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계종단의 ‘한국불교 세계화’ 기획에 대한 비판적 논의

        우혜란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9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5 No.1

        The direct and indirect impacts of globalization on South Korean Buddhism are to be seen on various levels. One of them is the so-called “Multiple Buddhism” in South Korea, where a variety of doctrinal interpretations and practices of Buddhism as well as diverse Buddhist material cultures coexist. Even though this situation could produce important issues such as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m, the mainstream Korean Buddhism doesn’t show much concern about the situation. Rather, Korean Buddhism has a keen interest in the spread of Korean Buddhism abroad as the project of “the Globalization of Korean Buddhism” shows which are promoted by the Jogye Order, the biggest South Korean Buddhist community. Consequently, the discourse on and policy of “the globalization of Korean Buddhism” are not oriented to “inside” but to “outside” of the country. In this paper, this author attempts to reveal problems the project “Globalization of Korean Buddhism” contains which has been pursued since the early 2000s by the Jogye Order. For the purpose, the infrastructure and undertakings are introduced and analyzed which were made to promote the project. This paper starts with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institutional device under which the project goes ahead. And some problematics of the project are identified as centered on monks/nones, hierarchical command structure, an entanglement of religion and state, commodification of Buddhist culture. Lastly, cultural nationalism is discussed as the world view or ideology which underlies the project, as well as implications of the project for current South Korean society where social exclusion of particular groups such as ethnic and religious minorities has become a serious issue. 조계종단은 2000년 초부터 ‘한국불교 세계화’를 주요과제로 채택하여 현재 까지 관련 사업을 확장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조직적, 제도적 정비 또한 꾸 준히 진행하고 있다. 이에 상응하여 ‘한국불교 세계화’에 대한 불교계의 학문 적 담론 또한 조계종 총무원의 사회부와 국제교류위원회가 2004년부터 2009 년까지 개최한 일련의 관련 정책세미나를 비롯하여 한국교수불자연합회가 2016년 ‘한국불교의 세계화’를 주제로 개최한 교수불자대회에 이르기까지 지 속해서 생산되고 있다. 이들 학문적 담론의 특징은 내부자의 시각과 도구론적 접근방법이 주를 이루면서 ‘한국불교 세계화’를 효과적으로 추진할 수 있 는 구체적인 전략이나 방법에 초점에 맞추어져 있다. 같은 맥락에서 이들 담 론에서는 승가교육의 개선, 국제포교를 위한 영어교육의 중요성, 해외포교의 활성화를 위한 조직적 지원과 관리방법 등이 주요 이슈로 다루어지면서, 종 단의 ‘세계화’ 과제에 대한 제한된 문제의식을 보여준다. 그 결과 이들 담론 에서 ‘세계화’와 관련하여 인접학문 – 사회학, 정치학, 인류학 등 - 의 접근 방식이나 관련 이론은 진지하게 검토되고 있지 않고, 경험적 조사연구도 소 수를 점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대표적 불교종단인 조계종단이 ‘한국불교 세계화’를 추진하면서 구축한 인프라와 관련 사업의 내용을 분석하면서 종단 주도의 ‘한국불교 세계화’가 내포하고 있는 주요 문제점을 드러내고자 한다. 이를 위 해 본 논문에서는 종단의 종책인 ‘한국불교 세계화’가 어떠한 조직구조 속에 서 추진되며, 그 기저에 깔린 세계관 및 이데올로기는 무엇이며, 현 한국사회 의 다문화 상황에서 ‘한국불교의 세계화’가 가지는 함의는 무엇인가 등을 논 의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한국민담에서 노인 에피소드

        원혜영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20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6 No.1

