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차이와 국제관광수요 - 홉스테드의 문화차원이론을 중심으로 -

        박용민 한국관광학회 2016 관광학연구 Vol.40 No.7

        Foregoing studies mainly focused on finding out highly influential data centered on economic variables such as income, exchange rates, and prices and were presented in studies already made. In this context, the current study attempted to confirm that cultural nature is significant among the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demand for tourism. For this, the current study conduc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economic variables confirmed in Hofstede’s cultural dimension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en, international demand for tourism as a sub-variable was used to confirm if there were common cultural attributes affecting the demand. Next, to confirm what effect relative difference in culture has on the demand, it altered Hofstede’s values of cultural indices into values of cultural difference among nations using ‘Kogut and Singh Index’ to look into their relation to the international demand for tourism. The result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it showed, a common attribute of culture affecting the demand for international tourism is ‘individualism’, in which, the features of a nation with rampant individualism being considered, Krippendorf(1987)-insisted ‘evasion from reality’ and Hofstede(2014)-insisted modernization of a nation or its development degree are its causes. Second, in cultural difference concerning cultural relativity, Korea is under the influence of ‘masculinity’ indices both in the outbound and inbound demand for international tourism. This has been analyzed to have resulted from ‘freedom from politics/religion’, a feature of a nation with low masculinity. Whereas, Japan has been proven to be under the influence of ‘individualism’, a common attribute affecting the international demand for tourism, more than these cultural attributes are uniquely found in Japan. After all, a common cultural attribute affecting the demand for international tourism is individualism and the relative difference in cultural affect by-national demand for international tourism is, in the case of Korea, according to the masculinity index but this is, conclusively, different from nation to nation. 지금까지의 국제관광수요에 대한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소득, 환율, 가격 등의 경제 변수를 중심으로 영향력이 높은 자료를 찾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광수요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변수 중 문화적 속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먼저 Hofstede의 여섯 가지 문화지수와 선행연구에서 확인된 경제 변수를 독립변수로, 국제관광수요를 종속변수로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여 국제관광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보편적인 문화 속성이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상대적인 문화차이가 국제관광수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Hofstede의 문화지수 값을 Kogut and Singh Index를 이용하여 한국과 일본을 기준으로 국가 간의 문화차이 값으로 변환하여 국제관광수요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첫째 국제관광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보편적인 문화 속성은 개인주의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의 상대성을 의미하는 문화 차이의 경우 한국은 인바운드와 아웃바운드 국제관광수요 모두 남성성 지수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성성 지수가 낮은 국가의 특징인 ‘정치ㆍ정교로부터의 자유’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에 일본의 경우 일본만의 독특한 문화 속성보다 국제관광수요에 영향을 주는 보편적 속성인 개인주의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국제관광수요에 영향을 주는 보편적인 문화는 개인주의이며 국가별 국제관광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상대적인 문화차이는 한국의 경우 남성성 지수이지만 이는 국가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결론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후보

        제주도 관광수요 특성과 예측

        송운강,이혜진 한국관광산업학회 2018 Tourism Research Vol.43 No.4

        Over the past decade, the demand for tourism in Jeju Island, a nature-based tourist destination, has risen sharply, and the rapid growth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has caused various problems. For this reason, the tourism industry in Jeju, which has depended on quantitative growth, needs to constantly monitor and identify the demand trend In order to shift its management goal to qualitative growth.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of domestic and foreign tourists visiting Jeju Island since the year 2000 and predicted tourism demand for the next five year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rend of changes in the tourism demand in Jeju, foreign demand was very sensitive to fluctuation of demand due to external factors such as infectious diseases and political issues compared to domestic demand, which contributed to increase instability of the Jeju tourism industry. Also, domestic demand has turned out to be opposite in the period when foreign demand declines or surges rapidly. Moreover, a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VECM) was used for demand forecasting, and GDP and WTI were used as the determinants of demand. As a result of the demand forecast, the demand for tourism in Jeju will exceed 20 million in 2023, and reasonable countermeasures should be prepared. 지난 10여 년간 제주도는 관광수요가 급격히 상승하였고, 자연자원 의존도가 높은 관광지인 제주도의 특성상 단기간 내 이루어진 고성장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그 동안 양적 성장에 의존해 온 제주도의 관광산업이 질적인 성장으로 관리목표를 전환하기 위해서는 먼저 관광수요에 대한 지속적인 동향 파악과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2000년 이후 제주도를 방문한 내·외국인 관광객에 대한 변화 추이를 분석하고, 향후 5년간의 수요를 예측하였다. 먼저, 제주관광수요의 변화 추이를 분석한 결과, 외국인 수요는 내국인 수요에 비해 전염병, 정치적 이슈 등 외부적 요인에 의해 수요 변동이 매우 민감하게 나타나 제주 관광산업의 불안정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또한 외국인수요가 급감하거나 급증하는 시기에 내국인 수요는 반대방향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특징도 나타났다. 한편 수요예측을 위한 분석에는 벡터오차수정모형(VECM)을 이용하였고 수요결정요인으로 GDP와 WTI를 사용하였다. 수요예측 결과, 2023년 제주관광수요는 2천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대응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상태공간모형을 이용한 방한 관광객의 수요탄력성에 대한 연구

