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구와 달’ 주제와 관련된 초등학교 2009 개정 과학교과서와 2015 개정 과학교과서 내용 분석

        임청환,채동현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18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1 No.3

        이 연구는 ‘지구와 달’ 주제와 관련된 초등학교 2009 개정 과학교과서와 2015 개정 과학교과서 내용을 분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우리나라의 2009 개 정 과학교과서와 2015 개정 과학교과서의 ‘지구와 달’ 관련 단원의 내용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2009 개정 과학교과서에 2015 개정 과학교과서 로 개정되면서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상에서는 큰 변화 는 없었다. 둘째, 두 교육과정의 구체적인 교과서 내용 진술이나 전개는 별다른 차이가 없었으나, 탐구활동면 에서는 교육과정의 탐구활동 제시에서는 물론 교과서에 제시된 구체적인 탐구활동에서도 많은 변화를 보였다. 셋째, 2009 개정 과학교과서에 비해 2015 개정 과학교과서에서는 사진과 삽화를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넷째, 실험관찰과 관련된 변화는 거의 없었으나, 단원 정리하는 활동이 2015 개정에서는 2009 개정에 비해 강화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related to a subject ‘Earth and Mooon’ from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r the research, the team selected and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Earth and Moon' unit in th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2015 revised curriculum. As a result of the research, first, there has been no significant change in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curriculum as the science textbook revised from 2009 curriculum to 2015 curriculum. Second, the two curriculum did not differ much in specific textbook contents statement or development, but they showed much change in presentation of exploration activities in curriculum as well as the specific exploration activities presented in the textbooks. Third, compared to science textbooks of the 2009 revision, the 2015 revision used more pictures and illustrations. Forth, there have been few changes related to experimental observation, but the activities to organize the unit in 2015 revision have been strengthened compared to the 2009 revision,

      • KCI등재

        2007 개정·2009 개정 중학교 과학 교과서 화학영역에 사용된 과학 글쓰기 문항의 비교 분석

        이규희,홍훈기,Lee, Gyu Hui,Hong, Hun-Gi 대한화학회 2014 대한화학회지 Vol.58 No.6

        이 연구에서는 2007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교과서 18권과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교과서 18권의 화학 영역에 사용된 과학 글쓰기 문항을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추출한 과학 글쓰기 문항을 인지적 과정, 글의 유형에 따라 분류하고, 과학 글쓰기 문항에 포함된 글로벌 이슈 내용을 분석하여 얻어진 결과를 비교하였다. 2007개정 교과서에 사용된 과학 글쓰기 문항은 총 183개로서 교과서 한 권당 10.17개, 10쪽 당 평균 1.32개의 과학 글쓰기 문항이 사용되었다. 한편, 2009개정 교과서에 사용된 과학 글쓰기 문항은 총 168개로서, 교과서 한 권당 9.33개, 10쪽 당 평균 1.23개의 과학 글쓰기 문항이 사용되어, 2007개정 교과서와 비교해 2009개정 교과서에 사용된 과학 글쓰기 문항의 한 권당 사용 빈도와 10쪽 당 평균 사용 빈도가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교육과정에서 과학 글쓰기 문항 사용 빈도는 단원별, 출판사별로 차이를 보였으며, 과학 글쓰기 문항은 과학 교과서의 단원 마무리 단계에서 주로 사용되는 경향을 보였다. 인지적 과정에 따라 과학 글쓰기 문항을 분류한 결과, 두 교육과정에서 공통적으로 이해하기에 해당하는 문항의 사용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기억하기에 해당하는 문항의 사용 빈도는 가장 낮았다. 글의 유형에 따라 과학 글쓰기 문항을 분류한 결과, 정보를 전달하는 글쓰기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이에 해당하는 인지적 과정 중 이해하기가 가장 높은 사용빈도를 보였다. 과학 글쓰기 문항에 포함된 글로벌 이슈 내용을 분석한 결과, 2007개정 교과서에서 21개(11.48%), 2009개정 교과서에서 33개(19.64%)가 글로벌 이슈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과학 글쓰기 문항으로 분석되어, 2009개정 교과서에서 글로벌 이슈 내용을 포함한 과학 글쓰기 문항의 사용 빈도가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2007 개정 및 2009 개정 교과서에서 공통적으로 환경 보전과 관련한 과학 글쓰기 문항의 사용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2009 개정 교과서에서 사용된 글로벌이슈 내용의 소재가 더욱 다양화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In this study, we sampled science writing tasks and investigated their frequency of use shown in the chemistry domain from two sets of 18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RNC) and the 2009 RNC, respectively. In addition, we categorized the sampled science writing tasks depending on the cognitive process and type of writing and compared with the results obtained from analysis of global issues presented in the science writings. From the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2007 RNC, a total of 183 science writing tasks were identified in which 10.17 tasks per textbook and 1.32 tasks per 10 pages were used averagely. A total of 168 were identified from the textbooks for the 2009 RNC. Among them, 9.33 tasks per textbook and 1.23 tasks per 10 pages were used on average. Comparing with these results, the average frequency of use of the tasks per textbook and per ten pages were decreased, respectively. Moreover, the number of science writing tasks were found in each curriculum varied considerably depending on the units and the publishers, and that the writing tasks were mainly arranged in the finale, wrapping up stage. In the analysis of science writing tasks according to the cognitive process, the highest and lowest frequency of use were observed in the category of 'understand' and 'remember',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science writing tasks based on the types of writing, the writings for the information delivery were most used and the highest frequency of use was observed in the category of 'understand' of the cognitive process belonging to 'information delivery'. As fo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global issues, the number of science writing tasks including global issues increased from 21(11.48%) in the 2007 RNC to 33(19.64%) in the 2009 RNC. Furthermore, science writing tasks associated with protection of environment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of use in the both curriculums, and it was analyzed that the materials of global issues used in the 2009 RNC were much more diverse.

