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 문화어의 어두 ㄹ, ㄴ 규정을 통해서 본 언어 정체성 구축과 차별화 방식 연구

        안미애 ( Ahn Mi-ae ),홍미주 ( Hong Mi-joo ),백두현 ( Paek Doo-hyeon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8 어문론총 Vol.76 No.-

        이 논문은 어두 ㄹ, ㄴ의 실현 규정을 채용한 북한의 문화어 규범이, 국어사에서 일반적이었던 ‘두음법칙’을 위배하면서까지 남한의 어문 규범과 다른 방향을 선택하게 된 이유가 무엇인지에 주목하고, 그 원인을 ‘언어적 차별화를 통한 언어 정체성의 구축’이란 관점에서 규명한 것이다. 본론에서 언어를 통한 정체성 형성의 의미, 문화어 규범의 어두 ㄹ, ㄴ의 실현 규정과 그 제정 배경 및 이 규정과 조선시대 평안방언의 ㄷ구개음화 미실현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우리의 연구 결과는 다음 네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북한 문화어의 어두 ㄹ, ㄴ의 실현 규정은 세종 이래 나타난 조선시대 ‘正音’ 의식의 현대적 변용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북한은 남한 발음과의 차별성을 확보하면서 북한어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상징으로 어두 ㄹ, ㄴ 실현 규정을 도입하였다. 셋째, 북한이 시행한 언어 정책에 의해 현실 발음과 괴리된 어두 ㄹ, ㄴ의 실현 규정이 북한 사회에 어느 정도 정착되었다. 넷째, 인위적 성격이 명백한 어두 ㄹ 규정은 역사적 전통을 가진 어두 ㄴ 규정보다 북한의 현실 발음에서 확고하게 정착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북한의 어두 ㄹ, ㄴ의 실현 규정은 조선시대에 평안방언이 ㄷ구개음화의 미실현을 통해 언어적 정체성을 드러냈던 경험을 바탕으로 한다. 평안방언이 세종대왕이 세운 ‘正音’을 지향하며 그들의 언어 정체성을 형성하였듯이, 북한은 국가적 언어 정책 차원에서 문화어 규범에 어두 ㄹ, ㄴ의 표기와 발음 규정을 도입한 것이다. 북한에서 시행된 어두 ㄹ, ㄴ의 표기법과 발음 규정은 그 결과가 귀로 들리는 북한말의 특징을 형성하였고, 남한말과 쉽게 구별되는 북한말의 정체성을 구축하는 데 기여했다. 우리는 이 논문을 통해 평안방언의 ㄷ구개음화 미실현과 북한 문화어 규정의 ㄹ, ㄴ 표기 및 발음 규정이 북한 지역의 언어 정체성 형성과 관련된 것으로 보고, 이것이 갖는 사회언어학적 의미를 밝혀냈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why the phenomenon of ㄷ palatalization arises in contemporary Standard North Korean language despite the actual pronunciation of the Pyeongan dialect spoken in the vicinity of Pyeongyang, and to understand why spelling rules regarding word-initial ㄹ and ㄴ have recently been included in language policy[in socio-linguistic aspects]. Previously, the language policy of Standard North Korean rejected unrealized ㄷ palatalization,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yeongan dialect. North Korean language policy has now introduced a new rule to realize ㄹand ㄴin word-initial position. Such a rule stands in marked contrast with the rule of word initials, one of the strongest rules in the Korean languag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otive of North Korea for introducing the realization of word-initial ㄹand ㄴas a rule is underpinned by one crucial extra-linguistical factor, namely the ‘linguistic discrimination to construct linguistic identity’. In other words, to establish its own linguistic identity, North Korea sought to diverge linguistically from South Korea. The motive for implementing the realization of word-initial ㄹ and ㄴ parallels the one for rejecting the realization of the ㄷ palatalization by the Pyeongan dialect speakers during Chosun dynasty. Thus, in order to ensure the implementation of such new rules, North Korea has repeatedly revised the rules of Standard North Korean since 1948 and consistently promoted their language policy. As a result, the implementation of the rule regarding word-initial ㄹ and ㄴ can be considered as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temporary Munhwa-eo and Standard North Korean.

