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삶과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 포용성과 일상성 확보를 위한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전환

        김자현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교양교육연구소 2021 후마니타스 포럼 Vol.7 No.2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itiatives first gained momentum in 2005. In the earlier years, support for arts and culture education centered around vulnerable (marginalized) communities. Later, this expanded to include the general populace. Partnerships with local governments created an environment in which more members of regional communities are able to benefit from arts and culture education. Despite such achievements, arts and culture education policies still take a welfare approach in targeting vulnerable communities, and they do not reflect the diverse characteristics of each particular region. As such, a transition to "arts and culture education for all Koreans" and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sociocultural shifts" will be necessary. This study examines the outcomes and limitation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itiatives, recent issues, and the future direction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 order for all Koreans to benefit from arts and culture education, an apparatus must be designed so that arts and culture education is accessible in everyday life. Moreover, a novel approach to arts and culture education is required, one that transcends the arts and culture experiences of the individual and examines and interacts with a diverse range of sociocultural agendas including generational conflict, climate change, and gender issues. 2005년 이후 본격 추진된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사업은 사회취약계층 및 군부대, 교정시설, 아동․노인․장애인 복지기관 중심의 지원에서 점차 청소년․청장년 등 일반국민으로 확대되었고, 지역의 추진체계(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구축을 통해 지역주민이 참여할 수 있는 구조로 확장되면서 그 성과를 축적해왔다. 그러나 특정대상 중심의 복지적 관점의 정책 추진, 지역 특성이나 현장의 수요를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를 넘어,‘모든 국민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사회문화적 변화에 조응하는 문화예술교육’으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공공영역에서 추진해 온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정책사업을 중심으로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정체성, 성과와 한계, 최근의 이슈, 미래 사회문화예술교육의 방향 등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누구나 배제 없이 모든 국민이 문화예술교육을 누릴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중앙주도의 취약계층 중심의 지원구조에서 지역 중심의 생활권 단위 지원구조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또한 개개인의 예술적 체험에 머무는 것이 아닌, 세대갈등, 기후변화, 젠더이슈 등 다양한 사회문화적 의제를 일상 생활 속 실천으로 연결해보는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새로운 접근 노력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금산사 성보문화재를 통해 본 한국불교의 사상흐름과 태공월주의 보살행

        김자현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2 佛敎學報 Vol.- No.99

        Buddhist cultural heritage items at Geumsansa Temple reflect major Buddhist doctrines of the time. By analyzing these cultural heritage items, this paper diachronically overviews the history of Geumsansa Temple and illuminates the altruistic practices of Great Monk Wolju that are rooted in the Buddhist doctrines that prevailed at Geumsansa Temple. Geumsansa Temple preserves the heritage of Korean Buddhism ranging from the belief in Maitreya that has continued from the time of the temple’s foundation to Seon Buddhism that is based on the study of Hwaeom from the Joseon period. The Ordination Platform, Mireukjeon Hall (Hall of Maitreya), Daejeokgwangjeon Hall (Hall of ultimate silence and light), and other diverse components of the temple are precious treasures including important sources for the study of the flow of dominant Buddhist doctrines of Geumsansa Temple. The heritage of diverse Buddhist ideologies preserved in Geumsansa Temple also affected Great Monk Wolju who led major Buddhist projects at the temple. Based on the belief in Maitreya, he engaged in various social and altruistic activities of bodhisattva to advance Maitreya’s advent in the human world and creation of the Pure Land. Additionally, the Hwaeom doctrine influenced the world view of Great Monk Wolju. He asserted that all creations in the universe are connected like Indra’s net and affect each other’s lives. Therefore, he emphasized that we should consider pains and sufferings of other creatures in the world as our own and note that peace and comfort of others are connected to our life. 본 논문은 사상 변화에 의거하여 제작된 금산사의 성보문화재들에 관한 고찰을 통하여 금산사의 역사를 통시적으로 살펴보고, 이러한 사상적 기반 위에서 발현된 태공 월주의 보살행을 재조명하였다. 금산사는 창건 이래 면면히 이어져 온 미륵사상부터 조선시대 화엄학을 기반으로 한 선종의 전통까지 한국 불교의 사상과 흐름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유서 깊은 사찰이다. 그리고 금산사의 현전하는 문화재들, 즉 방등계단, 미륵전, 대적광전을 위시한 다양한 석물들은 금산사의 사상적 흐름 변화와 역사를 조망함에 있어 간과해서는 안되는 매우 중요한 사료이자 성보이다. 또한 금산사에서 오랜 시간 주석하며 대대적인 불사를 통해 현대 금산사 가람의 기본틀을 구축한 태공월주의 사상 기저에도 이와 같은 금산사의 종지가 깊게 흐르고 있었다. 그가 행하는 실천행의 기저에는 사회 활동과 보살행을 통해 미륵이 하생할 용화세계 구현을 독려하고자 한 미륵신앙과 함께 화엄사상의 영향도 깊게 자리 잡고 있었다. 그는 삼라만상은 인드라망처럼 서로 이어져 서로의 삶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지구촌 모든 생명의 고통이 곧 나의 고통임을 인지해야 하고, 그들의 평화와 안락이 나에게 직결되는 것임을 인식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즉 모든 인류가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인지하고 모두가 함께 선업을 쌓아가며 고통을 덜고 안락한 세상을 만드는 것, 이것이 태공 월주가 꿈꾸었던 이 땅의 용화정토의 모습이었다. 그리고 이는 우리에게 여전히 깨달음과 실천으로 향하는 동력을 준다는 점에서 더욱 확장해가야 할 현대의 수행방식이라 생각한다.