      • KCI등재

        초등 과학 교과서의 교육과정 시기별 탐구 성향 비교 분석 : Romey 분석법을 이용한 선행 연구 결과 비교를 중심으로

        장명덕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3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6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과학 및 타 교과 교과서에대한 Romey의 참여지수를 보고한 선행 연구들의 비교를 통해 교육과정 시기별 초등 과학 교과서의 탐구 성향의 변화 및 그 적절성에 대해 검토하는 것으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문 지수(T)의경우, 제3차 교육과정 과학 교과서는 극히 탐구적인교과서로 판정되는 값이지만(T>18), 이후 지속적으로감소하며, 2007 개정 및 2015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는각각 권위적(비탐구적)인 교과서로 판정되는 값(T=0.25)과 적절한 탐구 수준의 교과서로 판정되는 값(T=0.99)에 근접한다. 수시 개정 체제 이후 과학 및 타교과 교과서의 T값을 비교해보면 별 차이가 없는 수준이다; 둘째, 그림 · 도표 지수(FD) 또한 교육과정 시기별로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양상이다(제3차 과학 교과서 : FD>2.75 → 2015 개정 과학 교과서 : FD=0.14). 특히 2015 개정 과학 교과서의 FD값은 비탐구적인 교과서로 판정되는 수준으로, 최근 보고되고 있는 타 교과 교과서의 FD값과 비교해도 낮은 수치이다; 셋째, 과학교과서의 활동 지수(A)의 경우, 제3차부터 2015 개정교육과정 국정 교과서에 이르기까지 점차 감소하지만모두 탐구하기에 알맞은 교과서로 판정되는 값이다(제3차 과학 교과서 : A=1.12 → 2015 개정 과학 교과서 :A=0.64). 하지만 7차 교육과정 시기 이후 과학 교과서의 A값은 타 교과 교과서와 비교하여 전반적으로 낮은 편이다. 넷째, 과학 교과서의 질문 지수(Q)는 전술한 세 지수(T, FD 및 A)에 비해 극히 제한적으로 보고되었는데, 이는 교육과정 시기별 과학 교과서 구성 체계의 차이가 주된 원인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 and appropriateness of inquiry tendency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by national curriculum period by comparing previous researches that reported Romey's Involvement Index in the science textbook and other subject textbook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text index (T), the value of science textbooks by curriculum tends to continue to decline overall. The value of science textbook based on the 3rd curriculum is judged to be extremely inquiry oriented and the value of the textbooks based on the 2007 and 2015 revised curriculum are the values judged as somewhat authoritative textbook and as a textbook at the appropriate level of inquiry, respectively.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T values of other subject textbooks since the 2007 revised curriculum; Second, the index of figures and diagrams in the text (FD) of science textbooks also continues to decline by curriculum periods. In particular, the FD value of science textbook of the 2015 revised period is judged to be a authoritative textbook, which is lower than the value of other subject textbooks; Third, in the case of the activity index (A), it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third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but it is judged as textbooks suitable for inquiry. However, after the 7th curriculum, the value of A is generally lower than those of other subject textbooks; Fourth, for the index of the questions at the ends of chapters (Q), the value of Q is reported to be extremely limited compared to the aforementioned three indices(T, FD and A), which may be mainly due to differences in the composition of science textbooks by curriculum period.

