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우수등재

        『육조법보단경언해』 연구

        김무봉(Kim Mu-Bong) 불교학연구회 2006 불교학연구 Vol.14 No.-

          There are several versions of The Platform Sutra. The version compiled by Te-i (德異), a Buddhist monk of Y¨ uan (元), was translated into Korean by Hakjo (學祖) who was a Buddhist monk under the reign of King Yeonsan (燕山君) of the Joseon Dynasty. It is called the Eonhae edition (諺解本). Queen Insu (仁粹王妃) defrayed the expense of its publication. It was published in three volumes. A special wooden printing type was made for the publication of the sutra.<B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some philological and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translation of The Platform Sutra. The publication project of Korean translations of Buddhist texts in 15th century is reviewed, and som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Korean language at that time are revealed through analyses of the Korean translation of The Platform Sutra.

      • KCI등재

        『석보상절』권 20 연구

        김무봉(Kim, Mu-bong) 불교학연구회 2013 불교학연구 Vol.34 No.-

        이 논의는 1447년(세종 29년)에 간행된 책인 『석보상절』 권20의 문헌적 가치와 책의 성격, 저경(底經) 및 관련 불서들과의 대응 관계, 어학적 특성 등에 대한 규명 및 고찰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논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책은 훈민정음 반포(頒布) 다음해에 간행된 최초의 산문자료이다. 특히 한문 불경을 우리 문자로 옮긴 최초의 한글 경전이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책의 편집 및 편찬 체제는 물론, 활자 하나하나에 이르기까지 모두 새로운 창안에 의해 이루어졌다. 번역에서 경(經)의 본문은 본문 그대로 당시의 우리말로 옮겼고, 계환(戒環)의 요해(要解) 부분은 협주로 옮겨서 가독성(可讀性)을 높이면서도 이해의 편의를 도모하도록 한 점 등에 대해 살폈다. 이러한 점에 비중을 두어 형태서지 등 편찬과 관련된 문헌적 가치를 밝혔다. 둘째, 『석보상절』은 애초에 모두 24권으로 간행되었다. 이 중 현전하는 초간본은 8권이고, 중간본은 2권뿐이어서 모두를 합해도 10권에 지나지 않는다. 각 책은 모두 유일본으로 전해져 문헌적 가치가 높다. 권 20은 납탑본(納塔本)으로 훼손이 심한 편이다. 훼손된 부분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고, 『월인석보』, 『법화경언해』, 『동국정운』 등을 참고하여 이의 복원을 시도했다. 셋째, 『석보상절』 권 20의 저경은 『법화경』 권 6의 제 22 촉루품(囑累品), 제 23 약왕보살본사품(藥王菩薩本事品), 권 7의 제 24 묘음보살품(妙音菩薩品) 등이다. 이 내용은 나중에 간행된 책인 『월인석보』(1459년 간행) 권 18과 『법화경언해』(1463년 간행) 권 6 및 권 7에 다시 번역되어 실려 있다. 같은 내용이 시기를 달리해서 세 차례나 연달아 번역된 것이다. 이러한 관계를 감안해서 세 책의 대응 부분을 정리ㆍ제시하여 비교 연구가 가능하도록 했다. 세 책은 간행 연도에 따라, 그리고 편찬 방법 빛 편찬자의 언어 습관에 따라 얼마간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 이 토대 위에서 『석보상절』의 특성을 찾고자 했다. 불교학 연구 및 국어사 연구 자료로 활용 가치가 클 것이다. 넷째, 어학적 특성을 밝혔다. 『석보상절』은 다른 불경언해서들과는 달리 원문이나 정음 구결문 없이 번역문만으로 된 책이다. 그만큼 원문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환경에서 찬술되었다는 것을 함의한다. 그런 때문인지 번역이 비교적 자유역(自由譯)에 가깝고, 어휘도 비록 한자어 기원의 어휘라고 해도 정음으로 적힌 것이 많다. 권 20에는 다른 문헌에 쓰인 적이 없는 희귀어 및 고어사전 미수록 어휘가 몇몇 보인다. 대표적인 어휘로는 ‘기장’, ‘데엋’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눈부시다’는 의미를 가진 형용사 ‘<span style="font-family:'새굴림';"></span><span style="font-family:'새굴림';"></span><span style="font-family:'새굴림';"></span>ㆍ<span style="font-family:'새굴림';"></span>-[耀]’와 ‘너그럽게, 큼직하게’의 뜻을 가진 ‘:게<span style="font-family:'새굴림';"></span>-[雄]’의 파생부사 ‘:게여ㆍ<span style="font-family:'새굴림';"></span>’도 처음 나오는 어휘이다. 기원적으로는 한자어지만 이 책에서 정음으로 적힌 어휘에는 다음의 말들이 있다. ‘양ㆍ<span style="font-family:'새굴림';"></span>/樣子/樣姿, :양/樣, 샹ㆍ녜/常例, 침노ㆍ<span style="font-family:'새굴림';"></span>-/侵勞/侵擄ㆍ<span style="font-family:'새굴림';"></span>-, 풍류ㆍ<span style="font-family:'새굴림';"></span>-/風流ㆍ<span style="font-family:'새굴림';"></span>-, 미혹ㆍ<span style="font-family:'새굴림';"></span>-/迷惑ㆍ<span style="font-family:'새굴림';"></span>-, :<span style="font-family:'새굴림';"></span>ㆍ뎍/行蹟, :위ㆍ<span style="font-family:'새굴림';"></span>-/爲ㆍ<span style="font-family:'새굴림';"></span>-, :쳔량/錢糧’ 등이다. 