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기관지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및 만성기침 환자에서 메타콜린 유발검사 성적

        윤종수,현상훈,남언정,김건우,강천일,서영익,이종명,김능수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6 慶北醫大誌 Vol.37 No.3

        목적 : 비특이적 기관지과민증은 기관지천식 환자외에도 알레르기성 비염과 만성기침 환자의 일부에서 양성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기관지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및 만성기침 환자에서 기관지과민증의 정도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기관지천식 환자 135명, 알레르기성 비염 환자 56명, 만성기침 환자 54명을 대상으로 하여 폐기능 검사, 메타콜린 유발검사, 각종 알레르기 검사 등의 성적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기관지천식 환자의 87.4%, 알레르기성 비염 환자의 19.6%, 만성기침 환자의 20.4%에서 기관지과민증이 관찰되었다. 기관지과민증은 천식 환자의 경우 기저 FEV_1 및 질병 이환기간과 각각양의 유의성 및 음의 유의성을 보였으며 중증인 천식 환자군에서 과민증이 더 현저하였다. 만성기침환자의 경우 메타콜린 양성인 군에서 질병 이환기간이 다소 짧았지만, 알레르기성 비염과 만성기침 환자군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다른 변수는 없었다. 결론 : 기관지과민증은 기관지천식 환자의 대다수에서 관찰되며 이는 기저 폐기능, 천식 이환기간 및 천식의 증상 정도와 관련이 있었다. 또한 알레르기성 비염 및 만성기침 환자의 약 20%에서 기관지과민증이 동반되었으나 이를 예측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지표는 발견할 수 없었다. One of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bronchial asthma (BA) is the presence of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to physical, chemical, and pharmacological stimuli. But nonspecific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is also noted in some patients with allergic rhinitis (AR) and chronic cough (CC) who have experienced no dyspnea or wheeze. In order to find the prevalence of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and factors predicting its presence, w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clinical and laboratory data of 135 patients with BA, 56 patients with AR and 54 patients with CC.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Response to methacholine bronchial provocation test (MBPT) was positive (PC_20≤25㎎/㎖) in 118 out of 135 BA (87.4%). 11 out of 56 AR (19.6%) and 11 out of 54 CC (20.4%). 2) Baseline FEV_1 and FEV_1/FVC(%) were significantly lower in MBPT positive BA group than those of negative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ther variables. 3)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baseline FEV_1 and methacholine logPC_20 (P=0.003) an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disease duration and methacholine logPC_20 (P=0.01) were noted in MBPT positive BA. And severe asthma group had lower logPC_20 values than mild and moderate asthma group (P=0.017). 4) Though MBPT positive CC group had shorter disease duration, there were no other significant variables predicting the presence of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in AR and CC. In conclusion,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existed in most BA patients and in about 20% of patients with AR or CC. It was related to pulmonary function and disease duration in BA,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variables predicting its presense in AR and CC.

      • KCI등재

        기관지천식 환자의 정신신체의학적 특성 : Focused on Alexithymia 감정표현불능증을 중심으로

        이종명,김상헌,임효덕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6 신경정신의학 Vol.35 No.1