      • KCI등재후보

        차세대 과학 교과서와 기존 과학 교과서의 STS 교육내용 비교 분석 : 지구과학 영역을 중심으로

        현지영,박신규,김중욱,정원우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8 科學敎育硏究誌 Vol.3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제7차 교육과정에 따라 편찬된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와 차세대 과학 교과서를 STS적 교육내용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STS의 내용들은 Yager의 STS 토픽과 Piel의 기준 그리고 학생들의 SATIS 활동 유형 등에 의해 분석 되었다. 연구결과, 차세대 과학 교과서는 Yager의 기준에 의한 STS 포함 비율은 20.9%로 기존 교과서의 평균인 11.3% 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STS 구성요소 분석 결과 차세대 교과서의 경우 ‘지역사회와의 관련성’(59%), ‘과학의 응용성’(18.2%), ‘실제 문제에 대한 협동 작업’(13.6%) 순이었다. 차세대 과학 교과서는 ‘지역사회와의 관련성’요소가 기존 과학 교과서 보다 증가하였고 ‘과학과 관련된 직업에 대한 인식’ 요소가 감소한 것이 큰 특징이다. ‘과학의 다차원성에 대한 인식’, ‘정보의 선택 및 이용에 대한 평가’ 등의 요소에 대해서는 차세대 과학 교과서는 포함되지 않은 반면에 기존 과학 교과서의 경우 낮은 비율이지만 어느 정도의 내용을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Piel의 기준에 의한 STS 주제 영역에 관한 비교 분석에서 차세대교과서는 ‘환경의 질’ 문제와 ‘우주개발과 국방’ 문제를 다루고 있는 반면 기존 교과서의 경우 ‘기술발달의 영향’, ‘천연자원’ 등을 다루고 있다. SATIS 교수-학습 활동 영역에서 차세대 과학 교과서의 주된 활동은 ‘조사 연구’, ‘모의실험’, ‘자료 분석’등이며, 기존 교과서에서는 ‘역할 놀이’, ‘연구 고안’, ‘모의실험’등의 활동은 거의 찾아 볼 수 없다. 따라서 차후 개발될 교과서에서는 ‘역할 놀이’, ‘연구 고안’, ‘모의실험’등의 활동이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bout STS contents in the next generation science textbook for 10th grade according to curriculum revision 2007 and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focused on the Earth Science which were published according to the 7th curriculum. The contents of STS were analyzed by the STS topics of Yager(1989), Piel’s standard(1981), and student activities by SAT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same as follows: ‘The next generation science textbook’ was shown that 20.9% is STS material amount in average by Yager’s standard.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were shown that 11.3% is STS material amount in average. Based on the STS topics by Yager’s standard, most of STS content is focused on ‘Relativity with local community’, ‘Application of science’ and ‘Cooperative work on real problems’. However, there is rare contents such as ‘Multiple dimensions of science’, ‘Practice with decision-making strategies’ and ‘Evaluation concerned for getting and using information’ in the next generation science textbook. In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were shown that ‘Applicability of science’ is the highest and ‘Relativity with local community’ is the next high contents. Based on the STS topics by Piel’s standard, most of STS contents are focused on ‘Environmental quality’, ‘Space research’ and ‘National defence’ in the next generation science textbook. But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are focused on ‘Natural resources’ and ‘Technology development’. The activities were analyzed by SATIS student activities. The major categories of activities included in the next generation science textbook were ‘Investigation’, ‘Simulation’ and ‘Data analysis’. But, there were rare activities like ‘Roleplaying’, ‘Research design’ and ‘Simulation’ in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 KCI등재

