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의 국제범죄 확산과 전망

        송봉규 ( Bong Gyu Song ) 한국경찰학회 2015 한국경찰학회보 Vol.17 No.6

        국제조직범죄 관점에서 북한이 야쿠자, 마피아, 삼합회 등 국제범죄조직과 구별되는 특성은 ‘조직’이 아닌 ‘국가’라는 것이다. 범죄주권을 가진 북한의 불법적인 활동은 주로 ‘39호실’이 관여하고 있으며, 마카오가 중요한 활동무대이었다. 북한은 국제범죄조직과 연계하여 노출 위험을 감소시키고 있다. 통계자료에 의하면 북한은 만성적인 무역적자를 보이고 있다. 북한의 수출입 규모는 글로벌 금융위기와 UN의 대북제재로 감소하고 있다. 계속되는 경제여건의 악화로 북한은 근로자 해외송출, 카지노 운영, 해외 식당사업, 마약 등 불법과 합법적인 모든 영역에서 외화벌이 사업에 적극적으로 관여하고 있다. 북한의 국제범죄 실태를 분석한 결과, 국제환경의 변화에 따른 불법적 외화벌이 적극 추진, 국제범죄를 통한 수익비중의 증가, 국제범죄 주체의 다양화, 국제범죄조직과의 연계, 국제범죄를 위한 서식지 증가, 부정부패를 통한 국제범죄 증가, 김정은 정권의 외화벌이 급감, 사이버공격을 통한 수익창출 모색 등의 특성이 나타났다. 이에 따라 북한의 국제범죄를 전망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의 국제범죄는 수익창출과 외화벌이에 중요한 수단으로 절대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둘째, 북한의 국제범죄는 김정은의 정권유지를 위해 기존과 다른 방법과 수단으로 확산될 것이다. 셋째, 북한의 국제범죄는 대북제제로 더욱 음성적으로 전개될 것이다. 넷째, 북한의 국제범죄 주체는 다양한 계층으로 확산될 것이다. 다섯째, 북한과 외국의 범죄조직과의 협력은 더욱 확대될 것이며, 국내 폭력조직이나 범죄조직과 연계 가능성도 예상된다. 여섯째, 북한의 국제범죄의 통로는 내부의 시장과 국경인접지역인 경제무역지대로 집중될 것이다. 일곱째, 북한의 부정부패로 인해 국제범죄는 확산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북한의 국제범죄 분야는 사이버를 통한 도박으로 확대될 것이다. A review of a preceding research reveals the feature that distinguishes North Korea from the international criminal organizations such as Yakuza, Mafia, Triad is that North Korea is not an organization but a nation. Primarily, Office #39 is involved in the illicit activities of North Korea which has criminal sovereignty. And Macao has been a significant stage of operations. North Korea decreases the risk of exposure by using the connection with the international criminal organizations. Nowadays, the number of trading partners of North Korea is decreasing. The proportion of North Korea`s dependence on trade with China is too outstanding to be challenged. North Korea`s export, which only deals with minerals and has no ability to treat other kinds of goods, has a structure vulnerable to external shocks. Constant deterioration of North Korea`s economic condition makes it actively involved in all kinds of activities for earning foreign currencies, whether it is legal or not, such as sending workers abroad, running casinos, restaurant business in foreign country, operation related to narcotic. The outcome of analysing North Korea`s international crime reveals its features, including aggressive propulsion for illicit activity to earn foreign currencies following the change of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 the increase of earnings by international crime, diversification of performer of international crime, connection with international crime groups, the increase of habitat for international crime, the increase of international crime by corruption, the rapid decrease of Kim Jong-un regime`s earning foreign currency, groping for creating profit by cyber attack. Accordingly, the prospect of North Korea`s international crime is as follows. First, international crime by North Korea will never disappear because it is a significant means for creating profit and earning foreign currencies. Second, North Korea`s international crime will expand beyond existing method and means to maintain Kim Jong-Eun`s regime. Third, restriction on North Korea will make its international crime more covert. Fourth, more diverse classes will be involved in international crime as performers. Fifth, the connection with international criminal groups will be more expanded, and the possibility of connection with domestic criminal organization or violent organization is expected. Sixth, passages for North Korea`s international crime will be concentrated in inner market and economic trade zone which is adjacent to the border. Seventh, North Korea`s international crime will be expanded by its corruption. Finally, North Korea`s international crime will include gambling through cyberspace.

