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도전의 포은 시 비평과 그 의미- 「포은봉사고서(圃隱奉使藁序)」를 중심으로 -

        정재철 포은학회 2019 포은학연구 Vol.23 No.-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 1337∼1392)는 당대 학자들에 의해 동방이학의 조종으로 추숭을 받은 학자이다. 당시 그의 학문과 문학을 가장 잘 이해한 사람으로 삼봉(三峯) 정도전(鄭道傳, 1342~1398)이 있다. 그는 포은이 50세인 1386년(우왕 12)에 명나라에 봉사하면서 지은 시를 모아 엮은 책에 쓴 서문에서 포은의 시는 그의 학문이 진보하면서 다음과 같이 다섯 차례 변모하였다고 말하였다. 첫째, 포은이 젊은 시기에 지은 시는 지기(志氣)가 한창 날카로워 직시하여 맞설 자가 없었으므로, 굉사(宏肆)하여 방달(放達)하였으나 실천이 오래되면서 수렴이 더해졌다. 그 예로 그는 출사하기 한 해 전에 지은 「신축시월(辛丑十月), 정전국화탄(庭前菊花嘆).」에서 과거에 오른 이듬해에 10월이 되어서야 만개한 국화꽃을 바라보면서 발동한 날카로운 지기를 문학적 수사 없이 곧바로 펼쳤다. 둘째, 포은이 13년간 왕을 시종할 때에 지은 시는 의론을 헌납하고 왕의 교화를 윤색하였으므로 전아하여 모범이 될 만하였다. 그 예로 포은은 27세에 한방신의 종사관으로 정주(定州)에서 중양절을 맞아 지은 시에서 배원 정책을 펼친 공민왕을 도와 성인의 교화를 완성하겠다는 경세의지를 형상화하였다. 이어 그는 31세에 고향인 영천에서 중양절에 영주부사 이용이 창건한 명원루에 올라 지은 시에서 권문세족의 토지침탈을 막고 민풍을 진작시켜 치국평천하를 구현하겠다는 경세의지를 형상화하였다. 셋째, 포은이 39세부터 이듬해까지 언양에 유배 갔을 때에 지은 시는 우환을 당하였으나 의리와 천명에 안주하였으므로 화이(和易)·평담(平淡)하여 크게 원망하거나 심하게 탓하지 않았다. 그 예로 그는 40세에 해배되어 언양을 떠나 의성군의 관사에 머물면서 지은 시에서 봄을 맞아 만물이 생명을 다시 회복하는 모습을 바라보면서 의명의 분수에 안주하게 된 심경을 화이·평담한 언어로 형상화하였다. 넷째, 포은이 41세부터 이듬해까지 일본에 봉사할 때에 지은 시는 안색을 바로 하고 외교문서를 지어 국가의 아름다움을 선양하였으므로 명백(明白)·정대(正大)하여 급박하거나 좌절하는 기운이 없었다. 그 예로 그는 「홍무정사(洪武丁巳), 봉사일본작(奉使日本作)」에서 『춘추』의 의리사상에 입각해 오랑캐의 풍속에서 벗어나지 못한 일본을 교화시켜 천하 사방을 안정시키고자 하는 경세의지를 형상화하였다. 다섯째, 포은이 모두 세 차례에 걸쳐 명나라에 봉사할 때에 지은 시는 본 것이 더욱 넓고 나아간 것이 더욱 깊어졌으므로 펼친 것이 더욱 높고 멀었다. 그 예로 그는 37세에 김구용과 함께 다경루에 올라 지은 시에서 평생 동안 도를 실천하는 과정에서 얻은 호연지기를 세상에 구현하겠다는 경세의지를 형상화하였다. 이어 그는 50세에 남경에 도착해 빈관에 머물며 황제의 면대를 기다릴 때 지은 시에서 막중한 책임감과 고원(高遠)한 정신경계를 형상화하였다. 위와 같이 모두 다섯 차례에 걸쳐 변모한 포은의 시는 그가 익히 성인의 도를 실천하는 과정에서 나온 것으로, 정도전은 이들 시를 당대 성리학을 익히고 실천한 신진사대부들이 지향했던 재도문학의 전범으로 인식하였다. 이 논문은 포은의 학문이 당대 학자들에 의해 동방이학의 조종으로 추숭을 받은 것 못지않게, 그의 시 또한 당대 문인들에 의해 재도문학의 전범으로 인식되어졌다는 사실을 규명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Poeun(圃隱), Jeong Mong-ju(鄭夢周, 1337∽1392) was considered to be the founder of Eastern Neo-Confucianism by the contemporary scholars. Sam-bong(三峯) Jeong Do-jeon(鄭道傳1342∽1398) was one of the most prominent scholars who best understood Poeun’s literature and studies. At the preface of Poeun’s poetry anthology published with the poems composed during his service in Ming at the age of 50 in 1386(禑王 12), Sambong mentioned Poeun’s artworks changed five times according to his academic advancement as follows. 1. Poeun’s poems well represented his fluent mastery of writing as a very brilliant and sharp young man so that nobody dared to confront him, but his poems got more merged as a result of constant practice. For instance, in the poem titled “I Lamented Chrysanthemums in the Garden in October” written a year before he started serving the government, he directly unfolded his acute spiritual feelings without literary rhetorics, while appreciating belated blooming chrysanthemums in October, one year after his passing the Gwageo(科擧) 2. His poems were the epitome of refined grace as they had been composed for 13 years when Poeun proposed the national agenda and embellished king’s instructions as a government official. In one of the exemplary poems Poeun wrote at the age 27 when he went to Jeongzu(定州) with Han Bang-sin(韓方信) as Han’s Jonsagwan(從事官) on Double Yang Day, he expressed his will to complete the rehabilitation of the holy men and to make a successful and ideal country by aiding King Gongmin who has been taking policies against Won. In another poem he wrote on Double Yang Day at the age of 31 at Myeongwonu(明遠樓) built by Youngju(榮州) governor Lee Yong(李容), in his home town Youngcheon(永川), he also embodied his will to make prosperous and peaceful country through enlightening folks with mores and preventing the influential aristocrats from plundering lands. 3. His poems written when he was exiled to Eonyang(彦陽) at the age of 39 to 40, even tough he encountered misfortunes, didn’t blame or resent anybody but showed tranquility of accepting his fate as providence. For example, in the poem written at the official residence in Uiseong(義城), after his release from exile at the age 40, he embodied his feelings settled for knowing his place of order with peaceful and calm words, watching all living things come to life in spring. 4. His poems composed at the age of 41 to 42, when he visited Japan as a delegate of Goryeo(高麗), were just and clear without any haste or frustration as he created diplomatic documents and enhanced national glory. As an example, in the poem “ I Wrote This Poem When I Served in Japan in Jeongsa(丁巳),” he embodied the governing will to stabilize the world by enlightening the Japanese which has not been free from primitive culture based on the thought of righteousness in Chunchu(春秋). 5. His poems created when he served in Ming three times were deep and profound, because of his enlarged experiences and knowledge. As an example, in the poem written when he went up Dagyeonu(多景樓) with Kim Gu-yong(金九容) at the age of 37, he embodied his will to realize his great spirit which he had acquired through life-long discipline of morality. In another poem composed at the age of 50 while he was waiting for meeting the emperor at the guesthouse in Nanjing(南京), he embodied his heavy responsibility and lofty spiritual world. As the above, Jeong Do-jeon recognized Poeun’s poetry as a model of Literature of Do, moral philosophy that was pursued by nobility and gentry class people who habituated and practiced Neo-Confucianism. This study would be meaningful in view of the fact that it has proved Poeun’s poetry was perceived as the epitome of ‘Enlightenment Literature’ by the contemporary literary scholars as well as he was considered to be the forefather of the Eastern Neo-Confucianism.

