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중세시기 香徒의 존재양상과 성격

        채상식 釜山大學校 韓國民族文化硏究所 2012 한국민족문화 Vol.45 No.-

        향도 단계에서 신라통일기를 이어 고려중기까지는 향도를 주도한 사회계층은 상층 신분층과 토호층이었으며, 여기에 물론 다수의 민들이 동참하는 형식을 취했을 것이다. 그러다가 고려중기 이후 향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향도는 상당히 분화가 이루어져 민들도 독자적으로 향도를 결성할 수 있게 되었다. 고려말에는 매향이 해안지역에 한정되긴 했지만 상당히 보편화되었던 것도 이러한 사정을 말해준다. 물론 향도는 일차적으로 향을 매개로 한 신앙공동체로서 존재하였지만,일부 상당히 큰 규모의 경우는 향도를 주도한 세력들이 지역공동체를 대표하는 인물들이었기에 그 지역을 통괄하고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능을 수행했을 가능성은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 그렇다고 향도의 본질적인 성격을 지역공동체와 연결하는 것은 수긍하기 어렵다. 어떻든 향도는 불교의 신앙결사의 한 형태이며, 구성원들의 자발적인 참여에 의해 조직된 특징이 있다. 향도의 궁극적인 목적은 수행을 통해 解脫․涅槃에 이르는 것이었다. 아울러 향도는 造石․造像․造塔․造鐘 등 불교의 상징 조형물의 조성이라는 직접적인 목표를 갖고 있었다. 따라서 사업 추진을 위한 재원의 공동 마련이 핵심적 내용이었으며, 사찰에서 주관하는 각종 행사에 헌신적인 참여와 지원, 그리고 장기적인 念佛 수행의 계획 등으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이러한 향도는 고려후기를 지나 여말선초에 이르면 불교가 퇴조함에 따라 향도의 성격이 변질된다. 이러한 중에 일부 도서와 해안 지방을 중심으로 민간신앙적 요소와 미륵신앙이 결합한 埋香 신앙이 유행하였다. 곧 신앙공동체로서 향도의 기능이 유지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전반적인 추세는 성리학이 지배하는 사회 속에서 불교적인 요소를 탈각해가면서 본래부터 포용하고 있던 민간신앙만이 강조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곧 향도는 불교적인 요소는 사라지고 ‘祀神團體的’인 기능이나, 향촌사회의 상부상조하는 ‘契’의 성격을 갖는 존재로 변신하게 되었다. The first reference to the Buddhist associations, named Hyangdo(香徒), comes from the historical fact that Hwarangdo led by Kim Yu-Sin(金庾信) was called 'Maitreya Buddhist association(彌勒香徒).' Many historical researches are inclined to regard them as the local communities(or founded upon regional relation). This argument, partly, seems true in that it is one of their characteristics that they were based upon the local areas. However, what we should more take a look at is their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he community of faith. The Buddhist associations were the religious groups that made use of junipers in the rituals. At first, no one but the royal family and aristocrats could use the junipers to perform the buddhist rituals, cures, and practice ancestor worships in the mountains. As the use of junipers had been generalized, however, the middle and even lower classes could qualify for the membership of these associations. In short, these groups took the form of the devout Buddhist groups. Their organization largely depended upon the voluntary participants. It was their ultimate end to enter Nirvana(解脫) by practicing asceticism, as well as, more directly, building up the buddhist monuments. Therefore, as for the members, securing the financial resources was as a major problem, and so, they tried to support and take part in all sorts of events hosted by the buddhist temples, and to design scheme for the practice of Buddhist invocation(念佛) in an effort to do this. These associations had changed in their characteristics as Buddhism was on the wane in transitional period from Goryeo to Joseon dynasty. Meanwhile, the faith of Maehyang(埋香) combined with other folk beliefs and Maitreya faith was brought into vogue, mainly in some islands and seaside areas. In conclusion, the Buddhist associations showed a trend of taking a step in the direction of stripping the religious tone of Buddhism off them and colouring strongly the folk beliefs that already little by little were accommodated, on the whole, as Neo-Confucianism was the dominant thought in the society.