      • KCI등재후보

        국제범죄의 새로운 양상과 그 대응방안

        정육상(Jung, Yook Sang) 한국범죄심리학회 2011 한국범죄심리연구 Vol.7 No.1

        오늘날 국제범죄는 첨단과학기술의 발달과 세계화로 국가간에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는 범죄 기동여건이 조성되고 범행공간도 크게 확대됨에 따라 새로운 범죄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최근 국제범죄 발생사례와 선험연구 등을 토대로 분석한 결과 ? 사이버범죄, 보이스피싱, 산업스파이, 신용카드 사기 등의 신종범죄가 출현하고 ? 외국인범죄가 조직화, 지능화, 흉포화하고 있으며 ? 국가간 인적교류가 가속화되면서 국제매춘의 세계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 제 3국에서 귀순을 준비 중인 북한이탈주민들이 국제범죄에 연계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 국제범죄조직간 연계도 강화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따라, 종합적인 대책으로 ? 국제범죄방지 기본법 제정 및 관계법률을 정비하고 ? 기관별로 분산되어 있는 국제범죄업무를 조정·통합할 수 있는 가칭 `정부합동 국제범죄방지센터`를 설치하며 ? 국제형사사법공조, 국제경찰협력, 정보기관간 범죄정보교류 확대 등을 통해 국제공조를 강화하는 한편, ? 과학적인 정보관리와 대국민 계몽·홍보활동을 강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제안된 대책이 성공적으로 이행되기 위해서는 ? 법정비 및 예산확보를 위한 위정자들의 노력과 ? `정부합동 국제범죄방지센터`는 부처 고유업무의 성격 및 위상 등을 고려하여 법무부 산하에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in the 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information-sharing system, today’s international crimes are taking different forms as they are more rapidly mobilized and have a wide range of crime activity territories in the world. According to the analysis based on the internal and external dynamics of transnational crimes and previous studies, ①new types of crimes, such as cybercrimes, voice phishing, industrial espionage, credit card fraud, are emerging; ②along with the increased number of foreigners entering and exiting the country, crimes involving foreigners are also becoming more organized, sophisticated, and cruel; ③the prostitution is taking advantage of the active personal exchanges across the globe; ④an increase in the numbers of transnational crimes in affiliation with North Korean refugees who are preparing to defect in a third country is appearing; and ⑤the enhanced correlation among the different international criminal organizations has been seen in the recent trends. Therefore, I proposed the effective countermeasures as follows: ①establishing the relevant laws and legislations to prevent international crimes, ②installing 'Joint Government International Crimes Prevention Center'(temporarily named) to coordinate and integrate the decentralized counter activities of the relevant agencies; ③strengthening international cooperation by enhancing international mutual legal assistance, international police cooperation, and an exchange of crime-related information among Intelligence agencies, as well as establishing 'Joint Crimes Control Entity for the Northeast Asia;’ and ④scientific management of relevant information and reinforcing various activities to raise public awareness. In particular, in order for the proposed countermeasures to be successfully executed, I emphasized ①the politician’s efforts to establish relevant legal foundation and to secure budget, as well as ②having the ‘Joint Government International Crimes Prevention Center,’ whose location can cause friction among agencies, under the Ministry of Justice considering its characteristics and reputation.

