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湖西地方 木活字本의 현황과 木活字 유형연구

        옥영정 한국서지학회 2010 서지학보 Vol.0 No.36

        이 연구는 조선시대부터 해방이전까지 호서지역에서 印行된 목활자본 중 印行記錄이 있는 현존본을 대상으로 하여, 호서지역 목활자의 印行상황과 유형 및 그 인본의 지역, 시대, 주제, 발행소, 인쇄자 등을 종합적으로 조사 정리하고 이를 분석한 것이다. 조선시대 호서지역은 영남, 호남과 더불어 인쇄문화가 발달했던 지역으로, 특히 청주는 현존 最古의 금속활자인쇄물이 제작된 지역으로 인쇄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곳이며, 그 외 지역에서도 중요한 인본이 많이 간행되었다. 조선후기 학맥에서도 호서지역은 기호사림의 주요기반지이기도 하며 이는 자연스럽게 예학서와 성리학 대가들의 문집간행이 성행하는 결과를 낳기도 하였다. 공주목과 청주목은 호서지역 서책간행의 중심지였으며, 그 중 목활자를 이용한 인쇄활동도 활발하여 그 인본이 현재에도 적지 않게 확인되고 있다. 이 연구를 위해 문화재청, 대학교, 박물관 등의 기관에서 조사하여 출판한 고서목록과 국립중앙도서관의 전적종합목록시스템을 비롯한 각 기관의 웹사이트를 통해 조사한 호서지역의 목활자본은 195종이다. 이 인본의 실물을 일일이 대조하여 유형화하는 한편, 지역 및 문화권별 분석, 시대별 분석, 주제별 분석, 발행소별 분석, 인쇄자별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출기록을 바탕으로 활자를 인행한 지역과 주체를 중심으로 호서지역 목활자의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1) 공주 이헌가 인서체 목활자, 2) 금산 광업재 인서체 목활자, 3) 논산 김영상 인서체 목활자, 4) 논산 이은시사 인서체 목활자, 5) 논산 김씨 인서체 목활자, 6) 논산 문씨 목활자, 7) 보은 회북면 고씨 인서체 목활자, 8) 보은 고광태 인서체 목활자, 9) 보은 풍림정사 인서체 목활자, 10) 음성 반씨 인서체 목활자, 11) 옥천 용문사 인서체 목활자, 12) 옥천 고래원 인서체 목활자, 13) 청주 신항서원 인서체 목활자, 14) 청주 화당리 재실 필서체 목활자 등 총 14종의 호서지역 목활자를 유형화할 수 있었다. 인출 기록이 있는 現存本으로 살펴볼 때, 호서지역은 19세기부터 본격적인 목활자인쇄가 이루어지고 20세기 중엽까지 그 기술과 전통이 이어진 것을 알 수 있었다. 호서지역 목활자본을 시대별로 나열하여 보면, 18세기 4종, 19세기 40종, 20세기 152종이 간행되었다. 20세기의 것이 비교적 많이 남아 있고, 그 중 1920-1930년에 집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sort out, and analyze the wooden movable type printing books with publications records of the Hoseo region from the Chosun Dynasty to the years before Korea's liberation in terms of the publication situations and patterns of the wooden movable type and of the areas, periods, subjects, publishing venues, and publishers of the printed books. In the Chosun Dynasty, the Hoseo region boasted a developed printing culture along with the Yeongnam and Honam region. Cheongju, in particular, claims huge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printing as they made the oldest metal type books remaining today. Other areas too published any important printed books. In the academic community in late Chosun, the region provided a major base for the Gihosarim, which gave birth to a popular practice of publishing decorum books and anthologies of great scholars of Sung-Confucianism. Espeically Gongju-mok and Cheongju-mok were the heart of the region's book publications. They made active use of the wooden movable type, whose printed books still remain today. By going through the list of old books the investigator identified 195 wooden movable type printing books in the region. Once classifying them by examining the results against actual printed books, I analyzed them according to region, cultural zone, period, subject, publication venue, and publisher.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After determining the areas and subjects based on the seal records, I categorized them according to printing types and letter styles. Then using the same printing types, I gathered around the printed books published in relatively earlier periods and attempted to classify the Hoseo region's wooden movable types that could be possibly named. As a result, there were total 14 wooden movable types identified in the region. There should be more comprehensive research and analysis in order to understand wooden movable type printing among regions during Chosun. But a look into the remaining printed books with seal records reveals that the full-blown wooden movable type printing started in the 19th century and its technology and heritage continued on in the middle 20th century in the Hoseo region. There were 4, 40, and 152 wooden movable type printing books published in the 18th, 19th, and 20th century.