      • KCI등재
      • KCI등재

        고령의 반룡사와 體元의 화엄사상

        채상식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8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3 No.-

        고령에 소재한 반룡사는 어떤 역사적, 사상·신앙적 특징이 있는지를 살펴본 글이다. 우선 반룡사에 관한 자료를 검토한 결과 반룡사는 신라 애장왕 3년(802)에 해인사와 같은 시기에 건립하였다고 전한다. 현전하는 반룡사 다층석탑의 조성시기는 문헌자료와 연결하면 고려중기일 가능성이 높다. 반룡사에 관한 문헌자료로서 원 세조가 내린 榜文이 있다. 이 방문을 내린 사찰은 현 반룡사가 아닌 것 같다. 당시 몽고군이 주둔한 창원의 남쪽에 있는 ‘반룡산’이 주목된다. 한편 「送盤龍如大師序」를 검토한 결과 반룡사를 실제 개창한 인물은 승통 寥一이다. 그는 李仁老(1152~1220)의 大叔으로 화엄종 사찰인 개경의 흥왕사 승통이었으며, 최충헌을 모해하려 했다는 혐의를 받은 적이 있다. 요일이 개경에서 벗어나 반룡사에 정착한 것은 아마 중앙의 정치권력으로부터 멀어진 화엄종단의 부흥을 위한 것으로 보인다. 곧 반룡사를 터전으로 삼아 인접한 해인사, 법수사 등과 나아가 경상도 지역에서 화엄종의 연대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활동한 것은 아닌가 한다. 한편 충숙왕대에 이르러 반룡사에는 體元이 새로운 주법으로 부임한다. 그는 경주이씨로서 이제현의 家兄이며, 해인사 사간판에 수종의 자료를 남기고, 『화엄경』을 寫經한 바 있다. 그가 남긴 저술을 검토한 결과 관음신앙을 강조하고 또 이를 통해 공덕과 영험까지도 표방하고 심지어 민간신앙과 결합된 성격을 띤 사상적 경향을 보이고 있다. 곧 체원이 중심이 된 14세기의 화엄종은 신앙적인 측면이 두드러진 불교관을 표방함으로써 한 단계 진전된 화엄사상을 표방하지는 못한 셈이다. 여기서 중심되는 것은 관음신앙이었는데, 당시 불교계의 공통된 사상·신앙적 경향이었다. 대몽항전, 삼별초 항쟁, 동정군의 전란과 이에 계속된 이민족의 지배라는 참담한 현실 속에서 현세구원적인 활로를 찾기 위한 노력으로 나타난 산물이었다. 본래 관음신앙은 義湘 이래 낙산관음 설화와 결합하면서 전통적으로 일반 민들과 함께 호흡한 소박한 신앙이었다. 이 시기에 오면 관음신앙은 공덕과 영험을 중시하는 신비적인 요소와도 결합하여 사치한 귀족적인 불교로 성행하게 되었다. 곧 이중적인 성격을 띠게 되었으며, 그러한 산물이 佛畵와 사경, 대규모 불사 등으로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체원은 의상-균여-수기로 이어지는 화엄종의 실천적이면서 대중적인 경향을 계승한 인물이라고 하겠으나, 그가 관여한 사경 등을 보면 귀족적인 경향과 멀었다고는 볼 수 없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historical features of the thoughts and faith which Banryong Temple at Goryoung had displayed in Koryŏ Dynasty. To begin with, the interrogations of written sources on Banryong Temple shows that it had been built up at the same time when Haein Temple had been set up in the year three of King Aejang of Silla(A.D. 802). It is more likely that the multi story-stone pagoda handed down up to now at Banryong Temple had been elected at the middle of Koryŏ. Of the written sources, there is a public notice(榜文) which Sejo of Yüan had granted. It seems that it had granted not to Banryong Temple but to Mt. Banryong south of Changwon where the Mongolians had stayed at that time. According to Songbanryongyeodaesaseo(送盤龍如大師序), it was the master successor Yoil(寥一) who had really established Banryong Temple. He, an older uncle of Lee In-Ro(1152~1220), was the master successor of Heungwang Temple and had been suspected of conspiring to do harm to Choi Choong-Heon. Probably, he intended to rehabilitate Hwaŏmjong order estranged from central power going out from Gaekeong into Banryong Temple. He may have directed toward the consolidation of solidarity between temples of Hwaŏmjong at Kyeongsang region having Banryong Temple as a stronghold. Meanwhile, Chewon held newly the Joobeop(主法) position under the reign of King Choongsook. As the Lees of Gyeongjoo, he was an older brother of Lee Jehyeon, remained several sources to Saganpan of Haein Temple, and had copied Hwaŏm Sutra. The interrogation of his writings shows that he had stressed the faith of Avalokitêsvara(觀音) and claimed for his virtues and miracles by this faith. He even displayed the trend of thought combined with a folk belief. Thus, Chewon's Hwaŏm of the fourteen century had failed to present the thought taken a step forward by exhibiting their vision of Buddhism inclined to a faith. The central to this thought was the faith of Avalokitêsvara, which was a common trend of the Buddhist milieu at that time. This was an output of making every effort to search the actual salvation from the terrible real of successive wars and the control by other peoples. Initially, the faith of Avalokitêsvara was conventionally a naive faith closed with folk after it had mixed with the tale of Naksan Avalokitêsvara from the age of Ŭisang(義湘) on. By that time, it combined with the mystic factors focused on the virtues and miracles and became to be prosperous as an expensive faith of the aristocracy. It can be said that this dual character of it had been reflected on the Buddhist paintings, the copies of the Sutras, and the large scale Buddhist services. The copies of the Sutras related by Chewon demonstrates that he did not keep away from the aristocratic trends, though he had succeed to the practical and popular trends of Hwaŏm.