        Korean Folk-tales that boast "who is older" and Korean folk-tales that abandon old people are part of a project to "correct errors in perception of old people. These episodes, spread and spoken in the East Asian community, were optionally cut and developed in Korean folklore. In a sense of humanistic ethics, "The Story of the Old Man" presents us with a variety of discourse. These episodes were not simply "the lesson of filial piety," but had the potential to present a new perspective on the elderly and prevent dissolution that could lead to a rift in the community. The old man's knowledge in these stories has a complex and delicate tendency. Older adults, from supernatural categories to real-life experiences, display amazing capabilities. The old man is the owner of strategic knowledge, but may simply be regarded as a creature and be the object of violence, demoted to worthless beings, but sometimes revered.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are diverse and complex. We need a visual twist that pays attention to the roles and abilities of their beings rather than looking at them as objects to take care of children and the elderly. In Korean folk-tales, these stories will be told in part in accordance with this intention. 쟁년(爭年)설화와 기노(棄老)설화는 ‘노인에 대한 인식의 오류를 바로잡기’ 위한 것이다. 동아시아 공동체에서 전파되고 회자된 이들 에피소드는, 한국민담에서 선택적으로재단되어 발전되었다. 인문학적 윤리의식 속에서 ‘노인에 관련된 이야기’는 다양한 담론을 우리에게 선사한다. 이들 에피소드는 단순히 ‘효행의 교훈담’이 아니라, 노인에 대한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 공동체의 균열을 가져올 수 있는 해체를 방지하려는 잠재력을가졌다. 이들 설화에서 보인 노인에 대한 지식은 복합적이고 섬세하다. 노인은 초자연적인 범주에서부터 시작해서 현실 경험에 이르기까지 놀라운 역량을 발휘한다. 노인은 전략적지식의 소유자이지만, 단순히 생명체로 간주 되어 폭력의 대상일 수 있고, 무가치한 존재로 격하되기도 한다. 그러나 존경의 대상으로 추앙되기도 한다. 노인을 대하는 태도는 다양하고 복잡하다. 우리는 아이와 노인을 돌보아야 하는 대상으로 바라보기보다는그들 존재가 가진 역할과 역량에 관심을 두는 시각적 전향이 필요하다. 한국민담에서쟁년(爭年)과 기노(棄老)설화는 일정부분 이러한 의도에 따라 전개된다.

      • KCI등재

        한국불교의 위기와 중흥전략

        김성규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9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5 No.3

        2600년 전 인도의 한 인간 고타마 싯타르타는 인간은 왜 늙고 병들고 죽어가야 하는가? 하는 문제에 직면했다. 마침내 그는 인간에 내재해 있는 탐심과 진심과 치심을 꿰뚫어, 궁극의 진리, 열반의 세계로 나아가는 수행방법을 발견했다. 그렇고 그런 인간에서 영원히 죽지 않는 묘법을 성취한 붓다가 된 것이다. 현재의 한국 불교는 너무나 혼재되어 있어 이렇다 할 지향점을 말하기조차 어렵다. 상가나 일반 불자 조직조차도 조직의 이기 또는 자기만족에서 벗어나지 못해 스스로 정체되어 있다. 그러나 구성원의 선의가 있다면 구성원이 속한 상가는 발전하지 않을까? 사실 전통불교에는 우리가 지향해야할 너무나 완벽한 두 모델이 있다. 대승불교의 이상인 상구보리 하화중생하는 보살상과 생활과 참선을 같이 하면서 인간 본래의 모습을회복하려고 선불교다. 이는 거대하고 전문성을 요하기 때문에 스스로 불자이기보다 생활인이고자 하는 일반인들에게 <가까이 하기에는 너무 먼 당신>이다. 이를 위해 나는 평범한 생활인이 쉽게 불교수행에 접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코자 한다. An Indian called Gotham Siddhartha about 2600 years ago, had faced the problem why all living beings born must be aging, sick and dying. Finally he found out the way how to escape from craving, anger and ignorance and he became Buddha. His good-will had an ordinary-being be jumped unto the Super-being. Present korean buddhism sanggas or buddhist communities are stagnant by its own selfishness or self-contentment. Our good-wills, trial of getting out of stagnancy can hopefully make better our Sangga( or buddhist community) which we belong to? In fact, there are two ideal models in traditional Buddhism in korea: The Bodhisattvas the ideal models of Mahayana Buddhism practicing Nirvana upward and serving the suffering downward. Seon Buddhism which teaches Seon meditation to recover original humanity. To become Bodhisattva seemed to be impossible in real and to do Seon meditation is too professional to do. We lost The Right Paths of Buddha's teachings. I offer an easy way to approach Buddhism practice in daily life.