그리고 이렇게 한자어 어휘를 정음으로 적게 된 이유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책의 형태서지, 보존 상태 및 훼손된 부분에 대한 원문 복원, 수록된 내용, 같은 내용이 번역되어 있는 『월인석보』 및 『법화경언해』와의 대응 관계, 그리고 표기 및 형태의 특징, 희귀어 및 고어사전 미수록 어휘 등 어휘의 특성에 대해 구명했다. This research aims at examination of the literary value and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the 20th volume of 『Seokbosangjeol(釋譜詳節)』 that was published in 1447 (Sejong’s 29th year). Through thorough investigation and comparative study with the Buddhist sutras like 『Worinseokbo (月印釋譜)』 and 『Beophwagyeongeonhae (法華經諺解)』, I have concluded as indicated below. First of all, this book is the first prose issued one year after promulgation of Hunminjeongeum (訓民正音). Especially, 『Seokbosangjeol』 is important because it is the first translation case of the Chinese Buddhist sutra into Hangeul. Editorial form, compilation structure, and every single type of this book were brand new inventions. I have investigated that,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the main texts of sutra (經) were translated into Korean following the originals, and that Yohae (要解, interpretation) of Gyehwan (戒環) was moved into Hyeopju (夾註, annotation that is inserted into the main text) to improve readability and to ease understanding. Considering these features, I proved the literary value, such as bibliography, related to the compiling process. Secondly, 『Seokbosangjeol』 was originally published as 24 volumes. Among them, however, only 10 volumes, 8 volumes of first edition and 2 volumes of second edition, exist at the present. The 20th volume was archived in a pagoda (納塔本) and is seriously damaged. I have arranged the damaged part and tried to restore the damaged part by referring to 『Worinseokbo』, 『Beophwagyeongeonhae』, and 『Donggukjeongun(東國正韻)』. Thirdly, the basis sutra of the 20th volume of 『Seokbosangjeol』 are the 22nd Chokrupum (囑累品) and the 23rd Yakwangbosalbonsapum (藥王菩薩本事品) of the 6th volume and the 24th Myoeumbosalpum (妙音菩薩品) of the 7th volume of 『Beophwagyeong』. These parts were translated again in the 18th volume of 『Worinseokbo』(published in 1459) and in the 6th volume and the 7th volume of 『Beophwagyeongeonhae』(published in 1463), which were published later than 『Seokbosangjeol』. In other words, one source had been translated three times.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among the three translated books, I have arranged and presented corresponding parts of the books to allow comparative study. By the publication years, the compilation process, and compiler’s linguistic habits, these three books have different features. On this basis, I have tried to discover characteristics of 『Seokbosangjeol』. My work would contribute to the Buddhism Studies and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as a research material. Fourthly, the translation of 『Seokbosangjeol』 is near to free-translation (自由譯), and many words in this book were written in Jeongeum (正音) although the words were based on Chinese characters. In the 20th volume, we can find a few words with rare usage in the other literatures, and several words of the volume are unfindable in the archaism dictionary. Also, some words like following words were written in Jeongeum, while they were based on Chinese characters. I have examined the reasons why those Chinese words were written in Jeongeum. As I have discussed above, this paper examines bibliography, contents, preserved condition of the 20th volume of 『Seokbosangjeol』, restoration of damaged parts, corresponding relationships with 『Worinseokbo』 and 『Beophwagyeongeonhae』 which are other translations of the identical original book, characteristics of format and notation, and lexical characteristics like vocabularies with rare usage in the other texts and vocabularies that are unfindable in the archaism dictionary.