      • KCI등재

        高麗國新雕大藏校正別錄의 편찬과 자료적 가치

        채상식 釜山大學校 韓國民族文化硏究所 2013 한국민족문화 Vol.46 No.-

        『高麗國新雕大藏校正別錄』(이하 『교정별록』)은 현재 고려초조대장경, 북송장경, 거란장경 등이 다 없어진 상황에서 그러한 장경들의 모습을 더듬어 볼 수 있고, 또 해인사 소장 재조대장경의 조판 경위를 알 수 있는 역사적 자료이다. 그리고 『교정별록』은 守其를 대표로 하여 교감을 맡은 학승들이 오류를 철저하게 파악하여 교감한 것으로 대장경 연구에 중요한 서지학적 자료이다. 이와 같이 철저한 교감을 거쳤기 때문에 재조대장경은 불교학 연구에 있어서 세계사적인 가치를 지니는 것이다. 이러한 『교정별록』 편찬을 통해서 알 수 있는 대장경 연구의 몇 가지 사실과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종래에 일본측 학자들은 명확한 이론적 근거도 없이 초조장경은 북송의 개보칙판장경의 복각에 불과하다는 주장을 하였다. 그러나 『교정별록』의 내용을 분석해 보면 초조장경은 국내에 전해 오던 많은 사본과 대비했으며, 일부는 고려에만 잔존하던 경전을 入藏하기도 하였다. 어떻든 『교정별록』에 의해 초조장경은 단순히 북송의 장경을 복각한 것이 아니라 근 70여 년에 걸쳐 국내에 전하던 불경들과 상호 교감하거나, 부분적으로 고려에만 잔존하던 불경들을 새로이 入藏하여 완성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둘째, 현재 거란장경은 별로 알려진 바 없다. 그러나 거란장경에 대해서 는 별로 알려진 바 없었으나 재조장경에는 거란본에 의거하여 중국에서 이미 인멸된 『釋摩訶衍論』과 『玄文論』을 入藏했을 뿐만 아니라 고려초조본·북송본의 많은 오류를 교감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를 통해 사라진 거란장경의 면모를 단편적이나마 알 수 있다. 셋째, 『교정별록』에는 守其 등의 교감자는 고려본, 북송본, 거란본 등을 동일시하여 교감한 것이 아니다. 교감을 할 때 國本(고려초조본)과 宋本이 오류가 있을 경우는 ‘去’, ‘刪去’라고 했으나 丹本이 오류가 있을 때는 ‘不取’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으로 보아 거란본을 正本으로 삼아 세 가지 본을 상호 대조하였던 것으로 짐작된다. 결론적으로 말해 『교정별록』의 편찬은 목록작업과 함께 대장경 간행을 위한 기초작업의 의미를 갖는다. 이러한 편찬은 당시 몽고에 유린되고 있던 동아시아에서 고려불교 수준이 최고의 위치에 있었기 때문에 가능할 수 있었다. It is well acknowledged that Koryokukshinjodaechangkyochongbyollock(高麗國新雕大藏校正別錄) has been the historical text through which the contents of Koryochojodaejangkyong(고려초조대장경), Sung’s Tripitaka in Northern Sung(북송장경), and Kitan’s Tripitaka(거란장경) that have been disappeared up to this time and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ypesetting Jaejodaejangkyong belonged to Haein-sa temple could be supposed. It has been also known that Kyochongbyollock which the learned Buddhist priests headed by Suki(守其) published to correct the errors of Tripitaka has been considered as a bibliographically crucial text to the study of it. With Kyochongbyollock published, it can be seen that there arose some features or aspects of the study of Tripitaka. First, Japanese scholars of this area have argued that Chojodaejangkyong is nothing but an imitation of ung’s Tripitaka in Northern Sung. It is widely agreed, however, that it proceeded by comparing other versions of Tripitaka in Koryo and importantly, by including them remained only in Koryo as well. Second, Kitan’s version has been little known so far. But Jajojangkyong shows much of proofing-records of several versions destroyed in China and others in East Asia. This allows one to witness the fragments of Kitan’s version. Finally, proofreaders, like Suki, did not equal wight to each versions of Tripitaka but compared one to another on the basis of Kitan’s version. In conclusion, the work of Kyochongbyollock was a kind of fundamental project for the publication of Tripitaka Koreana. This is also suggestive of the Buddhism of Koryo at the highest level in that period.

