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통교량의 표현양식을 적용한 현대의 교량 표현

        정봉진 ( Jung Bongjin ),조택연 ( Cho Taigyo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3

        (연구배경 및 목적) 현재의 경관법은 ‘교량경관설계심의’를 거쳐야만 교량 시공이 가능하도록 개정되었다. 이는 ‘아름답고 품격 있는 국토 공간 창출방안’의 연장선으로 지역별로 특색 있고 아름다운 경관을 조성할 수 있도록 2011년 이전까지 임의 사항이었던 경관계획 수립을 각 지자체에 의무화한 것이다. 이를 통해 지자체가 경관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경관심의를 통해 관리하게 되면, 획일적이고 단조로운 도시경관 대신 창의적 디자인의 교량을 통해 개성 있고 아름다운 도시경관을 창출 할 수 있으며 국토품격 향상을 통한 국격 제고 및 도시 활력 증진에 기여 할 것으로 기대한다. 경관법의 조항에는 지역의 정체성, 주변 경관과의 조화성, 교량의 조형적 아름다움 등이 평가항목으로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교량을 계획하기 위해서는 과거 교량의 특징과 교량에 관계한 역사, 문화적인 배경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전통교량의 표현양식에서 의미적, 형태적 요소들을 재해석하여 현대의 교량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론을 그 주제로 삼아 교량경관설계의 대안을 제안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연구를 시작하였다. 위 요소들로 사례를 분석하여 과거의 사물이나 지역적 특성을 직유로 해석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전통교량 및 건축에 내포된 의미를 추출하여 입체적인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는 교량경관설계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결과)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전통교량의 형태적, 의미적 특징을 분석한 문헌들을 통해 이를 이론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둘째, 전통을 재해석한 국내의 교량 및 건축 사례를 분석하여 기존 구조물의 경관성에 대한 비판적 관점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분석의 방향을 수립하였다. 셋째, 전통을 재해석한 해외의 교량 및 건축 사례를 분석하여 심미성, 기능성, 역사성, 공공성, 혁신성 측면에서 평가하였다. (결론) 전통을 현대적으로 수용하는 가장 이상적인 방법은, 전통에서 축적된 사상적 개념 체계를 현대적 관점을 통해 재해석하고 당대의 사상과 기술에 맞게 반영하는 것이다. 글로벌리즘이라는 토대에서 자라왔던 현재의 디자이너들은 전통에 인색하다. 우리는 전통에 대한 뚜렷한 판단력을 갖추지 못한 상황 속에서는 전통을 다뤄서는 안 된다는 압박을 느끼고 있다. 전통의 창조성은 결국 디자이너들이 전통의 사상적 기반 아래 현시대에 주어진 재료와 도구를 주체적으로 사용하여 만들어 가는 것이다. 전통이란 선대의 유산을 바탕으로 당대가 새롭게 창조해야 하는 것으로, 이를 토대로 한 교량경관 설계가 미래의 연속성 있는 전통교량으로써의 역할을 수행 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current landscape law has been revised to enable bridge construction only after “bridge design review.” This is an extension of the “Beautiful and Dignified Creation of the Korean Land Space,” which requires local governments to establish landscape plans, which were optional before 2011, to be able to create distinctive and beautiful scenery for each region. If the municipal government establishes a landscape plan and manages it through scenic deliberation based on it, it can create a unique and beautiful city landscape through creative design bridges instead of monolithic and monotonous urban landscape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urban vitality. The provisions of the Landscape Act include the identity of the area,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landscape, and the formative beauty of the bridge. Therefore, to plan a bridge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its past characteristics, as well as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should be understood. (Method) This analysis assessed bridges in Physical-Environmental, Social-Cultural, Industrial-Economical aspects. The careful analysis of case studies explains the current situation, that is, too much literal interpreta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Present versatile design methods have a more subtle and symbolic approach to a more complete design method for bridge designs. (Results) This study first researches in-depth about the shape and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bridges and architecture. Second, the direction of the analysis was established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of a critical perspective on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existing structures by analyzing domestic bridges and architectural cases that reinterpreted the tradition. Third, by analyzing the cases of bridges and constructions abroad with active traditional reinterpretation, the evaluation was made in terms of aesthetics, functionality, historicity, publicity, and innovation. (Conclusions) The most ideal way to embrace tradition is to reinterpret the accumulated ideological and conceptual system from a modern perspective and reflect it in conformity with contemporary ideas and techniques. Today's designers, who grew up based on globalism, are stingy with tradition. We are feeling the pressure not to deal with tradition in situations where we do not have a clear judgment on it. In the end, the creativity of tradition is what designers create by using the materials and tools given in the present age based on traditional ideology. Tradition is the legacy of the predecessor, and the bridge landscape design based on this must be newly created. Moreover, it will be possible to play the role of a continuously traditional bridge in the future.

