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3세기 전반기 간행한 『금강경』 사례들과 사상적 의미

        채상식 ( Sang Sik Chae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5 石堂論叢 Vol.0 No.61

        『금강경』은 선사상을 이해하는 매개로 인식하였는데, 이는 선종 6조인 혜능의 영향이 컸다. 그러나 선사상이 전래되기 이전인 삼국시기에 이미 『금강경』은 전래되었다. 신라와 백제에 『금강경』이 전래된 이후 『금강경』에 대해서는 주석을 붙이는 사상적인 접근과 신앙의 대상으로 인식하는 두 방향에서 전개되었다. 그러다가 고려전기에는 『금강경』을 간행한 예는 별로 보이지 않으나 상대적으로 ‘금강경도량’이라는 국가적인 차원의 대규모 신앙행사가 여러 차례 행해졌다. 그러다가 고려중기에는 분파·발전한 宋의 선종이 고려에 영향을 미치자, 관료층·문인층 가운데 일부는 선사상에 심취하면서 이와 병행하여 『금강경』을 신앙대상으로 삼기도 하였다. 최씨집정기와 대몽항전기인 13세기 전반기에는 『금강경』 간행의 사례가 네 번이나 있을 정도로 『금강경』을 중시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현상에는 바로 전 시기에 유행한 『금강경』에 대한 신앙이 그 기반이 되었으며, 아울러 이는 불교개혁을 표방한 修禪社가 방편으로 『금강경』 독송을 강조한 공덕신앙과 관련된다. 더욱이 지눌을 계승한 혜심은 독송뿐 아니라 더 나아가 영험과 신비적인 요소까지도 강조함으로써 『금강경』의 신앙화를 추구하였다. 이후 이런 경향이 계기가 되어 이전의 『금강경』과 관련된 불사에는 찾기 힘들었던 서민대중들도 『금강경』을 신앙대상으로 삼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금강경』에 대한 교학적·사상적인 접근은 퇴조할 수밖에 없는 역기능도 있었음은 말할 것도 없다. The Diamond Sutra had been considered as a medium for understanding the Seon(禪) thoughts, mostly due to Hyeneng(慧能). It was brought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earlier than the introduction of the Seon thoughts. After that, there were two ways to deal with the Diamond Sutra: an intellectual approach annotating on it in the perspective of history of thoughts and a religious approach cognizing it as an object of devotion. Whereas there had been almost no cases where the Diamond Sutra were published in earlier Goryeo Dynasty, the ‘ Diamond Sutra-Doryang(금강경도량)’ as a religious activity was conducted on several occasions at a national level. Then, the Seon Buddhism of Sung(宋) that was divided into a denomination and developed affected the Goryeo society, which led to that some of bureaucrats and literati of Goryeo Dynasty were absorbed in the Seon thoughts, taking the Diamond-Sutra as an object of faith. The Dimond Sutra became important in the earlier 13th century to the extant that the Diamond Sutra was published four times. This was related with supererogation faith(공덕신앙) that Suseonsa (修禪社) used recitation of the Diamond Sutra as an important instrument. Hyesim(惠諶) who succeeded Jinul(知訥)``s thought emphasized not only recitation but also miraculous and spiritual elements, thereby pursuing the task making the Diamond Sutra religious. It can be said that the vulgar herd also embraced the Diamond Sutraas an object of devotion. Producing adverse effect, however, it caused the decline of educational and ideological approaches on the Diamond Sutra.

      • KCI등재

        조계종(曹溪宗) 금강경(金剛經)에 대한 교감(校勘)(3)

        조현춘 ( Hyunchun Cho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5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1 No.3