      • KCI등재

        『칠대만법(七大萬法)』 연구

        김무봉 ( Kim Mu-bo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6 韓國思想과 文化 Vol.85 No.-

        『칠대만법』은 국어사 자료로서 가치가 큰 책이다. 1569년에 간행되어 16세기 후반의 국어가 반영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간행 지역인 경북 영주 지역의 방언이 보이기 때문이다. 불교의 교법(敎法)을 설명한 불서(佛書)인데, 원문이 따로 없고 구결문을 두지도 않았다. 언해본이 아닌 것이다. 한글과 한자를 함께 써서 만든 국한 혼용의 한글 문헌이다. 한자에는 독음(讀音)을 달지 않았다. 또한 16세기 후반 문헌임에도 방점(傍點)이 없다. 그만큼 문장 구성에 제약이 없어서 번역투의 문어체 문장 중심이라는 앞 시대 언해 불서의 한계를 뛰어넘었다.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문장 구성과 일상의 언어가 많이 보인다. 모두 23장에 지나지 않지만, 국어사 및 불교사 연구에 소중한 자료가 된다. 첫째, 현재 후쇄본 책들이 몇 권 전하는데, 책의 인쇄 상태는 비교적 양호한 편이다. 그러나 원고본 작성에서 비롯된 오류가 보이고, 판목의 완결이나 탈획, 책 보관 과정에서 생긴 오·탈자 등으로 인해 해독이 어려운 부분이 있다. 이본들은 대부분 19세기 이후에 쇄출되어 현전 책들간 내용에 별다른 차이는 없다. 둘째, 이 책은 주제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전체를 크게 세 장(章)으로 나누어 설명했다. 「진여세계(眞如世界)」, 「삼신여래(三身如來)」, 「성적등지(惺寂等持)」 등이다. 내용 구성이나 설명의 방법은 논리정연하면서도 체계적이다. 수요층인 불자들을 배려한 흔적이 뚜렷하다. 각 장별 구성은 앞쪽에서 교설(敎說)하고자 하는 주제에 대한 대강을 밝히고, 뒤쪽에서 다시 상술하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설명이 끝나면 교설한 내용을 다시 요약·정리하는 한편, 한두 문장으로 핵심을 드러내는 방법을 취했다. 연역적(演繹的)인 방법과 귀납적(歸納的)인 방법을 아울러 구사한 것이다. 또한 항목 나열식 구성으로 설명이 일목요연하게 이루어진 데에다, 적절한 예화(例話) 제시와 일상의 일로 비유를 드는 등 설득력을 갖추었다. 결과적으로 책 저술의 목적 실현에 부합하는 구성으로 본다. 셋째, 이 책은 16세기 후반에 간행되어 당시 한국어의 특성을 알 수 있는 중요한 국어사 자료 중 하나로 다루어져 왔다. 책에 실려 전하는 표기, 음운, 형태, 어휘 등의 언어 사실은 중세 후기의 국어사 연구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논의에서는 표기, 음운, 형태, 문장 유형, 어휘, 방언 반영 등 이 책의 특성이라고 할 만한 내용들을 살폈다. 특히 당시에 일부 동요를 보이고 있는 음운의 변화와 표기의 특성 등을 책의 용례를 통해 제시했다. 또한 체언과 조사의 통합에서 나타나는 분철표기 및 중철표기 현상을 분석하여 연철표기의 전통에 동요가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문장의 유형별 특성을 변별해 주는 기제로써 종결어미와 연결어미가 어떻게 사용되었는지에 대해서도 밝혔다. 사용된 연결어미와 종결어미는 이 책의 문장 구성 및 설명의 방법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 책에는 상당한 수의 희귀어 및 난해어, 그리고 사용례가 흔하지 않은 고유어가 나오는데,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형태와 의미를 정리했다. I studied 『Childaemanbeop』, which is an invaluable reference for Korean language history. This book was published in 1569. Therefore, it reflects the Korean language in the late 16th century. This book also reflects regional dialect of Gyeongbuk Yeongju, the province that this book was published. This book is not a Buddhism scriptures, but a Buddhism literature that includes Buddhism creeds. This book does not have original texts and Gugyeolmun. This book is written in both Hangul and Hanja, in which Hanja does not accompany reading sound. Also, this book does not have Bangjeom although it was published in the late 16th century. Because sentence structure of this book does not follow any particular restriction, we can discover unconstrained sentence structures and ordinary languages. Although this book consists of only 23 chapters, it is an invaluable research reference for Korean language history and Buddhism history. The brief research summary is as below. 1) I studied classification of this book, material bibliography, preservation condition, and value as a research reference for Korean language history and Buddhism history. 2) The contents of this book are Buddhism creeds. This book consists of three parts, 「Jinyeosegye」, 「Samsinyeorae」, and 「Seongjeokdungji」, to help readers understand the book more clearly. As a first step of the research, I introduce the organization of contents of this book. The organization of contents is logical and systematical. It is obvious that the publisher of this book was considerate of Buddhists, main readers of this book. This book introduces brief contents first and then explains more specific details later. After each explanation, summaries about main points are given in one to two sentences. In short, this book makes use of both deduction and induction. 3) This book was published in the late 16th century. Therefore, this book has been considered as an invaluable reference to study language characteristics in the late 16th century. Language characteristics in this book, such as writings, phoneme, linguistic form, and vocabulary, contribute significantly to research in Korean language history. Also, I reviewed analyzed linguistic forms and meanings of rare words, abstruse words, and indigenous words used in this book. In addition, I emphasize the value of this book by reviewing overall Korean language history.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문화(文化) : 『백련초해(百聯抄解)』연구(Ⅱ) -동경대본(동경대본 東京大本)의 음운과 어휘를 중심으로-

        김무봉 ( Mu Bong Ki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4 韓國思想과 文化 Vol.74 No.-