      • KCI등재

        대중 매체 언어와 국어 연구

        구현정 ( Koo Hyun Jung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6 어문론총 Vol.70 No.-

        대중 매체 언어는 과학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최근에 발달한 것으로 그 파급력은 의사소통 방식뿐만 아니라 언어 체계 자체에도 큰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져왔다. 이 연구에서는 대중 매체 언어의 유형을 인쇄 매체 언어, 방송 매체 언어, 디지털 매체 언어로 나누어 현대국어 연구의 자료로 전자화된 자료와 연구 내용을 살피고, 매체 생태학, 매체 언어학, 용법-기반 언어학으로 나누어 대중 매체언어를 연구하는 방법을 논의한다. 이와 같은 대중 매체 언어 연구의 방향을 문체적 다양성 연구, 현대국어 구어 연구의 확대, 잠정적 문법의 발견이라는 관점으로 논의한다. 이를 통해, 기존의 형식적, 관념적, 문어적, 문장 중심적, 규범적, 사변적 언어 연구방법으로부터, 기능적, 용법 중심적, 구어적, 담화 중심적, 의사소통적, 문화 중심적 연구방법으로 전환함으로써, 의사소통 도구로서의 언어의 본질에 더 가까이 접근할 수 있음을 주장한다. Mass media language is a recent development that was made possible by the advances made in science and technology. The powerful impact of the mass media language is such that it brought forth change not only in the modes of communication but, more fundamentally, in the language itself as a linguistic system. Classifying the types of mass media language in three subtypes of media, i.e., printed, broadcast, and digital media. This paper overviews the digitization of the Korean language of mass media and digital communication, introduces newly emerging subdisciplines of linguistics as a consequence of change in communication modes and means, i.e, media ecology, media linguistics and usage-based linguistics, and their research methods for mass media language. The discussion assumes the perspectives involving stylistic diversity, expansion of colloquial language research, identification of emerging grammar. This paper calls for a shift from the traditional formal, abstract, literary-based, sentence-centered, prescriptive and speculative research methods, to more functional, usage-based, colloquial, discourse-centered, communication-based, and culture-centered research methods. It is argued herein that resulting analyses can enable us to understand more clearly the essence of language as a tool of communication.

      • KCI등재

        주술언어의 화행과 문화적 의미자질에 관한 연구 1

        제갈덕주 ( Deok Ju Jegal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5 어문론총 Vol.63 No.-

        이 연구는 주술언어의 화행을 분석하고 그 행위에 내재된 문화적 의미들을 자질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주술언어는 주술행위와 관련된 언어현상 내지는 언어요소라고 할 수 있다. 주술언어에 대한 연구는 주로 문학에서 이루어져 왔다. 문학에 있어서 주술언어란 언어의 한계적 상황에 도전하는 창작 활동 정도로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언어학적 방법론을 통해 주술언어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첫째는 언어문화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고, 둘째는 화행론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다. 언어문화란 일종의 언어화된 문화라고 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주술성을 한국어 내재된 일종의 언어문화로 파악하고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러한 점을 바탕으로 주술행위를 구성하고 있는 언어적 장치에 대해 분석해 보는 것이 본고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특히 본고에서는 ‘주술’의 개념에 관한 다의적 분석, 주술행위에 나타나는 대표적인 ‘화행’ 분석, 주술언어를 구성하고 있는 의미자질 분석 등을 통해 종래의 문학적 탐구 대상을 언어학적으로 재해석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통해 문화어문학적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과 방향성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eech act of Magical languages and to qualify cultural semantic feature underlain in the practice. Magical languages can be defined as a Language Phenomena or a Language constituent related to magical acts. The studies on Magical languages have been dealt with mainly in literature. In the literature, magical languages have been regarded as a creative activity to challenge linguistic limit. However, in this thesis, magical languages are analyzed by a linguistical methodology. The first is the approach with the lingua-culture aspect and the second is the approach with the speech act aspect. Language culture is a kind of verbalized culture. In this thesis, the study is made assuming a magical character is a sort of language culture inherent in Korean. Based on the assumption,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linguistic devices that compose magical acts. Focused is this thesis, above all, on the linguistic reinterpretation of the traditional literary object of inquiry through the polysemous analysis of concept of Magic, the speech act analysis typically used in magical acts and the analysis on cultural semantic feature composing Magical languages. In doing so, this thesis is suggesting a new paradigm and a direction of Cultural Language Literature(CLL) study.