      • KCI등재

        1608년 松廣寺 重刊 「勸修定慧結社文」․「誡初心學人文」 연구

        채상식 한국서지학회 2010 서지학연구 Vol.47 No.-

        Gwonsujeonghyegyeolsamun and Gyechosimhaginmun, examined in this research, are reprint editions of Jinul(知訥)’s works published in the mid-13th century. It is worthy of notice that they were most similar to the editions of the Goryeo Dynasty out of all reprint editions in the Joseon period. The publication of these two books at Songgwang Temple is related with the Temple's intensive effort to publish about twenty kinds of Buddhist books around 1608. It was a fruit of hard work to reconstruct Songgwang Temple after the ‘Second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7(丁酉再亂).’ The majority of Buddhist books published by Songgwang Temple were works of Jinul and Seosan(西山), and some books later selected as ‘Four Buddhist Texts(四集) were also included’. Gwonsujeonghyegyeolsamun described clearly that Yujeong, Buddhist Master Samyeong(四溟大師 惟政), revised its contents. In sum, it seems that Songgwang Temple accepted Seosan and Yujeong, and invited Buhyuseonsu(浮休善修) to succeed Jinul and widely spread his thought. Needless to say, they were accepted because their thoughts were not opposed to that of Jinul. Therefore, Songgwang Temple naturally professed ‘the revival of Jinul’ by accepting the greatest Buddhist monks of the day such as Seosan, Yujeong, and Buhyu, and established a tradition emphasizing an education of Buddhist priesthood in the community of Buddhism. 본고에서 다룬 「勸修定慧結社文」과 「誡初心學人文」 두 자료는 지눌의 저술로서 13세기 중반에 간행된 자료를 중간한 것이다. 조선시기에 간행된 그 어떤 자료보다 고려시기의 판본에 가까운 점이 주목된다. 임란 직후 송광사에서 이 자료를 간행한 것은 1608년 전후에 송광사에서 근 20여 종의 불서를 집중적으로 간행한 것과 관련된다. 이는 정유재란 이후 송광사를 재건하기 위한 노력의 산물이었다. 간행된 불서를 보면 지눌과 서산의 저술이 주를 이루며, 아울러 후대에 사집 과목으로 지정된 불서들이 포함되었다. 그리고 본 「勸修定慧結社文」 판본에는 사명대사 유정이 정정한 것임을 명기한 내용이 보인다. 이를 종합하면 송광사는 지눌을 계승하고 그의 사상적 흐름을 천양하기 위한 의도를 갖고 서산과 유정을 수용하고 이어 부휴선사를 초청하였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이들을 받아들인 것은 지눌의 사상적 경향과 배치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송광사는 서산, 사명, 부휴 등 당시 최고의 고승을 수용하면서 자연스럽게 ‘지눌의 부활’을 표방하게 되었으며, 불교계에서 승가 교육을 강화하는 전통을 수립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13세기 전반기 간행한 '금강경' 사례들과 사상적 의미