        백련초해는 칠언의 고시(古詩) 중에서 연구(聯句) 100수를 가려 뽑아 한글로 번역·간행한 책이다. 현재 십여 종의 이본이 전한다. 이본마다 번역 체제, 연구의 수, 편연(編聯) 순차 등에 크고 작은 차이가 있다. 한문만으로 된 책도 있다. 이 논의에서는 간행 연대가 가장 오래된 책으로 짐작되는 동경대 소장본을 대상으로 하였다. 1권 1책의 목판본인 동경대본은 다른 이본들과는 달리 한시(漢詩)의 각 글자마다 밑에 새김인 자석(字釋)과 독음(讀音)을 적고 행을 바꾸어 번역문을 둔 형식이다. 이러한 형태는 이 책이 한시 학습서라는 성격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간행 연대는 16세기 후기로 짐작되는데, 당시에 간행된 다른 언해본들과는 언해체제 등에서 차이가 난다. 구결문을 따로 두지 않고 2행에 걸친 시문이 끝나면 행을 바꾸어 한 행에 작은 글자두 줄로 번역문을 둔 것이다. 번역문에는 한자를 쓰지 않았다. 여기서는 번역문의 표기와 음운, 그리고 희귀어(稀貴語) 와 난해어(難解語) 등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동경대본 백련초해는 16세기 후기에 간행된 책으로 추정하지만 한자음이나 한글에 방점이 찍혀 있지 않다. 표기의 특징으로는 ‘ㅿ’이 한자 독음과 고유어 표기 모두에서 보이고, 음절말에 ‘ㆁ’을 쓰고있는 점을 들 수 있다. 어두자음군 중 15세기에 ‘ㅵ’자와 ‘ㅴ’자로 쓰였던 일부의 글자가 ‘ㅺ’이나 ‘ㅲ’으로 변화된 모습을 보인다. 앞 시기에 예사소리였던 초성 ‘ㄱ’이 ‘ㅺ’으로 표기되는 등 된소리화를 반영한 예도 있다. 자음으로 끝나는 체언과 용언 어간 다음에 모음의 조사나 어미가 오면 대체로 앞선 시기와 같이 연철했다. 부분적으로 분철표기를 하거나 중철표기를 한 경우도 있다. 음운현상 중 구개음 화가 반영된 형태는 고유어나 한자어 모두에서 보이지 않는다. 다만자음동화가 반영된 표기는 일부 볼 수 있다. 설측음화를 반영한 표기, ‘ㅣ’모음 역행동화를 반영한 표기도 있다. 원순모음화를 반영한 표기의 예도 보인다. 이 책에는 시문의 한자마다 새김인 자석(字釋)이 있어서 당시의 어휘연구에 많은 도움을 준다. 새김 중에 광주판 천자문과 일치하는 요소가 많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는 동경대본 백련초해에 전라방언형이 반영되어 있고, 이 책의 간행지가 장흥이라는 추정을 유력하게 해 주는 근거가 되기도 한다. 이 책에는 희귀어 및 난해어가 적지 않다. 그동안 규명이 쉽지 않았던 ‘짓혓ㅅㄷㅗ다[倚]’, ‘발아이시니[當]’ 등 11개의 어휘를 대상으로 그 의미를 밝혔다. 아울러 번역문 구성의 특징을 밝혔다. 이 책에 실려 있는 시들은 대부분 칠언고시의 함연(함聯)과 경연(頸聯)에서 발췌한 것들인데, 연구 안에서 다시 전구(前句)와 후구(後句)가 대(對)를 이룬다. 이런 이유로 대부분의 전구는 대등적 연결어미 ‘-고/오’로 끝나고, 후구는 감동법 선어말어미 ‘-도-’ 및 ‘-옷-’에 종결어미 ‘-다’가 통합된 구성이다. 후구의 종결은 ‘-도다/로다/ㅅㄷㅗ다’ 또는 ‘-놋다/놋ㅅ다’형 어미로 마무리되는 단조로운 형식이 많다. In this research, I have examined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a Baekryeonchohae (百聯抄解) edition owned by the University of Tokyo. Baekryeonchohae, which is translated and published in Hangeul. This edition consists of 100 poems excerpted from 7-word ancient poems(七言古詩). In other words, Baekryeonchohae is thetranslated book of Chinese poems. Currently, more than 10 editions of various Baekryeonchohae exist. Among these various editions, the edition owned by the University of Tokyo is the oldest one. This edition is different from the other editions in terms of Eonhae(諺解) system. In other words, a translation system is different from the other editions. In the edition owned by the University of Tokyo, there are explanations and articulation under the each Chinese characters, and translated sentences are accompanied. The inferred publication year is late 16th century. In translated sentences, chinese characters are excluded. In this research, I have discussed the notations of translated sentences, phonemes, rare vocabularies(稀貴 語), and abstruse vocabularies(難解語). In the Baekryeonchohae edition owned by the University of Tokyo, there isn`t any side-dot(傍點). The characteristics of notations are as follows. ‘ㅿ’ is used for both notations of sounds of Chinese characters and Korean. ‘ㆁ’ is used at the end of syllables, too. Also, I have examined usage characteristics of consonant notations. In this edition, liaison spellings is used generally when postpositional particles beginning with a vowel follow a stem of a substantive ending with a consonant or endings beginning with a vowel follow a stem of a predicate ending with a consonant. There isn`t any palatalization notation. There are several notations adopting consonant assimilations. Also, there are notations related to a lateralization and a ‘ㅣ’ vowel reverse assimilation. In addition, there are notations adopting rounded-vowelization. This book includes a lot of rare vocabularies and abstruse vocabularies. I have revealed the meaning of the 11 vocabularies, which have not been clearly investigated. Also, I have reveale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translated sentences.