        본 연구는 감정표현불능증적 성격 경향이 정신신체질환을 가진 환자들의 고유한 성격적 특성인지를 알아보기위해, 단일 신체 질환인 기관지천식 환자군에서 지금까지 알려진 여러 가지 도구들을 사용하여 감정표현 불능증을 중심으로 한 정신신체의학적 특성들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정상군(30명), 기관지천식 환자(30명), 정신분열증 환자(30명) 그리고 신경증 환자(33명)를 대상으로 하여 각 장애를 가진 환자들의 감정표현불능증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정신의학적 면담과 BIQ, MMPI-A, TAS, 주제통각검사를 실시하였고, 각 군의 특징적인 성격 경향 그리고 내재하는 정신병리를 확인하기 위하여 MMPI와 SCL-90-R을 시행하였다. MMPI와 SCL-90-R에서 각 군은 정상 범위안에 있었는데, 신경증 환자군의 정신병리의 수준이 가장 높았고 정상군이 가장 낮았다. 기관지천식 환자군과 정신분열증 환자군은 양 극단 사이의 중간 수준을 보여주었다. BIQ 평균점수에서 기관지천식 환자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다른 군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MMPI-A 평균점수 및 TAS 전체 합산 점수 모두에서 각 군은 정상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주제통각검사에서 신경증 환자군은 가장 많은 정동 어휘를 기록하였지만 정상군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 비해, 기관지천식 환자군과 정신분열증군 환자군보다 유의하게 많은 정동 어휘 수를 기록하였다(p<0.0001). 즉 기관지천식 환자군은 감정표현불능증적 경향이 주제통각검사에서는 신경증 환자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많고(p<0.001), BIQ에서는 정상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p<0.05), TAS, MMPI-A 검사 상에서는 정상군을 포함한 다른 대조군들과 유의하게 구분되지 않았다. 이러한 소견에 따라 본 연구는 감정표현불능증이 기관지천식 환자군만의 특징적 성격 특성이라는 추정에 대한 확실한 답을 얻지는 못하였지만, BIQ는 정상군과 정신신체질환군을 변별하는 데, 그리고 주제통각검사는 신경증군과 정신신체질환군간의 관계를 변별하는 데에는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대상의 수가 적고 보다 다양한 정신신체질환을 대상으로 하지 못하였다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지만, 다음과 같은 4가지 연구 방향을 결론 내릴 수 있을 것이다. 첫째 향후 정신신체의학 연구에 있어서 다양한 집단 속에 존재하는 감정표현불능증을 감별해내는 데 있어서 각 도구들이 가진 특정한 변별 특이성을 고려하여 단일 도구가 아닌 각 도구들의 집합체를 종합적으로 이용해야 할 필요성, 둘째 향후의 연구로서 대규모 임상연구에 의한 정신신체질환과 정신병적 상태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셋째 외국 검사 도구들의 국내 임상에의 적용 과정에서 보다 철저한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과 한국화에 대한 연구 그리고 국내 독창적인 도구의 개발, 넷째 감정표현불능증적 경향이 실재로 정신신체질환에만 특정적으로 존재하는 성격적 소인이 아닐 가능성과 이런 방향으로의 국내 정신신체의학 연구 등이 그것이다. 앞으로 다양한 정신신체질환에서 감정표현불능증과 다른 정신과적 질환과의 관계에 대한 다각도의 연구와 함께 한국적인 상황에서 감정표현불능증을 평가하는 보다 신뢰성 있고 타당성 있는 도구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evaluate psychosomatic characteristics, especially alexithymic tendency, of the patients with bronchial asthma and to determine whether alexithymia is a unique personality characteristic of the patient with classical psychosomatic disorder, using various methods developed for measurement of alexithymia. Thirty normal healthy persons, thirty patients with extrinsic bronchial asthma, thirty schizophrenic patients, and thirty-three neurotic patients were studied to assess differences in alexithymic tendency using the methods of thirty minute psychiatric interview, BIQ, MMPI-A, TAS and TAT. They were also assessed by MMPI and SCL-90-R to evaluate general personality traits and underlying psychopathology. All the groups were in the normal range of the scores of MMPI and SCL-90-R. The neurotic patient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psychopathology, and the normal group the lowest in both inventories. Bronchial asthma and schizophrenic patients, were between the highest and the lowest extremes of the scores. The mean score of BIQ in the bronchial asthma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normal group(p<0.05) and no difference was found among the other groups. The mean scores of MMPI_A and the total scores of TAS showed no difference among all the groups. In TAT the neurotic patients scored the highest in affect word counts and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ounts than ther bronchial asthma patients and schizophrenic patients(p<0.0001), while the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normal persons. That is, in TAT the group of bronchial asthma had more alexithymic tendency than that of the neurotic patients(p<0.0001), and in BIQ it had more alexithymic tendency than that of normal(p<0.05). Bronchial asthma patients were found to express less emotional words than normal persons and neurotic patients, but were not differentiated any more from groups of the schizophrenic, neurotic, and normal by TAS and MMPI-A. The authors with the inconsistent results of this study, could not confirm the assumption that alexithymia is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 of patients with classical psychosomatic disease. But we found that BIQ was useful in discriminating between the groups of normal and psychosomatic disease, and TAT was useful in discriminating between the groups of neurosis and psychosomatic disease with alexithymia construct.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in the number of subjects and the diversity of psychosomatic diseases, but in spite of those limita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some considerations are needed for further investigation. The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a study on the need of the combination of multiple tools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fic discriminating ability of each tool ; secondly, a clin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ychosomatic diseases and the psychotic state in a large population ; thirdly, a study on the applications of foreign tools in the Korean culture and on the problem of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such tools ; and a study is needed on the possibilities that alexithymic tendecy is not a specific predisposing factor of personalities with psychosomatic disorder. It is thought that more variegated studie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diverse psychosomatic diseases and alexithymia, and on the development of reliable tools with validity in the measurement of alexithymia in the context of the Korean culture should be taken in further investigations.