      • KCI등재

        포은 정몽주의 <단심가> 연구

        홍순석(Hong Soon Seok) 포은학회 2014 포은학연구 Vol.13 No.-

        포은의 <단심가>는 고려말기의 대표적인 시조작품이다. 한글로 표기된 작품이 ≪청구영언≫을 비롯한 30여종의 가집에 수록되어 있다. 한역시도 여러 악부시집에 수록되어 있으며 12종에 이른다. 그럼에도 일부 연구자는 포은이 <단심가>의 작자임을 부정하는 견해를 발표한 바 있다. <단심가>를 포은의 작품으로 인정하기 어려운 전제로 제기된 사항은 시조 발생시기, 역사서의 관련 기록 부재, <단심가>의 배경과 한역시가 임진왜란 이후에야 발견된다는 사실 등이다. 이들은 17세기 이후에 포은의 순절이 정치 담론화되는 과정에서 누군가에 의해 부회되었다고 설명한다. 이같은 전제가 시조의 발생 시기도 고려말엽으로 추정하는 것은 무리라고 주장하는 데까지 확대되었다. 이같은 주장은 포은의 시조가 <단심가>로 정착되기 이전 시기에는 <백사가(百死歌)>, <백사정충가(百死精忠歌)>, <포은가(圃隱歌)>로 지칭 되어 구전되었음을 간과한 심각한 오류이다. <단심가>가 임진왜란 이전에도 구전되었음은 여러 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다. <단심가>는 사림들 사이에서 <백사가>로 구전되어지다가 중종조 이후에 표출된 것으로 추정된다. 포은의 순절처인 선죽교를 탐방한 문인들은 강개하며 <단심가>를 가창하거나, 한시에 감회를 담았다. 심광세의 ≪해동악부≫에 <단심가>의 배경과 한역시가 수록되면서 본격적으로 전파되었다. <단심가>는 효종, 숙종, 영조 등 임금과 사대부, 교방의 기녀들까지도 즐겨 불렀다. 포은의 시조 작품이 <백사가>로 구전되었음은 포은의 '순절(殉節)'을 보다 강하게 인식한 때문일 것이다. 반면, 조선 후기에 이르러 <단심가>로 불린 것은 '정충(精忠)'을 더욱 부각하기 위한 것으로 생각된다. 숙종이 <영정포은단심가>라 시제(詩題)한 것도 군주의 입장에서 포은의 순절보다는 단심을 부각하려는 당연한 발상이라 하겠다. 이같은 계기로 인하여 포은의 시조가 <단심가>라는 제목으로 정착한 것이다. <단심가>에 담겨진 포은의 진실은 '절의(節義)'이다. 포은의 <단심가>가 오랫동안 구전되고 가창되면서도 거의 변하지 않았던 동인도 바로 이런 진실에 있다. Poeun's "Danshimga"(丹心歌) is a typical three-verse Korean poem. Its Hangeul versions are included in about 30 kinds of anthologies, such as CheongGuYongEon(靑丘永言). Its twelve Chinese versions are also contained in many different collections of poems. Despite these evidences, some scholars have denied that Poeun is the author of "Danshimga". What those critics provide as the evidence of their opinion against Pouen the time of the publication of the poem, the lack of the relevant records in historical materials, and the fact that the Chinese version of "Danshimga" were found only after Japanese Invaison of Korea in 1592. They argue that the assertion of Poeun's authorship of "Danshimga" is a kind of political distortion in order to emphasize and glorify his death in defense of his loyalty to Koryo Dynasty. Those critics went as far as to oppose the existing theory that the origin of Shizo (Korean traditional three-verse poem) dates back to the end of Koryo Dynasty. Their opinions are, however, critical mistakes, for they overlook the fact that Poeun's poem had been passed down orally in the names of "Paeksaga"(百死歌) "Poeunga" (圃隱歌)> before it began to be called "Danshimga". It is evident in many different sources that "Danshimga" was passed orally even befor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t is presumed that "Danshimga" had got the present title in the era of King Joongfon, before which the poem was passed in the name of "Paeksaga". When visiting SunJugkyo Bridge where Poeun was killed, the later generations of poets, with emotion, sang Korean version of "Danshimga" or created their own Chinese poems. It was when the Chinese version of "Danshimga" and its background were introduced in Shim Kwangse's HaedongAkbu ≪海東樂府≫ that the poem became known and popular. Since then "Danshimga" was a favorite song among Kings like Hyojong, Sukgong and Yongjo as well as scholars and official gisaengs. Poeun's "Danshimga" was passed orally in the name of "Paeksaga" for a long time because later generations of the early Joseon Dynasty were deeply impressed by his death as a martyr. In the late Josen Dynasty, however, the poem was called "Danshimga" because the spirit of loyalty was more emphasized and honored than anything else in that period. The King Sukjong named the poem "Jeong Poeun Danshimga"(詠鄭圃隱丹心歌) with the purpose of highlighting the virtue of loyalty to the king. Poeun's sincerity reflected in "Danshimga" is faithfulness. His faithfulness is one of the main factors that his poem has been passed orally with no major changes or modifications.