      • KCI등재

        『영험약초언해(靈驗略抄諺解)』 연구

        김무봉(Kim, Mu Bong) 동악어문학회 2011 동악어문학 Vol.57 No.-

        이 논문은 조선조 성종 16년(1485 A.D.)에 간행된 『영험약초언해』의 형태서지(形態書誌) 및 국어사 자료로서의 가치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쓴 글이다. ‘영험약초언해’는 당대의 고승(高僧) 학조(學祖)에 의해 간행된 책인 『오대진언(五大眞言, 1485 A.D.)』의 뒤쪽에 합철(合綴)되어 있는 문헌이다. 원간본인 상원사본(上院寺本) 계통의 책 중에 한문본이나 언해본이 단행(單行)으로 출판된 것은 없다. 앞쪽에 ‘오대진언’을 두고, 뒤쪽에 ‘영험약초’ 원문과 언해문이 편철(編綴)되어 있는 형태로 전한다. 그러나 복각(覆刻) 중간본(重刊本)인 희방사본 (1550 A.D. 간행) 중에는 ‘오대진언’ 없이 ‘영험약초’ 원문 부분과 언해문 부분이 함께 있는 책과 언해문 부분만 따로 있는 책이 단행으로 전하기도 한다. 이것은 복각본의 판목(板木)을 이용해 나중에 다시 쇄출(刷出)하면서 그렇게 되었거나 후대의 개장(改裝) 과정에서 그렇게 된 것으로 본다. 이 논문은 『오대진언』 속에 들어있는 원간본 ‘영험약초언해’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앞에서 설명한 대로 원간 문헌은 『오대진언』 속에 합철된 형태로 전해지지만 여기서는 논의의 편의를 위해 단행으로 다루고, 표시도 그렇게 했다. 논의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이 책에는 구결문이 없다. 앞쪽에 구결문 없이 한문으로 된 원문을 둔 후, 학조의 발문 2장을 편철하고, 그 뒤에 언해문을 따로 두었다. 또한 원문(原文)이 있는 앞부분은 목판본(木版本)인데 비해, 언해문(諺解文)이 있는 뒷부분은 을해자(乙亥字)로 된 활자본이다. 발문 뒤에 편철되어 있는 언해문의 판심서명 역시 한문본과 같이 ‘五大’로 되어 있지만, 장차(張次)는 언해문의 경우 1장(張)부터 새로 시작하였다. 이로 미루어 언해본은 나중에 따로 번역하여 합철했음을 짐작 할 수 있다. 2) 『영험약초(靈驗略抄)』는 『대비심다라니(大悲心陀羅尼)』, 『수구즉득다라니(隨求卽得?羅尼)』, 『대불정다라니(大佛頂?羅尼)』, 『불정존승다라니(佛頂尊勝?羅尼)』 등 네 편의 진언(眞言)을 대상으로 하여, 이 진언들이 나타낸 이적(異蹟)과 영험(靈驗)한 일들을 경전(經典)에서 찾아 제시한 책이다. 그러니까 『영험약초언해(靈驗略抄諺解)』네 편의 진언과 관련된 영험담(靈驗談)을 모아서 먼저 한문으로 적은 후, 이를 정음으로 옮긴 언해본인 것이다. 3) 이 책에는 구결문이 따로 없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축자역(逐字譯), 곧 직역(直譯)의 형식을 벗어나지 않았다. 구결문을 전제(前提)한 번역이어서 그렇게 된 것으로 판단한다. 문장은 발췌한 글의 원문인 경전의 문체(文體)에 따라 문답 형식의 대화체 위주로 되어 있다. 문장 종결형식은 대부분 설명법이나 추측법의 평서형이다. 물론 묻는 말인 경우에는 의문형 종결형식을 썼다. 대화문의 경우에는 청자의 화계 등급에 따른 경어법을 구사했다. 4) 『영험약초언해』는 원문과 언해문을 모두 합해야 십팔 장(張)에 지나지 않는 매우 짧은 문헌이다. 하지만 조선 초기, 진언(眞言)과 관련된 우리나라 불교문화의 한 면을 보여주는 책이기도 해서 이용 가치가 크다. 비록 번역된 문어투(文語套) 중심의 언어로 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15세기 후반의 국어 연구를 위해서는 소중하게 다뤄야 할 자료이다. 이 문헌이 같은 해에 같은 체제로 간행된 『불정심 다라니경언해』더불어 당시 언어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는 소수의 책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논의를 통해 이 문헌의 성격 및 형태서지, 국어학적 특성, 특히 문장 구성과 표기법 등 국어사 자료로서의 가치를 밝혔다. This article purposes finding the value of Yeongheomyakchoeonhae which was published at 16th years(1485 A.D.) of the age of Seongjong, a king of Chosun, as a material of physical bibliography and Korean linguistic history. The book Yeongheomyakchoeonhae is derived from the tail part of Odaejineon(五大 眞言) which is a book for mantra and published by Hakjo(學祖), a priest of Buddhism, in the age of Seongjong. This original book is named Sangwonsabon (上院寺本) because it has been preserved in Sangwonsa(上院寺). Followings are several summarized characteristics of the book. 1) This book does not have Gugyeolmun(口訣文). In the front part of the book, there is the original without Gugyeolmun, and a postface by Hakjo and Eonhaemun (諺解文) continue. Also, the front part with the original is a woodblock book, while the part of Eonhamun is a printed book with Eulhaeja(乙亥字). 2) Yeongheomyakcho(靈驗略抄) covers four mantras which are 『Daebisimdarani (大悲心陀羅尼)』, 『Sugujeukdeukdarani((?求?得?羅尼)』, 『Daebuljeongdarani(大佛頂?羅尼)』, and 『Buljeongjonseungdarani(佛頂尊勝?羅)』. This book gives and explains miracles in the four mantras. In other words, Yeongheomyakchoeonhae is a book which contains four mantras and holy stories related to these mantras in Chinese and translates the words and the stories in Korean. 3) This book translates only literally. And, the sentences give examples of Buddhist scriptures and explain anecdotes. For this reason, there are many dialogic sentences and quotations. And, most sentences are declarative sentences with explanation or supposition. The dialogic sentences often use honorific. Similarly with 『Buljeongsimdaranigyeongeonhae』, which was published at the issued year of this book, orthographies of Yeongheomyakchoeonhae represent orthographic characteristics of late fifteenth century. 4) Although this book is very short literature with only eighteen sheets of papers, this book presents well about a cross section of Korean Buddhism Culture related to early Chosun's mantras. In the discussion of this paper, I compare Yeongheomyakchoeonhae with other Bulgyeongeonhae books to demonstrate the value of this book as a material of Korean linguistic history especially in sentence structure and orthography.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문학(文學) : 『백련초해(百聯抄解)』 연구(1) -이본(異本)과 시의 성격을 중심으로-