        대한민국 최대 불교종단인 대한불교조계종 한문·한글 금강경을 저본으로 교감(Ⅰ)에서는 1∼5장을 교감하였고, 교감(Ⅱ)에서는 6∼10장을 교감하였으며, 본논문(교감 Ⅲ)에서는 11∼15장을 교감하였다. 다른 연구자들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금강경’을 번역하거나 복원하는 노력을 많이 하였다. 그러나 여러 본을 가지고 ‘완본 금강경’으로 복원하려는 노력은 하지 않은 것 같다. 결과적으로 낙간이 심한 금강경들이 ‘원본으로서’ 유통되고 있었다. 가장 애용되고 있는 구마라집 한문역 금강경조차도 낙간이 심하다. 그래서 화엄경과 화이트헤드 연구회의 도움으로 낙간부분을 보완한 ‘비교적 완전하게 복원한 금강경’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조계종 금강경 11∼15장을 교감하여, 한글세대를 위하여 현대 한글로 번역하고, 다시 한국인의 정서에 맞는 가사체로 다듬어서 제시한다.즉 작업은 삼단계로 이루어졌다. 1단계는 낙간부분을 보완하는 작업이었다. 천년 이상 된 것으로 추정되는 10편의 금강경을 근거로 조계종 한문 금강경에 500글자 정도를 보완하였다. 문장투는 조계종 한문 금강경 즉 구마라집 한문역 금강경을 최대한 존중하였다. 즉 낙간 부분을 보완하면서도 구마라집식 한문으로 번역하려고 노력하였다. 2단계는 한글 번역인데 내요은 산스끄리뜨 말을 존중하였으며, 산스끄리뜨어는 심한 수동형에 명사중심적이며, 영어는 약한 수동형에 조동사중심적이며, 한글은 심한 능동형에 동사중심이라는 것을 고려하여,논리적 분석을 통해 현대어로 번역하였다. 3단계는 한국인의 정서에 맞는 가사체 즉 4자-4자-4자-4자씩 한 줄에 16자씩 배치하는 형식으로 다듬었다. In the Renewed Diamond Sutra(Ⅰ), Chapter 1∼5 of the Kumarajiva``s version(Jogye-order version) were corrected. In the Renewed Diamond Sutra(Ⅱ), Chapter 6∼10 were corrected, and in this paper, Chapter 11∼15.The Diamond Sutra was translated into English and into Korean by many scholars, but little effort was offered to complete the Diamond Sutra. As a result,almost all of the Diamond Sutra, even the Kumarajiva``s version, have many severe problems and/or dropout.On the support of "Huayen Sutra and Whitehead Study Group", I propose more perfect Diamond Sutra and the 4-4-4-4 Korean-alphabet version. the work is composed of 3 stages. the first stage is achieving a complete version. The second stage is translating into modern language, as you know, the sanskrite is severely passive style and noun-centered, the English is mildly passive and auxiliary verb-centered, and the Korean is severely active and verb-centered. The last stage is to accommodate into 4-4-4-4 Korean-alphabet version.