      • KCI등재
      • KCI등재

        『세기와 더불어』의 문예 회고에 깃든 위대성 완화의 단면

        이노형 ( Nho Hyeong Lee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6 어문론총 Vol.67 No.-

        김일성 회고록 『세기와 더불어』에 나오는 수령의 일화적 문예담론들에 깃든 이른바 수령의 위대성은 기존 문예담론들 속의 그것에 견주어 사뭇 다른 모습을 하고 있어서 주목을 끈다. 항일혁명문학의 대표적 위치에 놓이는 수령 친작의 『피바다』와 대표적 송가인 「조선의 별」에 대한 수령의 일화적 회고가 그를 잘 보여준다. 그것은 상대적으로 전향적이라서 한결 인간적이고 진솔한 모습을 띄고 있다. 수령 친작으로서의 대표적 명성을 지닌 혁명연극『피바다』를 둘러싼 ``친작적 위대성``과 수령 칭송의 송가인 조선의 노래에 얽힌 송가적 위대성에 대해서 문예이론과 문학사 등 기존 문예담론들과 회고록의 일화적 회고는 일정하게는 그것들을 서로 공유한다. 하지만 회고록은 기존 담론들과 달리 수령 김일성이 주도한 대본 집필을 빼고는 연출은 이동백이란 인물이 맡았으며 후자는 대본의 주제 구상 등에도 관여하는 등 연극의 제작 과정에서 상당한 기여를 한 인물이었음을 진솔하게 고백한다. 또 대본의 집필 과정에 다른 유격대원들도 관여하며 창작의 연극사적 배경에는 어린 시절 체험한 사상적 기초가 다른 카프계열 신극의 영향도 있었음을 회고하기도 한다. 김일성의 이런 진솔한 회고에서 이른바 ``친작적 위대성``의 완화 현상이 나타난다. 수령 칭송의 첫 송가인 「조선의 별」과 관련해서도 회고록은 기존 문예담론과 마찬가지로 일단 김일성의 위대성을 인정한다. 그것은 항일투사 측근들을 중심으로 하여 전개된 거룩한 별과 찬란한 태양으로 상징된 수령 형상의 노래 「조선의 별」의 창작과 보급 행위로서, 또 거기 수반된 한별, 일성 등의 작명 행위로서 부각되는 수령 김일성의 위대성이다. 이 위대성은 항일투사들로 상징되는 조국과 민족의 간절한 요구를 반영한 항일민족해방투쟁을 통일적으로 영도할 통일단결의 위대한 구심적 영도자로 칭송되는 송가적 위대성이다. 그러나 수령의 회고록은 기존의 과장된 문예담론들과 달리 항일투쟁 초기 자신의 어린 나이와 짧은 투쟁경력을 들어 수령으로서의 부족한 정체성을 고백한다. 동시에 수령의 뜻에 반하여 거룩한 노래와 작명을 통해 그렇게 추대하는 측근들을 완강하게 꾸짖곤 한다. 즉 김일성은 개인적, 주관적 차원의 수령의 위대성에 대해서는 그를 인정하지 않는 것이다. 이런 양상은 기존 담론들의 경우와 다른 것이다. 동시에 회고록도 기존과 마찬가지로 객관적, 조직적 차원의 수령 즉 혁명을 향한 통일단결의 영도자로서의 위대한 수령은 적극적으로 인정한다. 그래서 회고록 노래 담론 속의 수령은 평범한 동시에 위대한 수령으로 나타난다. 즉 송가 「조선의 별」을 둘러싸고 기존담론들이 일방적으로 강조해온 송가적 위대성은 김일성의 고백적 회고에 이르러 『피바다』에서처럼 한결 인간적이고 진솔한 수령의 모습을 통해 한결 완화된 전향적인 모습으로 나타난다. A greatness of literary and artistic leader Kim Il Sung in anecdotal discourses of With the Century can take the spotlight because of the difference from greatness in existing discourses on literature and art. PIBADA theater and Star of Joseon of praise song known as the most famous masterpieces of anti-Japanese revolutionary theater and literature show that aspects well. A forward-looking greatness reflected in such anecdotal discourses is much humane and honest. PIBADA of revolutionary theater is called as an immortal classic because of th writings of leader Kim Il Sung. PIBADA and leader as a great writer can, therefore, parade the greatness of sacred writing. The anecdotal discourses of With the Century shares the greatness of sacred writing with existing discourses on literature and art. But With the Century have discrimination. In other words, a leader Kim Il Sung in With the Century says that he wrote the play script by one`s own efforts, but Lee, Dong Baek directed. Besides, the latter also helped the writing of play script of leader. A leader in With the Century says that the writing of play script was affected by a left-leaning theater of KAPF. Such remembrance lightens much the greatness of sacred writing. The anecdotal discourses on Star of Joseon lightens much the greatness of praise song. A honest confession of leader lightens such greatness. Then Kim Il Sung scolds terribly Those who effort to crown as their leader. Therefore such greatness of With the Century is a very forward-looking against a inflexible greatness of existing discourses on literature and art. It of With the Century is very humane and honest.

