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기보육경험 아동의 보육관련 특성, 심리사회적발달 특성에 관한 연구

        김미 ( Kyung-sook Lee ),이경숙 ( Mi-kim ),이선우 ( Sun-woo Lee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10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3 No.1

        만 4-6세 사이의 조기보육경험(18개월 이전) 아동 23명과 후기보육경험(36개월 이후) 아동 23명을 대상으로 보육경험시기에 따른 아동들의 보육관련변인과 전반적인 심리사회적 특성에 대한 차이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조기보육경험 아동은 평균 13개월에 보육을 시작했고 후기보육경험 아동은 평균 38개월에 보육을 시작했으며, 조기보육경험 아동은 평균 41개월 동안 보육을 경험했고 후기보육경험 아동은 평균 20개월 동안 보육을 경험했다. 보육양육특성에 있어서 조기보육경험 아동의 어머니는 일찍 맡긴 이유는 ‘직장’ 때문이고, 후기보육경험 아동의 어머니는 ‘아동의 영향’이었다. 보육기관에 보낸 것에 대한 만족도에 있어서는 두 집단의 어머니가 만족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보육 후 저녁시간 주 양육자는 두 집단 모두 어머니였다. 심리사회적 발달 특성에서 조기보육경험 아동이 후기보육경험 아동에 비해 인지발달 특성인 지능에서 동작성 소검사인 토막짜기의 점수가 높았고, 감각처리능력발달 특성에서 시각/청각 민감성이 더 예민했으며, 정서·행동문제 특성과 보육장면에서의 정서행동·사회성특성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his study examines variables related to child care and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ho experienced child care in child care centers at different times: early child care (before 18 months) and late child care (after 36 months). The subjects are 23 children who had early child care and other 23 children who had late child care. The age of the children ranges from four to six. The early child care began at 13 months and lasted for 41 months, and the late child care began at 38 months and continued for 20 months. It was found that the early child care was mostly caused by lack of time of working mothers. The late child care was motivated by mothers' concerns on the influence of child care experiences in child care centers on children. Mothers of both groups were concerned about social and emotional influences of child care centers on their children. In terms of parent-child interactions, most mothers of the children in the early child care group said that they rarely played with their children at home in the evening. Mothers of both groups responded that they were mostly satisfied with child care centers. It was also found that the major care-giver of the children at home was their mothers. In terms of psychosocial development, the children who experienced early child care produced high scores in block design, showing higher cognitiv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than the children who had late child care. In terms of sensory integration, the children who had early child care showed higher visual/auditory sensitivity than their counterparts. In terms of emotional and social behavior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 KCI등재

        고객경험이 고객 인게이지먼트 및 관계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복합쇼핑몰을 중심으로-

        김우곤,조희영,박노현 한국물류학회 2022 물류학회지 Vol.32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consumers who use the complex shopping mal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customer experience of a complex shopping mall affects customer engagement and relationship continuity intention. As an attribute to measure customer experience, it consists of four factors: educational experience, aesthetic experience, entertainment experience, and escapism experience. A research model was designed. For empirical analysis,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consumers in their 20s to 40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who had experience of using complex shopping malls. 467 copies of the collected valid sample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For data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4.0 and AMOS 24.0.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factors such as educational experience, aesthetic experience, entertainment experience, and escapism experience among the customer experiences of the complex shopping mall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onscious participation of customer engagement. Second, it was found that factors such as aesthetic experience and escapism experience among customer experiences of complex shopping mall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assion of customer engagement. Third, it was found that all factors of the customer experience of the complex shopping mall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ocial interaction of customer engagement. Fourth, it was found that conscious participation, passion, and social interaction factors of customer engagement in complex shopping malls all had a positive effect on relationship continuity intention.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hypothesis presented in this study has been sufficiently proven. 본 연구는 복합쇼핑몰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복합쇼핑몰의 고객경험이 고객 인게이지먼트와 관계지속의도에 대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고객경험을 측정하기 위한 속성으로서 교육적 경험, 심미적 경험, 오락적 경험, 현실도피적 경험 등 4개의 요인으로 구성하였으며, 고객 인게이지먼트는 의식적 참여, 열정, 사회적 상호작용 등 3개의요인으로 구성하여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복합쇼핑몰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서울⋅경기에 거주하는 20대에서40대까지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유효표본 467부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4.0와 AMOS 24.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델(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다음과 같다. 첫째, 복합쇼핑몰의 고객경험 중 교육적 경험, 심미적 경험, 오락적 경험, 현실도피적 경험 등의 요인이 고객 인게이지먼트의 의식적 참여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복합쇼핑몰의 고객경험 중 심미적 경험, 현실도피적 경험 등의 요인이 고객 인게이지먼트의 열정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복합쇼핑몰의 고객경험의모든 요인이 고객 인게이지먼트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복합쇼핑몰의 고객 인게이지먼트의 의식적 참여, 열정, 사회적 상호작용 요인 모두가 관계지속의도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설은 충분히 입증되었다고 할 수 있다.