      • KCI등재

        지리지를 이용한 조선시대 교량의 특성 연구

        정치영(Jung, Chi-young) 한국역사민속학회 2014 역사민속학 Vol.0 No.46

        교량은 지형적 장애요소를 극복하고 도로를 이어주는 중요한 교통시설인 동시에, 문학과 그림의 소재가 될 정도로 시대와 지역의 문화와 역사를 담은 상징물이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학을 제외한 분야에서는 교량, 특히 옛 교량에 대한 학문적인 관심이 거의 없는 형편이었으며, 그가장 큰 이유로는 옛 교량에 대한 연구 자료의 부족을 들 수 있다. 그렇지만 조선시대에도 교량은 지역의 중요한 기반시설이었기 때문에, 지역의 상황을 종합적으로 기록한 지리지에는 각 군현의 교량의 숫자, 위치 등이 기재되어 있어 당시 교량의 상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조선시대 간행된 『新增東國輿地勝覽』,『輿地圖書』, 『大東地志』 등 3종의 지리지에 수록되어 있는 교량 관련 내용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를 이용하여 교량의 분포상황을 분석하여 그 지역적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교량의 명칭?위치?형식 등의 특징도 고찰하였다. 그 결과, 교량은 각 지역의 자연환경과 인구, 교통 등 사회경제적 조건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교량의 특성에 대한 고찰은 조선시대 각 지역의 지역성 파악의 열쇠가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지금까지의 교량 연구가 정성적인 연구에 치우쳐 있었던 데 비해, 본 연구는 교량에 대한 정량적인 연구를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Bridge was not only an important transportation facility overcoming topographical obstacles and linking roads, but also a cultural and historical symbol of a region or an age, even becoming sources of literature and art. Nevertheless, there have been few academic studies on bridges of the past in disciplines other than engineering. That’s mainly because of a lack of documents related to bridges of the past. However, as bridges were important infrastructures of regions also in Joseon Dynasty, geographical descriptions in which regional facts are comprehensively recorded contain the number and location of bridges in individual counties(gunhyon), making it possible to comprehensively figure out the conditions of bridges back then. Based on these facts, this study attempts to establish a database of contents related to bridges contained in 〈Sinjeungdonggookyeojisengram (新增東國輿地勝覽)〉, 〈Yeojidoseo (輿地圖書)〉, and 〈Daedongjiji (大東地志)〉, 3 geographical descriptions published in Joseon Dynasty, and analyzed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bridges using this database. Then, based on this analysis, it searched out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distribution, and examined traits of bridges such as their names, locations, and shapes. As a result, it can be known that the traits of bridges reflect socioeconomic conditions of each region such as natural environment, population, and transportation. Thus, a study on the traits of bridges could be a key to figure out regional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during Joseon Dynasty. Plus, this research is meaningful because unlike previous studies on bridges which were rather qualitative, it tried a quantitative study on bridges.

      • KCI우수등재

        광폭 플랜지 PSC 거더 단부 프리캐스트 블록을 활용한 반일체식교대교량의 구조성능 평가

        가훈,최진우,김영호,박종면 대한토목학회 2022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42 No.1

        반일체식교대교량은 일체식 교대교량의 한 형식이다. 이 교량은 상부구조에서 신축조인트를 제거한 것으로 완전일체식 교대교량이 적용하지 못한 상황에 사용할 수 있으며, 유지관리 성능이 우수하고, 하부구조를 경제적으로 시공할 수 있다. 이 연구는 교대벽체의 일부를 PSC 거더의 단부 벽체형 블록 형태로 제작한 반일체식교대교량에 대한 것으로, 온도신축에 따라 종방향 이동에 저항 역할을 하는 프리캐스트 블록을 활용한 PSC 거더이다. 프리캐스트 블록 PSC 거더는 거더 단부에 프리캐스트 블록을 일체 타설하여 제작하며, 교대벽체 위에 단순거치한 후 무수축 콘크리트와 합성하는 방식으로 시공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재하실험을 통해 구조계산한 결과에 비교하고자 하며, 나아가 실제 시공된 반일체식 교대교량의 토압 및 상부구조 변위 계측하여 이를 분석을 통한 구조성능 평가하였다