      • KCI등재

        한국불교의 대학생 전법ㆍ교화 진흥 방안

        이상훈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23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9 No.3

        This study looked at the current address of Korean Buddhism and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Z generation, who tried to approach Buddhism from a cultural perspective, as well as the view of religion that showed a tendency not to reveal the religion they believed in or to conceal being a religious person. Additionally, statistical data analysis demonstrated that in light of the age and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that Buddhism is most vulnerable to in the distribution of religious people, the search for the revival of Korean Buddhism through the transmissi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propagation of Sangwol Gyeolsa is based on appropriate and reasonable judgments both in its solution and validity. Furthermore, the SWOT analysis of Korean Buddhism for college student propagation analyzed that a more convincing approach would be possible through the spread of cultural-oriented Buddhist popularization and the expansion of temple stays and meditation programs, despite the reduced religious environment and the lack of specific and professional missionary personnel and programs.

      • KCI등재후보

        한국불교의 전환기시대에 대한 대응

        김성규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7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3 No.1

        During the age of the Silla Dynasty, Sung-gol (Saint-bone), the top-level class of Gol-poom (Bone-rank) system that led Silla, and Jin-gol (True-bone) classes produced many Buddhist priests including Monks Jajang and Uisang, who established the spiritual pillars of Silla. During the time of Goryeo, in succession to unified Silla, the Buddhist priests from Yukdupoom (6th Head-rank class) who studied Zen Buddhism in China and came back to Silla were connected with powerful local families, forming the age of Goryeo as a society entered on Buddhism. When Joseon Dynasty was established in 1392, the Confucianism became the state religion and expelled Buddhism, which made the Buddhists deviated from the center and escaped to mountains to barely keep themselves in existence. As Zen monk Kyeongheo who was born in 1847 became a monk and his seeing of the nature, the Korean Buddhism at the late period of Joseon faced a new renaissance. In a new system where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established after emancipation in 1945, Buddhism was not able to enter the institution but remained as a religion existing outside the system. When defining the transition period, the time of establish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the 1950s and the religious reformation in the 1990s may be discussed. In the 1950s, the issue was combined with social problems, and the incident in the 1990s may be considered as the problem confined to the internal Buddhist order. Every organization in the world needs its own education system to maintain the organization itself, and depending on that education system, the organization may be developed and maintained by well-educated people. In this aspect, the education system of Buddhism has Sutra school or Zen school. The greatest mistake made in the reaction of Buddhism to the transition period was that the education system of Sutra school could not be part of the education system recognized by the society and country. Students can receive a bachelor’s degree if they graduate from numerous 4-year-course theological colleges. However, students who graduate from Sutra school (now a Buddhist monk university) after completing 4-year courses cannot have a college diploma, and they have to go to college again. This is the reality Korean Buddhism faces. By looking at the 1950s, the limit of the times Buddhism had would be reflected, and the direction the future Buddhism must pursue would also be examined. 신라시대에는 신라를 이끌어가는 골품제도의 최상위 계층인 성골, 진골계급에서 자장스님과 의상스님 등 많은 출가자를 배출하여 신라의 정신적 기둥이 되었다. 고려시대에도 통일신라에 이어 중국으로부터 선불교를 유학하고 온 육두품계급의 출가자들이 지방 호족들과 연결되면서 고려시대를 불교중심의 사회를 이루어내게 되었다. 1392년 조선 왕조의 성립으로 국교가 유교가 되고 척불을 하면서 불교는 중심에서 이탈하여 산중으로 도피하여 겨우 명맥을 유지하는 상태였다. 1847년에 태어난 경허선사의 출가와 견성으로 구한말의 한국불교는 새로운 부흥기를 맞이하게 된다. 1945년 해방을 맞이하여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는 새로운 체제에서 불교는 제도 속으로 진입하지 못하고 제도 밖에 존재하는 종교가 된다. 여기서 전환기시대를 정의하면 1950년 대한민국 정부수립 시기와 1990년 종단개혁 사건을 들 수 있다. 1950년대는 대 사회적인 문제와 병합되어 있으며, 1990년대 사건은 종단 내부에 국한된 문제라고 볼 수 있다. 세상의 어떤 조직도 그 조직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그 조직 나름의 교육제도가 있어야 하고 그 교육제도에 따라 잘 교육된 자에 의하여 조직은 발전 유지되는 것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불교가 가지고 있는 교육제도는 강원이나 선원이 있다. 전환기 시대 불교의 대응에서 가장 큰 착오는 강원의 교육제도가 사회와 국가가 인정하는 교육체제로 속으로 들어오지 못한 것을 들 수 있다. 수 없이 많은 신학대학 4년제를 졸업하면 대학 학사학위 졸업장을 받게 된다. 그러나 강원(지금은 승가대학)을 4년 졸업하여도 나라에서 인정하는 학사학위의 대학 졸업장이 없어서 다시 대학을 들어가야 하는 상황이다. 이것이 한국불교의 현실이다. 1950년대를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서 불교가 갖고 있었던 시대적 한계를 되돌아보며, 미래불교가 지향해야 할 방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불교를 위한 새로운 터전-미국 불교시설의 유형과 환경