      • KCI우수등재

        경험은 중요한가?: 원전지역 주민들의 경험 효과에 대한 분석

        설민 ( Min Seol ),김서용 ( Seo Yong Kim ) 한국행정학회 2015 韓國行政學報 Vol.49 No.4

        본 연구는 기존 위험연구들이 지각적 요인을 중시하여 원전주변 지역주민들이 겪는 경험을 간과하고 있다는점에 주목하여 유형별 경험변수가 원자력 수용성(원자력 발전소 수명연장 찬성)과 위험지각 변수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5개의 경험(사고경험, 정보획득경험, 인적네트워크 경험, 발전소 방문경험, 항의경험)을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경험유형별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다섯 가지의 경험은 발전소 수명연장 수용성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는데, 사고경험, 인적네트워크 경험, 항의경험은 負(-)의 영향을, 정보획득경험과 발전소 방문경험은 正(+)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들 변수들 중에서 사고경험과 정보획득경험의 설명력이 높았다. 둘째, 경험은 위험지각 변수들(지각된편익과 위험, 지식, 감정, 신뢰)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사고경험과 정보획득경험은 위험지각변수들을 설명하는데 있어 폭과 강도 측면에서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험변수는 위험지각과 수용성간 관계를 조절하고 있는데, 사고경험은 편익의 수용성 증진효과를 저지시키고, 정보획득경험은 신뢰의수용성 증진효과를 촉진시키는 반면 지각된 위험의 수용성 감소효과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Experience has been neglected because the psychometric paradigm in risk studies has focused heavily on factors related to perception. Hence, our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certain types of experience. We set a pro-attitude toward extended operation of nuclear power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as independent variables, five types of experience related to accidents, information, social network, visit to a nuclear power plant, and protest. Analysis shows that first, the five types of experience significantly influence the acceptance of the extension. Specifically, experience related to accidents, social network, or protest has a negative effect, whereas experience related to information or visiting a nuclear power plant has a positive effect. Second, experience.in particular, accident and information.to a large extent affects risk judgement. Accident experience has a negative effect, whereas experience related to social network, plant visit, or protest has a positive effect. Third, experience moder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benefit, risk, trust, and acceptance.