      • KCI등재

        『합부금광명경』의 구결과 번역의 비교 연구

        김성주 구결학회 2022 구결연구 Vol.48 No.-

        In this article, I argue that when translating Buddhist scriptures into Korean, the translator needs to refer to the Korean Kugyol. The Buddhist scriptures covered in this article are the Edited Synthesis Suvarṇaprabhāsa Sūtra(合部金光明經). The Kugyols of the Edited Synthesis Suvarṇaprabhāsa Sūtra during the Goryeo Dynasty are Jatoseokdok-kugyol(字土釋讀口訣) and Jeomtoseokdok-kugyol(點吐釋讀口訣). These two Kugyols are contained in Volume 3 of the Edited Synthesis Suvarṇaprabhāsa Sūtra, which is in the collection of the Cheongju Early Printing Museum. Korean translation of the Edited Synthesis Suvarṇaprabhāsa Sūtra included in the Han Myeongsuk tr.(2019) and the Hangeul Tripitaka was used in the translation. In the comparison of the Kugyol and the modern translation, the parts such as ①Zhufopusaconghuidazhi(諸佛菩薩聦慧大智), ②Rushinvren & Sanduonahua(如寶女人 & 散多那花), ③Dedutuoyiqiebuwei, yiqieeshou, yiqieegui, renfeirendengzaiheng, zhunao(得度脫一切怖畏一切惡獸一切惡鬼人非人等災橫諸惱), their interpretation of the Kugyol is more reasonable than the Korean translation. It was not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Kugyol and Korean translations was more appropriate for the ④Gongdefazang(功德法藏), ⑤Duizhizhufazhimen(對治諸法之門), ⑥Jietuosanmei(解脫三昧) parts, so only the differences of the Kugyol and the Korean translation were presented in this article. In addition, this paper points out that the part of ⑦Zhensushengzhi(眞俗勝智) and ⑧Shidi Yigongdelidhāraṇī(十地 依功德力陀羅尼) are unnatural parts of the text of the Edited Synthesis Suvarṇaprabhāsa Sūtra. 이 글은 불경의 번역에 구결을 적극적으로 이용해 주기를 바라는 의도에서 작성되었다. 이 글에서 다룬 불경은 합부금광명경 이다. 합부금광명경 의 구결로는 고려시대의 자토석독구결과 점토석독구결을 이용하였는데 이 구결들은 청주 고인쇄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합부금광명경 권제3에 기입되어 있다. 합부금광명경 의 번역으로는 집일본 금광명경소 의 현대역과 <한글대장경>의 현대역을 이용하였다. 구결문과 현대역의 비교에서는 ①諸佛菩薩聦慧大智, ②如寶女人과 散多那花, ③得度脫一切怖畏一切惡獸一切惡鬼人非人等災橫諸惱 부분은 현대역보다 구결의 해석이 타당한 예로 제시하였다. ④功德法藏, ⑤對治諸法之門, ⑥解脫三昧 부분은 구결과 현대역 중 어느 쪽의 해석이 더 타당한지 판단을 내리지 못하여 구결과 현대역이 차이를 보이는 부분으로 제시하기만 하였다. 그리고 ⑦眞俗勝智와 ⑧十地 依功德力陀羅尼 부분은 합부금광명경 의 경문이 어색한 부분으로 지적한 부분이다. 이 글을 통해서 필자가 제안하고 싶은 것은 불경의 번역에 선본의 구결이 적극적으로 이용될 필요가 있고 이런 작업을 위해서는 구결학자와 불교학자의 협업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 KCI등재