      • KCI등재

        최재서의 1930년대 중기 문단 재구성 기획의 실제와 파장-「리아리즘의 확대(擴大)와 심화(深化)-< 천변풍경(川邊風景) >과 <날개>에 관(關)하야」를 중심으로-

        박상준 ( Park Sangjoon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6 어문론총 Vol.69 No.-

        본고의 목적은 최재서의 문제적 평론 「리아리즘의 擴大와 深化 -< 川邊風景 >과 < 날개 >에 關하야」가 당대에 갖는 특징과 문제 및 그 의의와 현재적 파장을 폭넓게 검토하는 데 있다. 이 글을 올바로 이해하고 그 의미를 적절히 파악하기 위해 본고는 세 가지 관계에 초점을 맞추었다. 최재서의 이전 비평들, 이 글이 대상으로 하고 있는 작품들, 그리고 당대 문단과의 관계가 그것이다. 그 결과로, 첫째 「리아리즘의 확대와 심화」 또한 이전의 비평들과 마찬가지로 리얼리즘에 대한 모호한 규정을 제시함으로써 좌파 문학의 리얼리즘론에 교란을 가하고 있으며, 둘째 박태원의 「천변풍경」과 이상의 「날개」의 실제를 왜곡하는 것조차 아랑곳하지 않는 방식으로 논의를 전개하면서 자신의 문학론을 내세웠고, 셋째 이 모두가 근본적으로는 좌파 문학이 여전히 위력을 발휘하고 있는 문단의 질서에 충격을 주면서 후일 모더니즘소설로 분류되는 이들 작품에 문단적 지위를 부여하려 한 결과라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었다. 이러한 분석 위에서 본고는 이 글의 의의를, 최재서의 비평 활동과 1930년대 중기의 문학 상황, 그리고 후대의 국문학 연구계 세 차원에서 추론, 정리하였다. 주지주의 문학론의 소개 등에 잠복되어 있던 이데올로기적인 성격을 실제비평으로 구체화하여 문단 일각의 동조를 이루어 냈다는 점, 문학계의 일반적인 양상과 거리를 보이는 새로운 소설들에 문단 차원의 위상을 부여함으로써 알 수 없는 변화 양상을 보이기 시작한 당대 문단에 질서를 부여하려는 시도에 해당한다는 사실, 상기 두 작품에 소설사적인 위상을 부여한 단초로서 관련 연구를 활성화한 반면 ``리얼리즘 - 모더니즘`` 논의에 착종을 낳은 원천이 되기도 했다는 것이 그 내용이다. 본고의 결론은, 「리아리즘의 확대와 심화」가 리얼리즘론을 발전시키거나 「천변풍경」과 「날개」의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1930년대 중기 문학계 및 문단의 상황을 바꾸려는 최재서의 문단 정치적인 감각을 원동력으로 하는 이데올로기적인 특징을 짙게 띤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을, 그동안 검토되지 않았던 관계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밝히고 이와 관련해서 향후 연구의 지점을 제시했다는 데 본고의 의의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roblematic characteristics, significance, and the hitherto effects of Choe JaeSeo`s "Enlarged Realism and In-depth Realism" (November 1936). It focuse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his aforementioned text and his previous writings, the novella and short story that he criticized, and the literary field of the tim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onfirmed the following three facts: (1) By using the term "realism" in a strange way, he disturbed leftists` discourse on realism. (2) He emphasized "novelists` objective attitude" through the review of their works and did not hesitate to distort the true features of "Stream Scenery (川邊風景)" and "Wings (날개)." (3) By doing so, he accorded literary importance to those works and attempted to reorganize the order of the literary field. The significance of Choe`s criticism is threefold. First, he produced changes in literary discourses on realism. Second, he attempted to establish a new order in the literary field that was entering a state of confusion. Lastly, his criticism became the source of research on realism and modernism. In short, Choe`s criticism can be regarded as an ideological practic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it certifies the aforementioned characteristics by examining the three relationships mentioned above.