      • KCI등재후보

        유경험자과 무경험자의 브랜드 정보처리과정의 차이

        현소은(Hyun, Soeun),박성용(Park, Seong Yong) 한국문화산업학회 2014 문화산업연구 Vol.14 No.4

        사전지식, 호감도, 신뢰도의 브랜드 태도 및 구매의도에의 영향을 고려할 때, 기존 연구는 사전지식을 친숙도와 동일시하여 취급하였거나, 이들 변수의 직접적 효과만을 고려하였다. 그 결과, 사전지식과 친숙도를 구분하는 것을 간과하였고, 사전지식과 친숙도, 호감도, 신뢰도와의 상호작용 또는 사전지식의 조절변수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은 단점이 존재한다. 이 연구에서는 사전지식을 무경험과 유경험으로 구분하고, 경험여부에 의하여 구분하여 친숙도, 호감도, 신뢰도의 브랜드 태도 및 구매의도에의 영향을 비교한다. 특히 무경험자의 호감도, 신뢰도, 친숙도가 브랜드 태도와 브랜드 구매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즉 무경험자와 유경험자의 브랜드 정보처리과정에서의 차이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경로분석을 이용하여 호감도, 신뢰도, 친숙도가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간접적 영향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한다. 무경험자는 유경험자에 비해 친숙도, 호감도, 신뢰도에서 낮은 평균값을 가질 것이고, 무경험자에 있어서는 호감도가, 유경험자에 있어서는 신뢰도가 중요하다는 기존연구가 존재하지만, 이러한 결과는 제품유형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저관여 제품, 고관여 제품, 서비스에 따라서 브랜드 평가의 영향력에 대한 결과가 달라질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인식하면서 소주, 에어컨, 헤어숍을 이용하여 가설검증을 시도하여 본다. 분석결과는 제품이나 서비스 경우 모두에서, 브랜드 태도는 브랜드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호감도와 신뢰도는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 저관여 고관여 제품 모두, 무경험인 경우에는 호감도가 영향을 미치고, 유경험인 경우에는 신뢰도가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수이고, 서비스인 경우에는 신뢰도가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수임을 보여주었고, 친숙도는 무경험인 경우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수 임을 보여준다. 그리고 분석결과에 따른 문화적 의미를 무경험자와 유경험자의 차이를 통해 도출하였다. When previous research studies investigated the impact of brand equity compooents such as familirity, favor, trust on brand attitude or purchase intention, they considered only direct impacts of them or they dealt previous experience as familirity. As a result, they failed to differentiate familiarity with previous experience and did not consider the possibility ofmoderating role or interactions of previous experience with the relevant brand equity components. In this research, we divide previous experience into no-experience and experience and estimate the impacts of brand equeity components on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under two different conditions. In particular, there have been no studies on the impacts of brand equity components under no experience situation. First, we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brand equity components between no-experience and experience situation. Then, we explore the possible difference in the brand equity information processing between no-experience and experience. By using path analysis, we propose and test hypothesis on the direct and indirect impacts of brand equity components on dependent variables. No-experence situation has low scores on the familirity, favor, and trust compared with experence situation. There has been several previous research studies that showed that , for no-experience people, favoriteness and for experenced people, trust is important factor and showed that the results depend on the types of products. While recognizing the possibility that results differ according to low-involvement, high-involvement, or service, we test hypothesis using soju, air-conditioner, and hair-shop. E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brand attitude affects brand purchase intention positively, favor, and trust influeces brand attitudes for products and service. For products, in the case of no-expereince, favor and in the case of experience, trust are the important variables, and for services, trust is important variable regardless of involvement. Familiarity is also important variable for no-expereince case. In addition, we discuss the cultural meanings or implications through no-experence and experence difference. 사전지식, 호감도, 신뢰도의 브랜드 태도 및 구매의도에의 영향을 고려할 때, 기존 연구는 사전지식을 친숙도와 동일시하여 취급하였거나, 이들 변수의 직접적 효과만을 고려하였다. 그 결과, 사전지식과 친숙도를 구분하는 것을 간과하였고, 사전지식과 친숙도, 호감도, 신뢰도와의 상호작용 또는 사전지식의 조절변수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은 단점이 존재한다. 이 연구에서는 사전지식을 무경험과 유경험으로 구분하고, 경험여부에 의하여 구분하여 친숙도, 호감도, 신뢰도의 브랜드 태도 및 구매의도에의 영향을 비교한다. 특히 무경험자의 호감도, 신뢰도, 친숙도가 브랜드 태도와 브랜드 구매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즉 무경험자와 유경험자의 브랜드 정보처리과정에서의 차이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경로분석을 이용하여 호감도, 신뢰도, 친숙도가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간접적 영향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한다. 무경험자는 유경험자에 비해 친숙도, 호감도, 신뢰도에서 낮은 평균값을 가질 것이고, 무경험자에 있어서는 호감도가, 유경험자에 있어서는 신뢰도가 중요하다는 기존연구가 존재하지만, 이러한 결과는 제품유형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저관여 제품, 고관여 제품, 서비스에 따라서 브랜드 평가의 영향력에 대한 결과가 달라질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인식하면서 소주, 에어컨, 헤어숍을 이용하여 가설검증을 시도하여 본다. 분석결과는 제품이나 서비스 경우 모두에서, 브랜드 태도는 브랜드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호감도와 신뢰도는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 저관여 고관여 제품 모두, 무경험인 경우에는 호감도가 영향을 미치고, 유경험인 경우에는 신뢰도가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수이고, 서비스인 경우에는 신뢰도가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수임을 보여주었고, 친숙도는 무경험인 경우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수 임을 보여준다. 그리고 분석결과에 따른 문화적 의미를 무경험자와 유경험자의 차이를 통해 도출하였다. When previous research studies investigated the impact of brand equity compooents such as familirity, favor, trust on brand attitude or purchase intention, they considered only direct impacts of them or they dealt previous experience as familirity. As a result, they failed to differentiate familiarity with previous experience and did not consider the possibility ofmoderating role or interactions of previous experience with the relevant brand equity components. In this research, we divide previous experience into no-experience and experience and estimate the impacts of brand equeity components on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under two different conditions. In particular, there have been no studies on the impacts of brand equity components under no experience situation. First, we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brand equity components between no-experience and experience situation. Then, we explore the possible difference in the brand equity information processing between no-experience and experience. By using path analysis, we propose and test hypothesis on the direct and indirect impacts of brand equity components on dependent variables. No-experence situation has low scores on the familirity, favor, and trust compared with experence situation. There has been several previous research studies that showed that , for no-experience people, favoriteness and for experenced people, trust is important factor and showed that the results depend on the types of products. While recognizing the possibility that results differ according to low-involvement, high-involvement, or service, we test hypothesis using soju, air-conditioner, and hair-shop. E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brand attitude affects brand purchase intention positively, favor, and trust influeces brand attitudes for products and service. For products, in the case of no-expereince, favor and in the case of experience, trust are the important variables, and for services, trust is important variable regardless of involvement. Familiarity is also important variable for no-expereince case. In addition, we discuss the cultural meanings or implications through no-experence and experence difference.