        이경희,김경수 한국기업경영학회 2013 기업경영연구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lasticity in the demand for tourists through the relation between tourists’s arrivals of source country and consumer price index, gross domestic products, the exchange rates in Korea, the United States, Japan, China by using a state space model with Kalman filter algorism from January 1995 to December 2011.  First, in the Kalman filter estimates of tourism demand models, three income elasticiti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the own price elasticities and cross price elasticities were not significant in all demand models. The expected sign of demand elasticities were consistently positive with three income elasticities as the determining factor of Korea tourism demand. According to the tourism demand, three own price elasticities were positively elastic and related to substitutes and the tourism price was non-competitive in Korea. This indicated that the elastic tourism price will create additional revenues in strategy based on the goal to price competition. The price elasticity was very large in the U.S. and the income elasticity was elastic as the luxury goods in Japan, but the cross price elasticity was inelastic. Thus they showed that there were the flexible relations to the United States as substitutes, Japan and China as complements. Second, by utilizing the State Space, the results of the Kalman filter estimates of demand elasticities showed that three income elasticities increased from 1995 to 2000 and the United States and China were slightly higher in 2003, but Japan was much lower. And the United States were about the same as before in 2007 and 2008 (during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Japan increased slightly, but China was a little lower. In terms of the income elasticity in 2011, it increased i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but Japan increased significantly. Thus the travel to Korea was recognized as necessities for the tourists i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but as luxuries for tourists in Japan. In the price elasticity, the United States and Japan decreased from 1995 to 2000, but China increased, following the United States and Japan were slightly higher in 2003, but China was almost the same. Thus the United States was a little higher than before and Japan was significantly higher, but China rose slightly in 2007 and 2008. In the price elasticity in 2011, the United States increased significantly and Japan was about the same, but China decreased significantly. Third, the research potential applications need to be further investigated. First, the equation of state of demand models in this study was based on empirical study of the demand for consumer goods such as home, food and general including durable or not durable goods (Song, Romilly and Liu, 1998; Brown, Song and McGillivray, 1997), which were assumed to follow the walk process. However,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tourists was not necessarily the same as consumers and the tourism products and services consumer demand in general can not relate at all. Therefore, in a great deal of research, the equation of state, setting such as autoregressive (AR), moving average (MA) or autoregressive moving average (ARMA), needs to be done in order to grasp whether it is more appropriate than the course of random walk. This can be done by examining the predictability of the state space model and the state equation of another. Second, this study was focused on investigating whether that could be used to analyze the elasticity of tourist demand related to long term determinants using the state space model. If this results could be compared with the alternative tourism demand model through the prediction performance of the state space model, they were possible to become more help with practitioners and policy makers of tourism. Third, the legitimate process theoretically should be developed for the instability structure and the state space model need to determine more desirable models than the fixed ... 본 연구는 칼만필터 앨고리즘의 상태공간모형을 이용하여 1995년부터 2011년까지 미국, 일본, 중국의 월별 관광객수, 소비자물가지수, 국내총생산, 환율을 통해 관광객의 수요탄력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관광수요모형의 칼만필터 추정결과는 3개의 소득탄력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나, 자체가격과 대체가격탄력성은 모든 수요모형에서 유의하지 않았다. 수요탄력성의 기대부호는 3개의 소득탄력성의 경우만이 양(+)의 부호로 일치하여 소득탄력성 변수만이 한국관광수요의 결정요인이었다. 관광수요는 3개의 자체가격탄력성이 모두 탄력적이었고 양(+)의 값을 보여주어 대체재의 관계가 존재하여 한국관광가격은 비경쟁적이며 가격경쟁에 목표를 둔 전략들로 추가적인 수익을 창출할 것이다. 미국의 가격탄력성은 매우 크고 일본의 소득탄력성은 탄력적으로 사치재의 관계를 나타내고 대체가격탄력성은 모두 비탄력적이고 미국은 대체재, 일본과 중국은 보완재의 관계가 존재하였다. 둘째, 상태공간을 이용한 미국, 일본 및 중국의 수요탄력성의 칼만필터 추정결과는 소득탄력성에 있어서 글로벌 금융위기기간인 2007년과 2008년에 미국은 이전과 거의 동일하고, 일본은 약간 높고 중국은 조금 낮아졌다. 2011년의 소득탄력성이 미국은 증가, 일본은 대폭 증가, 중국은 이전과 거의 동일하여 한국으로의 여행은 미국과 중국의 관광객들에게는 필수재, 일본의 관광객들에게 사치재로 인식되었다. 가격탄력성에 있어서 글로벌 금융위기기간인 2007년과 2008년에 미국은 이전보다 조금 높고, 일본은 대폭 높고 중국은 약간 높아졌다. 2011년의 가격탄력성이 미국은 대폭 증가, 일본은 거의 동일, 중국은 대폭 감소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이용된 상태공간모형이 일정한 모수를 가정하는 전통적인 회귀분석방법보다 모수의 불안정을 추정하는 관광수요모형의 칼만필터 앨고리즘과 더불어 관광객들의 시간가변 수요탄력성을 더욱 정확히 파악하는데 적절하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또한 관광수요모형의 수요탄력성은 관광정책과 관광제도의 변경, 소비자의 취향변화, 기대감 등과 같은 비관측요인들로 인하여 시간가변적일 가능성이 존재하였다.