      • 수로교량의 미학적 설계에 관한 연구

        전건영 ( Keonyoung Jeon ),최병한 ( Byounghan Choi ),김남희 ( Namhee Kim ),서동욱 ( Donguk Seo ),송재도 ( Jaedo Song ) 한국농공학회 2011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1 No.-

        교량형태는 설계목표를 어떻게 정하고 설계를 진행했는지에 따라서 매우 다양한 모습을 보인다. 디자인 시대에 접어 들면서 국내 교량설계 목표도 디자인 지향적 설계로 나아가고 있으며, 그 결과로 다양한 교량형태들이 설계 시공 되고 있다. 한편, 기존의 이수목적만을 만족하는 수준에서 설계 시공된 수로교의 경우, 대부분 30여년에 걸쳐 심한 노후화가 진행됨에 따라서 지역사회의 대표적인 경관저해요소인 수리시설로 인식되고 있다. 교량형태가 고유의 기능과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아름다운 형태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기존의 공학적 설계방식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미학적 형태를 창조할 수 있는 사고의 확장의 필요하다. 더욱이 수로교량은 전국 수백 개의 지구수와 여러 지역에 걸쳐서 다양한 입지조건으로 분포되어 있는 점을 고려하면 미학적 사고의 도입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기존 수로교량 설계를 미학적 측면에서 고찰하고, 또한 실제 교량사례의 미학적 분석을 수행한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교량과 주변환경을 총체적으로 고려한 문맥적 설계기법을 활용한 수로교량 리모델링 설계안을 제시한다. 이는 국내 지역사회 실정에 적합한 수로교량의 미학적 설계방향을 제시하는 최초의 연구라고 판단된다. 이 연구의 미학적 분석은 국내 기존 수로교량 사례조사(2011년도 농어촌연구원 50개소 선정)와 학술적 연구결과(김남희와 고현무 2007)에 근거하여 수행한다. 기존 수로교량의 입지여건을 고려하여 관문형(마을 입구, 도로횡단 등), 가로형(도로와 연접하여 가로경관형성), 자연형(농경지, 하천, 구릉 횡단) 및 문화형(관광자원 인접)로 분류 후, 교량 구조 시스템에서 힘의 흐름, 통일된 부재의 형상, 기하하적 공간구성의 비례 등 전체 수로교량형상 및 규모를 분석한다. 분석 결과들은 수로교의 미학적 설계개념을 정립하는데 사용한다. 현재 국토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농어촌 지역의 경관개선을 위해 요구되는 수리시설의 미학적 설계로 나아가기 위해, 본 연구는 대표적 지역 경관 저해요소인 수로교량을 대상으로 미학적 측면에서 기존 국내 수로교량 사례를 분석 후, 문맥적 설계법(Context-based Approach)을 제시하여, 구조적 안전성, 경제성, 기능성이 주요 설계목표였던 공학적 설계방식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간 미학적 형태를 창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실무적용에 용이하며 향후 국내 지역 실정에 적합한 수로교량의 미학적 설계 방향을 제시하는데 큰 도움을 주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선박과 해상교량의 접촉사고 예방에 관한 연구