      • KCI등재

        포은 정몽주의 사행시에 나타난 문명의식

        박양호(Park, Yang-Ho) 포은학회 2021 포은학연구 Vol.27 No.-

        포은 정몽주는 역사적으로 대전환기였던 고려 말 수차례 명(明)과 일본을 다녀왔다. 뛰어난 외교가였을 뿐만 아니라 성리학자이자 시인이기도 했던 포은은 사행 중에 많은 시를 남겼다. 본고는 사행시를 중심으로 포은의 천하 인식과 문명에 대한 인식 양상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포은은 공민왕이 반원 개혁정책으로 왕권 강화를 도모하던 시기에 관료 생활을 시작하였다. 공민왕의 친명 정책과 명 사행의 영향으로 포은은 친명 입장을 분명히 했다. 절반만 입경(入京)하였지만 6차례나 명 사행에 나서, 중원을 지배한 명나라의 강한 정세와 우수한 문물을 직접 경험했기 때문이다. 게다가 명은 한족이 세운 나라이므로 성리학적 사고에 비추어 볼 때 정통성도 갖추었다. 포은에게 명은 「원의 사신을 맞아들이지 말기를 청하는 소」에 표현한 것처럼 천하의 의주(義主)로 대접할 만한 대상이었다. 성리학에 기반한 명분론적 화이관과 경험을 바탕으로 형성된 형세·문화적 화이관에 따라, 포은은 명나라를 천하의 중심이자 문명 질서의 중심으로 인식하였다. 이는 사행 중에 지은 시에 잘 나타나는데, 명 사행시와 일본 사행시에 나타난 포은의 태도와 표현에는 사뭇 차이가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포은의 문명의식을 둘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먼저 명 사행시를 살펴, 포은이 명을 중화 문명으로 인식하고 이를 따르려 하였음을 확인하였다. 포은은 명 방문과 황제와의 만남에 감격했고, 명의 화려하고 웅장한 모습에 감탄하였다. 또 명이 천하를 통일하였으니 태평한 시절이 오리라 희망하며, 중화와 이적이 한집안이 되었음을 여러 시에서 강조하였다. 명 중심의 문명 질서를 인식하고, 고려도 같은 질서를 따르고 있으니 중화와 다를 것이 없다는 문화적 동질감과 자부심을 표현한 것이다. 다음으로 일본 사행시 「홍무 정사년에 사명을 받들고 일본에 가서 지은 시」를 살펴, 오랑캐의 풍속이 남아 있는 일본에 대한 포은의 이질감과 우월감을 확인하였다. 일본에 머무르며 고향에 돌아가지 못하고 있는 자신의 처지, 향수(鄕愁), 낯선 풍속에 대한 이질감이 시 전체에 걸쳐 강하게 드러나 있었다. 포은은 중화 문명을 따르는 것에 자부심을 가지고 있었기에, 이민족의 문화에는 거리감을 느끼고 고향을 더욱 그리워하는 모습을 보인 것이다. Po-Eun, one of the newly emerging confucian bureaucrats in the late period of the Koryo dynasty, was highly knowledgeable in Neo-Confucianism, and had a deep consciousness of civilization. He also participated in the realpolitik actively by awakening the people, and expressed his deeds and emotions in his Chinese poems. The late period of Koryo in which Po-Eun took the office was unstable in domestic politics, and China was also unstable due to the transition period from the Yuan to the Ming dynasty. Po-Eun started to take office as ho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in 1360 (the 9th year of King Gong Min rule). King Gong Min tried to reform politics with the idea of Ming-friendly policies, which Po-Eun supported. After King Gong Min was assassinated, he was banished because he made an appeal against influential families such as Lee In-Im trying to reopen the relationship with Yuan dynasty. Even though Po-Eun was a literati, he serviced in a war four times and traveled to China and Japan in disguise seven times. As a confucian scholar, Po-Eun had a Sino-center view, centering on Chinese culture built by Han people. He considered Ming dynasty Sino-center, praised advanced culture of Ming, and included his praise for Ming emperor, palace, and capital city in his poems he left when he traveled to China in disguise. However, this attitude was different from blind worship to the power in that he praised Ming dynasty only after he experienced extremely strong power and civilization of the Ming. Because of this, world view of Po-Eun is seen as situational and cultural Sino-centralism. Po-Eun, who had the consciousness of distinguishing Chinese people from barbarians based on culture, wrote many poems which emphasized that Koryo was not different from China in that Koryo people recognized and followed truth and virtue. On the other hand, his poems he wrote when he traveled to Japan revealed his sense of difference toward Japanese culture. In these poems, he expressed his longing for hometown and his sense of superiority of Koryo culture, which shows his sense of civilization.

      • KCI등재

        圃隱 鄭夢周의 節義와 文學的 形象化

        金榮洙(Kim Young-Soo) 포은학회 2007 포은학연구 Vol.1 No.1

          「高麗史」 열전에 포은의 시문을 ‘豪放峻潔’하다고 평했다. ‘豪放峻潔’ 은 “意氣가 壯하여 작은 일에 구애받지 않으며, 엄하고 결백함”을 의미한다. 그런데 현전하는 포은의 漢詩 가운데는 호방한 풍격을 현저히 드러내는 시는 그리 많지 않다. 오히려 호방의 이면에 고향이나 가족, 그리고 고국을 그리워하거나, 인생의 의미나 신하로서의 책무를 수행하면서 느끼는 진솔한 감정을 읊은 시가 많은 듯하다. 이는 아마도 생전의 그의 모습과 피살당한 후의 시문 수습의 어려움, 그리고 충신으로 현양되면서 그에 대한 사후의 호평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본다.<BR>  포은의 삶은 신하의 직분에 충실했다. 개인과 나라의 운명을 함께 한 포은은 「논어」에 나타난 正名思想에 철저했던 인물이다. 정명사상은 언행이 일치하는 군자의 삶에 대해 언급한 것으로, 이른바 名實相須한 삶을 추구한다. 포은의 위대한 점은 배운 바를 실천에 옮긴 점이다. 實踐躬行의 자세를 견지하고 온 몸을 던져 기울어가는 고려사직을 회복하기 위한 곳에 포은이 있었던 것이다. 포은은 학문과 인격, 경륜에서 불세출의 人豪였지만, 병권을 장악하지 못했기에 혁명파에게 제거당하는 한계를 보였다.<BR>  필자는 포은의 시를 1)豪放詩, 2)使行詩, 3)述懷詩로 나누어 살폈다. ‘호방’이라는 평어는 포은시의 대명사로 많은 학자들이 지적한 용어이다. 기회주의적인 소인배들을 온 몸으로 배격한 포은에게 이같은 평가는 적절하다. 그러나, 그의 호방시에는 겉으로 드러난 호기 외에 이면에 자리한 우수도 감지되고 있다. 이는 아마도 혼란기에 명철보신에 급급한 주변 인물들에 대한 경멸이자, 자기연민이라고 볼 수 있다.<BR>  使行詩는 중국과 일본에 사행하면서 지은 시다. 포은은 명나라에 6차례, 일본에 한 차례 使行을 다녀왔는데, 그때마다 모두 꺼리는 사행이었지만 소임을 완수하고 돌아온 공이 지대하다. 사행시는 포은의 역할과 경륜으로 볼 때 중요한 의미가 있다. 원, 명, 왜에 대한 사행은 그들을 압도하고 제압할만한 호기와 경륜, 그리고 문장을 지닌 인물이 아니면 불가능했다. 포은은 외교에 능했고, 문장도 탁월했으며, 논리정연한 언변으로 많은 성과를 거두었다. 포은의 사행시는 겉으로는 긍지와 報國의 의미가 강하지만, 이면에는 가족이나 고향에 대한 향수를 노래한 것도 감지된다.<BR>  述懷詩는 포은의 현실지향적인 입장에서 보면 호방시에 대비된다. 학문과 경륜, 그리고 외교적 능력까지 갖춘 그였지만, 그는 이른바, 黨與를 두지 않는 원칙주의자였다. 임금을 받들어 은택을 백성들에게 입히는 신하로서의 임무와 역할에 충실할 뿐, 그 자신이 권력의 중심을 지향하는 성격이 아니었다. 술회시는 자수성가형 인물인 포은의 완벽주의와 고고함이 일정 부분 세속과 거리를 두고 인생의 고독과 자기변명을 술회하는 시이다.<BR>  〈단심가〉는 포은의 절의를 형상화한 절창이다. 시조는 두 가지 큰 특징이 있는데, 첫째, 應口輒對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酒宴에서 기생들이읊은 시조는 대부분 응구첩대한 것들로서 재치와 처신이 돋보이는 작품들이 많다. 둘째, 발생기의 시조는 정치적인 견해를 드러내는 속성이 매우 강했다는 점이다. 말하자면 이념전달이 강한 장르가 바로 시조였다. 필자는 이런 점에서 〈단심가〉와 〈하여가〉 두 노래의 작자는 포은과 태종이 맞다고 본다. 다만, 현전하는 것처럼 세련되게 다듬어진 형태가 아니라, 투박하고 직설적 형태였던 것이 세인(기녀)의 입을 거치면서 다듬어진 것으로 봄이 옳다고 본다.   In a series of biographies of ‘Koryosa’(「高麗史」 列傳) we can find that the evaluation of Po"eun(圃隱)"s poem and prose are ‘豪放峻潔’. On the contrary it seems that there are more poems which include the contents of missing his home-town, family and country or feeling of the significance of life and honest emotion as a subject doing his duty to country than large-minded poems.<BR>  A great achievement of Po"eun(圃隱) is that he practiced what he had learned.<BR>  Po"eun(圃隱) he was a matchless and large-minded talent in studies, personality and statecraft field, but as he couldn"t take over the reins of military power, finally he couldn"t help setting limits of being eliminated by evolutionary party. I grouped his poems into 3 classes-豪放詩, 使行詩, 述懷詩 - and studied those poems. But in his 豪放詩 we can also find not only outward stout heart but also inward sorrow. The Po"eun"s 使行詩 outwardly have strong meaning of pride and patriotism, but inwardly also have the nostalgia for family and home-town. 述懷詩 are poems that Po"eun who had nothing but succeeded in life reminisced the loneliness of life and self-excuse as he was too noble and pursued perfectness. <Danshimga:丹心歌> is an excellent piece of his poems of figuring his integrity. Shijo(時調) has two big special feature, first 應口 輒對 is possible. Second in the period of starting to write Shijo, it has a strong feature of expressing political opinion. In this point of view I regard the writers of <Danshimga:丹心歌> and <Hayeoga:何如歌> as Po"eun (圃隱) and Taejong(太宗). And its original form was not as polished as today"s, but a clumsy and plain form. Finally through official kisaengs(妓 生) those two shijo have been more and more polished.