      • KCI등재

        필사본 『금강경언해』와 『월인석보』의 관계

        김기종 한국서지학회 2013 서지학연구 Vol.56 No.-

        This article, taking the new material, the manuscript version of Geumganggyeong Eonhae, examines its system and characteristic, and the reason or meaning of the method of Gwonsu Malje. Also, as a preliminary review, it takes a look at the conditions of the edition/ publication and versions of Geumganggyeong Eonhae published by Gangyeongdogam. The manuscript version Geumganggyeong Eonhae is a manual copy of the main texts of ‘Yukjohaeseo’, ‘Huseo’, and Geumganggyeong Eonhaeas well as Yukjo Haeui with the Ansim Copy, the second publication of Geumganggyeong Eonhae in the late 16th century as its finalized version. Different from the Korean version published by Gangyeongdogam, this book does not contain Gakjabyeongseo letters and ㅿ, reflects the actual sounds of Chinese characters at that time, and is characteristic as all instances of ‘-이’ are written as ‘ㅣ’. As such, the manuscript version Geumganggyeong Eonhae in Boseong Seonwon can be well evaluated for its values and significance in that it shows linguistic facts in the late 16th century and it is the first case that shows the distribution of manuscript version Buddhist bibles in Korean. On the other hand, from the clear mention of Seokbosangjeol and Worincheongangjigok in the manuscript version Geumganggyeong Eonhae, we can conjecture that it suggests parts or all of Geumganggyeong is put in Worinseokbo. That is to say, it can be said that the copier put Worinseokbo together with Geumganggyeong in as Gwonsuje and Wonmalje with the Ansim Copy as its finalized version in order to reveal that Geumganggyeong is also contained in Worinseokbo. However, given that the head title of Worinseokbo is ‘Woringchoengangjigok/ Seokbosangjeol’ and the frequency of ‘Worincheongangjigok’ is higher than ‘Seokbosangjeol’ in the manuscript version, we can conjecture that there was no copy of ‘Worincheongangjigok’ in which Geumganggyeong was chanted or the latter’s portion was very limited. 이 글은 신자료인 필사본 『금강경언해』를 대상으로, 그 체재 및 특징과, 卷首․末題 기재방식의 이유 내지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예비적 고찰로, 간경도감본 『금강경언해』의 編刊 및 이본의 현황을 검토하였다. 지금까지의 논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필사본 『금강경언해』는 16세기 후반에 중간본인 안심사본을 대본으로 하여, 「六祖解序」․「六祖口訣後序」와 『금강경』의 본문 및 六祖 解義의 언해문을 필사한 것이다. 이 책은 간경도감본 『금강경언해』와 달리, 각자병서와 ‘ㅿ’이 보이지 않고, 당시의 현실 한자음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이’가 모두 ‘ㅣ’으로 되어 있는 특징을 보인다. 이렇듯 보성선원 소장 필사본 『금강경언해』는, 16세기 후반의 언어 사실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과 필사본 언해불경의 유통을 보여주는 첫 사례라는 점에서, 그 가치 및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한편, 필사본 『금강경언해』의 ‘석보상절/ 월인천강지곡’․‘석보상절’ 명기는, 『금강경』의 일부 내지 전체가 현재 전하지 않는 『월인석보』에 수록되어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곧 이 책의 필사자는 안심사본을 저본으로 하면서도, 『금강경』이 『월인석보』에 수록되어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권수제와 권말제에 ‘금강경’과 함께『월인석보』의 권두서명을 기재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월인석보』의 권두서명이 ‘월인천강지곡/ 석보상절’이고, 필사본에 ‘월인천강지곡’보다 ‘석보상절’의 출현 빈도가 높다는 점에서, 『금강경』을 노래한 「월인천강지곡」이 없거나 그 비중이 매우 적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그리고 ‘無住相布施’를 강조하고 있는『금강경』과, 권20~23에 보시 관련 이야기가 집중되어 있는 『월인석보』의 내용적 특징 및 권22․23․25의 일부 내용이 결락되어 전하고 있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금강경』이 수록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권차는 권22․23․25 중의 하나일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상의 논의는 『금강경』의 『월인석보』 수록 여부의 진위와 상관없이 不傳 『월인석보』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켰다는 점만으로도 그 의미가 있다고 할 것이다.