      • KCI등재

        고객경험기반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핵심가치 도출 프로세스 연구

        이은실(Eun Sil Yi)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4

        제품이나 서비스의 마케팅 및 커뮤니케이션에 있어기본적인 기준과 방향을 제시하는 브랜드 핵심가치는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중심이 되는 중요한 요인이다. 최근 산업 전반에 걸쳐 고객의 경험을 중시하는 경향과 더불어 브랜드 아이덴티티 역시 고객의 경험을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브랜드의 핵심가치 도출 프로세스 역시 고객의 경험을 중심으로 개발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브랜드 가치는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전개와 활용에 있어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브랜드 가치는 공급자의 목표가 아닌 고객의 경험을 통해 도출되어야 한다는 두 가지 가설을 세우고 고객 경험에 기반 한 브랜드 가치 도출 프로세스를 제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치과용 영상진단 서비스를 대상으로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고객경험에 기반 한 브랜드 핵심가치를 도출하였다. 생산자의 목적을 중심으로 하는 전통적 방식의 브랜드 핵심가치와 대조 되는개념으로, 고객의 경험을 통해 도출되는 고객경험 기반의 브랜드 핵심가치를 도출하는 전략적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 전통적 관점의 브랜드 가치가 제품이나서비스의 특징과 장점을 함축하여 전달하는 메시지라면 경험적 브랜드 가치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경험을통해 고객에게 전달해야 할 감성적인 메시지로 볼 수있다. 고객 경험기반의 브랜드 핵심가치 도출을 검증하기 위한 적용대상으로는 고객 경험의 관여도가 높은 의료서비스 중 치과용 저선량 영상진단 서비스를대상으로 선택하여 진료 현장을 방문하고 고객의 경험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고객 경험 가치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고객경험기반의 브랜드 핵심가치도출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핵심가치는 저선량 영상진단 장비의제품브랜드 혹은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치과병원의 서비스 브랜드 핵심가치가 되어, 첫째, 생산자 및공급자 중심의 브랜드가 아닌 고객 중심의 브랜드 확립을 위한 기본 가치를 제공하고 둘째, 브랜드 플랫폼의 최상위 단계인 브랜드 핵심가치를 판단하고 결정하는 기준이 되어 주며 셋째, 다양한 브랜드 마케팅및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에 있어 고객의 경험을 중심으로 하는 방향성을 제공함으로써 일관성 있는 브랜드 활동과 관리가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Brand core value, guiding directions and fundamental standards for product/service marketing and communications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brand identity design. Recently, with the whole industry tending to focus on customer experiences brand identity is doing so, and the deriving of brand core values must be developed to focus on customer experiences. To this end, this study established two hypotheses -the brand is an important factor that plays a key role in the utilization and development of brand identity design and brand value should be derived from the customer experience not the objectives of the provider- and then suggested a brand value deriving process which is based on customer experience. To verify this process, it is applied on a dental imaging services and brand core value based on customer experience is derived. Unlike the traditional way of brand core value deriving, which focuses on the producer’s purpose, this study shows a strategic framework for deriving brand core value through customer experience. When the traditional view of the brand values implies the features and benefits of the product or service, the experiential brand core value is an emotional message delivered to customers through the experience of the product of service. The low-dose imaging dental health care services, showing high involvement of the customer experience, selected to verify the framework and customer experiential value is derived through medical site visits, customer research and analysis. Based on this experience, the deriving of brand core value based on customer experience process is suggested. Core value derived by this way is a service brand core value of dental clinics that provide products or services in such low-dose imaging equipment, so that first, producers and suppliers can be provided a default value to establish a customer-based brand and second, provides a standard to determine and select brand core value which is the highest level of brand platform, and third, at brand marketing and brand communications, provides a customer experience-based direction to enable consistent brand activity management.