        이미지 분석을 통한 금속활자본과 번각 목판본의 구별과 번각순서 판정: 남명천화상송 증도가 (南明泉和尙頌證道歌) 여섯 가지 판본 간의 비교

        유우식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22 보존과학회지 Vol.38 No.5

        고려시대 및 조선시대에 간행된 금속활자본과 목판 번각본 고서가 여러 종류 전해지고 있다. 고서에 인쇄방법, 인쇄시기 및 인쇄에 이르게 된 배경을 기록한 간기가 있는 경우도 있으나 간기에 적혀 있는 정보만으로는 인쇄시기를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이 쉽지 않다. 동일한 고서의 판본이 여러 종류 존재할 경우에는 간기 및 고서 판본 간의 이미지를 비교 분석하여 각 판본의 인쇄방법과 인쇄시 기를 합리적으로 추정할 수 있는 근거자료의 확보가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13세기에서 16세기에 금속활자와 목판으로 인쇄된 것으로 추정되는 매우 유사한 남명천화상송증도가(南明泉和尙頌證道 歌) 여섯 가지 판본의 이미지를 비교 분석하여 각 판본의 인쇄방법, 인쇄순서와 인쇄시기를 추정하 였다. 동일한 위치에 인쇄된 동일한 글자의 인쇄면적을 정량화하여 비교하는 방법으로 번각에 따른 자획 굵기와 인쇄면적이 증가되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또한 번각과정에서 글자체의 변형과 여러 글 자에서의 판각 실수도 확인되었다. 여섯 가지 판본 중에서 공인본(空印本)은 1239년 9월 상순에 금속 활자로 인쇄된 것으로 가장 이른 판본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나머지 다섯 가지 판본은 목판으로 번각하여 인쇄된 것으로 인쇄순서는 반야사본(般若寺本), 대구본(大邱本), 삼성본(三省本), 종로도서 관본(鍾路圖書館本), 국립중앙도서관본(國立中央圖書館本)의 순으로 판명되었다.

      • 사립박물관 교육사례 연구 - 고판화박물관을 중심으로 -

        한선학(Han Sunhak) 한국박물관교육학회 2021 박물관교육연구 Vol.- No.26

        사립박물관은 설립자의 수집품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경우가 많다. 사립박물관에서는 소장된 수집품을 해석하며, 다양한 전시, 교육 등 활용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명주사 고판화박물관은 설립자의 동 아시아 고판화 소장품 컬렉션을 중심으로 설립되었다. 박물관 개관 후 동 아시아 고판화의 수집, 보존, 연구, 전시, 교육 등을 진행하고 있으며, 박물관의 다양한 전문 분야로 활동 반경을 점차 넓혀가고 있다. 고판화박물관은 세계에서 주목 받는 고인쇄 박물관으로, 지역사회의 주요한 관광자원으로, 시민들에게는 평생 교육 기관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고판화박물관의 수집품을 해석한 다양한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립박물관의 박물관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Many private museum established from the collections of the founders. Private museums interpret the collections and carry out the exhibitions, educations. Museum of Ancient Asian Woodblock Prints established from the ancient asian woodblock collection. After opening the museum, it collected the ancient asian woodblocks and conducted preservation, research, exhibition and education and the museum has been extended it boundary. Museum of Ancient Asian Woodblock Prints is attractive museum from the world, sightseeing resource from community,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for the civilians. In this paper I researched the museum education of the private museum from the Museum of Ancient Asian Woodblock Prints.