      • KCI등재후보

        국제 금융범죄의 종류 및 수법에 관한 연구

        신성식(Shin. Sung-Shik) 한국테러학회 2013 한국테러학회보 Vol.6 No.3

        오늘날 국제범죄는 첨단과학기술의 발달과 세계화로 국가간에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는 범죄 기동여건이 조성되고 범행공간도 크게 확대됨에 따라 새로운 범죄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최근 국제범죄 발생사례와 선험연구 등을 토대로 분석한 결과 사이버범죄, 보이스피싱, 산업스파이, 신용카드 사기 등의 신종범죄가 출현하고 외국인범죄가 조직화, 지능화, 흉포화하고 있으며 국가간 인적교류가 가속화되면서 국제매춘의 세계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제 3국에서 귀순을 준비 중인 북한이탈주민들이 국제범죄에 연계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국제범죄조직간 연계도 강화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분명한 것은 국제범죄가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 중 어느 것 하나 중요하지 않는 부분은 없지만 현재 국제금융범죄의 실태는 심각한 수준이며 앞으로 더욱 심각해질 것이라는 예측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제범죄의 정의에 대해 검토하고 우리 사회에서 일반인들에게 가장 많은 피해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국제금융범죄의 종류 및 유형과 범죄수법에 대해 살피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국제공조를 위하여 첫째, 국제공조를 위한 정부간 협력체제를 구축하는데 노력하여야 한다. 둘째는 국제사법질서를 위한 국제적 관심과 이를 위한 상호교류가 활발해져야 한다. 사실 국제범죄 또는 국제금융범죄를 다룸에 있어 현재 각국별로 그 나라의 실정법에 따라 범죄를 다루고 처벌하고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국제금융범죄에 대한 정확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현재 국내에서 이와 관련된 자국만의 해결책 및 예방책은 많은 연구와 매뉴얼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국제”라는 개념 속에서 각국이 제시하는 방향이 다룰 수 있기 때문에 획일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International crime recently took on a new aspect due to the globalization and the advance of scientific technology, providing criminals with the conditions to move promptly and the wide area of crime to commit variously more than before. According to the recent research on the cases in the international crime occurrence, there i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new crime such as cyber crime, voice phishing, industrial espionage, credit card fraud and so on. The crimes by foreigners also have been occurred very often within the systematic organization, the intellectual crime and the savagery. As a personal exchange among nations has been accelerated, prostitution as international crime spread out rampantly throughout the world during this time. It is remarkable that North Korean defectors escaping into a third country have been frequently involved in the international crimes. Furthermore, the alliance of different criminal organizations became a serious issue. It is clear that the international crime became severe day be day. None of these international crimes could be thought of as an unimportant problem, but Many financial crimes in the international area run to the extreme level to be concerned seriousl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efinition of the international crime, its categories and the different kinds of criminal means possible to harm people in our society nowadays. This paper could draw the conclusion in relation to the urgent assignments. On the One hand, we must put a lot of effort into the establishment of the cooperative system among nations in order to activate easily international investigation, on the other hand,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interactions between nations for the purpose of applying the rules from the private international law flexibly. When the international crimes are committed, the problems can come up. It is very difficult to be solved without the cooperation among the nations as well as the application of the private international law, but it is true that each nation usually deals with the international crimes, applying its own domestic laws. Because the extraterritorial application of domestic laws could be bounded, it is urgent to find a way to apply a uniform standard to the international crimes.

      • KCI등재

        유엔(UN)의 국제범죄 방지 신동향과 우리나라의 대응방안

        정재준(Chung, Jae-Joon)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3 江原法學 Vol.39 No.-