      • KCI등재

        13세기 전반기 간행한 '금강경' 사례들과 사상적 의미

        채상식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5 石堂論叢 Vol.0 No.61

        The Diamond Sutra had been considered as a medium for understanding the Seon(禪) thoughts, mostly due to Hyeneng(慧能). It was brought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earlier than the introduction of the Seon thoughts. After that, there were two ways to deal with the Diamond Sutra : an intellectual approach annotating on it in the perspective of history of thoughts and a religious approach cognizing it as an object of devotion. Whereas there had been almost no cases where the Diamond Sutra were published in earlier Goryeo Dynasty, the ‘Diamond Sutra-Doryang(금강경도량)’ as a religious activity was conducted on several occasions at a national level. Then, the Seon Buddhism of Sung(宋) that was divided into a denomination and developed affected the Goryeo society, which led to that some of bureaucrats and literati of Goryeo Dynasty were absorbed in the Seon thoughts, taking the Diamond-Sutra as an object of faith. The Dimond Sutra became important in the earlier 13th century to the extant that the Diamond Sutra was published four times. This was related with supererogation faith(공덕신앙) that Suseonsa(修禪社) used recitation of the Diamond Sutra as an important instrument. Hyesim(惠諶) who succeeded Jinul(知訥)'s thought emphasized not only recitation but also miraculous and spiritual elements, thereby pursuing the task making the Diamond Sutra religious. It can be said that the vulgar herd also embraced the Diamond Sutra as an object of devotion. Producing adverse effect, however, it caused the decline of educational and ideological approaches on the Diamond Sutra. 『금강경』은 선사상을 이해하는 매개로 인식하였는데, 이는 선종 6조인 혜능의 영향이 컸다. 그러나 선사상이 전래되기 이전인 삼국시기에 이미 『금강경』은 전래되었다. 신라와 백제에 『금강경』이 전래된 이후 『금강경』에 대해서는 주석을 붙이는 사상적인 접근과 신앙의 대상으로 인식하는 두 방향에서 전개되었다. 그러다가 고려전기에는 『금강경』을 간행한 예는 별로 보이지 않으나 상대적으로 ‘금강경도량’이라는 국가적인 차원의 대규모 신앙행사가 여러 차례 행해졌다. 그러다가 고려중기에는 분파․발전한 宋의 선종이 고려에 영향을 미치자, 관료층․문인층 가운데 일부는 선사상에 심취하면서 이와 병행하여 『금강경』을 신앙대상으로 삼기도 하였다. 최씨집정기와 대몽항전기인 13세기 전반기에는 『금강경』 간행의 사례가 네 번이나 있을 정도로 『금강경』을 중시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현상에는 바로 전 시기에 유행한 『금강경』에 대한 신앙이 그 기반이 되었으며, 아울러 이는 불교개혁을 표방한 修禪社가 방편으로 『금강경』 독송을 강조한 공덕신앙과 관련된다. 더욱이 지눌을 계승한 혜심은 독송뿐 아니라 더 나아가 영험과 신비적인 요소까지도 강조함으로써 『금강경』의 신앙화를 추구하였다. 이후 이런 경향이 계기가 되어 이전의 『금강경』과 관련된 불사에는 찾기 힘들었던 서민대중들도 『금강경』을 신앙대상으로 삼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금강경』에 대한 교학적․사상적인 접근은 퇴조할 수밖에 없는 역기능도 있었음은 말할 것도 없다.

      • KCI등재

        涵虛의 金剛經觀 고찰 - 「說誼」와 「綸貫「을 중심으로 -

        김영두 한국선학회 2009 한국선학 Vol.22 No.-

        이 논문에서는 조선 초기의 고승 涵虛己和(得通, 1376-1433)의 저술인 금강경오가해의 「說誼」와 綸貫을 중심으로 그의 금강경관을 고찰하였다. 涵虛의 두 저술의 공통되는 점은 금강경을 유․불․선삼교회통되는 매우 심오하고 최고의 경전으로 받든다는 점이요, 다른 점이 있다면 양 저술의 문장 구성과 형태, 그리고 내용상에서 서로 다른 측면을 찾아 볼 수 있다는 점이다. 涵虛는 「顯正論」을 저술하여 삼교의 회통론을 밝힘과 동시에 금강경오가해의 「說誼」에서도 삼교 회통의 측면까지도 찾아볼 수 있으며, 綸貫에서는 금강경사상의 호대함을 드러내는데 충실하면서 결국은 금강경사상을 통하여 삼교와 사상적으로 회통할 수 있는 중심을 삼고자 노력한 이면을 간파해 볼 수 있다. Hamheo-Gihwa(涵虛己和, 1376-1433) was high priest in the early years of Chosen dynasty. This thesis examines his way of looking at Diamond-Sutra around Seolyi of Diamond-Sutra(金剛經說誼) and Yunkwan(綸貫), two works of literary ones written him. They have a lot in common, that is, they showed that he believed in Diamond-Sutra faithfully as profound and beat Sutra. If they have the distinction between two writings, we can make clear different aspects in construction of composition, forming, and content between them.Hamheo asserts the theory of integration in three-religions, Taoism, Confucianism, and Buddhism, through Hyeonjonron(顯正論) written by himself. And we can identify this theory in Seolyi of Diamond-Sutra also. He set forth his views which the thought of Diamond-Sutra is great by writing Yunkwan. Finally, we can reveal his intention that he made full use of the thought of Diamond-Sutra for integration of three-religions.