      • KCI등재

        개성의 포은선생 유적

        홍순석 포은학회 2019 포은학연구 Vol.24 No.-

        본고는 개성의 포은 정몽주 사적에 대한 쟁점과 실태를 다룬 것이다. 2013년도 세계유산에 등재된 ‘개성역사유적지구’에 포은 정몽주와 직접 관련된 성균관·숭양서원·선죽교·표충비가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은 특별한 의미가 있다. 조선 태종의 즉위와 함께 포은을 역신에서 충신으로 재평가한 시각은 세종대로 이어졌다. 포은은 길재와 함께 고려왕조에서 절의를 지킨 인물로 재평가 되고, 『고려사』 「열전」에 수록되었다. 『삼강행실도』 「충신」편에 도형과 찬(贊)을 수록하였다. 『포은집』 초간본이 간행된 시기도 세종 때이다. <용비어천가>에는 「포은선생사략」을 상세하게 부록하였다. 조선 시대에 기록된 포은의 사적은 전적으로 세종대의 기록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세종대 이전의 기록은 야사로 취급되거나 위작으로 간주하고 있는 실정이다. 포은을 숭배화하기 위하여 조선후기의 문인들이 <단심가>와 선죽교를 위작하였다고 주장하는 일부 연구자들의 단서가 바로 세종대의 기록들이다. 세종대의 포은에 대한 기록은 조선건국의 정당성을 공고히 하려는 역사관에서 재구성되었을 것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특히 태종~세종대에 편찬된 실록과 <용비어천가> 기사는 태종 이방원을 중심으로 재구성하면서 맥락이 바뀐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세종대의 문헌기록만으로 포은의 사적에 대해 이론을 제기하는 것은 무리이다. 조선시대의 많은 문인들이 개성의 표충비·숭양서원·선죽교를 탐방하며 시문을 지어 포은의 충절을 기렸다. 19세기에 이르러서는 우국충정을 담아내는 매체로 선죽교를 부각하였다. 개성의 포은 유적으로 성균관, 선죽교, 표충비, 숭양서원이 있다. 성균관은 포은 학문의 산실이다. 포은 성균관에 입사한 이후 성균관 박사에서 대사성까지 오른 인물이다. 포은의 주요 활동은 거의 모두 성균관에서 이루어졌다. 선죽교는 개성시 선죽동 자남산 동쪽에 있다. 포은이 순절한 곳으로 포은과 개성의 상징으로 인식된다. 선죽교 주변에는 여러 기의 석비가 있다. 표충비각은 영조와 고종의 어제어필 선죽교시비를 보관하고 있는 곳이다. 최근 영조 당시에 작성된 원본에 준하는 귀중한 자료로 평가되는 자료가 발견되어 주목되었다. 숭양서원은 포은의 옛 집터에 건립된 서원이다. 개성에서 가장 오래된 건축물이다. 개성의 포은 유적은 현재에도 우리나라 유학(儒學)의 요람, 충절의 표상으로 인식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issues and the realities of Poeun(圃隱) Jeong mongju(鄭夢周)’s historic sites. The fact that the 2013 World Heritage-listed ‘The Historic Monuments and Sites in Kaesong’ includes Seonggyungwan(成均館), SungYang Seowon(崧陽書院), Seonjuggyo(善竹橋), and Pyochungbi(表忠碑) It has a special meaning. The re-evaluation of Poeun as loyalist in Inversion with Taejojong’s succession led to Sejong period. Poeun is being re-evaluated in the Goryeo dynasty with Gil Jae(吉再) to figures kept a fidelity clause. It was included in Koryosa(高麗史)’s Yeoljeon(列傳). and In the Samganghaengsildo(三綱行實圖), figures and Hymn were recorded. The first edition of Po-eunjib(圃隱集)'s first edition was also published in Sejong period. In Yongbieocheonga(龍飛御天歌), Poeunseonsaengsalyag(圃隱先生史略) was added in detail. Poeun’s historical history recorded in the Joseon Dynasty is based entirely on the records of Sejong period. Records before the Sejong period were treated as unofficial history or considered false. The clue that some researchers falsified Dansimga(丹心歌)> and Seonjuggyo to deify Poeun is the record of Sejong period. The record of Poeun in the Sejong period was reconstructed in the historical view to consolidate the legitimacy of the founding of the Joseon Dynasty. In particular, the Annals of the Taejong~Sejong period and the article Yongbieocheonga(龍飛御天歌)> show that the context has changed while reconstructing around Taejong. Therefore, it is unreasonable to argue against Poeun’s historic sites only with the records of King Sejong period. Many scholars of the Joseon Dynasty praised Poeun’s integrity while traveling to Kaesong, Seongyangseowon and Seonjuggyo. In particular, he was interested in the bloodstains of Seonjuggyo and Eubbi(泣碑). In the 19C, Seonjuggyo was highlighted as a medium containing the alliance. Poeun has been teaching and researching academics since joining Sungkyunkwan, and has become an ambassador of government. Most of Poeun’s main activities were in Sungkyunkwan. Seonjuggyo is the place where Poeun was killed and is recognized as a symbol of Poeun and Kaesong. There are several monuments around Seonjukyo. Pyochungbigak is the place where King Yeongjo’s and King Gojong’s application of Seonjukyo is kept. Recently, it was found that the data were regarded as valuable data corresponding to the original written at the time of creation. Sungyang Seowon is an auditorium built in the old house of Poeun. It is the oldest structure in Kaesong. Poeun’s remains in Kaesong are still noted as the cradle of Korean Confucianism. and recognized as a symbol of integrity.