        질적 연구에 의한 고등학교 생명과학 교과서 생명과학의 이해 단원에 내포된 과학의 본성 분석

        이영희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3 교과교육학연구 Vol.17 No.1

        과학의 본성(NOS)에 대한 이해는 과학 교육에서 중요한 과학적 소양의 요소 및 학습 목표가 되어왔다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93; Millar & Osborne, 1998;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2000). 이 과학 교육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교과서를 포함하는 교과 과정에서 과학의 본성에 대한 적절한 견해를 포함하고 있어야 함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2009년 개정 교육과정의 생명 과학 I 교과서 첫 단원에 포함되어 있는 과학의 본성을 질적 내용 분석함으로써 일반적으로 과학이란 무엇이며 과학이 어떻게 발달되어 왔는지를 설명하는 도입단원에 적절한 수준의 과학의 본성 측면들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교과서 분석에 많이 이용되는 양적 분석이 아닌 연구자의 통찰과 직관에 많이 의존하는 질적 내용 분석 방식을 도입함으로써 양적 분석으로는 찾기 어려운 숨어있는 의미를 발견하기 위한 시도를 하였다. 분석 결과는 전반적으로 대부분의 생명 과학 I 교과서들은 다양한 과학의 본성을 제한된 수준으로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구체적으로 생명 과학 I교과서들은 도입 단원에서 과학 지식의 가변성이나 다양성과 같은 지식으로서의 과학의 본성보다는 생명 과학의 대상인 생물체에 대한 내용 설명에 치중하고 있었다. 또한 본문에서 다양한 과학사례와 과학자들의 소개를 포함하고 있으나 그 속에 내포된 과학적 사고의 특징이나 태도보다는 사회 속에서 과학사의 발달을 강조하였다. 특히 대부분의 교과서들이 여러 과학의 본성 중에서 주로 '과학과 기술, 그리고 사회와의 관계 (STS)'적인 과학의 본성 측면을 "STS코너"라는 별도의 분류 등으로 강조하고 있었다. 또한 탐구 방법을 묘사하는데 있어서 구체적 실험 사례를 통해 "보편적 과학의 방법 (단계적 실험 과정)"을 강조하고 있었다. 이것은 다양하고 복잡한 과학과 탐구의 본성을 이해하기에 매우 제한적인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Understanding the nature of science (NOS) has been a major component of scientific literacy and an important learning goal in science education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93; Millar & Osborne, 1998;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2000). To achieve this goal, it is necessary to include appropriate views of the nature of science in science curriculum including a textbook.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f the first chapter of four Korean high school life science I textbooks, which typically discusses what life science is and how it works. Examination using a qualitative analysis reveals that most of life science I textbooks limited to include a variety of views of the nature of science in the introductory chapters while some textbooks have included more aspects of the nature of science than others. Specifically, high school life science I textbooks have focused on the content knowledge itself relating with living organisms rather than the 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 such as tentativeness and diversity of knowledge in the chapters. Also, although the textbooks have introduced a variety of scientific episodes in history as well as scientists, generally they emphasized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science in society not the nature of scientific thinking and attitude of scientists. Significantly, most of life science I textbooks emphasized on the STS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aspects of the nature of science and focused on the steps of “the scientific method” to explain the inquiry process. This is deficient to show an authentic view of the nature of science.