      • KCI우수등재

        Bayesian VAR 모형을 이용한 국내 관광 수요의 코로나 영향력 추정: 실내·외, 자연·인공, 대형·소형 유형 관광지 영향력 차이 분석

        윤성준,이희찬 한국관광학회 2022 관광학연구 Vol.46 No.1

        COVID-19, which caused not only the Korean pandemic but also the global pandemic has had a devastating effect on the global economy as well as the tourism industry. Although the tourism industry has shrunk significantly as a result of COVID-19, especially demand for overseas tourism (-85.1%) has not recovered yet, but domestic tourism demand for Koreans is only -34.7%, providing a new opportunity for the tourism industry. As a result, based on data on tourism demand from 2016 to 2020, this study examined the types of tourist attractions by categorizing them as indoor/outdoor, Man-made/natural, large/small, and by region.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setting up the Bayesian VAR model and examining the difference between 2020 quarterly forecasts and actual demand via Historical Decomposition. The rate of decrease in tourism demand in entire 1,364 tourist attractions was 26.21%, and the decrease in demand due to COVID-19 was greater in indoor(-71.27%) than outdoor(-20.58%), Man-made(-55.26%) than natural (-16.78%), and large (-32.59%) tourist attractions rather than small (-27.22%). According to regional analysis, Busan suffered the most damage with -52.96%, which is attribu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ourist attractions(such as beaches) with high density.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examined the types of tourists attractions that visitors visiting during COVID-19 era and provided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strategies and policies to revitalize domestic tourism in the future with-COVID-19 and post-COVID-19 eras. 한국 뿐만 아니라 전세계적 팬데믹 현상을 야기한 코로나(COVID-19)의 영향력은 세계 경제는 물론 외부 충격에 취약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관광 산업에까지 치명적인 영향력을 끼치고 있다. 비록 코로나로 인하여 관광 산업 자체가 크게 위축되었고 한국인의 해외관광 수요인 아웃바운드 관광 수요는 회복세가 나타나지 않고 있음에 반해(85.1% 감소), 내국인의 국내 관광 수요 감소율은 34.7%(잠정치)로 나타나 해외관광에 치중되어 있던 관광 시장에 새로운 기회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2016년~2020년의 한국인의 관광 수요 데이터를 기반으로 관광지의 유형을 실내ㆍ외, 인공ㆍ자연, 대형ㆍ소형 및 각 지역별로 나누어 코로나로 인한 피해를 분석 기반의 예측치와 실제 공표된 데이터인 실제치의 비교를 통해 살펴보았다. Bayesian VAR 모형을 설정하고 역사적 분해(historical decomposition)를 통해 2020년 분기별 예측치와 실제치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전체 1,364개 관광지의 관광 수요 감소율은 26.21%로 나타났고 실외(-20.58%) 보다는 실내(-71.27%) 유형, 자연(-16.78%) 보다는 인공(-55.26%)유형, 소형(-27.22%)보다는 관광객의 밀집도가 높을 것이라 가정한 대형(-32.59%) 유형 관광지에서 코로나로 인한 수요 감소폭이 더욱 크게 나타났다. 지역별 분석에서는 부산지역이 –52.96%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해수욕장에 관광객이 많이 방문하며, 밀집도 또한 높은 관광지 특성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를 통해 코로나 시대에서의 관광객의 관광지 방문 유형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 위드 코로나,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의 국내관광 활성화를 위한 전략 및 정책 수립에 학술적ㆍ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데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부산 연안도시 관광수요 예측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황규원,남성모,장아름,이문숙 해양환경안전학회 2023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9 No.7