        이탈리아ㆍ러시아 마피아, 홍콩의 삼합회, 일본의 야쿠자 등 기존 거대 조직범죄집단뿐만 아니라 미국의 남미계ㆍ중국계 등 신흥 범죄 조직이 날로 확장되어 국제적인 범죄 카르텔을 형성하고 있다. 탈레반, 알카에다 등 테러조직도 마약ㆍ무기밀거래 등과 연계를 거치면서 아프가니스탄뿐 아니라 미국, 영국 등에 테러를 가하는 등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있다. 이러한 최근의 국제 범죄조직은 전 세계적인 평화를 위협하고 있으며 이는 사회ㆍ문화의 발전도 해치는 중대한 암적 요소로 자라나고 있다. 이러한 국제 범죄 조직에 대한 대응은 유엔을 중심으로 유엔범죄방지 프로그램의 마련, 국제 조직범죄 대응 조약의 체결과 시행 그리고 국제조직범죄에 대한 세계행동계획 발표라는 성과를 도출하였다. 그러나 각국과의 협력과 공조에 대한 불협화음, 유엔의 자금부족과 전문 인력 미약 등의 문제에 직면하여 최근 새로운 돌파구 마련에 분주하다. 최근 국내의 범죄조직도 국제 범죄조직과 연계를 맺고 있으며, 국내에서 범죄를 저지르는 외국인의 증가 속도는 다른 국내 모든 범죄율보다 높은 실정이다. 이에 경찰청의 국죄범죄 수사대와 검찰청의 조직범죄과를 중심으로 하는 대응에 대하여 법적ㆍ제도적 보완뿐 아니라 수사 공조 체제에 대한 요구가 높은 것이 사실이다. 국내에도 수백 개의 범죄조직이 활동 중이며 점차 국제 범죄조직과 연계를 맺으면서 합법적 사업에도 진출하고 있다. 이에 2013년 4월 형법 개정안이 통과되어 범죄단체에 대한 대응의 실효성을 높이는 작업이 진행 중이다. 그러나 국제 범죄조직은 세계 각국과의 공조 없이는 일망타진하기 어렵고 특히 유엔의 새로운 동향에 대하여 유연한 자세로 참여하여야 한다. 이에 최근의 유엔 범죄방지 대책을 살펴보고 향후 어떠한 유엔 범죄방직 프로그램이나 조약들, 프로토콜 등이 생성될지에 대하여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우선 국내의 범죄조직에 대한 대응방안의 변화를 특히 경찰과 검찰의 수사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의 법적ㆍ제도적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아울러 유엔 범죄방지에 적극 참여하는 것은 물론 우리나라와 지역적으로 밀접한 러시아, 중국, 일본과의 동북아 범죄방지 조약 내지는 공조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국제 감각을 가진 수사조직과 수사진을 갖추는 것은 향후의 국제 테러나 엄청난 국가적 재난을 예방한다는 측면에서 중요한 것이다. 대한민국의 현 경제와 정치는 세계 각국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국제범죄도 이러한 중요성을 피해갈 수 없는 것이다. 이 논문은 바로 이러한 중요성의 길목에서 최근의 유엔 범죄방지 노력을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Formerly local crime organizations from Ethnic groups like Hispanics and Chinese Americans are internationalizing. The international crime organizations such as the italian Mafia, the Triads of Hong Kong and the Yakuza of Japan are evolving, and extending their business disguised as legal entities. International crime activity especially on the internet could remove the limitations of time and space. Currently international crime organizations are on the move from the real world into the cyber space. All terror organizations source their funds through drug dealings on the black-market and illegal arms transactions. They employ brutal measures to reach their objectives. The attacks from 9-11 also triggered wars between nations, for example the war in Iraq. In the follow-up there was an incident in July 2007 when one Korean, named Kim Sun-Il, was killed by an international terror organization in Afghanistan. International crime organizations always have their roots in one particular country to which they are closely connected. Therefore, it is time that all countries cooperate and take aggressive actions to battle international crime. Therefore, the activities of the United Nations are getting increasingly important. The actions of the United Nations target, among others, the resolution of international conflicts, safety, economic development, protection of human rights, humanitarian assistance, independence from colonialization and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law. Up to now organized crime didn’t get particular attention from the United Nations and it was only recognized as a phenomenon relating the economy, society, culture and education. The existence of international crime organizations makes counter-terrorism actions necessary. There is also the need for close international cooperation because all international issues are connected to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Therefore, the role of the United Nations is more important than ever.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due to budget constraints and lack of professionality of the involved parties. Therefore, the role of the United Nations to counteract international organized crime cannot be sufficiently fulfilled. This paper presents an analysis of these limitations and recent tendencies in the prevention of international organized crime. This analysis shows the right directions to counteract international organized crime that Korea should take.