      • KCI등재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과학 글쓰기 활동 분석

        김소연,정은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0 No.4

        Since the 2007 revised science curriculum, science writing and discussion have been emphasized to develop scientific think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ability and communication skil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cience writing activities in the 36 kinds of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of the 2007 revised curriculum and the 27 kinds of those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in terms of frequency, the type of science writing requiring scientific thinking ability, presented sites and forms. Compared to the 2007 revised science textbooks, the number of science writing activities in the 2009 revised science textbooks decreased. In both the 2007 revised science textbooks and the 2009 revised science textbooks, the science writing activities requiring deductive thinking ability were the most, and those requiring inductive thinking ability were the least. The science writing activities were presented in the site of 'unit summary', and in the form of ‘presented text+decorative illustration+question’ the most. In the units belonging to biology area and earth science area, many science writing activities were included in the diverse form. And the frequency and the type of science writing activitie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kind of textbook. The science writing activities should be included frequently in science textbooks in diverse type and presentation form.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부터 과학적 사고력, 창의적 사고력 및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하기 위하여 과학 글쓰기와 토론을 강조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교과서 36종과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교과서 27종에 제시된 과학 글쓰기 활동에 대하여 과학적 사고력에 근거한 과학 글쓰기 유형, 제시 위치, 제시 형식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2009년 개정 과학 교과서에는 권당 14.3개의 과학 글쓰기 활동이 제시되어, 2007년 개정 과학 교과서의 권당 17.8개보다 그 수가 감소하였다. 2007년 개정 과학 교과서와 2009년 개정 과학 교과서 모두 연역적 사고력을 요구하는 과학 글쓰기 활동이 가장 많았고 귀납적 사고력을 요구하는 경우가 가장 적었다. 과학 글쓰기 활동은 ‘단원 마무리’에 가장 많이 제시되어 있고, 그 다음으로는 ‘과학 글쓰기’에 제시되어 있으며, ‘도입’에 가장 적었다. 그리고 ‘제시문+장식 자료+질문’ 형식으로 제시된 과학 글쓰기 활동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질문’ 형식에 해당되는 경우가 많았다. 2009년 개정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 글쓰기 활동을 단원별로 살펴본 결과, 생물 영역과 지구과학 영역에 해당되는 단원의 경우 다양한 제시 형식의 과학 글쓰기 활동이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리고 출판사별로 살펴본 결과, 빈도의 범위가 9~63개였고, 유형별 빈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과학 글쓰기 활동이 다양한 유형과 제시 형식으로 과학 교과서의 다양한 부분에 적극적으로 도입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일본과 싱가포르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사 내용 분석 :

        이봉우(Lee Bong woo),신동희(Shin Dong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과 싱가포르의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사 관련 내용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사 내용과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위 해서 일본과 싱가포르 교과서 19권에서 과학사 내용을 추출하여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사의 형태와 조직, 과학사의 내용, 과학사를 도입하는데 사용된 자료 등의 범주 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사 내용의 빈도수는 세 나 라 중에서 우리나라의 과학 교과서에서 가장 많았다. 둘째, 세 나라 모두 과학의 인 지적 측면을 강조하고 있으며, 탐구적 요소나 정의적 요소는 부족하였다. STS 측면 은 우리나라의 과학 교과서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었다. 셋째,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사 내용은 서양 과학사 내용이 주를 이루었으며, 일본의 과학 교과서에서는 우 리나라의 과학 교과서에서보다 자국의 과학자, 과학 내용을 많이 포함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history of science in science textbooks of Japan and Singapore, comparing with that of Korea. For this, we analyzed the type and system of the history of science, the content of history of science, and the source of the history of science in 19 science textbooks published in Japan and Singapore. We compared the data with previous results in Korean science textbook.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could find more contents of history of science in Korean science textbooks than those of Japan and Singapore science textbooks. Second, in science texbooks of Japan and Singapore, the majority of contents was presented in perspectives of cognitive domain with nothing in perspectives of inquiry and affective domain. We could find more STS-related contents in Korean science textbooks than those in Japan and Singapore science textbooks. Third, the history of science mainly came from western science. Science textbooks in Japan include many scientific results accomplished in Japan as well as Japanese scientists.