      • KCI등재

        <금강경서(金剛經序)>의 수사학적 구조와 특성

        유이경 ( Yu Yi-kyong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인문학연구 Vol.- No.62

        이 논문은 조선 초기 합리적인 설득 수사학의 하나로써 사용된 한문 산문에 나타난 구조와 표현 기법을 탐구하였다. 『금강경』 전체의 취지를 담은 總序인 <金剛經序>를 대상으로 문장의 수사적 표현이 내용과 어떻게 연결되고, 그것이 창출해내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함허당의 <金剛經序>는 대구·대립의 단어를 사용하면서 운율감을 강조하여 기본적으로 이 글이 讀誦을 전제하고 있다. 더불어 상징의 다원성을 부각하기 위해 불교의 개념 용어를 구체적인 대상물로 묘사하고, 이를 감각적인 말로 바꾸어 사용하였다. 서술자는 서문을 통해 그의 자각과 임무는 석가모니와 다섯 祖師[宗密·傅翕·慧能·道川·宗鏡]의 解를 잇는 것과 서술자의 불교관과 수행의 자세를 포함하고 있다. <금강경서>에 표면적으로 나타난 구조·수사법 등이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와 어떻게 연결되는가 하는 논의는 더욱 확대·심화할 필요가 있다. 앞으로 함허당의 <현정론>을 비롯한 여러 저술을 분석하고, 나아가 『금강경』의 내용을 수사법과 연관 지어 살펴보는 연구를 하고자 한다. 또 조선 초기 儒·佛의 인식 차이와 조화론을 탐구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characteristics on expression techniques appeared in Chinese pros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Structure and rhetorical figures that appeared on the surface of the preface to 「Geumgang banya baramil gyoung ogahae seoseol(金剛般若婆羅密經五家解序說)」 containing the purpose of the entire 『Geumganggyoung(金剛經)』 and the method of significance creation are inspected Hamheodang’s 「the Geumganggyoungseo(金剛經序)」 emphasized the sense of rhyme using the words of parallelism and opposition, which basically suggests that this article presupposes reciting(dogsong, 讀誦). In order to highlight the plurality of symbols and the function of the correct meaning(seol-ui, 說誼), the conceptual terms of Buddhism were described as specific objects, and they were replaced with sensory words. The narrator also prefaced his awareness and mission to connect Sakyamuni and the five founders of sects in the old times in Chinese established Buddhism, Jongmil·Buheub·Hyeneung·Docheon·Jonggyeong((五家, 宗密·傅翕·慧能·道川·宗鏡)’s instructions(hae, 解). Thus, the five founders of sects in the old times in Chinese established Buddhism(五祖師) provides a glimpse of the narrator’s Buddhist views and attitude toward performance. Furthermore with intensification of discussion, Hamheodang’s various writings, including 『Hyeonjeonglon(현정론)』 will be analyzed and the contents of the 『Geumganggyoung』 in connection with the rhetorical figure will be studied. In addition, I will study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and harmony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 KCI등재