      • KCI등재

        활자본 역사소설 <선죽교> 연구

        서은선 포은학회 2022 포은학연구 Vol.30 No.-

        In the early 1900s, many historic biographies were created that dealt with enlightening topics to inspire patriotism in the people against the backdrop of Japan’s invasion. Since the second half of the 1900s, however, few historical biographies with enlightening nature were published due to the stronger control over the press and publications by the ruling Japanese. In this situation, the manuscript and Banggak versions of old novels considered to tell a romantic story were republished in the printed version, which soon faced recession. Historic heroic novels, however, recorded a high percentage of publications despite the slump in the industry. It was against this backdrop of the times when the printed version of the old novel Seonjukgyo was published.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eonjukgyo developed its narratives around the life stories of Poeun; secondly, the novel added tale and novel elements to some of its parts under the basic framework of historical records, thus stimulating concern and interest in general readers in those days; and finally, the novel highlighted Poeun’s loyalty, thus promoting people’s patriotism and love for the n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in the 1930s. 1930년에 간행된 <선죽교>는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 1337~1392)의 일대기를 다룬 활자본 역사소설이다. 1900년대 초반 일제 침략이라는 시대적 배경 속에서 애국심을 고취시키기 위한 계몽적 주제를 다루는 역사전기물이 다수 창작되었지만, 1900년대 후반부터 일제가 언론․출판물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면서 계몽적 성격을 지닌 역사전기물 발간이 거의 이루어지지 못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낭만적 이야기로 평가되었던 필사본․방각본 고소설이 활자본으로 재간행되지만 활자본도 곧 침체기를 겪는다. 그러나 역사영웅소설 간행은 출판이 침체되는 상황에서도 높은 비중을 보이는데, 활자본 역사소설 <선죽교>도 이같은 시대적 배경 속에서 간행되었다. 따라서 <선죽교>의 창작 배경에는 1930년대 일제강점기라는 상황에서 포은의 충절을 부각함으로써 애국‧애족정신을 고양하고 민족적 자긍심을 일깨우기 위한 의식이 내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선죽교>는 포은선생집 , 고려사 의 포은 관련 기록을 대부분 수용하면서 포은의 탄생부터 순절, 사후 이적(異蹟)까지 포은의 일대기를 중심으로 순차적으로 서사가 진행된다. 그리고 전승되어 오던 포은 설화, 포은과 관련 없는 일반 설화, 작가의 창작 서사 등을 포은의 실제 행적과 결합해 포은의 일대기로 소설화하였다. <선죽교>의 서술자는 포은의 뛰어난 능력과 충절을 드러내는 한편, 자극적인 소재도 활용함으로써 상업성을 추구하고 당시 일반 독자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였다. 또한 <선죽교>에서 부각되는 포은의 형상은 영웅적 기상을 지닌 충신의 면모이다. 영웅적 기상을 타고 태어난 포은은 성장기에는 효자로, 출사 이후에는 충신으로 이름을 드높인다. 나라가 위기에 처할 때마다 자신의 몸을 돌보지 않고 위기를 극복하는 포은의 일대기는 독자들에게 감동을 주고, 소설적 재미를 배가하는 요소로 작용하며, 고려에 대한 의리를 지키며 장렬한 죽음을 맞이하는 포은의 마지막 모습과 포은 사후에도 계속되는 포은 관련 이적은 소설 <선죽교>에 깊은 여운을 남긴다.