      • KCI등재

        HRD 분야 세대별 연구의 특징과 연구동향 분석

        김자현,장환영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20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research trends and implications of generation related studie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in the field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hereafter referred to by its acronym “HRD”. For this aim, researchers selected 88 papers that included research themes about relations between generations or within a generation in the period between 2000 to 2019. The paper adopted four analytic frameworks, which were research year, method, field, and theme. Firstly, the distinct feature as the result of analysis by research year was that generation related studies were published more from 2016 till 2019 than in any other periods. As the analysis by research methods, the result showed that quantitative methods using surveys were most utilized in both studies about relations between generations and studies within a generation. The analysis by research field indicated that a variety of generation related issues were addressed in a total of 20 fields of study. Lastly, through the analysis by research themes, researchers could understand the research trends by categorizing common themes such as work-life balance, the current status of the labor market, organizational commitment, occupational standards and mobility, conflicts between generations, retirement preparation and experience, career development, education and learning, and leadership.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e paper discussed issues and implications that appeared to be in synthesis and provided a review about related studies, while including the limits that this research had in the field of HRD.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HRD 분야의 세대별 연구를 분석하여 세대별 연구의 특징과 연구동향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00년부터 2019년까지 기간을 설정하고 전체 세대 간, 개별 세대들을 대상으로 연구된 총 89편의 학술논문을 연구연도, 연구방법, 연구분야,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동향을 분석하였다. 먼저 연도별 분석을 살펴보면 세대 간 연구의 경우 2016∼2019년 동안 가장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고, 개별 세대 내 연구 역시 모든 세대가 2016∼2019년 동안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연구방법별 분석에서는 세대 간, 세대 내 연구 모두 대체로 양적연구가 가장 많이 활용되었으며 연구분야별 분석에서는 총 20개의 분야에서 세대 별 연구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주제별 분석에서는 일과 삶의 균형, 노동시장의 현황, 조직몰입, 직업기준과 직업이동, 세대 간 갈등, 퇴직준비와 퇴직경험, 경력개발, 교육과 학습, 리더십의 공통주제로 범주화하여 전체 세대 간, 각 세대별로 다양하게 나타난 관심 동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HRD 분야의 세대별 연구의 특징과 관련된 국내 연구의 동향 및 시사점과 한계점에 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 INTERVIEW - 한국C&T(주) 대표이사 김훈석

        김자현,Kim, Ja-Hyeon 한국시멘트협회 2013 시멘트 Vol.200 No.-

        포틀랜드 시멘트만이 유일하던 지난 1976년, 제설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인 슬래그(slag)를 재활용한 시멘트를 국내 최초로 생산한 한국C&T(주)는 1985년 무재해 3배 달성업체로 노동부 은탑산업상을 수상한 바 있으며 1986년 증권감독원으로부터 우량기업으로 선정되는 등 양질의 슬래그 시멘트 생산을 통해 연관산업 발전에 이바지해왔다. 신뢰에 기반을 둔 경영과 끊임없는 기술개발을 토대로 2014년 힘찬 도약을 준비해 나가고 있는 한국C&T(주) 김훈석 대표이사를 만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