      • KCI등재

        최근 20년 동안의 초등 과학 교과서 연구 동향 분석

        김남훈,김형진,정숙진,김동석,김지숙,임희준 한국과학교육학회 202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2 No.5

        본 연구는 초등 과학 교과서 연구의 동향과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2001년부터 2021년까지 과학과 관련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초등 과학 교과서와 관련된 연구 156편을 분석하여 교과서 분석에 관한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분석 기준은 ‘형식’과 ‘주제’ 두 개의 대범주로 구성하고, ‘형식’의 하위 범주로 ‘발행연도’, ‘대상 교육과정’, ‘분석 학년’, ‘과학 내용 영역’, ‘분석 대상’, ‘발행 기관’을 ‘주제’의 하위 범주로는 ‘비교 연구’, ‘내용 분석’, ‘삽화’, ‘탐구활동’, ‘교과서에 대한 인식’,’기타’로 설정하였다. ‘형식’에 대한 분석 결과 거의 매년 교과서 관련 연구가 수행되고 있었고 2009 개정 교육과정기에 가장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전 학년(3∼6학년) 및 과학의 전 영역을 대상으로 다룬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또한 과학교육 관련 학회지뿐만 아니라 비관련 학회지에서도 과학 교과서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주제’에 대한 분석 결과 비교 연구, 내용 분석, 삽화, 탐구활동, 교과서에 대한 인식 순으로 연구 비율이 높았다. 초등 과학 교과서 연구 동향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초등 과학 검정 교과서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 KCI등재후보

        화학 및 과학 교과서에 기술된 읽기자료 분석 및 활용도 조사

        임미경 ( Mi Kyung Lim ),유미현 ( Mi Hyun Yoo ),남석현 ( Seok Hyun Nam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2 科學敎育硏究誌 Vol.3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읽기자료의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고등학교 화학Ⅰ 교과서의 읽기자료를 분석하고, 과학 교사의 과학 교과서 읽기자료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제7차 교육과정 및 2009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화학Ⅰ 교과서 각 4종을 택하여 읽기자료의 수, 내용에 따른 제시 유형과 학생의 활동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중등 과학교사의 과학 교과서 읽기자료 활용에 대한 인식 조사를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화학Ⅰ 교과서의 읽기자료를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제7차 화학I 교과서에서는 읽기자료의 비율이 7.9%∼17.1%로 나타났으며, 2009개정 화학I 교과서는 20.6 28.2%비율로 나타났다. 2009개정 교과서의 읽기자료 비율이 증가하였음을 의미한다. 읽기자료 내용별로 분석한 결과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생활 속 과학``이 34.3%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였으나, 2009개정에서는``지식의 심화보충``이 23.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생 활동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제7차 교육과정은 읽기자료 13%만이 탐구형 자료인것으로 나타났으나 2009개정에서는 35%가 탐구형자료로 나타나 학생의 탐구활동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목표가 반영되었음을 시사한다. 둘째, 과학 교과서활용 실태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 결과 67%에 해당하는 교사가 현재 과학 교과서 읽기자료를 수업에 사용하고 있으나 거의 활용하지 않는 교사도 33%나 되었다. 많은 교사들이 실생활과 관련된 통합적 교육을 위해 읽기자료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생활 속과학``읽기자료가 교과서에 좀 더 많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ading materials in 7th curriculum and 2009 revised high school chemistryⅠtextbook for identifying the problems of reading material presented in science textbooks and to investigate science teachers` recognition about utilization reading materials in science textbook. For this purpose, each four 7th curriculum and 2009 revised high school chemistryⅠtextbook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ading materials, the type of contents and the type of students` activities. In addition, the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recognition about utilization reading materials in science textbook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nylizing reading materials in chemistryⅠtextbooks showed that and the rate of reading materials were presented from 7.9 to 17.1% in 7th curriculum and from 20.6 to 28.2% in 2009 revised curriculum textbook. It implies that the rate of reading materials in 2009 revised textbooks increases more than those in 7th curriculum textbook. The result of analyzing the type of contents, ``life sciences`` was the largest proportion with 34.3 % in the 7th curriculum chemistry I, but ``enrichment and supplement of knowledge`` was the largest proportion with 23.7% in 2009 revised curriculum. Analyzing the type of student activities, only 13% of the reading materials in 7th National Curriculum textbook was found to be inquiry type, but 35% of the reading materials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ppears to be inquiry type. It suggested that the curriculum objectives was reflected in the textbook. Second, investigating recognition of teachers` perceptions of utilization science textbooks, 67%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used the reading materials in their science class, but teachers who didn`t use the reading materials was almost 33%. A large number of teachers responded that the reading materials associated with the real-life needed for integrated education and thought that the reading materials about ``life and science`` should be included in the science textbooks.