        김세화,김득봉 한국해양경찰학회 2023 한국해양경찰학회보 Vol.13 No.1

        우리나라 내륙과 해안에는 37,078개의 교량이 있다. 이 중 155개가 해안에 설치된 해상교량이다. 해상교량의 69.7%가 2001년 이후 건설되었다. 증가된 해상교량의 수만 큼 교량과 선박의 접촉사고도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는 선박과 해상교량의 접촉사고 를 예방을 목적으로 선박과 해상교량의 접촉사고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국토교통부 ‘도로 교량 및 터널 현황’ 자료와 2001년부터 2022년까지 중 앙해양안전심판원의 ‘해양사고 통계연보’와 ‘재결서’를 수집·분석하였다. 접촉사고가 빈 번한 해상교량을 대상으로 접촉사고 위험도를 기하학적 확률을 이용해 정량적으로 평 가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선박과 해상교량의 접촉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교량 표지 설치의 필요성 및 효과에 대해 언급하였고, 전자해도 제작 시 교량의 높이와 폭, 주탑의 위치를 알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한다는 것과 레이더로 해상교량을 탐지할 때 주탑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교량의 중앙에 레이더 비콘를 설치하거나 혹은 지향 성 무선표지나 주탑 전/후에 특수표지(등부표)를 설치하는 방안, 극심한 시계제한 상 황에서 교량의 폭이 통항선박의 길이 0.5L 미만(총톤수 500톤 이상 상선)이거나, 5 B~6B 미만(어선 또는 총톤수 500톤 미만 상선)의 경우에는 교량 통과를 제한하거나, 교량을 우회해서 항행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According to data from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37,078 bridges have been installed in the inland and coastal areas of Korea, and 155 of them were found to be installed on the coast. Of the bridges installed along the coast, 69.7% were built after 2001. As the number of bridges increased, the number of contact accidents between bridges and ships also increa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vent contact accidents between ships and bridges. For this stud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s 'Road Bridge and Tunnel Status' data and the Korea Maritime Safety Tribunal's 'Maritime Accidents Statistical Data' for 22 years from 2001 to 2022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addition, the probability of contact accidents was calculated and the risk was estimated for marine bridges with frequent contact accident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bridge signs are installed to prevent accidents between ships and bridges. In particular, the bridge traffic signposts are equipped with a central light, right-side single light, and left-side single light in preparation for night situations and visibility restrictions due to fog. It was proposed to install pylons lights on the pylons of the bridge. and it was suggested that the electronic chart should be made so that the height and width of the bridge and the location of the pylons could be displayed. In addition, since the position of the pylon cannot be identified when the marine bridge is detected by radar, it is necessary to install a radar beacon(or directional radiobeacon with bearing line) in the center of the bridge or a special purpose marks(light buoy) before/after the pylon, and the width of the bridge is the length of the vessel passing through under severe visibility conditions. It was suggested that maritime traffic control is needed to restrict the passage of bridges or bypass bridges for ships with less than 0.5L(merchant ships with a gross tonnage of 500 tons or more) or less than 5B to 6B (in the case of fishing boats or merchant ships with a gross tonnage of less than 500 tons).

      • KCI등재

        교량의 비탄성 지진응답에 대한 아칭작용의 영향

        송종걸(Song Jong-Keol),남왕현(Nam Wang-Hyun) 대한토목학회 2009 대한토목학회논문집 A Vol.29 No.2A

        지진하중과 같은 횡하중에 대하여 교량구조물의 아칭작용은 교대 사이의 상부구조에 의해 발생하며 이를 상부구조의 저항능력이라고도 한다. 교량구조물의 아칭작용의 크기는 경간의 수에 영향을 받으며 또한 상부구조, 교대와 교각의 연결조건 및 상부구조와 하부구조의 강성비에도 영향을 받는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상자형 교량의 비탄성 지진응답에 대한 아칭작용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경간수에 따른 두 가지 종류의 예제교량(교량 SB와 교량 LB), 교각의 높이의 배열에 따른 세가지 종류(대칭, 비대칭)의 교량, 상부구조와 하부구조의 연결조건에 따른 세가지 교량(형식 A, B, C)등에 대한 구분을 조합하여 18가지 종류의 예제구조물을 작성하였으며, 이 예제구조물들에 대하여 역량스펙트럼해석, 비탄성 시간이력해석을 수행하여 지진응답을 비교하여 아칭작용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아칭작용의 영향(최대변위의 감소와 저항능력의 증가)은 교량 SB(short bridge)의 경우가 교량 LB(long bridge) 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대칭교량의 경우가 비대칭교량에 비하여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Under transverse earthquake shaking, arching action of bridge structures develops along the deck between the abutments thus providing the so-called deck resistance. The magnitude of the arching action for bridge structures is dependent on the number of spans, connection condition between deck and abutment or piers, and stiffness ratio between superstructure and substructur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rching action effects for inelastic seismic responses of PSC Box bridges, seismic responses evaluated by pushover analysis, capacity spectrum analysis and nonlinear time-history analysis are compared for 18 example bridge structures with two types of span numbers (short bridge, SB and long bridge, LB), three types of pier height arrangement (regular, semi-regular and irregular) and three types of connection condition between superstructure and substructure (Type A, B, C). The arching action effects (reducing inelastic displacement and increasing resistance capacity) for short bridge (SB) is more significant than those for long bridge (LB). Semi-regular and irregular bridge structures have more significant arching action than regular bridges.