        주성옥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0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16 No.2

        In this article, I will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American Buddhism and the types and environments of American Buddhist Centers in order to have a comparative stance for solving a current issue of Korean Buddhism on the preservation of the environment of Buddhist temples. While a divine and most important place in other religions is a place of the leader's birth or a place of epiphany, a religious place in Buddhism is decided by one's attainment of awakening. Therefore in Buddhism every place could be a divine place, because everyone can attain Buddhahood. Not only the place of Buddha's Awakening but also the places where his pupils practice Buddhism are considered as a religious place. As a result, while the architectural structure in other religions is focused on the sacred statues, architectural style, or a space setting of religious constructions, Buddhism, first and foremost, considers the function for practice and environment for living of practitioner. In American Buddhism, the place and architectural style of Buddhist centers are decided by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t communities and their practices. According to the practice and members of Buddhist community, there are three types of Buddhism in America, which are convert Buddhism, ethnic Buddhism and new Buddhism like Sokagakai group from Japan. This difference brought the difference of style and function of Buddhist construction. Ethnic Buddhist Center adapted their traditional style, but convert Buddhist made new hybrid structure which mixed Asian traditional style with modern style. They lent an office in a commercial building and change a farm or a catholic church into Buddhist centers. They lent sometimes a chapel in universities or colleges for temporal uses. The main function of these center is meditation for laypeople. Recently as Buddhism becomes more popular in the U.S., the counter-cultural characteristic of early American Buddhism is gradually disappearing and Zen centers in downtown and Retreat centers in a suburb are preferred rather than a Buddhist center in remote coner of the country. Although American style of Buddhist centers is not yet developed, it is possible to talk about the characteristic of these constructions. The constructions and its environment make images of spiritual relaxation, peace, and loving-kindness. Generally speaking, an architecture creates not only physical environment but also culture images. Now Buddhist Centers in America can contribute more than the practical need for propagating Buddhism and make a new religious Self for American. From the perspective of place, American Buddhist Centers have an advantage which Korean Buddhist temples do not have; a place centered on meditation. The concern for this function is most needed for preservation of the environment of Korean Buddhist temples. 이 논문은 미국불교의 특징과 그 신행행위가 이루어지고 있는 불교시설의 유형과 환경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한국 사찰 환경 보존을 위해 미국불교로부터 무엇을 배울 수 있는지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역사적 교주의 탄생이나 신들의 현현에 의해 결정되는 다른 종교의 장소성과 달리 불교사찰의 장소성은 모든 사람에게 열려진 깨달음이라는 체험에 따라 부여된다. 그러므로 불교에서 종교적 장소는 붓다의 성도가 이루어진 역사적 장소뿐 아니라 그의 제자들이 수행하고 있는 공간도 포함한다. 그 건축적 특징도 성상을 중심으로 건축되는 다른 종교건축이 건축양식이나 건축들 사이의 공간 배치에 관심을 두는 것과 달리, 그 기능, 즉 대중의 수행과 생활을 일차적으로 고려한다. 미국 사찰환경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재가불자 중심의 공동체와 명상에 대한 집중이다. 미국불교는 크게 개종불교, 이민불교, 그리고 일본의 창가학회와 같은 신흥불교로 나뉘는데 이것은 신행 행위와 추종자의 차이에 따라 분류된 것이다. 기능의 차이는 불교시설물의 용도와 양식의 차이도 가져왔는데, 아시아 이민불교는 주로 그들의 전통적 양식을 차용한다면 개종불교는 아시아적 요소에 현대적 요소가 복합된 하이브리드적 건축양식을 보여준다. 또한 상업건물이나 농장, 기독교 사원, 대학 교회 등 다양한 건축물을 불교시설로 사용하고 있으며 최근 불교가 대중적인 종교로 성장함에 따라 초기의 대안 문화적 성격은 감소하고 한적한 시골보다 대도시와 그 근교의 선 센터와 안거센터가 선호되고 있다. 미국 불교의 정형화된 건축양식은 아직 형성되지 않았지만 이 건축물들과 주변 환경이 조성하는 분위기는 정신적 휴식과 평화, 자비이다. 건축은 물리적 환경을 만들 뿐 아니라 문화의 이미지도 형성한다. 미국 불교시설은 불교를 전파하는 실용적인 필요를 만족시키는 데 그치지 않고 미국인들의 새로운 종교적 자아를 형성에 기여할 것이다. 장소성의 관점에서 볼 때 미국불교시설은 한국 사찰이 갖지 못한 장점을 가지고 있는데, 명상을 중심으로 하는 초기 불교의 장소성의 회복이 그것이다. 사찰의 본연의 기능과 장소성의 회복이 한국의 사찰환경의 회복을 위해 무엇보다 필요한 것이다.