      • KCI등재

        국제범죄와 다국적 범죄의 개념 구분에 관한 고찰

        김혜선 한국경찰연구학회 2015 한국경찰연구 Vol.14 No.3

        1990년대 이후 가속화된 세계화 현상은 경찰행정 분야에도 많은 변화를 초래하여, 거시적으로는 국제형사사법(International Criminal Justice)의 시대를 열었고, 범죄학적 측면에서는 국제범죄(International crime)와 다국적 범죄(Transnational crime)에 대한 인식을 증가시켰다. 국제형사사법제도는 국제형사법과 국제형사재판소 를 근간으로 국제사회의 법치 질서의 초석을 이루는 제도로 새롭게 출범하였으며, 국제형사재판소는 네 가지 유형의 국제범죄에 관한 사법권을 확립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제형사사법제도의 기원과 국제형사사법에 관한 개념을 제시 하고, 국제형사사법제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국제범죄의 개념 정의가 선행되어야 하는 바, 국제범죄의 역사적 진화과정을 바탕으로 그 개념을 논의하였다. 또한, 현행 국제형사법 상의 국제범죄의 유형과 법적 정의를 소개하였다. 나아가서, 세계화와 더 불어 국제사회의 심각한 위협으로 대두되고 있는 다국적 범죄를 개념적으로 정의하 였으며, 국제범죄와 다국적 범죄의 개념 구별의 필요성을 논하였다. Globalization has become rapidly developing since the 1990s, resulting in tremendous changes in the field of criminal justice. It opens a new era of International Criminal Justice at the international level and increases the awareness of international and transnational crime in criminology. Along with such changes, an international criminal justice system has been established based on the Rome Statute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and the creation of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in order to build the rule of law fo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by prosecuting international criminals at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comes to establish jurisdiction over four types of international crimes. Thus, this article examines the evolution of international crimes in oder to understand international criminal justice and to define them. It also introduces the legal definition and typology of international crimes. Further, transnational crime, which has emerged as a new threat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under the influence of globalization, has been defined conceptually and this article discusses distinctions between international and transnational crime.

      • KCI등재

        사이버범죄 국제조약의 제정과 중국에서의 입법준비 -중국의 당연한 입장을 겸하여-

        저우전지에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18 비교형사법연구 Vol.19 No.4

        사이버범죄와 같이 국경을 뛰어넘는 범죄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제재하기 위해서는 국제적인 조약이 필요하다. 그러나 국제조약의 제정주체, 사이버자유와 사이버주권과의 관계, 국제조약의 구체적 범위, 등에 대한 각 국가의 의견의 불일치로 인해 사이버범죄 국제조약은 여전히 제의단계에 머물러 있다. 유럽 조약, 아프리카 조약 등 주요지역의 조약의 관련규정과 중국의 최근 몇 년간 입법을 놓고 볼 때 중국은 이미 사이버범죄 국제조약을 위해 입법준비를 마쳤다. 중국은 사이버범죄 국제조약의 제정을 주동적으로 발의하고 적극적으로 참가하고 유엔을 제정추체로 하고 사이버주권을 강조해야 한다. 구체적 범죄에 있어서는 공통점은 찾고 다른 의견은 보완하며 현재의 국제조약을 전제로 제재범위를 구분해야 한다. 雖然一部國際公約對于有效預防與制裁具有內在跨國性特征的網絡犯罪而言是必要的,但是因爲各國在國際公約的制定主體、網絡自由與網絡主權的關系、國際公約應該涵盖的具體犯罪范圍等問題上存在重大分岐,網絡犯罪國際公約仍然停留在倡議階段。從歐洲公約、非洲公約等主要區際公約的相關規定與中國近年的立法來看,中國已經爲網絡犯罪國際公約做好了立法准備。中國應該主動倡議幷積極參加網絡犯罪國際公約的制定,堅持以聯合國爲制定主體、强調網絡主權,在具體犯罪上,可以求同存異,以旣有國際公約爲基礎劃定制裁范圍。

      • KCI등재

        국제범죄환경의 변화에 따른 보안ㆍ수사기관의 대응능력 제고방안

        정육상(Jung Yook sang) 한국공안행정학회 2014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3 No.2