        김무봉 ( Mu Bong Ki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70 No.-

        『백련초해』는 초학자들의 한시 학습용 교재이다. 칠언의 시(詩) 중에서 연구(聯句) 100수를 가려 뽑아 한글로 번역·편찬한 책이다. 현재 십여 종의 이본이 전한다. 이본마다 번역 체제, 연구의 수, 편연(編聯) 순차 등에 크고 작은 차이가 있다. 한문만으로 된 책도 있다. 이 논의는 번역본을 주 대상으로 한 것이다. 지금까지 많은 선행 연구가 있었지만 여전히 미해결의 과제가 있다. 첫째, 현전하는 이본들의 규모가 어느 정도이고, 이본들의 계통과 이본들 간의 차이는 무엇인가 하는 점이다. 둘째, 수록되어 있는 시들의 출처(出處)나 전거(典據), 그리고 시의 특징이다. 셋째, 최초의 편찬자 등 편찬한 이와 번역한 이에 관한 문제이다. 넷째, 동경대 소장본의 조성 시기와 어학적 특성에 대한 것이다. 이 논의는 이러한 미해결 과제에 대한 해명에 목적을 두었다. 여러 이본 중 간행 시기가 가장 이르다고 판단되는 동경대본을 중심으로 하여 논의를 했다. 현전하는 십여 종의 이본들을 한글 번역 여부, 번역의 형식, 형태서지의 특성 등을 중심으로 해서 고찰했다. 그동안 단편적으로 논의되어 왔던 책의 특성뿐만 아니라, 이본들 간의 차이에 대한 비교와 간행 형태별 성격 등을 규명했다. 그리고 각 책들에 수록되어 있는 연구들의 편연 순차, 연구의 수, 연구의 내용, 간행지, 가독성(可讀性) 등에 대한 종합적인 고찰로 각 이본들의 형태와 특성을 밝혔다. 소재는 대체로 ‘꽃[花], 달[月], 산(山), 봄[春], 대나무[竹], 바람[風], 소나무[松] 등이다. 자연물, 자연 현상, 계절 등이 주된 소재였음을 보여 준다. 예로부터 시인묵객(詩人墨客)들이 즐겨 쓰던 제재(題材)들이다. 이 제재들을 대상으로 순차를 정해 편연을 한 것이다. ‘백(白), 청(靑), 홍(紅)` 등 색채 표현어가 시의 제재와 함께 시의 성격을 보여 준다. 수록되어 있는 시들 중 30수 정도의 출처나 전거를 밝혔다. 일부는 중국 당·송대에 활동했던 유명 시인들의 작품이다. 매우 소수이지만 이규보(李奎報) 등 우리나라 신라·고려대에 활동했던 문인의 작품도 있다. 칠언고시 중 함연(함聯)과 경연(頸聯)에서 발췌한 것들이 대부분이고, 수련(首聯)에서 가져온 것도 있다. 칠언절구(絶句)의 기구(起句)와 승구(承句)도 있다. 이 책은 어느 한 사람의 소작이 아닐 수 있다는 추정을 했다. 한시 학습용 교재로 여러 사람의 의견과 작품이 모아지고, 그 결과로 개편(改編), 모작(模作), 첨삭(添削) 등 편찬의 과정을 거쳐 조성되었을 것이라는 생각이다. 그런 이유로 편찬자에 대한 정보가 기록상 드물다. 처음에 칠언고시들을 모아 한시 학습용으로 편찬했고, 한자 구결을 달아서 읽다가 한글이 보급되면서 자연스럽게 번역의 과정을 거친 것이다. 다만 한글 번역이 이루어질 때, 시의 특성상 단조로운 구조인 구결을 제외하고, 대신 한자의 새김인 자석(字釋)을 달아서 초학자(初學者)들의 한자 학습까지 고려한 것으로 본다. 15세기 기록 중 어디에도 이른바 언해본 『백련초해』가 없는 점으로 미루어 처음에 한문본의 형태인 『백련초』로 전해지다가 16세기 후반에 이르러 번역이 이루어지면서 『백련초해』가 된 것으로 보았다. 책이 처음 조성된 시기는 명확하지 않지만 현재 소급할 수 있는 상한은 세조대, 또는 그 직전이고, 『백련초해』에 관련된 김시습의 일화 등을 감안하면 이때의 『백련초해』는 한자 구결이 현토된 책이 아니었을까 한다. This research is about 『Baekryeonchohae(百聯抄解)』, a Chinese poetry book, which was translated into Korean written by Hangeul. This book has one hundred of Chinese poems, and they are translated. We assume that this book is published in late 16th century. From this research, I elucidated followings. 『Baekryeonchohae(百聯抄解)』 is a collection of poems for beginners to learn Chinese characters. Currently, more than ten editions of variant 『Baekryeon chohae(百聯抄解)』 exist. Each editions of the variant books have various differences in translation system, number of poems in the book, and order of arrangement. Some of those books were written only in Chinese character. This research mainly concerns about translated editions.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previous researches, we still have some unresolved problems. Therefore, I have tried to solve these unresolved problems. As a result of my research, I have made clear followings. First of all, I clarified the scale of each variant editions of 『Baekryeonchohae(百聯抄解)』. I compared differences among the variant editions and investigated characteristics of publication. Also, I elucidated format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editions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order of arrangement of poems, number of poems, contents, publication records, and readability. Secondly, I presented sources of about thirty poems in 『Baekryeonchohae(百聯抄解)』. Most writers of the poems were Chinese famous poets, and a little number of poets were Korean. Thirdly, most objects of the poems are flower, moon, mountain, spring, bamboo, wind, and pine tree. In other words, natural objects, natural phenomena, and seasons are main subjects of the poems. Thus, we can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the poems. Fourthly, 『Baekryeonchohae(百聯抄解)』 is not a single author book. As a text book for Chinese poem, opinions and works of many people have cumulated in this book. As a result, this book has been completed by many correction and compilation processes. For this reason, the information about compilers and editors is rare in record.