      • KCI등재

        한국 불교중흥을 위한 불교정보시스템 구축과 불교기반 지식인 역할

        박재철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22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8 No.1

        In today's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the paradigm of individual life and social culture is rapidly changing. Moreover, the ecosystem of religious culture, including Buddhism, is also rapidly evolving, as the untact culture due to Corona is fixed and cyber culture is spreading due to the spread of the metaverse system. The establishment of a Buddhist information system for the revival of Buddhism in response to such environmental changes and the role of Buddhist-based intellectuals will be considered. Proposal to establish a Buddhist information system for research and preservation of vast Buddhist cultural resources, including the revitalization of Buddhist religion and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related to Buddhist culture. do. 오늘날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등 IT(Information Technology)를 기반으로 지식 기반 정보화 사회(Knowledge Based Information Ooriented Ssociety)가 전개되고, 코로나와 메타버스 시스템(MetaVerse System) 확장으로 언택트 문화(Untacted Culture)가 형성되어 고착화하면서 사회문화의 패러다임이 급격하게 변화되고, 이에 따라 불교를 비롯한 종교 문화 생태계도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정보화 사회 특성을 반영한 불교 중흥방안을 고찰 하였다. 불교중흥이란 찬란한 불교문화 계승과 발전, 포교를 통한 불교신자 수 증가, 출가 수행자의 수행 환경 개선, 이미 불교를 신앙하는 불교도의 신앙 환경 개선, 우리 사회에 선한 영향력 확대 등을 포괄하여 고찰해야 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 오늘날 전개되는 지식정보 사회(Knowledge Based Information Oriented Society)특성을 고찰하고, 불교중흥을 위한 불교정보시스템(BIS, Buddhist Information System)의 구축 필요성과 바람직한 불교정보시스템 모델 개념을 제안 한다. 그리고 불교중흥을 위한 불교기반 지식인의 역할을 살펴보고 불교정보학회(BIS, Buddhist Information Association)창립과 불교문화진흥단(BCPT, Buddhist Culture Promotion Team) 구성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불교정보시스템은 정보화 사회에서 불교문화 관련 지적소유권을 비롯한 불교문화자원의 보존, 보호, 연구, 축적, 활용과 불교신자와 불교기반 지식인 등 불교인적 자원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대한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을 통해 불교문화 자원에 관한 학문적 고찰과 축적은 물론 불교를 포교하고 외연을 확대하기 위한 포교 전략 수립과 효율적인 신도 관리, 사찰 재정의 합리적 관리, 불교기반 문화재의 시스템적 관리, 지적소유권 관리를 통한 수익 모델을 창출하도록 하여 불교정보시스템이 불교중흥에 기여하도록 한다. 