        Improvements in people’s quality of life, diversification of leisure activities, and changes in population structure have led to an increase in the demand for tourism and an expansion of the diversification of tourism activities. In particular, for coastal cities where land and marine tourism elements coexist, various factors influence their tourism demands. Tourism requires the construction of infrastructure and content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demand at the tourist destination.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prediction accuracy and explore influencing factors through time series analysis of tourism scale using agent-based data. Basic local governments in the Busan area were examined, and the data used were the number of tourists and the amount of tourism consumption on a monthly basis. The univariate time series analysis, which is a deterministic model, was used along with the SARIMAX analysis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 The tourism consumption propensity, focusing on the consumption amount according to business types and the amount of mentions on SNS, was set as the influencing factor. The difference in accuracy (RMSE standard) between the time series models that did and did not consider COVID-19 was found to be very wide, ranging from 1.8 times to 32.7 times by region. Additionally, considering the influencing factor, the tourism consumption business type and SNS trends were found to significantly impact the number of tourists and the amount of tourism consumption. Therefore, to predict future demand, external influences as well as the tourists’ consumption tendencies and interests in terms of local tourism must be considered. This study aimed to predict future tourism demand in a coastal city such as Busan and identify factors affecting tourism scale, thereby contributing to policy decision-making to prepare tourism demand in consideration of government tourism policies and tourism trends. 최근 국민 삶의질 향상, 여가 활동 다변화, 인구구조의 변화 등으로 관광수요 증가 및 관광활동이 다양화되고 있다. 특히 연안도시의 경우, 육상 관광 요소와 해양관광 요소가 공존하는 지역으로 다양한 요인이 관광수요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 목적은 본 연구는 행위자 기반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관광규모의 시계열 분석을 통해 예측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영향요인을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부산 지역 내 기초자치단체이며, 데이터는 월단위의 관광객수와 관광소비금액을 활용하였다. 연구방법으로 확정적(결정적) 모형인 단변량 시계열 분석과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SARIMAX 분석을 수행하였다. 영향요인은 관광소비성향을 설정하였으며, 업종별 소비금액과 SNS 언급량을 중심으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COVID-19를 고려하지 않은 시계열 모형과 고려한 모형 간의 정확도(RMSE 기준) 차이가 지역별로 최소 1.8배에서 최대 32.7배 향상되었다. 또한 영향요인을 보면 관광소비업종과 SNS 트렌드가 관광객수와 관광소비금액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미래 수요예측을 위해서는 외적 영향을 고려하고, 관광객의 소비성향과 관심도가 지역관광 측면에서 고려 대상이 된다. 본 연구는 연안도시인 부산 지역의 미래 관광수요 예측과 관광규모에 미치고 있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정부 관광정책 및 관광추세를 고려한 관광수요태세 마련을 위한 정책 의사결정에 기여하고자 한다.