      • KCI등재

        한일 상징주의론의 전개와 "생명" 개념 도입의 비교 고찰

        최호영 ( Ho Young Choi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6 어문론총 Vol.68 No.-

        이 글의 목적은 근대 초기 한국과 일본에서 ‘상징주의’를 타자로 설정하여 근대시를 형성해가는 과정을 면밀하게 추적하는 가운데 양국의 자유시 담론에서 ‘생명’ 개념을 어떠한 맥락에서 도입하고 있는가를 비교·고찰하는데 있다. 메이지 40년경 일본의 문단에서는 ‘간바라 아리아케’에서 정점을 이룬 상징주의가 시어나 형식의 측면에서 근대인의 생활 감정을 노래하지 못한다고 판단하고 자아 그대로의 감정을 노래하는 자유시를 주장하기 위한 근거로서 ‘생명’ 개념을 도입한다. 말하자면, 일본의 문단에서는 상징주의를 비롯한 전대의 ‘전통’과 단절하고 개인의 자율성을 담보하는 자유시를 내세우기 위해 ‘생명’ 개념을 도입했던 것이다. 이에 반해, 근대 초기 조선의 문단에서는 상징주의를 생활의 방면으로 확대하여 개인의 생활을 구제할 뿐만 아니라 개인을 둘러싼 전체의 생활과 조화를 이루기 위해 ‘생명’ 개념을 도입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의 차이는 양국의 근대시에서 ‘찰나’의 시간을 형상화하는 방식에서도 결정적인 차이를 낳고 있다. 일본의 경우 현재 느끼는 자기중심의 목소리를 드러내기 위해 ‘찰나’의 시간을 도입하는데 반해, 조선의 경우 영원과 결합하여 자아를 존속시키는 ‘외연’을 탐색하기 위해 그것을 도입하고 있다. 따라서 한일 근대시에서 보여준 ‘생명’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조선의 문학이 일본의 문학을 제대로 수용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보여주기보다 그 자체로 특이한 지점을 형성하고 있었다는 것을 말해준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closely examine the formation process of modern poetry while considering ‘symbolism’ as others in the early modern Korea and Japan, and to study and compare the logic of forming their own free verse. The study thoroughly investigates how the concept of ‘life’ is introduced in context when developing their discussions of free verse between two countries. The perception gap about ‘life’ can provide the opportunity to reveal marked characteristics of bilateral modern literature. During the forty years of the Meiji period, Japanese literary world introduced the concept of ‘life’ to advocate free verse in that it showed ego itself feelings, while it judged symbolism as having limitations to include modern people’s emotions in everyday life. On the contrary, Joseon literary world in the early modern period introduced the concept of ‘life’ not only to save personal life by broadening symbolism to various aspects of life but also to be in harmony with whole life. Therefore, the perceptual difference of ‘life’ in Korean and Japanese modern poetry indicates that Joseon literature forms unique characteristics itself rather than showing the limitation that it does not accept Japanese literature properly.

