘 피장자라는 제한된 범주보다, 암각조성지 일대를 공동의 신성한 聖地로 인식하고 전승하려는 경 향성을 보인다. 장기간에 걸친 암각조성과 관리가 이루어지는 시기이다. 정치권력자이며 군사 지휘권자인 지배자의 등장으로 정복전쟁이 진행되고, 사회영역이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시기이다. 칠포리유적에서 남녀근문암각화로 확대되며 획기적으로 외형적 변화를 맞이한다. 쌍여근석 검합체문은 외형적으로는 검파신체문의 형태이지만, 세부적으로는 남녀근 음양합체문이다. 여 기에서 현실적인 인간적 성애 중심신앙으로 이행하며, 기원의 대상이 천신에서 인간으로 변화 되어 가는 모습을 보인다. 이 시기에 또 다른 암각화 조성집단인 전남 동부 및 경남해안 지역집단의 암각화가 영남북부 형산강유역의 암각화 집단과 융합하는 시기이다. 순천, 여수, 사천, 밀양, 창원 등지의 동검문 및 석검문암각화 신앙집단 간의 교류와 영향으로 검파문 신앙의례에 있어서 남녀성징이 적극적 으로 표출되고, 음양합일에 의한 기원의식을 더욱 구체적으로 염원하는 단계로 이행하였던 것 으로 보인다. 男女根文 岩刻畫時期(초기철기 후기~원삼국시대 중후기)에는 동심원문과 검파신체문은 사라 지고, 남녀 성징에 의지하여 종족번식과 농경의 풍요를 기원한다. 이것은 우주와 천체, 하늘의 태양과 같은 무궁한 경외의 대상으로부터 정치적 격변기에, 번식과 풍요를 기원하는 인간중심 의 관념으로 변화한데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고령 장기리암각화는 영남지방 검파신체문암각화의 전형적인 형태를 띠며, 농경의례를 가장 활발하게 시행하던 시기에 제작된 귀중한 문화유산이다. The study intends to find the archeological and art-historical systemicity of Goryeong Janggi-ri rock art, its archeological position in the development of Korea’s petroglyph or rock art, and its value as a cultural heritage based on archeological data. Among Korea’s petroglyph, the Geompa-style rock art reflects unique culture of agricultural rituals in the north Yeongnam region. The Goryeong Janggi-ri rock art shows the region’s original and selfsustaining rituals, different from neighboring countries, while reflecting the people’s inner world in the prehistoric ancient times. The Jang-gi ri site was a place for rituals where farming-based local scholars expressed their sense of awe and wish for the universe and nature. The site has its significance by showing that our ancestors were mindful of common people by praying to the gods of heaven and earth through the formation and offering of Geompa-style rock art. The Geompa-style petroglyph was created by shamans and officiants in the Bronze age who took the different path from newly rising political rulers of the time and succeeded to shamanistic faiths. Rock art was first appeared when people started making cup and ring mark carvings and worshipped the Sun and the gods of heaven during the middle Bronze age and early Iron age. In the Bronze age, altar stones and dolmen capstones were built for agricultural rituals in a small scale. The cup mark petroglyph appeared in the earliest period and continued to the last period. The ring mark is related with ancestral gods, corn spirits and bird worship and is expressed in the form of the sun god worship. When shamans performed rituals for spirit possession in the early Iron age, they used bronze tools such as bronze mirror which represented the Sun and the sacred power of shaman as a mediator. Geompa-style rock arts during the early Iron age and the early Proto-Three Kingdom period show that the subject of ritual was not limited to the buried person but was expanded to the whole area with rock arts. Ancient people considered the whole area as a sacred site and a place of transmission. Long term plan to form and maintain rock art was carried out during this time. This is the period when the ruler, who had political authority and military command, led wars of conquest and the society gradually expanded in the midst of it. The rock art of male and female genitals in Chilpo-ri shows dramatic external change. The pattern of two female genitals and stone sword looks like the Geompa pattern but represents the union of yin and yang or male and female genitals. This rock art shows how the ancient beliefs moved to human sexual desire and the subject of worship was changed from heavenly gods to human. During the same period, local rock arts in the eastern Jeonnam and the coastal Gyeongnam were merged with the rock art group in the Hyeongsan River basin of the northern Yeongnam area. Religious groups who created petroglyphs of bronze sword and stone sword symbols had exchanged among groups in Sunchoen, Yeosu, Sacheon, Milyang and Changwon. Active interaction had influenced on more expression of male and female sexual characteristics and their performance of ceremonies towards the union of yin and yang. The genital rock arts during the late Early Iron age and the middle and late Proto-Three Kingdoms period had less ring marks and Geompa-style patterns but more wishes for tribal multiplication and agricultural harvest. This is due to the shift of worship from heavenly creatures like the universe, celestial bodies and the Sun to the human- centered wish for multiplication and abundance in the political upheaval.