      • KCI등재

        2009 개정과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생명과학 Ⅱ 교과서의 탐구활동 유형 분석

        정수연,장정호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20 현장과학교육 Vol.14 No.2

        This study analyzed the inquiry activities in the 2015 revised Life ScienceⅡ textbooks by based on their types, units, and publishers. Moreover, we examined the changes in inquiry activities compared to the 2009 revised Life ScienceⅡ textbooks.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degree of textbook distribution in the examples of inquiry activities provided in each revised curriculum. Compared to the 2009 revised Life ScienceⅡ textbook, the 2015 revised Life ScienceⅡ textbook contained 23% decreased page-number and approximately 8% decreased inquiry activities. It is due to make a relaxation of learning burden of students, whereas to increase the ability of creative scientific inquiry. The inquiry activities of 2015 revised Life ScienceⅡ textbooks have increased the types of SA, IP and EX compared to those of the 2009 revised. The result indicated the consistency in accordance to the purpose of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which pursues a variety of student-centered inquiry. There are 22 examples of inquiry activitie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of Life ScienceⅡ in all textbooks. However, in the 2009 revised Life ScienceⅡ, textbooks LS2㉡~LS2㉤ provide not all the 17 examples of inquiry activities. Therefore, it is required that teachers try to restructure their textbooks for enhancing students’ inquiry activities according to their achievement criteria.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생명과학Ⅱ 교과서에 수록된 탐구활동을 유형별, 단원별, 출판사별로 분석하였고, 2009 개정 생명과학Ⅱ 교과서와 비교하여 탐구활동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각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탐구활동 예시의 교과서 분포 정도와 탐구활동 유형을 조사했다. 2015 개정 생명과학Ⅱ 교과서가 2009 개정 생명과학Ⅱ 교과서에 비해 지면 수는 약 23 % 감소되었고, 탐구활동 수는 약 8 % 감소되었다. 이는 학생들의 학습 부담은 줄이되 창의적 과학 탐구 능력 등을 신장시키기 위한 것으로 판단된다. 2015 개정 생명과학Ⅱ 교과서의 탐구활동은 2009 개정과 마찬가지로 ID 유형이 가장 많았다. 그러나 2009 개정에 비해 SA, IP, EX 유형이 많아졌다. 이는 학생중심의 다양한 탐구 학습을 강조하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취지와 목적에 부합한 것이다. 그러나 ID 유형이 가장 많이 나타나는 것은 2015 개정 생명과학Ⅱ 교과서의 탐구활동이 이전 교육과정과 크게 다르지 않고 구조화된 탐구 수준에 머물러 있음을 보여준다. 2015 개정 교육과정 생명과학Ⅱ에서 제시하고 있는 탐구활동 예시 22개가 교과서별 탐구활동 유형에는 다소 차이가 있지만 모든 교과서에 제시되고 있다. 반면에 2009 개정 생명과학Ⅱ에서는 탐구활동 예시 17개를 모두 제시하지 못한 교과서가 있으며, 이는 LS2㉡~LS2㉤이다. 생명과학Ⅱ 교과서가 출판사별로 탐구활동의 빈도, 유형에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교사는 탐구 수업을 설계할 때 성취기준에 따라 학생들이 탐구활동 유형을 제대로 체험할 수 있도록 교과서의 탐구활동을 재구성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