그리고 불교문화 자원에 관한 학문적 접근을 통한 불교중흥을 위해 불교기반 지식인들의 역할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사)한국교수불자연합 중심의 불교정보학회(BIS, Buddhist Information Association)창립과 불교 관련 종단과 협업을 기반으로 불교중흥의 실천적 구현을 위해 불교문화진흥단(BCPT, Buddhist Culture Promotion Team) 설립의 필요성을 고찰 한다. 불교정보시스템 구축과 활용,불교정보학회와 불교문화진흥단 설립이 찬란한 불교문화 중흥에 기여될 수 있기를 바라며, 이를 위해 교불연 교수를 비롯한 불교기반 지식인들의 지혜로운 역할과 적극적 참여가 있어야 한다.

      • KCI등재

        대한불교조계종의 포교방향과 전국여성불자회 창립

        김도연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22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8 No.2

        Since COVID-19, the number of people who believe in religion has decreased, and awareness of religious influence has also decreased. The third keynote of the 8th Dharma propagation Bureau of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are mission-oriented, communication strategy support, and specialization of missionary capabilities. It also presents future-oriented missionary directions through program development by sector, strengthening new media content, mobile membership apps, and revitalizing the National Women's Buddhist Association, a women's missionary organization. Therefore,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founded the National Women's Buddhist Association, a missionary organization, to promote female Buddhists who participated in Korean Buddhism. From 1922 to 2021, women's organizations steadily worked with Buddhism as they changed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s. In the future, The Dharma propagation Bureau of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will be responsible for implementing long-term policies so that people can maintain their online new lives through active missionary work by utilizing media in line with the Ontact era. 코로나19 이후 종교를 믿는 인구가 감소했으며 더불어 종교영향력에 대한 인식도 낮아졌다. 대한불교조계종 제8대 포교원의 3대 기조는 신행중심 포교, 소통하는 전법지원, 포교역량 전문화이다. 또한 분야별 프로그램 개발, 뉴미디어 콘텐츠 강화, 모바일 신도증 앱, 여성포교단체인 전국여성불자회 활성화를 통해 미래지향적인 포교방향을 제시한다. 따라서 대한불교조계종은 한국불교 참여자인 여성불자들의 신행활동을 위해 포교단체인 전국여성불자회를 창립했다. 1922년부터 2021년까지 여성단체들은 시대적 상황에 맞게 변화해가면서 꾸준히 불교와 함께 활동했다. 앞으로 포교원은 온택트 시대에 맞춰 미디어를 활용하여 적극적인 포교로 사람들이 온라인 신행생활을 유지할 수 있게 종단의 정책을 시행하는 책임이 막중하다.