      • 한국 선사문화에서 영일만 암각화의 위상

        이하우 한국암각화학회 2019 한국암각화연구 Vol.23 No.-

        본 연구는 한국 암각화에서 영일만 암각화의 고유한 위상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칠포리 암각화를 비롯한 영일만일대 암각화의 의미를 알기 위해서는 먼저 유형적 용어로서 검파형암각 화라는 탁월한 조형물의 성립을 놓고 그것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같은 시각에서 검파형암각화 의 상징성과 함께 유형적 발전상, 원형에 대한 생각을 요약하여 정리하고자 했다. 그런 점에서 칠포리암각화의 고유한 위상이라고 한다면 그것은 유형적 파급과 관련하여, 확산 되어 가는 과정에서 검파형암각화는 어떻게 동시대인들의 삶의 과정에 기여하였는가 하는 점인데, 그것을 필자는 농경에서 물의 안정적 수급을 위한 기우의례와 관련하여 바라보고자 하였다. 물론 그 결말은 신상화이다. 결국 이상과 같은 의미에서 칠포리암각화라고 하는 지역적 문화현 상은 마침내 확대된 의미에서, 청동기시대 한반도 남부지방의 문화사적 차원에서 하나의 큰 흐 름으로 작용하였다고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unique status of the Yeongil Bay area petroglyphs in the field of Korea’s. In order to look at the meaning of the Yeongil Bay petroglyphs, including the Chilpori petroglyphs,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stylistic establishment of the sword motif petroglyphs (劍把形岩刻畵). In this context, the study considered the symbolism of sword motif petroglyphs, the stylistic development process, and the prototype. The status of Chilpo-ri petroglyphs needs to be understood how they contributed to the lives of people of that time in the process of spreading rapidly. I would like to look at it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ritual for stable water supply. After all, the regional cultural phenomenon called Chilpo-ri Petroglyph in this sense should be discussed at the cultural and historical level of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Bronze Age.

      • 韓國 岩刻畵의 性的 表現

        송화섭 한국암각화학회 2013 한국암각화연구 Vol.17 No.-

        청동기시대 영일만 일대 고인돌사회에서 성적 표현의 암각화가 발달하였다. 암각화의 성적 표 현은 석검과 석촉의 남자생식기와 여자생식기, 검파형암각화에 나타난다. 이러한 성적 표현의 암각화가 발달한 지역은 포항 곤륜산 계곡과 칠포리 일대와 경주 금장대 암각화 두 곳이다. 곤 륜산 계곡에는 실물모사의 여자생식기 문양과 역삼각형의 여자생식기 문양의 여자생식기 문양 이 집중 분포하고 있으며, 마제석검이 남자생식기로 변화한 문양, 그리고 여신상을 묘사한 검파 형 암각화가 발달하였다. 금장대 암각화는 역삼각형 여자생식기 문양과 석촉형 암각화, 원형다 공문양, 검파형문양이 발달하였다. 곤륜산 계곡에서는 검파형암각화 발달이 돋보이고, 금장대 암각화에는 석촉형 암각화의 발달이 돋보인다. 검파형은 女神像을 대상으로 종족번식의 기원의 례가 행해진 것이며, 석촉형은 祖上崇拜의 의례행위가 행해졌음을 보여주는 암각화라 할 수 있다. 청동기시대 영일만 해역의 고인돌사회는 석검의 검파식에 구멍을 갈아파는 검파형 암각화를 발달시켰고, 집단적 취락생활을 하면서 조상숭배의 관행이 남자생식기의 상징인 석촉을 조상신 상으로 형상화하여 석촉형 암각화를 발달시켰다.