        『금강경(金剛經)』과 『무체법경(無體法經)』에 나타난 무아(無我)와 공(空)의 문제

        조극훈 동학학회 2022 동학학보 Vol.- No.62

        이 연구의 목적은 불교의 대표경전인 『금강경』과 의암 손병희의 『무체법경』에 나타난 무아와 공의 문제를 비교 분석하는 데 있다. 『금강경』은 사상(四相)을 버리고 변하지 않는 참된 지혜의 세계에 도달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무체법경』은 수행을 통하여 자리심, 이타심, 공화심, 자유심, 극락심에 이르는 자천자각의 경지를 서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양 경전을 무아와 공의 문제로 분석하고 그 원리와 방법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금강경』의 구조와 내용을 수보리의 질문과 그에 답변으로 정리하고 그 특징을 제시하였다. 둘째, 『무체법경』의 내용과 구성을 정리하고 그 성격이 무엇인지 논의하였다. 셋째, 양 경전에 나타난 무아와 공의 특징을 존재론적 측면, 인식론적 측면, 가치론적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금강경은 수보리의 질문, ‘어떻게 머물고’, ‘어떻게 마음을 조복받아야 하는가’에 대한 대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대답은 ‘머무는바 없이 마음을 내는 것’과 ‘무아법’이었다. 둘째, 『무체법경』의 핵심 내용을 성심과에서부터 진심불염까지 자천자각을 통한 인내천의 실현으로 제시하였다. 셋째, 두 경전의 공통된 원리로 언어의 모순성을 통한 무한과 유한의 변증법적 관계, 즉비시명과 불연기연의 인식론적 방법, 그리고 사랑의 가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problems of Anatman and Sunyata as found in Diamond Sutra , the main scripture of Buddhism, and Uiam Uiam Son Byeong- Hui’s Infiniteness Sutra . Diamond Sutra offers how we can reach the world of eternal true wisdom by discarding four notions, while Infiniteness Sutra describes the state of self-realization to be reached by cultivating ourselves through selfishness, altruism, communitarianism, freedom, and paradise. This study tries to analyze these two texts in terms of the problems of Anatman and Sunyata and compare their respective principles and methods.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summarizes the structures and teachings of Diamond Sutra by Subori’s questions and the answers given to them and presents their characteristics. Second, it outlines the contents and forms of Infiniteness Sutra and discusses what are their characteristics. Third, it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Anatman and Sunyata found in these two texts in terms of their ontological, epistemological, and axiological aspec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Diamond Sutra consists of answers to Subori’s questions about “how to stay” and “how to control the mind,” and those answers are “bringing to mind without staying” and “principle of self-negation.” Second, Infiniteness Sutra presents the substance of Innaecheon through self-realization from “the nature of mind” to “true mind not corrupted.” Third, it presents as the principles common to both texts the dialectic relationship between the finite and infinite arising out of the contradictions of lanuage, the epistemology of ‘Just-not but-named Speech’(卽非是名) and ‘Bulyeon-Giyeon’(不然其然) and the importance of love.

      • KCI등재

        명대(明代) 『출상금강반야바라밀경(出相金剛般若波羅蜜經)』의 계통과 판화 도상 연구

        김자현 불교미술사학회 2022 불교미술사학 Vol.34 No.-

        This paper investigates the genealogy and time of compilation of the Illustrated Diamond Sutra from the Ming period, and examines its illustrations through comparison with illustrated sutras from earlier periods. This sutra includes annotations as illustrations in the main text. Considering the rare annotations it shares with the Collected Commentaries on the Diamond Sutra(金剛經集解), this sutra was likely compiled in Southern Song China. The Illustrated Diamond Sutra was first published by private publishers in Beijing during the Xuande era, and four copies from the Ming period survive. This sutra includes 76 engravings that were modelled after those in the Yuan-period Diamond Sutra but were printed in a new format with new sketches. The engravings at the beginning and end, which do not exist in the Yuan sutra provide information about early Ming Buddhist engravings. The engravings in the main text succeeded the tradition while adding new motifs and backgrounds. They feature the styles of the Zhe school(浙派) that were popular at the court. This is probably because court painters participated in private publishing of Buddhist sutras that were thriving in Beijing, producing collections of unique engravings with the quality of court engravings, as examplified by the Illustrated Diamond Sutra. 이 글에서는 명대 『출상금강경(出相金剛經)』의 경문 계통과 경전의 성립 시기를 고찰하고, 판화의 도상 분석과 선행 판본과의 비교를 통해 도상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이 판본은 다양한 주석자들의 주석이 도해(圖解)되어 본문 속에 삽입되어 있는 매우 독특한 구성의 경전이며, 주석 중 여타의 경전들에서는 찾을 수 없는 부분들이 『금강경집해(金剛經集解)』와 공유되기 때문에 이 또한 『금강경집해』가 간행된 13세기 무렵 남송(南宋)에서 편집된 것으로 추정된다. 명대의 『출상금강경』은 총 4종이 현전하며, 선덕연간 북경의 민간에서 처음으로 간행되었다. 이 경전은 총 76점의 판화가 삽입된 방대한 구성의 도집(圖集)으로, 원대(元代)에 간행된 『금강경』판화를 저본(底本)으로 판식을 변형하고 새롭게 밑그림을 그렸다. 다만 이 판본의 권수와 권말에 삽입된 판화들은 원대본에서는 존재하지 않았던 것으로, 이 판화들의 화풍, 연원, 변천에 대한 고찰은 명 초기 불교 판화의 성립 과정을 가늠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들을 제공해준다. 또한 이 경전에 삽입된 판화들은 선행본의 도상을 계승하면서도 다양한 모티브와 배경이 더해지며 재구성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밑그림을 그린 화가들의 화풍이 적용되어 공통적으로 당시 궁정에서 유행하던 절파(浙派)화풍의 요소들이 확인된다. 이는 명 초기 북경을 중심으로 불전 간행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던 상황에서 궁정에서 활동한 화가들이 다시 민간으로 돌아와 습득했던 기술들을 활용하여 불전의 간행을 지속했던 시대 상황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그로 인해 『출상금강경』과 같이 민간에서 출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궁정 판본들의 품질에 버금가는 독자적 도상의 도집류 판화들이 만들어진 것이다.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금강경언해』의 번역에 관련된 몇 가지 문제