      • KCI등재

        청소년 시의 장르적 특성 연구-시적 화자 문제를 중심으로-

        권유성 ( Kwon Yu-seong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7 어문론총 Vol.71 No.-

        이 글은 2010년 이후 발간된 청소년 시집을 대상으로 청소년 시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최근의 청소년 시는 과거의 청소년 시와 달리 청소년의 목소리를 `대변`하고자 하는 뚜렷한 목적을 가지고 창작된 시들이 대부분이다. 이 글은 이 같은 청소년 시의 특징을 시적 화자의 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청소년 시의 시적 화자는 매우 다양하게 설정되고 있었는데, 그것은 청소년 집단의 다양한 경험을 시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방법적 측면에서 의미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청소년 시는 한 편의 시에 표면적인 청소년 화자 이외에 시인과 겹쳐지는 숨은 화자가 개입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이런 현상은 시인이 의도한 것이라고 보기는 어려웠는데, 그 원인은 시인이 가진 계몽적 의도 때문으로 볼 수 있었다. 즉, 표면적으로 설정된 청소년 화자의 목소리를 갈라지게 만드는 숨은 화자의 목소리는 시인의 계몽적 의도나 의지의 산물로 보인다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청소년 시는 표면적으로 청소년 화자에 의해 발언되고 있다고 하더라도 시인의 시선 아래 통제되고 있다고 볼 수 있었다. 이런 청소년 시의 특성 때문에 청소년 시에 실제 청소년의 목소리가 반영되는 방식은 매우 제한적이었는데, 그것은 시인의 통제를 뚫고 틈입하는 방식으로 청소년의 목소리가 수용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금지와 금기에 둘러싸인 청소년의 실제 목소리는 청소년 시에서 소음이나 욕설 혹은 그와 유사한 차원에서 수용되거나 발현될 수밖에 없었다. 그럼에도 언어가 되지 못하는 그런 소리들은 청소년의 존재가 발현되는 순간에 출현하는 것이기도 했다. 최근 청소년 시는 청소년을 집단적 훈육의 대상에서 개별성을 지닌 독자적 존재로 바라보고자 하는 청소년 담론의 전환에서 촉발된 것이다. 그러나 기성시인이 청소년의 목소리를 `대변`하고자 하는 최근의 청소년 시는 창작의 의도와는 별개로 실제 청소년들의 개별적인 목소리를 배제하거나 억압할 가능성을 일정부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청소년 시가 그 가능성을 확장해가기 위해서는 청소년들의 개별적인 목소리를 수용할 수 있는 시적 방법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genre traits of Korean adolescent poetry since 2010. Adolescent poetry, as the name suggests, speaks for a group of adolescents. This paper closely studies the problem of the poetic speaker. A poetic speaker in adolescent poetry is placed in various types of settings. For it is necessary to express what adolescents experience in different situations. However, adolescent poetry frequently depicts the simultaneous occurrence of a surface speaker and a hidden speaker in a poem. This phenomenon is the unwitting result of poet`s intention to enlighten. Thus, even though an adolescent speaker articulates a adolescent poetry on the surface, it is actually controlled by the poet`s intentions. Given these traits, it is very difficult for adolescent poetry to reflect their voices. Therefore, the only method to include their vivid voices in poetry through noise, abuse, and other experiences. However, such non-language sounds began to emerge the moment adolescents appeared on the stag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의 명사절 사용 양상과언어 발달 연구 -숙달도와 언어권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송화 ( Song Hwa Han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5 어문론총 Vol.66 No.-