      • KCI등재

        포은 한시를 통해 본 포은의 불교 인식

        변종현(Byun, Jong-hyun) 포은학회 2014 포은학연구 Vol.14 No.-

        포은 정몽주에 대한 기존 연구에서 포은은 교조적인 유학자들과는 달리 불교에 대해 호의적이었으며, 불교에 대한 이해 역시 깊다고 보았고, 불교와의 교섭·조화 등의 인식을 가지고 있어서 호불(好佛), 지불(知佛), 친불적(親佛的)인 인물로 거론되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연구에 의문점을 가지고 포은이 남겨 놓은 시 작품 가운데 친불교적이라는 시들과 비판적인 견해를 드러낸 시들을 다시 한 번 살펴 보았다. 포은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조선 초기 태종대에 이르러 권근의 상소에서 변화가 시작되어, 포은을 송의 문천상에 비유하여 절의(節義)지사로 추증하게 되었다. 조선 초기 포은에 대한 인식은 난신과 충신의 인식이 공존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완결이 고려사의 제신전(諸臣傳) 입전이라는 것이다. 즉, 특히 반역전도 충신전도 아닌 제신전(諸臣傳)의 입전은 이러한 이중적 구도가 반영된 결과물로 볼 수가 있겠다. 포은은 중국과 일본에 사행을 다니면서 명나라의 선진 문물을 접하면서 중국 중심의 천하를 마음에 두면서 일찍부터 중국의 한족(漢族)이 이룩한 문물을 고려가 받아들여 중국과 문화적으로 동질감을 가지고 살아가고 있다는 자부심을 표현하기도 하였다. 포은은 이처럼 친명(親明)외교를 통하여 고려가 문화적으로 정치적으로 안정감을 이룩할 수 있다는 인식이 강하였던 것 같고, 이러한 인식의 바탕에는 성리학의 화이론적(華夷論的) 세계관도 기반으로 작용하였다. 고려말 포은의 이러한 친명외교 전략은 조선이 건국된 뒤에도 지속적으로 계승되어 한족이 이룩한 중화(中華)중심의 문화와 제도를 지속적으로 받아들여, 조선 후기 우리 선조들은 소중화(小中華) 의식을 가지고 살아가게 되었다. 이렇게 보면 포은은 우리나라의 성리학의 터전을 닦았을 뿐만 아니라 소중화 의식을 갖게 만든 원천적 정신적 토대를 만든 인물이라 여겨진다. 『고려사』정몽주전에 나타난 포은의 주요한 업적은, 불교를 숭상하던 고려 사회를 유학을 중시하는 사회로 변모시키려 했던 것을 알 수 있다. 즉, 수도인 개성에는 오부학당(五部學堂)을 세우고, 지방에는 향교(鄕校)를 설립하여 교육을 통하여 유학(儒學)하는 분위기를 진흥시키려 했다. 그리고 성균관(成均館)의 교관(敎官)을 맡으면서 학자들이 모여 서로 토론하면서 성리학적 이치를 더욱 공고하게 다져나가게 되었다. 포은이 자신의 성리학적 세계인식을 관물(觀物)과 궁리(窮理)를 통해 체득하려 했음을 알 수 있다. ․․ 등의 작품은 춘추․주역․시경․중용 등의 경전을 읽고 자신의 삶에 적용해보기도 하고, 경전의 이치를 시를 통해 다시 음미해 보기도 하였다. 고려시대에 사찰은 종교적인 공간을 넘어서 학습의 공간이나 수양의 공간으로 널리 활용되었다. 즉, 고려시대에는 관립교육기관인 국자감이 있었지만 개경에 십이도가 설립되어 사학이 발달한 시기였다. 사학의 학습과정에서 중요한 것이 하천도회(夏天都會)였다. 즉, 십이도(十二徒)들은 제각기 속해 있던 재에서 학문을 연마하다가 여름철이 되면 개성의 귀법사(歸法寺)와 용흥사(龍興寺) 등에 모여 정기적으로 함께 모여 공부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문화적 전통으로 보아 고려시대에 사찰이라는 공간은 종교적 의미를 넘어서서 학습과 수양, 그리고 안신(安身)의 공간 등으로 활용되었다. 스님과의 교류도 이러한 의미의 연장선상에서 바라보아야 할 것 같다. 포은은 스님들에게 준 시에서 불교의 진리를 찾는 방법이나 불교 교리에 대하여 비판적 견해를 드러낸 시들이 있다. 에서는 우왕과 공양왕 때 국사(國師)를 지낸 보각국사 혼수(混修)에게 포은은 불교의 진리체계가 환망(幻妄)으로 귀착된다고 비판하였고, 에서는 현상적인 자연을 버려두고 참선에 들어가는 스님의 구도(求道) 방법을 비판하기도 하였다. <고암권자(古嵒卷子)>는 고암스님의 설법이 난해하여 이해하기 어렵다고 하였고, 에서도 포은은 원조스님에게 불교에서 말하는 도와 마음을 비유한 말이 적절하지 않다고 하였다. 이처럼 포은은 불교문화가 자리를 굳건히 하고 있던 고려 후기에, 성리학적 세계 인식으로 사상을 전환시키는데 큰 공헌을 하였고, 한족(漢族)이 이룩한 중화문물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중국과 문화적으로 동질감을 가지고 살아가는 자부심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포은이 당대 고승(高僧)이었고, 국사(國師)였던 혼수 스님에게 써 준 시는 포은의 불교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뚜렷이 보여 주었고, 스님에게 준 시나 고암과 원조스님의 두루마리에 써 준 시에서도 스님들의 구도(求道) 방법이나 참선 태도, 불교의 교리 등에 문제가 많다는 인식을 드러내었다. Poeun, Jeong Mong-ju was a politician and philosopher in the late Goryeo.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ies of Poeun, he, unlike dogmatic confucian scholars, was in favor of Buddhism and had a profound understanding of Buddhism. In addition, he was referred to as a figure who had been favorable, knowledgable and friendly of Buddhism. This study has a question for the previous studies and examines his Buddhist-friendly poetry and Buddhist-unfriendly poetry among his works. Historically, Poeun started to be reappraised by Kwongeun during the era of King Taejong in the early Chosun Dynasty. In the light of this, Poeun was recognized as both loyal subject and traitor in the early Chosun Dynasty. In result, his works were included in Jesinjeon (stories including every subject) in the history of Goryeo. That is, they were not included in either loyal subject stories or traitor stories. Due to this dual structure, his poems might have been included in Jesinjeon. Privately traveling to China and Japan, Poeun experienced their advanced civilization and he considered China as the center of the world. Therefore, he expressed that Goryeo adopted Han chinese’s advanced civilization at a proper time and it had pride in sharing their civilization. Poeun seemed to appreciate that Goryo could have got cultural and political stability through this Myoung-friendly diplomacy. His thoughts could be based on Hwairon world view of Neo-Confucianism. Having been to Myoung several times, he experienced the change of international situation and its culture and institutions in person. It led him to insist on Myoung-friendly diplomacy. Since then Chosun kept adopting Han chinese’s culture and institutions based on sinocentrism(the belief that China was literally the center of the Earth) and people in the late Chosnn had lived with small sinocentrism. Eventually, Poeun can be evaluated as the scholar who arranged our Neo-confucianism and from whom small sinocentrism was mentally originated. In Jeong Mong-ju story of History of Goryeo, Poeun’s main achievement was in that he made an attempt at changing Goryeo’s buddhist-centric society into confucianist-centric society. That is, to encourage and teach confucianism he built Obuhakdang in Gaesung, capital of Goryeo, and established Hyang-gyo in the provinces. Besides, he, as a trainer of Seonggyungwan, could strengthen Neo-confucianism theories, debating about Neo-confucianism with other scholars. Poeun wanted to learn the neo-confucianism view of world through guanmul(觀物) and gungli(窮理). In , , and of his works, he tried to apply the theories of Chunchu, Juyeok, Sigyoung and Jungyong to his life , and to recite their theories through his poetry. In the era of Goryeo, temples played a role as a study place, a character building place as well as a religious place. In other words, there was a government educational institution called Gukjagam and 12 private schools called Sibido, which were built in Gaesung, were prosperous in the period. Private schools focused on hacheondohoe(夏天都會) in their curriculums. That is, students usually studied at Sibido which belonged to each Jae but they periodically got together to study in the summer. It was called hagua or hacheondohoe(夏天都會). They usually studied at Guibeobsa(歸法寺) and Yongheungsa(龍興寺). In the era of King Gojong, it was recorded that Hagua was carried out at Yeonmijung, Gangwha. Considering this cultural heritage, we can recognize that temples in the era of Goryeo had functions for studying, character building and relaxing, let along religious function. Interacting with buddhist monks w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function. The heritage has been succeeded until today. Like the previous temples, today’s temples are used as test-preparation and school trip places for students and as relaxing and comforting places for ordinary people.