      • 한국 여성상암각화의 문화사적 가치

        송화섭 한국암각화학회 2021 한국암각화연구 Vol.25 No.-

        후기구석기시대는 빙하기였다. 후기구석기시대에는 하천을 따라 이동하면서 수렵어로와 열매 와 곡물을 채집하면서 암굴이나 동굴에서 생활하는 방식이었다. 구석기시대 사람들은 자연환경의 불안전으로 생존의 위험을 안고 살아가야 했다. 생존 위험의 극복 수단으로 종족 번식이 요구되었 다. 종족 번식은 임신, 출산, 양육을 담당하는 여성의 책임이었다. 종족 번식을 기원하는 의미에서 임신한 여성조각상(Venus)이 만들어졌다. 유럽지역에서 만들어진 여성조각상은 유방과 엉덩이가 풍만한 여성상이었다. 이러한 여자조각상은 신석기시대에도 지속적으로 만들어졌다. 신석기시대 중기 이후에 풍만한 여성상이 날씬한 몸매의 여성상으로 변모하였다. 청동기시대에는 여성상이 암각화에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중앙아세아 일대 초원지대 유목민들 의 암각화에는 남녀가 성교하는 암각화들이 등장하였다. 그런데 청동기시대 농경사회에서도 여성 생식기가 기하학적인 도상으로 만들어졌다. 한반도 동남해안 포항 일대에서는 여성생식기 도상과 여성조각상, 기하학적인 남녀교구 도상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여성생식기 도상이 기하학적으로 변 화하는 도상이 포항 칠포리 암각화에서 발견되고 있다. 특히 칠포리 곤륜산 계곡의 여성생식기 암 각화는 실물모사형, 타원형, 역삼각형으로 제작되어 있다. 이러한 청동기시대 고인돌사회의 여성 상암각화는 한국 고유의 독특한 암각화라 할 수 있다. 한국의 여성상 암각화의 문화사적 가치가 재평가되어야 한다. The Late Paleolithic was the I ce A ge. In t he L ate Stone Age, they lived in caves or caves while moving along rivers and gathering fruits and grains for hunting. People in the Paleolithic era had to live with the risk of survival due to the insecurity of the natural environment. Species breeding was required as a means of overcoming the risk of survival. Ethnic reproduction was the responsibility of women responsible for conception, childbirth and rearing. A statue of a pregnant woman was created to wish for the breeding of the race. The female statues(Venus) made in Europe were those of women with large breasts and buttocks. These female statues were continuously made even in the Neolithic Age. After the midd le o f the Neolithic period , the image of a voluptuous woman was transformed into that of a woman with a slim body. In the Bronze Age, female figures began to appear in petroglyphs. Petroglyphs of men and women having sexual intercourse appeared in the petroglyphs of nomads in the steppes of Central Asia. However, even in the agricultural society of the Bronze Age, female g enitalia(Vulva) were mad e in g eometric s hapes. I n the area o f Pohang on the southea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female genitalia, female statues, and geometric male and female sexual intercourse icons were found. An icon in which the female genital icon changes geometrically is found in the Pohang Chilpo-ri petroglyphs. In particular, the petroglyphs of the female genitalia in Chilpo-ri Kunryunsan Valley are made in lifelike shapes, ovals, and inverted triangles. These figurative petroglyphs of women of the Bronze Age dolmen society are unique to Korea. The cultural and historical value of petroglyphs of Korean women should be re-evaluated.

      • 인도 암각화 유적의 성격과 특징

        이헌재 한국암각화학회 2018 한국암각화연구 Vol.21 No.-

        인도의 암각화 유적은 지역과 시대별로 역사와 사회생활, 신앙 등이 반영되어 그려지고 있다. 인도의 주요 암각화 유적을 중심으로 그 성격과 특징을 지역과 시대별로 살펴보았다. 인도의 암 각화 연구사를 시기적으로 구분해 보면, 1867년부터 1930년대까지는 암각화 유적을 발견하고 보 고하는 시기, 193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는 암각화유적을 더 집중적으로 조사하고 기록하는 시 기, 1970년대부터 현대까지는 암각화유적을 과학적으로 조사하고 연구 주제로 채택하는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인도의 원시 부족들 사이에서 현대에 그려지는 암채화는 대부분 조상의 영을 인 도하거나 악령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종교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인도의 암각화 신앙은 선 사시대 이래로 지금까지 이어온 전통이다. 남인도의 Andhra Pradesh와 Karnataka의 암각화 는 구석기시대부터 역사시대까지 연속적으로 발견되는 반면에 Tamil Nadu와 Kerala에는 철 기시대부터 발견된다. Bhimbetka 회랑동굴 암각화 유적에서는 Acheulean 시기의 도구인 주먹도끼와 긁개들이 발견 되었다. 이 회랑동굴 유적은 인도의 전기구석기시대인 Acheulean 초기(700,000∼150,000 BC) 와 중기(150,000∼30,000BC)에 형성된 이래로, 7개의 다른 시기로 구분될 수 있고 각 시대마다 사회적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 거석문화(Megalithic)시대로 부르는 철기시대의 암각화와 암채 화 유적은 지석묘, 환상열석과 같은 무덤유적 부근에서 의례와 관련된 분포 양상을 보이고 있다. The remains of petroglyph in India are reflected in the history, social life, and faith that reflect the times of the region. We looked at the major petroglyph of India by region and age. The periodical classification of Indian petroglyph can be divided into periods of discovering and reporting petroglyph from 1867 to 1930, periods of intensive investigation and recording of petroglyph from the 1930s to the 1970s, and periods of scientific investigation and adoption of petroglyph remains from the 1970s to the modern times. Among the primitive tribes of India, most of the Rock Arts drawn in modern times are depicted as religious acts such as guiding the spirit of the ancestors or escaping from the evil spirits. The faith of petroglyph in India can be seen as a tradition that has been going on since prehistoric times. Implements of the Acheulean period such as hand axes and scratches were found in the Bhimbetka cave petroglyph ruins. The ruins of the corridor caves have been formed since the early days of the Acheulean era (700,000 to 150,000 BC) in India and the middle period (150,000 to 30,000 BC). The petroglyph of this ruins painted petroglyph reflecting social characteristics in each age that can be divided into seven different periods: The stone statues and rock paintings of the Iron Age, which are called the Megalithic, are located near the tombs related to tombs such as stone tombs and fantasy stones, and are depicted in relation to the tomb rituals. The study of petroglyph and Rock arts in India shows the changes in Indian history from the Paleolithic to the modern age. Therefore, the study of petroglyph can be used as a data to identify not only society, economy, and faith but also its history, so detailed research analysis of petroglyph remains is needed. In addition, we should be conducted to compare petroglyph in India, Southeast Asia and Central Asia to understand the aspect of excha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