      • 공용 중인 무조인트교량 추적조사를 통한 시공상세 방안 도출

        남문석 ( Nam Moon S.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3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7 No.1

        교량의 온도신축거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신축이음장치는 교량에서 매우 중요한 부재 중에 하나이다. 그러나 신축이음장치의 노후에 따른 누수 및 그에 따른 구조물의 열화, 교체비용 및 교통차단 등 많은 문제점들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신축이음장치에 따른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고속도로에서는 신축이음장치를 제거한 무조인트교량을 2010년 이후부터 확대 적용 중에 있다. 그러나 공용 중인 무조인트교량에 대한 추적조사 결과 무조인트교량의 거동 특성에 대한 이해 부족과 시공도면의 상세 부족으로 인한 시공 오류 사례가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무조인트교량에 대한 시공상세 매뉴얼(안)을 수립하여 무조인트교량에 대한 이해도 증진과 시공 완성도를 올리고자 한다.

      • 교량의 내진성 향상을 위한 교량받침에 관한 연구

        이승원,구정회 경복대학 2001 京福論叢 Vol.5 No.-

        본 연구에서는 교량구조물의 내진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내진설계 및 내진 및 면진 교량받침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하였다. 먼저 최근에 개정된 내진설계법에 대하여 고찰해보고, 현재 국내외에서 사용되고 있는 내진 및 면진 교량받침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교량의 내진성 향상을 위하여 설계에 사용되는 국내외의 내진 및 면진 교량받침의 종류 및 기술적특성에 대해 분석평가하였다. 그리고 연속형 도로교량을 모델링하여 면진받침을 사용하여 면진설계된 교량과 일반 교량받침을 사용하여 내진설계 되지않은 일반교량에 대하여 각각 지진하중(EL CENTRO 지진)에 의한 동적수치해석을 수행하여 면진 교량받침의 지진에 대한 저항성 즉 효용성을 분석한 결과, 면진받침을 사용한 교량은 단면력이 전체 교각으로 분산되어 단면력이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면진설계된 교량의 지진저항성이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study, recently developed seismic design criterion is analyzed, and the characteristics and applicability of the various special seismic bridge bearings are studied. The dynamic analysis is performed in this study to characterize the hehavior continuous bridge with two different types of bridge bearings(seismically isolated bearings and conventional bearings) under seismic loading condition(EL CENTRO). For the bridges with the seismically isolated bearings, the sectional forces are evenly distributed to entire piers and the total forces are reduced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ventional bridges. It means that the bridges with seismically isolated bearing can make a efficient rather than conventional bearings under earthquake loading.

      • KCI등재

        교량의 내진보강 우선순위를 이용한 합리적인 보강방안 선정기법

        이상우,김상효 한국지진공학회 2004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Vol.8 No.3

        본 연구에서는 교량의 내진보강방안을 합리적으로 결정하기 위하여 기존교량 및 보강된 교량의 지진하중에 대한 손상가능성을 이용하여 보강에 따른 내진성능 향상효과를 분석하였다. 교량의 내진보강에 따른 효과는 기존교량 및 보강된 교량에 대해 평가된 보강우선순위의 변화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선행적으로 교량의 사용수명동안에 발생가능한 지진하중에 의한 지진취약부위의 손상확률과 손상으로 인해 예상되는 총 손실비용에 근거한 지진취약부위별 가중치를 이용하여 교량별 내진보강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는 평가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평가기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른 형식을 갖는 4개의 PSC 거더교를 대상으로 내진보강 우선순위를 평가하였다. 또한 각 지진취약부위별로 내진 보강된 교량에 대해 재평가된 순위지수를 기존교량에 대해 평가된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각 교량별로 적용된 보강기법의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기존교량 및 보강된 교량에 대한 모의분석결과로부터 적용된 보강방안에 따라 해당취약부위의 손상가능성은 상당히 감소될 수 있으나 반면에 인접한 지진취약부위의 손상가능성은 증가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기존교량에 대한 합리적인 보강방안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내진보강에 따른 교량의 전체적인 거동특성변화에 따른 보강효과분석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이는 본 연구에서 제안한 내진보강 우선순위 평가기법에 따라 기존교량 및 보강된 교량의 보강우선순위를 평가, 비교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경관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도시교량의 시각적 특성 평가 - 경의선 폐철구간 양화로 지역을 대상으로 -