      • KCI등재

        인지과학과 融合冥想 : AI, 감성, 창의 융합

        이종수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9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5 No.2

        The article is organized as follows. The first clarifies research questions, the purpose of study and methodology about emotive & creative convergence of AI society in modern age : AI, emotive & creative convergence. The second deals with methods of study, literature review, previous research and theoretical background of research on emotive & creative convergence of AI society in modern age : AI, emotive & creative convergence. The analytical variables of a characteristic of emotive & creative convergence of AI society in modern age : AI, emotive & creative convergence are artificial intelligence, blockchain, emotion creation convergence, so forth. The third section presents analysis variables about case studies of emotive & creative convergence of AI society in modern age : AI, emotive & creative convergence. For example, those are artificial intelligence, blockchain, emotion & creation convergence, so forth. The forth section suggests research effect & limitations of effect analysis of emotive & creative convergence of AI society in modern age : AI, emotive & creative convergence. The last section concluded. There were some suggestion & expectation effect of emotive & creative convergence of AI society in modern age & suggested research effect & limitations of effect analysis of their subjects in the early era of the modern age. 이 연구는 포스트모던 사회 이후 제4차 산업혁명시대 블록체인, AI 등의 대두에 따라우리나라 정치, 사회계가 어떻게 변화를 인지하고, 기존의 접근법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다양한 문제들에 대한 학문융합적 접근 필요성과 그 대응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를 전통적인 六藝的 융합명상 개발과 적용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의 질문은 먼저 인공지능사회 인지과학과 감성과학은 무엇이며, 둘째, 그 대응을 위한 감성, 創意融合冥想의 방법과 효과에 대하여 安心法인 ‘융합명상’ 에 답이있음을 제시한다. 융합연구의 필요성으로는 지속적 성장을 위해서는 제부분의 전문가들의 협력하는 융합연구를 통하여 새로운 人智啓發과 경제성장의 돌파구를 뚫어야 하기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표는 인문, 사회과학, 예체 융합을 구체화 한 감성, 창의융합형인재를 키울 수 있는 전통 삼교융합명상법과 융합형 인재 특성화 내용을 상정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문제의 그 창의적 접근 수단의 하나로 4차 산업혁명시대 人類의 진로를선도하고, 안식과 창의적 감성을 제공할 한국적 융합명상의 장점과 가능성 및 주요 효과를 개인의 창의성과 한국불교 위상제고 방향으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성물(聖物), 전시물, 상품: 진신사리의 현대적 변용에 대하여

        우혜란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7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3 No.3

        In South Korean society large amounts of Buddha relic or śarīra have been flowing in from Southeast Asian nations. As a result several Buddha relic museums emerged that gathered Buddha relics in one place and show them to the public while śarīra exhibition is held now and then. In this way, Buddha relic which exposed itself only in special occasions in earlier days, has became an object of easy access to the public. The rapid increase in demand and supply of Buddha relic as well as the massive collection and exhibition of śarīra in Korean society indicate that the way how to perceive and approach Buddha relic is changing and consequently, the function of śarīra is diversified.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whole process - how Buddha relic of foreign origin is brought into the country and reframed as exhibit and turned into a commodity eventually, putting focus on Buddha relic, the most sacred object in Buddhism and at the same time the core of Buddhist material culture. 현 한국사회는 진신사리의 ‘범람’이라고 할 만큼 동남아 여러 국가로부터 부처의 진신사리가 대량으로 유입되면서, 사리를 한 곳에 모아서 대중에게 공개하는 사리전문 박물관도 여럿 등장하였으며, 사리 전시회도 종종 열리고 있다. 이로서 전에는 특별한 기회에만 친견할 수 있었던 부처의 진신사리는 불자는 물론이고 일반대중에게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대상이 되었다. 한국사회에서 부처의 진신사리에 대한 수요와 공급이 급증하고, 사리의 대량 수집과 전시가 일상화되는 현상은 진신사리에 대한 인식과 수용방식이 크게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이와 함께 진신사리의 역할과 기능도 다변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불교에서 가장 귀중한 성물이자 불교의 물적문화에서 핵심을 구성하는 부처의 진신사리에 초점을 맞추면서 사리박물관과 사리 전시회를 사례로 동시대 한국사회에서 진신사리가 어떻게 유입, 수집되어 전시물로 재구성되며, 이와 동시에 상품화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