      • KCI등재

        국민국내관광객의 이동시간거리에 대한 수요탄력성 분석

        권영현,김의준 한국지역학회 2015 지역연구 Vol.3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ourism demand elasticity of travel time distance on domestic destinations in Korea. Piecewise Linear Regression Model was applied to estimate the elasticities based on the Korea National Tourism Survey. It is found that the tourism demand elasticities by tourist distances decrease by 0.005% if time distance increase by 1 minute. In the first section, the most nearest distance is less than 11.6 minutes from the origin, elasticities increases by 0.206% of tourism demand, whereas in second section (from 11.7 to 75.1 minutes) and third section (more than 75.2 minutes) it decreases by 0.106% and 0.021%, respectively. The third section with sharply rising distance decay rate can be interpreted as the Effective Tourism Exclusion Zone of domestic tourists in Korea. Additionally, the more tourism demand is appeared at the younger age group than older age group, single travellers than group travellers, and people in Metropolitan Areas than in smaller c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국민국내관광객을 대상으로 이동시간거리에 대한 관광수요탄력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자료는 국민여행실태조사의 여행기록부 원자료를 이용하였고, 이동시간거리별 관광수요는 구분적 선형회귀모형(Piecewise Linear Regression)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우리나라 국민국내관광객의 이동시간거리 1분 증가할 때 관광수요는 비탄력적으로 0.005%만큼 감소하였다. 이를 시간거리에 따른 구간별로 보면, 동일 조건에서 관광수요는 출발지에서 1구간(11.6분 이내)은 0.206% 상승하였고, 2구간(11.7-75.1분)과 3구간(75.2분 이상)에서 각각 0.106%, 0.014% 감소하였다. 둘째, 관광객의 수요가 나타나지 않는 이동시간거리 75.2분 이상의 구간은 거리조락율이 급격히 상승하는 관광효과배제구역(Effective Tourism Exclusion Zone)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관광행태별 관광수요는 동반여행보다 단독여행 할 경우 증가하였으며, 출발지 기준의 관광수요는 중소도시 및 읍면에 비하여 대도시에 거주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 관광수요는 젊은 연령에서 증가하다 고연령으로 갈수록 감소하였다.

      • KCI등재

        인터넷 검색엔진을 활용한 키워드가 중국관광객 방한 수요에 미치는 영향 - 바이두 인덱스 자료를 적용 -

        박나희,김홍범 한국관광학회 2016 관광학연구 Vol.40 No.3

        The focus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relationship of a web search engine’s query data with Chinese tourist’s demand and to examine the behavior of Chinese tourists who have recently been the most significant increasing group visiting South Korea. A Collection of search query data from the Baidu Index related ‘Korea’ and ‘Korean Tourism’ then took 7 key-words through the filtering process to establish an independent variable.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1st of January, 2011 to 31st of December, 2014 bimonthly as Chinese tourist demand data for the dependent variable. We proposed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to verify the effect relationship with 7 key-words and Chinese tourist demand. With respect to long-term stability, the variables used the unit root test, correlation test and Granger causality test befor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showed that the key-words related to ‘Korea’ and ‘Korean Tourism’ have effected Chinese tourists’ dem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proved an effect relationship between a web search engine’s query data and Chinese tourists’ demand. The implication of the study is that it is possible to use integrated analysis to predict tourist demand using quantitative data and real-time search engine data.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방한하는 해외관광객 중 가장 크게 증가하고 있는 중국관광객의 관광행동을 살펴보고자 인터넷 검색엔진의 검색 키워드와 중국관광객수요의 영향관계를 초점으로 연구하였다. 중국 최대의 인터넷 검색 사이트인 바이두에서 제공하는 키워드 정보가 국내 중국관광객수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바이두 검색엔진의 바이두 인덱스를 통하여 한국 및 한국여행관련 키워드를 추출하고, 정제 과정을 거쳐 7개의 키워드를 설명변수로 선정하였다. 연구를 위한 설명변수는 2011년 1월 1일부터 2014년 12월 31일까지 사이의 월별 자료이며, 결과변수인 중국관광객수요 자료는 설명변수와 동일기간으로 한국관광공사의 외래 관광객실태조사 통계자료를 사용하였다. 선정된 7개의 검색 키워드와 중국관광객수요와의 관계를 다중회귀모형으로 가정하였으며. 회귀모형의 안정적 분석을 위하여 자료의 단위근 검정 및 설명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상관관계 및 인과관계 검정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바이두 인덱스를 통한 한국과 한국여행 관련 키워드는 실제 국내에 방한하는 중국관광객수요와 영향관계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실제 중국관광객수요와 같은 정형적인 수치 데이터와 새로운 방식의 2차 자료인 인터넷 검색 키워드 자료의 결합 분석연구가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제주 해양관광객의 수요결정요인 분석

        강석규 ( Seok Kyu Kang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5 탐라문화 Vol.0 No.48