      • KCI등재

        이미지 분석을 통한 금속 활자본과 목판 번각본 특징의 정량화와 네 가지 『南明泉和尙頌證道歌』 판본 간의 비교

        유우식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2022 불교 철학 Vol.11 No.-

        고려시대 및 조선시대 고서의 인쇄 방법의 판별은 인쇄상태와 글자 모 양이 갖는 여러 가지 특징의 관찰을 통하여 주관적인 기준을 바탕으로 금속 활자본, 목판 인쇄본 또는 금속 활자의 목판 번각본(飜刻本) 등으 로 판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777년과 1778년에 금속 활자로 인 쇄되어 같은 해에 지방 감영(監營)에서 목판으로 번각되어 인쇄된 『明 義錄』과 『續明義錄』의 이미지를 비교 분석하여 금속 활자본과 목판 번각본의 특징의 정량화를 시도하였다. 15세기 말에서 16세기 초에 인 쇄된 것으로 추정되는 『眞西山讀書記乙集上大學衍義』 금속활자본과 목판 번각본 이미지의 크기 및 가로와 세로 방향의 비율의 비교를 통 하여 목재의 건조에 따른 수축률과 수축 방향에 의한 영향을 추정하였 다. 금속 활자본과 목판 번각본 이미지의 묵색(墨色)의 차이도 정량화하였다. 이러한 이미지 분석 방법을 통해 매우 유사한 『南明泉和尙頌 證道歌』 네 가지 판본의 인쇄 방법과 인쇄 순서의 추정에 활용하였다. 공인본(空印本)은 1239년 9월 상순에 금속 활자로 인쇄된 것으로 가장 이른 판본이며 나머지 세 가지 판본은 목판으로 번각되어 인쇄된 것으 로 인쇄 순서는 반야사본(般若寺本), 1472년 6월에 인쇄된 대구본(大邱 本), 삼성본(三省本)으로 판명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金屬活字 의 書藝學的 照明

        김영소(Kim, Young-so) 한국서예학회 2006 서예학연구 Vol.9 No.-

        세계 最古의 金屬活字本인 가 청주의 흥덕사지에서 인쇄되었다는 것이 드러나면서 의 서체는 누구의 것이며, 어떤 특징과 미의식이 있는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의 내용은 절에서 스님들이 꼭 알아야 할 “禪修行指針書”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본임이 알려지면서 유네스코가 인정하게 된 것이다. 이에 논자는 의 서체에 대하여 서예학적으로 조명해보고자 한다. 지금까지 의 서체가 원나라의 조맹부 서체라는 주장에 대하여 조맹부 서체와의 비교를 통하여 그 실상을 알아보고, 청주 지역에서 발견된 다른 서적들과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서체의 형성과 특징 그리고 청주 지역에서 전승되어온 토속적인 서체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다음으로 이 지역에서 전해져온 서체에는 어떠한 특징과 미의식이 담겨져 있는가에 대해서 알아보고 그 미의식을 서예학적으로 조명하여 의 서체가 가지고 있는 미적 가치를 알아보고자 한다. It is known that is the oldest metal printed book in the world. It was printed at the Heungduk Temple and I will investigate a characteristic and taste in it. The purpose of is to teach the way of Zen Buddhism and to pass down the tradition of Buddhism to Buddhist pupils. It could have international values with registered in UNESCO. So I will approach it from a calligraphic in perspective. It is generally believed that the letter style of was impacted by that of Cho but I contend that the letter style of does not correspond with that of Cho resulting in the comparison of the style of types. And I made a comparative study of and the remains of a printing type in Cheongju in order to find the indigenous aspects and a type of source which affects the formation of letter style in it And I make clear a characteristic of letter style that has come down to Cheongju and an aesthetic aspects in by calligrapher's eyes.