        채상식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5 石堂論叢 Vol.0 No.61

        The Diamond Sutra had been considered as a medium for understanding the Seon(禪) thoughts, mostly due to Hyeneng(慧能). It was brought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earlier than the introduction of the Seon thoughts. After that, there were two ways to deal with the Diamond Sutra : an intellectual approach annotating on it in the perspective of history of thoughts and a religious approach cognizing it as an object of devotion. Whereas there had been almost no cases where the Diamond Sutra were published in earlier Goryeo Dynasty, the ‘Diamond Sutra-Doryang(금강경도량)’ as a religious activity was conducted on several occasions at a national level. Then, the Seon Buddhism of Sung(宋) that was divided into a denomination and developed affected the Goryeo society, which led to that some of bureaucrats and literati of Goryeo Dynasty were absorbed in the Seon thoughts, taking the Diamond-Sutra as an object of faith. The Dimond Sutra became important in the earlier 13th century to the extant that the Diamond Sutra was published four times. This was related with supererogation faith(공덕신앙) that Suseonsa(修禪社) used recitation of the Diamond Sutra as an important instrument. Hyesim(惠諶) who succeeded Jinul(知訥)'s thought emphasized not only recitation but also miraculous and spiritual elements, thereby pursuing the task making the Diamond Sutra religious. It can be said that the vulgar herd also embraced the Diamond Sutra as an object of devotion. Producing adverse effect, however, it caused the decline of educational and ideological approaches on the Diamond Sutra. 『금강경』은 선사상을 이해하는 매개로 인식하였는데, 이는 선종 6조인 혜능의 영향이 컸다. 그러나 선사상이 전래되기 이전인 삼국시기에 이미 『금강경』은 전래되었다. 신라와 백제에 『금강경』이 전래된 이후 『금강경』에 대해서는 주석을 붙이는 사상적인 접근과 신앙의 대상으로 인식하는 두 방향에서 전개되었다. 그러다가 고려전기에는 『금강경』을 간행한 예는 별로 보이지 않으나 상대적으로 ‘금강경도량’이라는 국가적인 차원의 대규모 신앙행사가 여러 차례 행해졌다. 그러다가 고려중기에는 분파․발전한 宋의 선종이 고려에 영향을 미치자, 관료층․문인층 가운데 일부는 선사상에 심취하면서 이와 병행하여 『금강경』을 신앙대상으로 삼기도 하였다. 최씨집정기와 대몽항전기인 13세기 전반기에는 『금강경』 간행의 사례가 네 번이나 있을 정도로 『금강경』을 중시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현상에는 바로 전 시기에 유행한 『금강경』에 대한 신앙이 그 기반이 되었으며, 아울러 이는 불교개혁을 표방한 修禪社가 방편으로 『금강경』 독송을 강조한 공덕신앙과 관련된다. 더욱이 지눌을 계승한 혜심은 독송뿐 아니라 더 나아가 영험과 신비적인 요소까지도 강조함으로써 『금강경』의 신앙화를 추구하였다. 이후 이런 경향이 계기가 되어 이전의 『금강경』과 관련된 불사에는 찾기 힘들었던 서민대중들도 『금강경』을 신앙대상으로 삼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금강경』에 대한 교학적․사상적인 접근은 퇴조할 수밖에 없는 역기능도 있었음은 말할 것도 없다.

      • KCI등재

        淸溪寺의 연혁과 소장 목판의 현황

        채상식 한국서지학회 2021 서지학연구 Vol.87 No.-

        경기도 의왕시 청계산에 위치한 청계사의 연혁은 시기적으로 크게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려후기 조인규가 청계사를 중창하면서 원당으로 삼았던 시기이다. 둘째, 조선초에 국가에서 지정한 資福寺에 들 정도로 왕실에서 중시한 시기이다. 셋째, 임진왜란으로 전소된 청계사가 광해군대 복원되고, 광해군 말년에는 왕실이 청계사를 세자의 원당으로 삼았던 시기이다. 넷째, 숙종대부터 영․정조대에 이르기까지 왕실이 적극 지원하였으며, 이후 한말, 일제시기를 거쳐 현재에 이르는 시기이다. 여기서 주목되는 것은 철종조에 근대 이후 낙후된 조선불교를 크게 중흥시킨 경허 선사가 청계사에서 출가하였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연혁을 가진 청계사는 상당한 분량의 목판을 소장하고 있다. 이들 목판 자료는 경기도 일원의 사찰에 소장한 자료 중에서도 분량이 가장 많으며, 주로 조선후기에 조성된 특징이 있다. 이러한 목판을 통해 청계사는 왕실의 원찰이면서 승려교육에도 주력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