      • 폐쇄성 폐질환 환자에서 흡입 기관지 확장제 사용 후의 기도반응 판정에 관한 연구

        서정일,김남일,이예봉,윤환중,장재식,정창화,최영환,구정태,박동건,김성자,유석동,이창우,이영현 동국대학교 의학연구소 1999 東國醫學 Vol.6 No.-

        국 문 초 록폐쇄성 폐질환 환자에서 기도폐색의 가역성 유무는 기관지 천식과 만성 폐쇄성 폐질환을 구분하여 치료방향을 결정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며 이러한 기도폐색의 가역성을 증명하기 위해 흡입 기관지 확장제에 대한 기류속도 증가를 평가하는 검사가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판정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이 판정기준은 기관지 천식 환자와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를 구분하는데 충분한 근거가 되지 못하여 왔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적합하다고 알려지고 있는 4가지 새로운 판정기준 즉, "Absolute", "%Initial", "%Predicted", "%Possible"를 가지고 기관지 확장제 흡입반응 검사를 시행한 528명을 3군(천식군, 만성 폐쇄성 폐질환군, 기타 질환군)으로 나누어 흡입 전 일초시 폐활량(FEV1)에 대한 의존성과, 기관지 천식과 만성 폐쇄성 폐질환을 구분하는 유용성에 대해 비교 분석해 보았다. 연구 결과 기관지 확장제 검사의 판정기준 중 "%Predicted"가 기관지 확장제 흡입 전 일초시 폐활량(FEV1)에 가장 비의존적이었으며 "%Initial"이 기관지 천식과 만성 폐쇄성 폐질환을 구분 짓는 유용한 지표임을 알 수 있었다.AbstractVarious indices are used to assesses the bronchodilator response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airway disease. It is unclear, however, which index is most informative.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four indices of the bronchdilator response and(1) to examine the independence of the prebronchodilator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FEV1); (2) to distinguish asthma from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528 patients with obstructive airway disease were studied. Patients were divided into 3 syndrome groups on the basis group of a standardized history and other laboratory tests; asthma(n=187), COPD(n=149), and others(n=192).FEV1 was measured before and 15 minutes after inhalation of 400 μg fenoterol.ΔFEV1 was expressed as a percentage of initial FEV1("%Initial"), absolute value("Absolute"), percentage of predicted FEV1("%Predicted"), and percentage of maximal possible increase("%Possible")."%Possible" was the most dependent on initial FEV1, and "%Predicted" was the least dependent on initial FEV1."%Initial" had the highest likelihood ratio(2.03) for separating the patients with asthma from those with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among all expression of bronchodilator response.