        본 연구에서는 국내 처음으로 제주 해양관광객의 수요함수를 통해 제주 해양관광의 수요결정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제주 해양관광객의 수요요인을 분석한 결과, 우선, 사회경제특성요인 중 남자그룹, 화이트칼라(전문직/사무직/공무원?교직원) 직업군, 대졸이상 학력군, 300만원이상의 소득을 지닌 그룹 등은 제주 해양관광 방문수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기혼그룹만이 제주 해양관광 방문수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해양관광행태특성 중에는 해양관광 스포츠형그룹이 제주 해양관광 방문수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반면, 해양관광 휴양형그룹, 가족동반그룹, 모텔/호텔 숙박그룹, 인터넷 정보원천그룹형태의 경우 제주 해양관광 방문수요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해양관광만족요인 중에는 자연경관 만족요인이 해양관광 방문수요에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나 자연경관에 대한 만족도가 높다고 해서 반드시 해양관광방문수요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은 아님을 보여주고 있으며, 숙박비용에 대한 만족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해양관광 방문수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끝으로 해양관광선택요인 중 육체적 휴식, 수산물채취, 스쿠버다이빙, 요트, 수상스키 등은 해양관광 방문수요에 긍정적이나 색다른 체험 등은 해양관광 방문수요에 부정적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eterminants of marine tourist demand for Jeju marine tourism. For this study, the truncated Poisson model and the truncated negative binominal distribution model are applied.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determinants of marine tourism demand are men group, white color group, college graduates, three million won or more revenue group, married group, marine sports tourism style group, marine resort tourism style group, family group, motel/hotel lodging group, internet information group, satisfaction of natural view, satisfaction of lodging cost, physical rest, fishing, diving/yault/marine ski, and unusual experience. Jeju marine tourist demand has positive relation factors with like men group, blue color group, college graduates, a higher revenue group, marine sports tourism style group, satisfaction of lodging cost, physical rest, fishing, and diving/yault/marine ski. However, Jeju marine tourist demand has negative relation with factors like married group, marine resort tourism style group, family group, motel/hotel lodging group, internet information group, satisfaction of natural view, and unusual experience.

      • KCI등재

        국내 의료관광 수요의 결정요인 실증 분석- 패널 데이터 분석 기법을 중심으로-

        조성찬,이훈영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9 지역산업연구 Vol.42 No.2

        Many countries are actively promoting medical tourism as a future growth engine. Koreaalso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medical tourism and amended the Medical Law in 2009 toallow foreign patients to be treated. In order to carry out national projects such as medicaltourism, it is necessary to predict the exact demand. Existing medical tourism demandforecasts are conjectured from the annual reports or the estimates provided by foreignorganizations. Therefore, the existing demand forecasts are not accurate. In order to improvethe accuracy of demand forecasts, this study has developed a demand forecasting model formedical tourists entering Korea by reflecting the econometric determinants of demand. Economic characteristics such as gross GDP, won exchange rate, CPI, total expenditure onhealth expenses, and the number of doctors and beds per 1,000 population are taken intoaccou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mand forecasting model of medicaltourism and the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the demand. The analysis used the data of 99countries showing a large number of medical tourists in nine years (2009 ~ 2017). We useda Panel data analyzing technique which simultaneously refl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series dynamic characteristics and the cross-sectional variables. The results show thatconsumer price index(-), the number of beds per 1,000 population(-), total medicalexpenditure(+), Domestic general government health expenditure per capita(-), Out-of-pocketexpenditure percent of current health expenditure(-)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mand.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GDP and CPI, but the lower the total expenditure of medicalexpenses, the more the demand of the country increases.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establish a medical tourism marketing strategy targeting thecountries that meet these specifications.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would be the finding ofthe key macroeconomic determinants in forecasting the domestic medical tourism demandand estimating the model using the panel data analysis technique which complements thelimitations of prior demand forecasting research. 많은 국가들은 의료관광을 미래 성장 동력으로 간추하고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한국도 의료관광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2009년 의료법을 개정하여 외국인 환자 유치를 허용하였으며, 의료관광을 신성장동력 산업으로 지정하면서 의료관광 관련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의료관광과 같은 국가적 차원의 사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수요를 예측하는 것이필요하다. 하지만 기존의 의료관광 수요 예측은 연간 보고서 또는 외국 기관에서 제공하는 추정치 등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잠재 수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으로만 수행되어왔으며, 수요 예측 기법의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계량경제학적 수요 결정 요인들을 반영해서 한국으로 입국하는 의료관광객 수요를 보다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는예측모형의 수요 결정요인을 도출하였다. 즉, 각 국가별 특성 및 상호 연관성과 시간에 따른동태적 특성을 고려하여 국내 총 생산, 환율, 소비자 물가지수과 같은 경제적 지표와 보건 관련 지출, 의사 수 및 병상 수 등과 같은 의료관련 지표를 활용하여 의료관광 수요 영향요인들을 탐색하였다. 분석 자료는 의료관광 입국자 수가 많은 상위 99개 국가의 9개년도(2009년~2017년)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시계열적인 동태적 특성과 횡단면적인변수들 간 상호연관성을 동시에 반영하는 방법론인 패널 데이터 분석기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소비자 물가 지수(-), 인구 1,000명 당 병상 수(-), 의료비 총 지출(+), 정부의 1인당 보건 관련 지출(-), 건강 관련 지출의 본인 부담 비율(-)이 수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요인을 고려하여 의료관광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바람직함을알 수 있다. 본 연구의 실증연구 결과와 더불어서 거시계량경제학적 관점에서 국내 의료관광수요 결정요인을 탐색하고, 수요 예측 선행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는 패널 데이터 분석 기법으로 수요 결정요인을 추정했다는 점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한국⋅일본문화와 베트남 관광수요의 인과성― Hopstede의 국가문화차원이론을 중심으로 ―