        학습자가 산출한 언어 자료는 학습자의 언어 사용 양상뿐 아니라 학습자의언어 발달을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학습자의 명사절 사용 양상과 발달 단계를 살피기 위해 언어권과 숙달도별로 구성된 163,245어절의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를 활용하여 명사절의 사용률과 오류율, 그리고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먼저 숙달도에 따른 명사절의 사용률을 살펴본결과, 명사형 어미에 의한 순명사절과 종결어미에 의한 의사명사절의 사용이 2 급에서 다른 등급에 비해 유의미하게 많이 나타나고 있었는데, 이러한 명사절사용 빈도의 급증은 언어 발달과 관련된다기보다는 이들 어미가 포함된 관용적인 문법 형태의 교수가 사용 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또 준명사절의 사용은 1~2급과 3급, 4~6급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면서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언어권별로는 중국어권이나 유럽어권 학습자에 비해 일본어권 학습자에게서 많이 나타났다. 이를 볼 때 순명사절이나 의사명사절보다는 준명사절이 등급 수준과 더 관련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다음은 한국어 학습자의 명사절 오류를 살펴보았는데, 명사절을 사용해야 함에도 이를 사용하지 않는 명사절 미사용의 경우, 등급이 올라가면서 오류율이유의미하게 줄었다. 즉 1급과 2~3급, 4~6급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 명사절의 미사용은 4급 이후에 오류율이 유의미하게 줄어듦을 확인하였다. 이를 볼 때 4급 이후가 되면 한국어 학습자들은 명사절을 어느 정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고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명사절의 과잉사용은 의사명사절이나 준명사절에 비해순명사절의 과잉사용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순명사절의 과잉사용은 고급 단계에 이르러서야 오류율이 유의미하게 줄었다. 그리고 준명사절의 과잉사용은 4 급을 제외하고는 등급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의사명사절의 과잉사용은 등급과 언어권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를 볼 때 한국어 학습자는명사절 중 순명사절을 준명사절이나 의사명사절 혹은 다른 내포절을 대신하여과잉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과잉사용이 고급까지 이어지고 있어 내포절의 변별을 위한 교수가 중급에서부터는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순명사절과 의사명사절의 형태와 결합 오류는 등급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준명사절의 형태와 결합 오류는 5급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볼 때 준명사절은 고급에 이르면 어느 정도 정확성이 높아지나 순명사절과 의사명사절은 고급까지 정확성이 향상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tried to investigate Korean learner`s acquisition of Korean nominal clauses focusing on proficiency and learners` native languages. This study is based on an sample of YSKLI Corpus . The data consist of 1,548 learner texts(163,245 words) selected from YSKLI Corpus, which contains compositions written by Korean learners from Japanese, Chinese, European mother tongue backgrounds. There are three forms in Korean nominal clauses - nominal clauses by``-기, 음``, quasi-nominal clauses by ``-는 것`` and psudo-nominal clauses by ``-은지, -는지, -을지``. And I investigated frequencies of nominal clauses, quasi-nominal clauses and psudo-nominal clauses in Korean learners` corpus. And I analysed Korean learners` errors when they used these clauses. Based on the result of analysing, level 2 Korean learners used nominal clauses and psudo-nominal clauses more than other level learners. On the other hand, the higher level Korean learners used quasi-nominal clauses more. And Japanese Korean learners used the quasi-nominal clauses more than Chinese Korean Learners and European Korean learners. And Korean learners have many errors using nominal clauses in intermediate and high levels as well as basic lev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