      • 천식에서의 기도 과민성

        김우경 동국대학교 의학연구소 2009 東國醫學 Vol.16 No.1

        기관지 천식은 기도의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기도 과민성과 가역적인 기도폐색을 특징으로 한다. 근래까지 기도 과민성은 기관지 염증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하여 이를 줄이기 위한 스테로이드치료를 중점적으로 해왔다. 하지만 최근 기도 과민성이 기관지 염증의 정도에 비례하지 않으며, 기관지 염증이 감소하여도 기도 과민성을 대변하는 천식 악화의 빈도나 천식 증상의 정도에 변화가 없다는 것이 여러 연구에서 밝혀지면서 2006년 Global Initiative for Asthma (GINA) 치료 지침서에서는 천식을 기도 과민성이 기관지 염증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 서로 연관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기도 과민성이 천식의 중요한 발생 기전으로 여겨짐에 따라 이에 대한 연구가 최근 다각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기도 과민성의 정의와 발병기전에 대한 고찰을 해보고자 한다. Asthma is a chronic inflammatory disorder of the airways that is associated with airway hyperresponsiveness (AHR) and reversible airflow obstruction. In the previous definition of asthma, AHR was considered to have occurred because of the airway inflammation. In recent times, AHR and airway inflammation is considered to be just associated with each other. The reasons why are as below that AHR did not change despite of the long term antiinflammatory treatments and the degree of airway inflammation was not closely associated with the severity and mortality of asthma etc. Therefore here I review some recent theories of the mechanism of AHR and especially the characteristics of AHR in bronchial asthma.

      • KCI등재

        노인 기관지 천식 환자의 자가관리

        오현숙 한국노년학연구회 2000 한국 노년학연구 Vol.9 No.-

        기관지천식을 앓고 있는 노인 환자들은 자신이나 가족이 일상생활 속에서 천식관리를 어떻게 하는가에 따라서 만성폐쇄성 폐질환으로 진행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연구는 노인 기관지천 식 환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의료인과 접촉하고, 천식의 위험인자 를 회피하고, 천식증상을 조절하고, 투약을 통한 치료적 건강행위를 수행하는 등 자가관리를 어느 정도 하고 있는가를 파악하는 것이었 다. 노인환자들 중에서도 학력이 높거나 나이가 젊거나 배우자를 비 롯하여 가족 구성원이 많은 사람들이 자가관리를 더 잘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노인 기관지천식환자의 자가관리 증진에 필요한 간호중재 방안을 모색하는 데 응용될 것이다.

      • 기관지천식, 결체조직 질환 및 간경변증 환자에서 Extracellular Phospholipase A_2 의 활성도

        이종명,김능수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6 慶北醫大誌 Vol.37 No.3

        목적 : Phospholipase A_2(PLA_2)는 염증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칼슘의존성 지방분해효소로서 염증성 cytokine 및 내독소 등에 의해 세포외로 유리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염증성 cytokine이나 내독소가 병태생리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기관지천식, 류마치스 관절염, 홍반성 낭창 (SLE)및 간경변증 환자에서 세포외성(extracellular) PLA_2의 활성 정도를 알아보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 기관지천식 환자 79명, 류마치스 관절염 환자 41명, SLE 환자 26명 및 간경변증환자 21명을 대상으로 혈청과 체액에서 PLA_2 활성도를 측정하고 이를 임상소견과 비교 검토하였다. 결과 : 혈청 PLA_2 활성도는 기관지천식, 류마치스 관절염, SLE및 간경변증 환자군 모두에서 정상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으며, 기관지천식과 간경변증 환자군의 경우 병의 중증도에 따른 혈청 PLA_2 활성도의 차이도 유의하였다. 류마치스 관절염 환자의 관절액과 간경변증 환자의 복수에서도 높은 PLA_2의 활성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혈청 PLA_2의 활성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세포외성 PLA_2의 활성도는 기관지천식, 결체조직 질환 및 간경변증 환자에서 증가되어 있으며 이는 PLA_2가 이들 질환의 병태생리에 관여함을 시사한다고 생각된다. Phospholipase A_2(PLA_2) is a group of lipolytic enzymes which catalyze the hydrolysis of the sn-2 acyl ester bond of phosphoglycerides to produce free fatty acids and lysophospholipids. The enzymes are widespread in nature and occur in both cell-associated and extracellular forms. To date, there are at least 2 types of PLA_2s(pancreatic and non-pancreatic), which are different in their structure and function. Increasing evidences indicate that extracellular PLA_2 of non-pancreatic type may contribute to the pathogenesis of inflammatory diseases. Although little is known about the exact mechanisms of the release of these enzymes, endotoxin and 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TNF & IL-1 can induce the extracellular release of PLA_2. To elucidate the roles of extracellular PLA_2 in inflammatory diseases and to determine the activities of the enzymes in liver cirrhosis (in where endotoxemia can be seen due to decreased clearance by reticuloendothelial cells), we measured extracellular PLA_2 activities in patients with bronchial asthma, rheumatoid arthritis, SLE and liver cirrhosis. Serum PLA_2 activities of all of the above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healthy controls and in case of bronchial asthma and liver cirrhosi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activities according to disease severity. It was also founded that the activities of the enzymes were very high in synovial fuid of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and in ascitic fluid of liver cirrhosis pati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xtracellular PLA_2 exerts an important roles in the pathophysiology of bronchial asthma, connective tissue diseases and liver cirrhosis. Therefore the regulation of the synthesis and release of PLA_2 from inflammatory cells may contributes to management of the disease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larify the mechanism and clinical significance of increased PLA_2 activities in patient with advanced liver cirrhosis.