        김무봉 ( Mu Bong Ki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7 韓國思想과 文化 Vol.40 No.-

        『금강경언해』는 조선조 세조대에 刊經都監에서 간행(세조 10년, 1464)된 불경언해서이다. 後秦의 鳩摩羅什(344~413 A.D.)이 漢譯 편찬한 한문 본 『금강경』의 經 본문과 六祖大師 惠能의 解義(口訣)에 세조가 직접 정음으로 구결을 달고, 韓繼禧가 번역을 한 후 孝寧大君, 海超 등이 교정을 하여 간행한 木版本 單卷으로 된 책이다. 그러니까 『금강경언해』의 底本은 육조 혜능의 解義이다. 번역은 漢譯 『금강경』의 經 본문과 『六祖解義』의 적당한 곳을 나누어 단락을 만든 후, 정음으로 구결을 달아 번역을 하는 이른바 對譯의 방법을 취했다. 훈민정음 창제 이후 많은 불교 경전들이 한글로 번역되었다. 이때 조성된 한글 경전이 언해 불전이고, 한문 문헌의 번역을 위해 만들어진 對譯의 양식이 바로 ``諺解``인 것이다. 언해는 원문인 한문본에 매우 충실한 번역이다. 이런 이유로 중세국어 시기의 대역 번역문들은 당시 실제 사용하고 있었던 국어보다 훨씬 한문화된 것이었다. 아울러 口訣文에 의한 대역이어서 의고적이면서 문어적이기까지 하다. 이러한 전통은 20세기 초까지 이어졌다. 이 논의는 『금강경』 번역의 완성도를 높이는 데 목적을 두고 쓴 것이다. 논의를 통해 『금강경』에 대한 국어 번역서로는 최초의 문헌이 되는 『금강경언해』의 현전 상황과 형태서지 등을 밝혔다. 특히 지금까지 공개된 적이 없었던 두 本의 문헌을 새로 소개했다. 또한 언해의 전 과정을 進箋文, 雕造官의 列銜, 跋文, 飜譯廣轉事實 등을 통해 살펴보았다. 아울러 당시에 두 번 이상 간행되었던 다른 언해서들을 상호 비교하여 번역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금강경언해』의 번역의 특성을 알아본 후, 현대에 와서 이루어진 의역 위주의 번역과 비교했다. 또한 언해본의 현대어역 및 의역과도 비교해 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번역들의 장점을 살린 새로운 모형을 제시했다. 좋은 번역은 素材言語 원문의 뜻을 온전히 살리면서도 가장 的確한 목표언어로 재현시키는 일일 것이다. 쉽지 않은 일이기는 하겠지만, 불경의 경우에는 구결에 견인되었던 지난날의 장점은 살리면서 현대적 언어로 調律해 나간다면 無望한 일은 아닐 것이다. 이때 한역 이전의 원전인 싼쓰끄리뜨본을 참작하고, 경전이 讀誦되는 점을 감안하여 음악성까지 살린다면 완성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After the invention of the Hunminjeongeum(訓民正音), the royal families in the Chosun dynasty have started to translate famous Buddhist texts into the Jeongeum(正音). Buljeoneonhae(佛典諺解) is the collective title for the Korean translation of the Buddhist texts which have the Chinese as the source language (素材言語). In fact, these Eonhae(諺解) texts are of great importance in preserving the feature of the Korean language at the time of the invention of the Hunminjeongeum and in showing the early state of Korean translation. Although the composition of the Buljeoneonhae is based faithfully on the Chinese original, it is one of the few cultural heritages showing the Korean language at that time. This essay deals with the Geumgangsutra Eonhae edited by the King Sejo(世祖) and translated by Hangyehui(韓繼禧) etc. in 1464. It is published by the Gangyeongdogam(刊經都監) based on Hyeneung`s(惠能) exegesis of the Geumgangsutra. Although there are many exegeses in the Geumgangsutra(金剛經), one of the best known Buddhist canon in Korea, the Geumgangsutra Eonhae is the only Korean translation of the Geumgangsutra until the early 20th century. There are four issues discussed in this work. First of all, it deals with the manuscript of the Geumgangsutra Eonhae(金剛經諺解) together with its structure and with the newly discovered texts related. Secondly, it investigates the process and character of the translation within the Gangyeongdogam(刊經都監),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Geumgangsutra Eonhae. Thirdly, it identifi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Buljeoneonhaes published after the invention of the Hunminjeongeum. When there is more then two translations on the same text, it points out their differences in terms of the literal and of the free translation. Lastly, it studies the various contemporary translations on the Geumgangsutra Eonhae. It compares the modern free translations and the old literal translation in order to present the new translation model.