        천현진,김성균,Chun, Hyun-Jin,Kim, Sung-Kyun 한국조경학회 2010 韓國造景學會誌 Vol.38 No.3

        본 연구는 경의선 폐철구간 공원화 사업 구간 중 양화로 지역을 대상으로 경관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도시교량경관의 시각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기존의 논문들은 선호도 평가를 통해서 설계방향만을 제시하였을 뿐 교량 시공 시 실질적인 경관 설계에 대한 사례 및 설계과정에 대한 연구 등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실제로 직접적인 교량 경관 설계에 활용하기에는 미흡하다. 본 연구는 교량 시공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는 대상지를 찾아서 주위 환경과 교량 형식에 따른 교량경관의 이미지를 평가하고, 선호도를 분석하여 교량 경관설계 시 이용 가능한 이론적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경관시뮬레이션에 사용된 배경경관은 도시경관이며 시뮬레이션을 할 대상교량은 거더교, 아치교, 트러스교, 사장교, 현수교 5개의 교량 유형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교량은 설계도면을 바탕으로 하여 교량형태를 선정하였으며, 유형의 형태는 각 교량유형에 적합하고 그 특성이 뚜렷하면서도 일반적인 형태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배경경관에 거더교를 제외한 나머지 교량을 도입하면 시각적 선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선정된 배경경관의 이미지 평가에서는 '인공적인' 이미지가 높게 평가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거더교 도입경관의 이미지 평가에서는 '안정한', '질서있는' 이미지가 높게 평가되었으며, 아치교 도입경관의 이미지 평가에서는 '안정한', '아름다운', '질서있는', '흥미로운' 이미지가 높게 평가되었다. 트러스교 도입경관 이미지 평가에서는 '아름다운', '안정한', '질서있는' 이미지가 높게 평가되었으며, 사장교 도입경관 이미지 평가에서는 '자연적인', '조화로운', '질서있는'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에서 높게 평가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현수교는 '자연적인' 이미지를 제외한 모든 면에서 높은 평가를 나타내었다. 교량설계 시 교량형태가 주변 환경의 시각적 선호도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경관설계 시 교량형태와 주변 환경을 함께 고려한 경관계획의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경관성에 대한 교량형태 만을 연구하였으나, 안정성, 경제성, 시공성 등 교량설계 시 여러 가지 중요한 변수들이 존재하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이들과 함께 복합적으로 분석, 연구되어 적절한 교량형태가 선정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formed an estimation of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urban bridges in Yanghwaro in the Gyeongui Railroad Area using a landscape simulation. Existing theses have formerly only suggested directions for design based on visual preference, but there is as yet no research on the practical process of landscape design.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directly apply this to bridge design. This study found a potential bridge site and presented a direction for bridge design in order to improve the image of the surrounding urban landscape by surveying the visual effects and landscape preferences of different bridge types. An urban landscape was produced using a landscape simulation model and was made the background for the survey. Five bridge types--Girder, Arch, Truss, Cable and Suspension--were selected and presented. The shapes of the bridg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floor pla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a preference analysis, every bridge except Girder was evaluated as a positive influence. When rating the image, 'artificial' was rated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traits when assessing the background image. When the Girder Bridge was introduced, 'stable' and 'orderly' were both rated highly while 'stable', 'beautiful', 'orderly' and 'interesting' were high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Arch Bridge. 'Beautiful', 'stable', and 'orderly' were given a high value in the introduction of the Truss Bridge and every image except 'natural', 'harmony' and 'orderly' were highly rated in the introduction of the Cable Bridge. Further, every image but 'natural' was highly rated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Suspension Bridg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landscape, there is a difference in preference before and after modeling a bridge type, while the bridge itself is an influence when it is the main object of the simulated scene. This study researched only the shape of the bridge as a part of the landscape but other elements such as stability, economics, and construction are also factors in the design of a bridge. Stability, economics, construction and other factors must be considered when selecting a bridge type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