        Nowadays, transnational criminal environment is changing enormously by a rapid progress of globalization. Therefore, security agency and investigative agency are offered some strong effective actions to the changing. Analyzing the system of the security agency and investigative agency to the phenomena, the writer estimated as follow; Need for a closer cooperative systems between the related organizations in domestic, and between the countries, getting more transnationalization of general crime, strengthening of the intelligence activity of the agencies, and being attractive target to Korea by transnational criminal organizations like 'HukSaHoei, gand violent group in China'. The writer suggested plans to bolster the agencies focusing on mutual aid and intelligence activity. The former, at our country level, He suggests improving the management type of consultative committees for transnational crimes control, vitalizing the cooperating channels between the confrontation organizations against the crimes, and Establishment of 'integrated counter-transnational crimes organization' in working level. At the international dimension, proposed expansion of concluding Treaty on Mutual Legal Assistance in Criminal Matter and the cooperation range, making more network construction between confrontation organizations, vitalizing the cooperation with various international criminal police organizations, founding 'international crime preventing organization' in East Asia and the Pacific area. The latter one is to have thorough analysis to targets on the stage of crime information gathering, to implant intelligence agent in the crime group deeply, to make law or rule support for cell phone interception and collecting record for the third party transaction. Futhermore, The writer offers operation of specialized analyst for crime information, and preparation of distribution devices to delivery completed intelligence fast and safely. 오늘날 세계화 현상이 가속화 되면서 범행 할 수 있는 공간이 확대되는 등 국제범죄 환경이 크게 변화하고 있어, 이에 대처하는 보안 및 수사기관들의 대응능력 개선이 긴요한 실정이다. 이와관련, 국제범죄 환경의 변화와 이에 대응하는 보안수사기관의 체제를 분석한 결과, 국가 사이 또는 국내 대응기관간 협조체제의 강화 필요성과 일반범죄의 국제화 현상 심화, 대응기관들의 적극적인 정보활동이 긴요하였으며, 끝으로 한국이 중국의 흑사회 등 국제범죄조직의 좋은 타깃이 될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평가를 토대로 대응하는 기관간 공조 및 각 기관들의 정보활동 강화방안을 중심으로 보안수사기관의 대처능력 제고방안을 제시하였다. 전자는 국내차원에서 각종 국제범죄 대응 협의체 운영형태의 개선, 대응기관간 협력채널 활성화, 통합 국제범죄대응 실무기구를 설치하며, 국제적 차원에서는 형사사법공조 조약 체결국가 및 그 공조범위의 확충, 대응기관간 네트워크 구축 확대, 각종 국제경찰기구와의 협력 활성화, 동아태지역 국제범죄 방지기구 설립 등을 제안하였다. 후자의 구체적 방안으로는 범죄정보 수집단계에서 대상목표에 대한 철저한 분석, 첩보원 심층 부식, 휴대폰 감청 및 제3자 거래 기록 수집을 위한 제도적 뒷받침 마련 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정보분석 및 배포단계에서는 전문 범죄정보 분석관 운용 및 완성된 정보의 신속하고 안전한 전달을 위한 배포장치 마련 등의 방안을 제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국제범죄 색출을 위한 국제공조모델에 관한 연구

        김종오(Kim Jong-Oh),이대성(Lee Dae-Sung)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0 사회과학연구 Vol.16 No.2

        세계화의 추세에 따라 범죄도 국제화되고 있으며 국가에서 요구하는 안보의 개념도 전통적 관점에서 포괄적인 관점으로 변화하고 있다. 국제범죄는 다양한 유형으로 구분되어지고 있지만 이 논문에서는 조직범죄집단에 의한 국제범죄, 국가에 의한 국제범죄, 개인에 의한 국제범죄로 구분한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에 따른 방안들로 국제범죄 전담기구의 확대 운영과 국제범죄자들에 대한 프로파일링 공유, PSI 기능 확대와 해양경찰의 역할강화, 테러범죄에 대한 예방기능의 강화, 마약운반으로 인한 범죄를 예방하기 위한 홍보 및 교육의 실시, 외국인 출입국자들에 대한 지문날인제도의 도입 등을 제시하였다. 풍부한 자금과 방대한 조직망을 가지고 국경을 넘나드는 국제범죄자들은 한 국가의 안보를 위협할 정도로 막강하기에 이들에 대한 강력한 법적ㆍ제도적 장치와 이들을 통제할 수단을 모색해야 하며 국제적 협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Due to globalization, crime is becoming internationalized, too, and the idea of security demanded by governments is gradually changing from the traditional view to a comprehensive perspective. International crime is divided into different types, but this study took the approach of dividing it into international crime by structured criminal groups, international crimes by governments, and international crimes by individuals. In order to expand international crime facility operations, share profiling of international criminals, expand PSI function and strengthen role of marine police, strengthen preventive measures of terrorist crimes, and prevent crimes due to drug distribution, promotions and education, and introduction of a fingerprint registration system of foreigners entering the country were presented. International criminals who have abundant funds and a structured network to move past borders have enough power to threaten the safety of a nation.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strong legal and systematical settings and to find a method to control the criminals, and to strengthen international cooperation.