      • KCI등재

        조선 전기 언해 사업의 현황과 사회 문화적 의의

        김무봉(Kim, Mu Bong) 동악어문학회 2012 동악어문학 Vol.58 No.-

        이 논문은 훈민정음 반포 후 간행되기 시작한 정음문헌 중 언해의 과정을 거친 『석보상절』(1447년 간행)부터 개간 『법화경언해』(1500년 간행)에 이르기까지의 문헌들, 곧 국문자 반포 초기에 간행된 언해 문헌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다. 논의는 다음에 제시하는 몇몇 과제에 대한 해명의 필요성에서 출발했다. 첫째, 학계에서 널리 쓰고 있는 ‘언해’란 용어가 언제부터 어떤 뜻으로 쓰이기 시작했으며, 언해의 과정은 어떠했는가. 둘째, 당시에 간행된 언해본들은 주로 어떤 성격의 책이며, 언해 체제를 비롯한 형태서지적 특성은 어떠한가. 셋째, 비교적 짧은 기간에 대량으로 간행되었던 당시의 언해본들이 가지는 사회 문화적 가치와 의미는 무엇인가 하는 점 등이다. 논의를 통해 조선 전기 언해 사업의 현황과 그러한 언해 사업이 이루어낸 성과의 사회 문화적 의미를 어느 정도 밝혔다고 본다. 첫째, ‘언해’는 ‘언자역해(諺字譯解)’, ‘언문역해(諺文譯解)’, ‘언서역해(諺書譯解)’ 등의 줄임말이다. ‘중국어, 또는 한문 원전의 국어 번역’을 뜻하는 말로 쓰고 있다. 15세기에는 이 말이 쓰이지 않았다. 16세기 초인 1510년대에 기록, 실록 등의 문건이나 책의 내제(內題)에 처음 등장한다. 하지만 판심제(版心題)를 포함해서 서명(書名)에 본격적으로 쓰이기 시작한 것은 16세기 말의 『소학언해(小學諺解)』(1588년 간행)부터이다. 이후 서명 등에 널리 쓰이면서 사용이 일반화 되었다. 학계에서는 이에 근거하여 15세기에 간행된 문헌에까지 소급해서 이 용어를 쓰게 된 것으로 본다. 대체로 훈민정음 반포 이후 갑오경장 때까지 간행된 정음문헌 중 중국어, 또는 한문 원전을 국어로 옮긴 문헌 전체를 일러 ‘언해’라 부르고 있다. 언해의 절차는 구결(口訣) 현토(懸吐)에서 시작하여 교정으로 마무리된다. 언해의 전(全) 과정을 활자본 『능엄경언해』(1461년 간행) 권 10의 어제발(御製跋) 중 언해 절차에 대한 기록을 중심으로 살폈다. 둘째, 당시에 간행된 언해 문헌 31종을 몇몇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각 문헌들의 성격을 밝혔다. 분류 기준은 문헌의 내용, 한자음 주음 방식 등의 문체(文體), 간행 특성, 언해 체제 등이다. 이를 통해 15세기 언해 문헌들의 언해 형식 및 형태 서지적 특성을 정리하였다. 셋째, 언해 문헌들은 우리 문자와 한자를 혼용해서 만들어낸, 독창적인 출판양식 창안의 결과였다. 중앙어의 정착 및 보급에도 일정 부분 기여했다. 아울러 간행된 책의 성격이나 간행 과정의 엄격성으로 당시의 사회상 및 문화적 특성을 또렷하게 전해주고 있기도 하다. 논의를 통해 이러한 내용을 밝혔다. 넷째, 언해 사업은 새로 제정된 국문자의 정착 및 보급을 위한 왕실의 의지와 밀접하게 관련된 것임을 확인하였다. 당시에 간행된 언해 문헌의 대다수는 불전이었다. 불전의 간행은 조선의 치국이념이나 시대 상황과 배치되는 일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경들을 언해의 주된 대상으로 삼았다. 대부분 왕실이나 간경도감 등의 국가기관에서 발행했다. 이는 관료 조직인 사대부들과는 달리 왕실에서는 뿌리 깊은 불심에 기대어 국문자의 정착?보급 수단으로 언해를 이용했던 것으로 이해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우리 문자에 의한 출판물 간행이라는 새로운 문화의 창출로 이어졌다. 결과적으로 ‘언해’는 훈민정음 창제 후 국문자의 보급과 관련해서 창안된 독특한 번역 양식이고, 인출 양식이었다. This paper studies literatures which were published in the beginning of promulgation of Hunminjeongeum(訓民正音). And, those literatures were kinds of Jeongeummunheon(正音文獻) from Seokbosangjeol(釋譜詳節, 1447 A.D.) to Gaegan Beopwhagyeongeonhae(改刊 法華經諺解, 1500 A.D.). Main argument of this paper starts from necessity of elucidation of following questions. First of all, from when did we start using a term of Eonhae(諺解), and what was the meaning of Eonhae? What was a process of Eonhae? Secondly, what were the features and the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of Eonhaebon(諺解本)? Thirdly, what are sociocultural value and meaning of those Eonhaebon which were massively published in relatively