      • KCI등재

        포은 정몽주와 율곡 이이: 두 성리학자의 은유적 공통점을 중심으로

        리기용 포은학회 2020 포은학연구 Vol.25 No.-

        This paper is designed under the grand theme of “Poeun and Kiho Neo-Confucian School”. The author discuss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ideas of Poeun Jeong Mong-ju(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 1337~1392) and Yulgok Lee Yi(율곡栗谷 이이李珥, 1536~1584) by contrasting them metaphorically. Despite the two centuries difference – Poeun is a scholar at the end of Goryeo dynasty when neo-confucianism was first introduced from Chinese Song(宋) Dynasty, and Yulgok is one of the major scholars who established Joseon Neo-confucianism, the founding principle of Joseon – they share one aspect in common, that they share Ultimate Concern as neo-confucian scholar, ‘seonbi’. This paper draws two claims using metaphoric contrast. One, Poeun and Yulgok share Neo-confucianism in common. Two, this paper finds the difference in periodic perspectives by looking at Yulgok’s assessment of Poeun. The former claim is discussed in three aspects. First, this research compares their parents’ goals of growing their children to follow Duke of Zhou(周公), the best Chancellor of Kings Yao(堯) and Shun(舜). Secondl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union of ingenuity(knowing, 知) as scholar and filial piety(doing, 行) they learned and carried out. Thirdly, this paper finds similarity of the two scholars through bamboo(竹), the symbol of ideal Junzi(君子) in neo-confucianism. The latter studies the misunderstanding in Yulgok’s assessment of Poeun. It is well known that Yulgok’s remarks are dispassionate and keen. Especially, the wide-spread Yulgok’s assessment of Poeun is focused on the negative part of the remark without looking at the context. Yulgok’s official stance about Poeun is referenced in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朝鮮王朝實錄)’, and it has been neglected despite being his objective assessment. In the book, Yulgok clearly states Poeun’s role as founder of Joseon neo-confucianism as well as the limitation of the era that Poeun could not fully assimilate neo-confucianism. This paper claims to be the founding stone to restore Yulgok’s view on the history of Joseon neo-confucianism which started from Poeun. 이 논문은 “포은 정몽주와 기호유학”이라는 대주제 하에 기획된 한 장에 해당하는 글이다. 논자는 포은 정몽주와 율곡 이이의 사상적 연관성을 은유적 비유를 통하여 대비시켜 논구하였다. 신유학이 중국 송나라로부터 도입되는 시기였던 고려말의 포은 정몽주와 조선의 건국이념으로 정립된 조선성리학의 정립시기의 대표적 유학자 율곡 이이는 이백여년의 시대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성리학자 즉 선비로서의 궁극적 관심을 갖고 있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이 논문에서는 은유적 대비를 통하여 두 가지의 결론을 도출할 것이다. 하나는 은유적으로 살펴 본 포은과 율곡의 삶과 사상 비교를 통하여 양자는 사상적 기반과 학문적 지향 등 공통점을 갖고 있다는 것, 다른 하나는 시대적 거리를 뛰어넘는 공통점을 전제로 율곡의 포은에 대한 평가에 나타난 해석과 도통론적 계보 속의 포은의 자리매김을 확인해 볼 것이다. 전자는 다시 세 문제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첫째, 포은과 율곡이 지향하는 인물, 즉 태평성대의 성군인 요순과 최고의 재상인 주공周公을 지향하는 포은과 율곡의 부모들이 자식에 대한 희망을 대비시켜 볼 것이다. 둘째, 유학을 공부하는 학자로서의 포은과 율곡의 천재성[知]과 학습한 유학을 몸소 실천으로 보여준 효심[行]의 합일됨을 찾아볼 것이다. 셋째, 성리학의 이상적 모델인 군자의 상징인 대나무를 통해 시간을 뛰어넘어 만나게 되는 포은과 율곡의 성리학적 공통점을 확인해 볼 것이다. 그리고 후자는 율곡의 포은에 대한 평가에 관한 단편적 언급과 평가의 문제이다. 특히 포은에 대한 율곡의 매몰찬 평가는 오해를 빚기도 하였기 때문이다. 율곡의 인물평은 냉철하고 예리하기로 유명하다. 특히 세간에 알려져 있는 포은에 대한 율곡의 평가는 문인의 질문에 대한 답변에서 질문 앞뒤의 문맥은 잘린 채 언급된 부정적 평가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그러나 포은에 대한 율곡의 공식적인 입장은 동호문답에 언급된 4년후인 선조6년 조선왕조실록의 경연에 인용된 언급이라고 보아야 하며, 이것이 객관적 평가임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홀시되어 왔다. 여기에는 동방 리학 즉 조선성리학의 창학(倡學)이라는 포은의 역할에 대한 객관적인 긍정적 평가와 함께, 포은이 새로운 사조를 수용하였을 뿐 성리학을 충분히 소화시키지 못했다는 시대적 한계도 적확하게 지적하고 있다. 이 고찰을 통하여 첫째 시대를 뛰어 넘은 포은과 율곡, 두 성리학자의 은유적 공통점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며, 둘째 포은에 대한 율곡의 언급들에 관한 객관적 평가와 동방 리학의 도통적 계보 속에서 포은의 자리매김을 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시에 투영된 포은 숭모와 문학적 형상화 양상

        이재숙(Lee Jae-sook) 포은학회 2016 포은학연구 Vol.17 No.-

        포은 정몽주는 고려말 절의(節義)를 대표하는 인물이다. 본고는 많은 문학작품에서 언급되고 문학 자료로서 새롭게 재생산·활용된 그의 절의 정신을 한시의 관습적 상징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포은의 사후 지금까지 많은 한시 작가들을 통해 통시적(通時的) 보편성(普遍性)을 갖게 된 과정을 엿볼 수 있었으며, 후대 문인들에게 얼마나 많은 영향을 끼쳤는지 확인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본고는 조선시대 포은 관련 한시를 1.송도의 포은 유적을 대하며 지은 시, 2. 포은의 작품에 차운한 시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첫째 송도(松都) 포은의 옛집을 들러 지은 작품과 선죽교 제목으로 지은한시 작품을 고찰하였다. 시인들은 우선 고려와 포은의 죽음, 선죽교 등 포은과 관련한 유적을 답사하며 비감(悲感)을 표출하고 그의 절의(節義)를 숭상하고 애도하였다. 현재와 과거를 대비시켜 무상감을 표현하고 비감(悲感)의 정서를 풍기는 시어들을 다수 사용하였다. 중국의 절의지사와 변절자 의 고사를 차용하기도 하였다. 둘째, 포은의 누정시에 차운한 작품들은 후대 시인들의 다양한 심경을 의탁한 것으로 파악된다. 포은의 원 작품이 명승 누정의 흥취를 표현했더라도 시인들은 별도로 각자가 처한 시대적 배경과 심경을 구현하였다. 또 포은이 지은 내용을 차용하여 교감하고 재창조한 작품도 있으며, 포은의 시상(詩想) 전개를 그대로 닮고자 한 시인도 있었다. 포은의 자취가 있었던 곳을 찾아 포은이 느꼈던 감회를 공감하고 포은의 심사(心思)를 상상해보기도 하였다. 포은의 문집을 보며 포은의 운자를 따라 시를 짓고, 사행(使行)을가는 여정에서도 포은의 자취를 따르고자 하였다. 즉, 각 시대를 대표하는 시인들은 포은을 통해 유람할 때는 포은의 호방(豪放)한 정신을 본받고, 우국(憂國)을 위해서는 절의(節義)를 본받고, 시인으로서 포은의 탁월했던 모 습을 흠모하였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본고의 논의를 통해 역대 한시 작가들이 포은을 숭모하고 기리며 그의 절의정신을 본받으려 했던 모습을 충분히 짐작할 수 있었다. 후대 시인들의 작품 속에서 재생산된 포은 관련 한시들은 앞으로 더 많은 고찰과 연구가 필요하다. Jeong Mong-ju, whose penname is Poeun, is a figure that represents the integrity of the late Goryeo period. In this thesis, I have examined in the conventional symbols of the Sino-Korean poetry his spiritual integrity that has been mentioned in numerous literary works and reproduced and employed as literary material. This review has allowed me to get a glimpse of the process in which since his death, Jeong Mong-ju has so far come to have diachronic universality through a number of Sino-Korean writers, and see how much influence he has exerted on the people of letters in later generations. For a review, this thesis divided the Sino-Korean poetry related to Jeong Mong-ju from the Joseon period into a. poems written on touring Jeong Mong-ju’s historic sites in Songdo (Gaeseong) and b. poems that took rhymes from Jong Mong-ju’s poems. To begin with, I reviewed the Sino-Korean poems which were written on visiting Jeong Mong-ju’s old house in Gaeseong and those which included Seonjukgyo Bridge in their title. Revisiting Goryeo Dynasty and Jeong Mong-ju’s death and touring the historic sites related to him such as Seonjukgyo, the poets expressed their sorrows and admired Jeong Mong-ju’s integrity all the while mourning his loss. The poets expressed a sense of futility by contrasting the present and the past and employed a number of words that exuded the sentiment of sorrows. The authors also borrowed Chinese anecdotes on figures of integrity and turncoats. Secondly, the works that borrowed the rhymes from Jeong Mong-ju’s belvedere poems are understood as resting on the later poets’ diverse feelings. While Jeong Mong-ju’s original works expressed the pleasure of a gazebo standing at a scenic spot, the poets went from there to embody their times and interior topography. While some of the poems borrowed Jeong Mong-ju’s poetic writings to rapport with them and recreate on them, some of the poets wanted to imitate the development of his poetic ideas. Other poets visited places that retained Jeong Mong-ju’s vestiges, empathizing with the sentiments that he felt or imagining his thoughts. They read Jeong Mong-ju’s collected writings, versified on his rhymes, and tried to follow his traces as they traveled on diplomatic mission. To be specific, I have seen that representative poets of different times followed the example of Jeong Mong-ju’s magnanimous spirit when they went on a tour focusing on him, took example by his loyalty out of their patriotic concern, and adored his excellent performance as a poet. The discussion in this thesis has shed ample light on how Sino-Korean authors from different periods adored and celebrated Jeong Mong-ju and tried to take example by his loyalty. The Sino-Korean poems related to Jeong Mong-ju that were reproduced in the works of the poets in later generations deserve more examination and study.