      • KCI등재후보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범죄에 대한 두려움의 관계에 관한 연구

        윤경희,박상주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11 경찰학논총 Vol.6 No.2

        국제결혼 이주여성은 자신이 처한 인구사회학적 조건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일반인에 비해 스스로 범죄피해자가 될 확률이 높을 것으로 추정하는 경향이 있다. 실제로 국제결혼 이주여성은 결혼과정에서 결혼중개업소에 의한 사기, 가정폭력, 임금착취 등의 범죄에 대한 직·간접적 피해경험으로 인하여 범죄피해에 대한 두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에 대해 관련되는 이론적 조망에 기초한 실증적 분석을 통해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제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범죄에 대한 두려움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국제결혼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은 연령과 직업, 거주 지역, 국적 취득여부, 결혼기간, 결혼 동기 및 경로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지금까지 국제결혼 이주여성에 대한 사회복지적 측면에 대한 전체적인 실태조사 내지는 지원 연구는 존재하지만, 범죄와 관련된 체계적인 연구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이들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 정도에 대한 과학적 분석에 의한 인식 연구는 이루어 지지 않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범죄두려움에 대한 최초의 사전적 연구로서의 의미를 지니며, 이를 통해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의 정도 및 인식에 대한 향후 쟁점을 부여하는데 대한 파생논의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

        국제해양범죄에 대한 해양경찰의 효율적 대응방안

        박주상,박동균 한국치안행정학회 2010 한국치안행정논집 Vol.7 No.3

        국제해양범죄는 해양이라는 광역성, 선박을 도구로서 사용하는 수단성, 범죄가 완성되면 거대한 파급효과가 발생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시의적절한 사전예방으로 파급효과를 차단해야 하며, 주변 국가의 경제적·정치적 상황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특성이 있다. 국제해양범죄를 예방한다는 것은 대형화될 수 있는 국내범죄를 사전에 차단하는 예방적 효과가 매우 크다. 해상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밀입국, 밀수, 마약 등은 한건의 범죄라도 그 여파가 전국 단위로 확대되어 다른 범죄로 연계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러한 범죄들을 사전에 차단하는 것은 비용·인력의 절감, 범죄예방 측면에서 효과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국제해양범죄에 효율적 대응하기 위한 몇 가지 정책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해양경찰청은 국제해양범죄에 보다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외사전문인력의 증원, 전문성 제고에 힘써야 한다. 둘째, 현재 중복 및 분산되어 있는 해양경찰의 외사기능을 통합하여 21세기 해양시대에 급격히 변화하는 국제해양범죄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조직체제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국제해양범죄가 광역화·기동화·지능화·흉포화·조직화 양상을 뛰고 있어 국내유관기관과의 공조는 물론 외국해상치안기관과의 교류협력 및 범죄정보에 관한 MOU 체결을 확대해 나갈 필요성이 있다. 넷째, 전국 주요항만 등 외사취약요소에서 발생하는 고질적이고 조직적인 범죄 발굴 등 새로운 영역에 대한 외사역량을 강화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International Maritime Crimes can be defined as criminal acts committed within a nation's maritime jurisdiction. Although many papers on International organized crimes have been released, the papers addressing criminal activities occurred in the maritime domains are rarely found. This paper is to make clear definition of International Maritime Crime and suggest effective follow-up measures to eliminate such crimes. International Maritime Crimes have unique characteristics than that of territorial ones; The wide scope of criminal activity area, the limited availability of criminal tools, the spreading effect of the crime, and the possibility of early interdiction through precautionary actions. KCG(Korea Coast Guard), the lead agency responsible for crime prevention at sea, should maintain the enforcement capability in interdiction the International Maritime Crime. To achieve its operational goal addressing those crimes, KCG needs a variety of functional and organizational requirements. This paper is to suggest recommendations on the effective ways for suppressing those crimes. First, KCG must reinforce its personal capacity in the field of foreign affairs. Second, KCG must improve both overlapping and dispersion functions. Because, KCG should operate a reliable information system and establish a special intelligence team. Third, KCG is necessary both to cooperate with domestic organizations concerned and expand MOU conclusion for interactive cooperation and crime information with foreign coast guards. Fourth, KCG should intensity the capacity of dealing foreign affairs to the new areas which are to uncover chronic and systemized crime occurring in vulnerable points of foreign affairs such as national wide main po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