      • KCI등재

        소매점포의 고객경험관리를 통한 점포몰입 증대 방안에 대한 연구

        신종국,오미옥 대한경영정보학회 2015 경영과 정보연구 Vol.34 No.1

        본 연구에서는 소매점포 내 고객경험을 개인적 차원에서 획득되는 쾌락적․경제적 경험과 타인과의 공유를 전제로 하는 사회적 차원의 상징적․관계적 경험으로 구성하고, 경험의 각 구성개념들과 경험의 결과로 형성되는 점포에 대한 태도 및 애착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점포태도에는 개인적 차원의 경험과 사회적 차원의 경험이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점포애착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경험의 구성개념들중에서 사회적 차원의 상징적․관계적 경험이 개인적 차원의 쾌락적․경제적 경험보다 점포 애착에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점포몰입에 있어서도 점포태도보다 점포애착의 영향이더 큰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탁월한 고객경험의 제공을 통해 고객애호도를 구축하고 고객과의 장기적인 관계를 발전시켜 나가고자 하는 소매업자라면 단순히 경제적 경험, 쾌락적 경험만이 아니라 고객에게 사회적 차원의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tries to explain customer experience in retail stores from a holistic perspective including hedonic, economic, symbolic, and relational dimensions. We also attempt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effect of each dimension of customer experience on the store attitude and store attachment and the differential influence of the store attitude and attachment on the commitment toward store. The major findings from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ll four dimensions of customer experience positively impact on the store attitude. Second, symbolic and relational dimensions of customer experience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tore attachment while hedonic and economic dimensions don't. Third, the store attachment more positively influence the commitment toward store than the store attitude do. This paper extends the scope of the study on consumer experience in retail setting by broadening the dimensions of it and testing the differential effect of each dimensions empiricall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provide useful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to build successful strategies on customer experience management in retail stores.