      • 기관지천식 환자에서 Furosemide, Disodium cromoglycate 및 Heparin 흡입이 고장액 식염수 기관지유발검사에 미치는 영향

        강천일,현상훈,남언정,김건우,윤종수,서영익,이종명,김능수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6 慶北醫大誌 Vol.37 No.3

        목적 : 기관지천식 환자에서 고장액 식염수의 흡입은 기도수축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운동유발성 천식반응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알레르겐 흡입이나 운동에 의해 유발되는 천식에 예방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disodium cromoglycate(DSCG), furosemide 및 heparin 흡입이 4.5% NaCl 기관지유발검사(BPT)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 4.5% NaCl BPT에서 양성반응을 보이는 기관지천식 환자 1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사용된 약물은 furosemide 40㎎, DSCG 40㎎ 및 heparin 1,000μ/㎏이었다. 먼저baseline 4.5% NaCl BPT를 시행한 다음 이들 약물로 전처치후 다시 4.5% NaCl BPT를 시행하여 약물의 효과를 관찰하였다. 결과 : Furosemide 40㎎, DSCG 40㎎및 heparin 1,000μ/㎏의 흡입 전처치는 고장액 식염수에 의한 기도수축 반응에 뚜렷한 예방효과를 보였다. Furosemide와 DSCG로 전처치한 군(n=6)에서 이들의 기도수축 방어율은 각각 100.6±6.6%, 91.1±17.2%였으며 furosemide와 heparin으로 전처치한 군(n=7)에서는 각각 58.7±29.2%, 59.0±51.1%로서 각 군에서 이들 약제간의 방어율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Furosemide(40㎎), DSCG(40㎎) 및 heparin(1000μ/㎏)의 흡입 전처치는 고장액 식염수에 의한 기도수축 반응에 뚜렷한 예방효과를 보였으며, 적어도 이 용량에서 기도수축 예방 정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 Hypertonic saline (4.5% NaCl) inhalation is known to induce broncho-constriction by affecting mast cell, epithelial cell and vagal afferent pathway in some asthmatics. Disodium cromoglycate (DSCG) is known to have a preventive effect on allergic asthma and exercise induced asthma, and recently it was reported that furosemide and heparin had similar eff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furosemide, DSCG and heparin on hypertonic saline provocation test in asthmatics. Methods: Thirteen asthmatics with a positive response to hypertonic saline challenge were enrolled. Hypertonic saline and test drugs were generated by ultrasonic nebulizer. After taking baseline 4.5% NaCl challenge, subjects were rechallenged with 4.5% NaCl after inhalation of furosemide 40㎎, DSCG 40㎎ or heparin 1,000μ/㎏. Results: 1.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C_20-methacholine and PTM-4.5% NaCl(r=0.5575, p = 0.024). 2. Furosemide, DSCG and heparin had no direct bronchodilating effects. 3. Premedication of furosemide and DSCG(n=6) showed significant protective effects on 4.5% NaCl induced broncho-constriction. The average protection rate were 100.6±6.6% and 91.1±17.2%, respectively. 4. Premedication of furosemide and heparin(n=7) showed significant protective effects on 4.5% NaCl induced broncho-constriction. The average protection rate were 58.7±29.2% and 59.0±51.1%. respectively. Conclusions: Furosemide(40㎎), DSCG(40㎎) and heparin(1.000μ/㎏) had significant protective effects on hypertonic saline induced broncho-constriction in asthmatics,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potency of protection rate.