      • KCI등재

        여말선초 문인들의 개인 문집 간행

        옥영정(Ok, Young Jung) 포은학회 2017 포은학연구 Vol.19 No.-

        이 연구는 여말선초(麗末鮮初)의 시기에 간행된 개인문집 중에서 현존하고 있는 서적을 대상으로 서지학적인 측면에서 다룬 것이다. 국내외에 전해지고 있는 한국고서적에 대한 서지학적인 연구를 기반으로 삼고 그 중에 특히 여말선초에 간행된 문집에 대한 조사와 함께, 해당 서적에 대한 서지적 평가로 판본을 감정하고 간행시기를 확인해본 것이다. 약 21종에 이르는 여말선초의 문집 현존본의 간행은 주관자의 대부분이 혈연관계에 의한 것이 많으며 문집 상호간에도 저작주체간 관련도가 매우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문집의 간행경향과 인쇄문화는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러나 초기문집의 현전본이 매우 드물고 그 계통 수립에 필요한 원자료 접근이 매우 제한 되기 때문에 그 구체적 정황을 정리하고 체계적으로 제시하기가 쉽지 않지 만 제한된 여건 속에서 조금씩 진전된 학술적 논의를 위해서라도 새로운 간본을 발굴하고 유형화된 흐름을 확인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초간(初刊) 문집의 기본적인 문제(범주 설정, 간행시점 고증) 에 관한 기초자료의 확보라는 측면에서 1차적 접근을 위한 현존본과 서지적 사항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해서 여말 선초에 간행된 문집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과 함께 간행시기를 확인할 수 있는 내용을 확인해서 그 근거를 마련하였다. 특히 현존본으로 남아 있는 초기 문집의 전승 상황은 연구 기초자료의 확보라는 측면에서 의미를 지닐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bibliographic aspects of existing books among the personal collections published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Chosun period of the 14th century. Based on a bibliographic study of Korean books and books published in and out of the country, especially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Chosun period, a bibliographic evaluation of the book was conducted to check the edition and check the publication period.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Chosun period, about 21 kinds of publications of the present Bible were found to be mostly related by blood relations, and there was a very high correlation between authors. Also, the publishing trends of literature and printing culture are closely related. However, it is not easy to summarize the specific context and present it systematically because it is very rare and the access to the original data necessary for establishing the system is very limited. However, for the academic discussion which progresses gradually in limited circumstances, and to confirm the flow that was typed.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existing bibliographic and bibliographic items for the primary approach in terms of securing the basic data on the basic problems (category setting, publishing point confirmation) of the first periodicals. In order to do this, a brief description of the literary works published in the Goryeo shrine was made, and the contents confirming the period of publication were confirmed and grounds were established. Especially, the status of the early literary works remaining in the existing bibliography can be meaningful in terms of securing the basic data of research.

      • KCI등재
      • KCI등재

        밀양의 전적 인쇄 문화 연구

        임기영 한국서지학회 2018 서지학연구 Vol.76 No.-

        이 연구는 경상도 지역의 郡 단위 출판문화 활동을 파악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그 중 載藥山 表忠寺와 우리나라 3대 樓閣의 하나인 嶺南樓, 四溟大師와 佔畢齋의 고장으로 잘 알려진 밀양 지역의 인쇄 문화에 대하여 다루었다. 밀양에서는 일찍부터 불교가 융성하였고, 조선조 유교와 예학이 함께 발달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밀양 지역의 萬魚寺와 表忠寺를 중심으로 한 사찰 출판은 조선 초기부터 19세기 말까지 꾸준한 빈도로 지속되었다. 또한 관청의 출판 활동도 15세기 密陽府를 중심으로 儒家書와 四書類를 간행하는 등 17세기까지 이어졌다. 이후 조선 후기에는 官에 대한 서적 수요가 私家로 옮겨가면서 사가 출판과 더불어 서원과 재사, 향교, 누정 등 다양한 장소의 출판 활동이 왕성하게 이루어졌다. 더불어 밀양 지역 판본의 간행 방식에서는 목판을 통한 판각 활동이 지역 간행서 113종 가운데 93종(82.3%)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하지만 19세기 이후에는 목활자를 통한 인쇄도 20종(17.7%)에 달해 私家에서는 경제적인 비용과 작업 효율성이 뛰어난 목활자 인쇄도 선호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ublishing culture activities at Milyang area in the Gyeongsang region. Among them, we covered the printing culture of the Milyang region, which is well known as the home of the Pyochung Temple, one of our three traditional cultures Yeungnamroo and Samyungdaesa so on. Buddhism flourished early in Milyang, and Confucianism and classical science developed together in the Joseon Dynasty. As a result of the study, temples began to be published early on in Milyang, with temples focusing on the temple. From the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to the end of the 19th century, publishing activities continued in this area. Also, the publishing activities of government offices continued until the 17th century with the publication of Confucian books and materials centered around the 15th century. Lat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private publishing activities flourished as the demand for books in government offices moved to private houses. There were also many publishing activities in various places, such as Seowon, Jaesa, Hyanggyo, and Nujeong. Of the 113 books published in Milyang, 93 (82.3 %) were woodblock-printed. However, after the 19th century, 20 species (17.7%) of wooden type were published. This showed that private publishing preferred moer cheaper and efficient wooden type prin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