      • KCI등재

        원불교 교리도(敎理圖)의 종교모형과 현대종교

        김성장 ( Sung Jang Kim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4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0 No.1

        대한민국의 최대 불교 종단인 대한불교조계종 표준 금강경을 저본으로 교감(Ⅰ)에서 1∼5장을 교감하였습니다. 본 논문(교감Ⅱ)에서는 6∼10장을 교감하였습니다. 연구자가 아는 범위 내에서, 전 세계 연구자들이 모두 오래된 금강경을 단지 번역하거나 복원하는 데에 모든 노력을 하였을 뿐, 여러본을 가지고 완전한 금강경으로 복원하는 노력은 하지 않았습니다. 결과적으로 낙간이 심한 금강경들이 그대로 유통되고 있었습니다. 화엄경과 화이트헤드 연구회의 도움으로 낙간부분을 보완한 비교적 완전한 금강경을 제시합니다. 본 논문에서는 조계종 표준 금강경 6∼10장을 교감하여, 한국인의 정서에 잘 맞는 가사체로 제시합니다. In Won Buddhism doctrinal chart, Il-Won-Sang(One Circle Image, ?), the target of faith and target of example and enlightenment is placed at the top center and the gateway of faith and the gateway of practice are placedat both sides of bottom left and right. And the concept of Il-Won-Sang(一圓相) and transmission verse(偈頌) are placed at the bottom center of Il-Won-Sang. Therefore, the structure of doctrinal chart consists of the gateway of faith and the gateway of practice and the principle of the nature (性理). The first religion model pursued by doctrinal chart is faith in a religion based on truth. Second is practice as training in morality based on facts. Third is Il-Won-Sang as the target of enlightenment. Fourth is the harmony of faith, practice and enlightenment. The first religious orientation of modern people is reflection on incorrect religion phenomena in the crisis era of material civilization. Second, modern people have doubts about wishing good luck and exclusive faith and tend to be indifferent to relig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modern science and benefits of social welfare system. Third, they want to participate in spiritual master centered practice programs and spiritual development programs to enjoy practice culture such as DanJeonJu-Seon(丹田住禪) or Ganhwa-Seon (看話禪), meditation, mindfulness etc. The religion model of Won Buddhism doctrinal chart presents the exemplary religion model of religious innovation that must be pursued bymodern religions. transmi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