      • 기관지천식 환자에서 살메테롤의 효과 및 안정성

        이종명,김능수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5 慶北醫大誌 Vol.36 No.3

        목적 : 중등도의 천식환자들을 대상으로 지속성 베타2 효능제인 살메테롤 흡입 치료의 유용성 및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재료 및 방법 : 경북대학교병원 알레르기 내과를 방문한 중등도의 천식환자 30명을 대상으로 하여 2주간의 치료준비기간을 거쳐 10주간 치료하였다. 치료기간동안 살메테롤을 1일 2회(기상후 및 취침전) 50㎍씩 흡입시켰으며 치료전후의 천식증상점수, 일일 살부타몰 추가사용 횟수 및 폐기능을 측정하고 아울러 살메테롤의 부작용 여부를 조사하였다. 결과 : 주간 및 야간증상 평가점수와 일일 살부타몰 추가사용 횟수는 치료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기상후에 측정한 PEFR은 치료후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나 취침전 PEFR은 유의한 증가가 없었으며, FEV_1 및 FVC는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대상환자 모두에서 약제에 의한 특별한 부작용은 관찰할 수 없었다. 결론 : 중증도의 기관지천식 환자에서 살메테롤 50㎍ 1일 2회 흡입요법은 특별한 부작용 없이 주·야간 천식증상 및 기상후 PEFR을 호전시켰으며 살부타몰의 추가사용 횟수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따라서 살메테롤은 야간발작성 천식환자 및 잦은 증상을 보이는 중등도 이상의 천식환자에서 유용한 약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Salmeterol is a novel β_2-adrenoreceptor agonist with a long duration of at least 12 hours. We evaluated the efficacy and safety of salmeterol inhalation(50/㎍, bid) in 37 patients with moderate asthma. Methods : Our protocol was an open study consisting of a treatment period of 10 weeks' duration. The treatment period was preceded by a run-in period of 2 weeks' duration and followed by a follow-up period of 2 weeks' duration. The efficacy was assessed by symptom scores, pulmonary functions and need for additional rescue medication(salbutamol). The safety was assessed by blood pressure, heart rate, EKG, laboratory findings and adverse events. Statistical analysis was available in 30 patients who had finished the whole study periods. Each of the parameters during the treatment period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run-in period. Results : 1. Day-time and night-time symptom scores de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reatment (p<0.01, respectively). 2. Additonal use of salbutamol de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reatment(p<0.01). 3. Morning PEFR levels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but evening PEFR did not increase sig nificantly during treatment. 4. FEV_1, and FVC did not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reatment. 5. No significant side effects of salmeterol was observed during treatment. In conclusion, salmeterol inhalation at a dose of 50 ㎍ bid. has been shown to be effective and safe in the treatment of moderate asthma.