        김도훈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22 동방문화와 사상 Vol.1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ality between national culture and international tourism deman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ausality between Korean and Japanese culture and Vietnamese tourism demand based on the Hofstede National Cultural Dimensions. Prior to the empirical analysis, Korean and Japanese culture were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the Hofstede's six cultural dimensions, and Cultural distance representing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countries was measured. Korean culture and Japanese culture showed the greatest difference in cultural dimensions of masculinity and individualism.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cultural distance between Korea and Japan, which are tourism destination countries, and Vietnam, the country of origin for tourists, it was found that Korean culture is closer to Vietnamese culture than Japanese culture. In this study, based on the gravity model, the effect on tourism demand in Vietnam visiting Korea and Japan was analyzed by setting GDP and exchange rate as an economic factor and cultural distance as a cultural facto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all the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model had a valid effect on the demand for Vietnamese tourism visiting Korea and Japan. n this study, cultural distance variables, which were a major concern,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 effect on the demand for Vietnamese tourism visiting Korea and Japan. In other words, it can be estimated that the farther the cultural distance is, the more negatively it affects tourism demand. In particular, cultural distance variables, which are cultural factors, were estimated to have a greater influence on tourism demand in Vietnam than economic factors such as GDP and exchange rates. These results can be interpreted that for Vietnamese tourists visiting Korea and Japan, culture is an important factor in choosing tourist destinations, and culturally similar destinations are selected.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문화와 국제관광수요와의 인과성을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Hofstede 국가문화차원 이론을 바탕으로 한국문화와 일본문화와 베트남관광수요와의 인과성에 대해 실증분석하였다. 실증분석에 앞서 한국과 일본문화를 Hofstede 6가지 문화차원을 바탕으로 비교 분석하였으며, 국가 간 문화차이를 나타내는 문화적 거리를 계측하였다. 한국과 일본문화는 남성성 차원과 개인주의 차원에서 가장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관광목적지 국가인 한국⋅일본과 관광객 원척국가인 베트남과의 문화적 거리를 계측한 결과 일본문화에 비해 한국문화가 베트남문화에 더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중력모형을 기초로 국제관광수요 결정요인 중 전통적인 경제요인으로는 GDP, 환율 변수 그리고 문화요인으로는 문화적 거리 변수를 설명변수로 설정하고 한국과 일본을 방문하는 베트남 관광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본 연구모형에 사용된 모든 변수들은 한국과 일본을 방문하는 베트남 관광수요에 유효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주요 관심사이었던 문화적 거리 변수는 한국과 일본을 방문하는 베트남관광수요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문화적 거리가 멀수록 관광수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다. 특히, 문화요인인 문화적 거리 변수는 GDP와 환율과 같은 경제요인보다 베트남 관광수요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는 한국과 일본을 방문하는 베트남 관광객의 경우 관광목적지를 선택에 있어 문화가 중요한 요인이 되며 문화적으로 유사한 목적지를 선택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