      • KCI등재

        소재(穌齋) 노수신(盧守愼)의 포은 시 비평과 그 의미

        강지희(Kang, Ji-hee) 포은학회 2020 포은학연구 Vol.26 No.-

        소재 노수신이 평한 포은 시의 품격, 호일(豪逸)・아건(雅健)・웅심(雄深)・화후(和厚)는 포은 시를 대표하는 품격이라 할 수 있다. 이 네 가지 품격은 사실상 포은 시의 특징적인 면모를 망라한 것이다. 호일은 호방・표일의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 용어이다. ‘호방’은 포은 시가 보여주는 대표적인 품격으로, 포은의 일생에서 원정・사행・등고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표일’은 신선세계에서 노닐 듯 고상하고 아름다우며 한가롭고 오묘한 의경을 드러내는 품격이다. 포은은 험난한 사행의 여정 속에서도 종종 속세를 벗어난 듯한 표일의 경지를 시로써 그려내고 있다. 아건은 전아・경건의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 용어이다. ‘전아’는 고고한 선비의 풍류가 담겨 있으며, 시의 주제가 유가 경전의 사상을 따르는 작품에서 나타나는 품격이다. 포은은 홀로 있는 시간 중에, 또는 주변 인물과의 교유를 통해 유자적인 시적 취향을 드러내는 저작들을 남겼다. ‘경건’은 내면에 축적된 도가 실하고 강하여, 그 높고 웅장한 모습이 외면에 드러난 시의 품격이다. 포은은 그의 사행시에서 자칭 ‘서생’이라고 하면서도 웅위한 포부와 강건한 의지를 여과 없이 보여준다. 웅심은 ‘웅혼’과 ‘정심’의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포은은 간혹 ‘서생의 호기’를 넘어서서 무인의 강한 이미지를 드러내며, 그런 삶을 희구하는 웅혼한 품격의 시를 지었다. ‘정심’은 정련된 언어, 엄정한 시격, 심오한 의미를 지닌 시의 품격이다. 『동문선』에도 수록되어 있는 포은의 영사시(詠史詩)에 주로 ‘정심’의 품격이 드러난다. 또한 고금의 역사를 회고하며 인간세상의 불변하는 진리를 논하고 있다는 측면에서도 ‘웅심’하다고 평할 수 있겠다. 화후는 ‘화평’과 ‘혼후’의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화후’는 우환에 처해서도 의리와 천명에 순응하여, 원망하고 슬퍼하더라도 극단으로 치닫거나 도리에 어긋나는 상황까지는 가지 않는 시의를 내포한 품격이다. 포은의 경우 언양 유배기의 작품들이 여기에 해당된다. 의리를 실현하고자 하는 의지와 천명에 대한 믿음이 있었기에 유배지에서도 이처럼 화후한 시를 쓸 수 있었던 것이라 짐작된다. Roh, Su-shin(Sojae) classified Jeong, Mong-ju(Poeun)’s poems into four styles: Hoil(豪逸), Ahgeon(雅健), Woongsim(雄深), Hwahoo(和厚). These poetical styles represent characteristics of Poeun’s poems. Hoil signifies two styles: Hobang(豪放) and Pyoil(飄逸). Hobang is the typical style of Poeun’s poetry. It is closely related to his expedition, trip as an envoy, and going up to a tower. Pyoil is the poetical style which shows noble, beautiful, leisurely and tranquil feelings. Poeun often wrote poems of Pyoil while continuing the arduous journey as an envoy, as if he was a legendary hermit living in the mountains. Ahgeon signifies two styles: Jeonah(典雅) and Kyeonggun(勁健). Jeonah is the typical style of a noble scholar, especially appeared in poems which express Confusion ideas. Poeun wrote these poems when he was alone or kept company with his friends. Kyeonggun is the poetical style which shows strong, empyreal and magnificent mind. Poeun was a self-styled pallid reader, but he wrote poems which showed his great ambition and strong will when he had a trip as an envoy in China and Japan. Woongsim signifies two styles: Woonghon(雄渾) and Jeongsim(精深). Poeun sometimes wrote poems of Woonghon style which showed disposition of a military man beyond a sturdy spirit. The Jeongsim style includes sophisticated words, strict form, and significant meaning. Poeun’s historical poems mainly show the Jeongsim style. These poems are also recorded in Dongmoonsun(東文選), the book of poetry collection edited by Seo, Geo-jeong. He recollected the histories of all ages and countries and told about eternal truths of the world in his historical poems, so it can be said that these poems are based on the Woongsim style. Hwahoo signifies two styles: Hwapyeong(和平) and Honhoo(渾厚). Poeun’s poems of the Hwahoo style show his belief in God’s will and self-control of emotions. His poem composed in Eonyang(彦陽) was related to the Hwahoo style. He had a sense of duty or justice, and belief in God’s will. So he could write poems of this style when he was exiled to Eonyang(Uls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