short period? This paper partially demonstrates status of Eonhae project in early age of Choseon and performance of the project in terms of sociocultural meanings. First of all, Eonhae stands for Eonjayeokhae(諺字譯解), Eonmunyeokhae(諺文譯解), and Eonseoyeokhae(諺書譯解). Eonhae means translation in Hangeul from Chinese character. In 15th century, a term of Eonhae did not exist. In 1510s A.D., Eonhae firstly appeared in documents and Naeje(內題). Since Sohakeonhae(小學諺解, 1588 A.D.) had published, Eonhae was widely used in title of documents including Pansimje(版心題). After the adopting Eonhae for title of documents, using Eonhae was generalized. Based on this phenomenon, academics presume that Eonhae was used retroactively from 15th century. Generally, we call all Jeongeummunheon, which were translated in Hangeul from Chinese character, as Eonhae from middle of 15th century to Kapogyeongjang(甲午更張, 1894 A.D.). A process of Eonhae starts from Gugyeol(口訣) Hyeonto(懸吐) and finishes after corrections. I examined the process of Eonhae through records of Eojebal(御製跋), which is a part of Hwaljabon Neungeomgyeongeonhae(活字本 楞嚴經諺解, 1461 A.D.). Secondly, I classified 31 classes of Eonhae books and elucidated the features of those Eonhae books. Criterions of the classifying are contents of Eonhae books, styles of writings, publication characteristics, and Eonhae systems. Through those criterions, I arranged Eonhae type and bibliographic style of Eonhae documents of 15th century. Thirdly, Eonhae documents were creative publication form because Eonhae mixed Hangeul and Chinese character. Eonhae contributed spread and settlement of standard Korean language, too. Also, Eonhae vividly proves social aspects and cultural status through characteristics of published documents and strictness of a process in publications. Fourth, I identified that Eonahe project related to willingness of royal family for spread and settlement of Hangeul. Although publication of Buljeon(佛典) which was the most parts of Eonhae was opposite to governing ideology and era circumstances of Choseon, Bulkyeongs were main objects of Eonhae. The most of Eonhae were published by national organizations like Gangyeongdogam(刊經都監) or royal organizations. This fact proves that royal family of Choseon, unlikely high officials and nobles, used Buddhism as an instrument of spread and settlement of Hangeul. Above series-processes resulted in documents publication of Hangeul and creation of new cultural model. In conclusion, Eonhae was a creative translation form for propagation of Hangeul after creation of Hunminjeonge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