      • 喘息의 原因에 關한 東西醫學的 考察

        文明坤,金瑩均,權貞南 동의대학교 한의학연구소 2000 동의한의연구 Vol.4 No.-

        목적 : 본 논문의 목적은 기관지천식과 심장성천식의 원인을 비교하기 위해서이다. 방법 : 천식의 원인에 대하여 동서의학적 문헌을 고찰하였다. 결과 : 1. 천식의 한의학적 원인은 外因으로 六淫중 風寒·風熱과 內因으로 飮食傷, 情志損傷, 勞欲過度, 久病과 不內外因으로 誤剌, ??傷 등이다. 2. 천식은 本虛表實한 증상으로서 주로 관련된 장기는 肺, 脾, 賢의 三臟이다. 3. 천식의 서의학적 유발원인은 알레르기 유발항원, 약물의 자극, 환경과 공기오염, 직업적 인자, 감염, 운동, 정서적 자극 등으로 인한 기관지내 기도폐색이다. 4. 심장성천식의 한의학적 원인은 水邪上逆, 衝脈之火, 肺中之火有餘등이다. 5. 심장성천식의 서의학적 원인은 좌심부전, 급성심근경색, 대동맥판막증, 증증 고혈압, 요독증등인데 좌심부전이 주요 원인이다. 결론 : 결과적으로 천식의 동서의학적 원인은 유사하다. 따라서, 증상과 증후의 총체적인 기초위에서 환자를 진단하고 치료해야겠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ause for bronchical and cardiac asthma. Method : The investigation was made by finding oriental and western medicine books abour the cause for asthma. Results : 1. There are three categories of etymological factors of asthma, that is, exogenous, endogenous and non-exo-endgenous factor. The exogenous factor is caused by six excessive atmospheric influences, among these wind-cold(風寨) and wind-hear(風熱) are important factors. The endogenous factors are the injury of food, the injury of emotion, overexertion, a chronic disease. And the non-exo-endogenous factors are a wrong acupuncture, an injury from from a fall. 2. Asthma is symptoms of bonhuepyosil(本虛表實), and mainly related organ are three viscera of the lungs, the spleen, the kidneys. 3. A western medical inducement cause of asthma are an antigen induced allergen, a stimulation of drugs, an environmental and air pollution, an occupational factor, an infection, an exercise, an emotional stimulation. 4. The oriental medical causes of cardiac asthma are susasangyuk(水邪上逆), chungmakjihwa(衝脈之火), pyejungjihwa(肺中之火). 5. The western medical causes of cardiac asthma are a left heart failure, an acute myocardial infraction, an aortic stenosis, a severe hypertension, an uremia, among these a left heart failure is a important cause. Conclusions : In the results we recognized that an oriental and western medical cause of asthma is similiar to. So we have to diagnose and treat patients on the base of overall of symptoms and signs.

      • TDI가 포함된 페인트 경화제에 의한 직업성 천식 1례

        이정호,양창헌,김종목,임현술,이동철,이영현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1994 東國醫學 Vol.2 No.-

        TDI(Toluene diisocyanate)는 도료, 단열제, 도장제, 광택제 등에 널리 사용하는 화학물질로, TDI에 폭로된 근로자의 약 5-10%에서 기관지 천식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발생기전은 면역학적 기전, 약리학적 기전, 독성 반응 및 다른 비면역학적 기전으로 할려져 있다. 본 증례는 TDI에 폭로된 후에 약 5년의 잠복기를 거친 후 기관지 천식이 발생한 39세 여자 환자로 호산구 수와 총 Ig E 치는 정상이고, 내원시 폐기능 검사는 정상치를 보였으나, methacholine 기관지 유발검사에서 6.25㎍/ml에서 PD20의 양성반응을 보이고, TDI 포함된 페인트 경화제에 의한 기간지 유발검사상 양성반응이 나타나 TDI에 의한 기관지 천식으로 확진된 환자로, 확진을 위하여 실시한 TDI 기관지 유발 검사는 이중반응형을 보였다. 그러므로 본 증례는 TDI가 포함된 페인트 경화제에 의한 직업성 천식으로 확진할 수 있었다. Isocyanates can induce occupational asthma in exposured workers. Isocyanates are most significant cause of occupational asthma in our country. Studies on the pathogenesis of isocyanate induced asthma have yielded conflicting result. Immunologic reaction were suggested by several authors. Isocyanates are used in the manufacture of numourous products including insulation, foam filling for furniture and polyurethane paints. We experienced one case of occupational asthma due to TDI in polyurethane paints manufacturing process. Therefore we report with brief reviews of literature. The patient was 39 years old woman. She developed cough, dyspnea, wheezing from 5 years after exposure. Eosinophil count, total Ig E level. and pulmonary function test at admission was within normal limit. On methacholing challange test, PD20 was 6.25 ㎍/ml and 1,600 ㎍/ml before and after TDI provocation test. Bronchial provocation test with paint working. TDI was positive and dual reaction was obser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