      • KCI등재

        경험디자인 구성요소와 VMD공간 구성요소 간의 상관관계 중요도 사례 연구 - 의류브랜드 공간을 중심으로 -

        김운걸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3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 rapid changes in consumption spaces have highlighted customer sensitivity. In addition, appropriate space marketing is required in combination with a corresponding amount of design experience. In response to these conditions, company brands want to offer competitive, positive customer experiences. For example, we try to offer excellent products and various customer experiences in store spaces during sales exhibitions. As such, companies are focusing on visual merchandising as a means of experience design, based on consumer sensibility and the percep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that are necessary to effectively communicate with consumers. This study focuses on experience design based on customer experiences and examines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merchandising and sales promotion through case analysis.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visual merchandising based on experience design in sales spaces. (Method) The research methods were selected based on experience design and visual merchandising by finding and selecting major clothing brand cases in exhibition spaces where products are sold. In clothing brands’ sales spaces, which are the locales for customer experience and sales exhibition, the experience design component was applied to analyze the cases that reflect visual merchandising characteristics. In addition, performing quantitative evaluation and diagram analysis on the cases facilitated an examination of the characteristics and important implications that can be derived from the results. (Results) The study’s results, according to cas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experience design components are very important to the item in the order of informativity, sensibility, interactivity, associativity, dynamics, and non-dailiness. The visual merchandising characteristics were weighted according to their importance in the order of items such as EP Zone, VP Zone, PP Zone, HS Zone, FP Zone, and IP Zone. This demonstrates that there is a need to re-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and the EP Zone, which is a staging area for experience and information within the store space, based on the consumer experience design. In other words, it is essential to provide new information and experiences in the store that trigger purchasing behavior. It is also necessary to provide a store space where people can experience products and brands. (Conclusions) In sum, there is a need for a strategic thinking marketing design that considers experience design and visual merchandising for the promotion of sales in sales exhibition spaces through a sensitivity that is rooted in the overall consumer experience. As such, when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strategic thinking in the above-described approach to design marketing, the experience design is based on customer sensibility and consumer experiences. This will allow for the establishment of a sales space atmosphere that brings efficiency to a positive consumption and sales environments. (연구배경 및 목적) 급변하고 있는 최근의 소비 공간은 고객의 감성에 주목한다. 또한 이에 부합하는 체험의 디자인으로 적절한 공간마케팅을 필요로 한다. 이에 기업이 만들어낸 브랜드들은 경쟁적으로 긍정적인 고객경험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테면, 판매전시를 위한 매장공간에서 다양한 고객경험과 더불어 우수한 상품들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처럼 소비자의 감성과 지각에 기초한 경험디자인과 이를 소비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으로써 비주얼 머천다이징에 주력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고객체험에 기초한 경험디자인에 주안점을 두고 판매촉진을 위한 비주얼 머천다이징 간의 상관관계에 따른 중요도를 사례분석을 통하여 살펴본다. 그리고 판매 공간에 있어 경험디자인에 기반 한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중요성 인식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먼저 경험디자인과 비주얼 머천다이징을 바탕으로 상품판매를 위한 전시공간의 주요 의류브랜드 사례를 찾아 선정한다. 그리고 고객경험과 판매전시를 위한 의류브랜드의 판매 공간에 있어 경험디자인 구성요소가 적용되어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특성이 반영된 사례를 분석한다. 아울러 사례의 정량적인 평가 및 다이어그램 분석으로 그 결과에 따른 특성과 중요도를 살펴본다. (결과) 사례분석에 따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경험디자인의 구성요소는 정보성, 감각성, 상호작용성, 연상성, 역동성, 비일상성의 순서로 그 항목에 있어 중요도가 높았다. 그리고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구성요소는 EP존, VP존, PP존, HS존, FP존, IP존의 항목순서로 그 중요도에 따른 가중치가 높았다. 이는 소비자의 경험디자인에 기초한 매장 공간 내 정보성과 체험의 연출공간인 EP존 등과의 상관관계에 따른 그 중요성을 재인식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즉, 매장 내 새로운 정보와 경험으로 구매행위를 유발하는 요소의 제공이 필수인 것이다. 또한 상품과 브랜드를 체험하는 매장공간의 제공이 필요한 것이다. (결론) 결국 총체적인 소비자의 체험에 기반 한 감성을 통하여 판매전시 공간에서의 경험디자인과 판매촉진을 위한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관점에서 들여다보는 마케팅적인 전략적 사고의 디자인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경험디자인은 이러한 디자인마케팅의 전략적 사고 관점에서 살펴볼 때 고객감성과 체험에 기초한다. 그리고 이는 긍정적인 소비판매의 환경으로 효율을 가져다주는 판매 공간의 환경구축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관광경험 결과에 따른 관광객의 재방문의도 차이 분석

        한경,양위주 동북아관광학회 2015 동북아관광연구 Vol.11 No.1

        관광경험은 관광객의 태도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 본 연구는 관광경험의 수준에 따른 재방문의도의 차이를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문헌조사와 기존연구를 통해 연구목적에 부합된 연구가설을 도출하여 연구모형을 수립한 후 관련 변수를 추출하여예비조사와 본 조사를 통해 완성된 설문지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요인분석과분산분석을 통해 도출된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요인분석을 통해네 개의 요인, 즉, 즐거운 경험, 탐구적 경험, 해방감 경험과 현지이해 경험 등의 요인들이 도출되었다. 네 개 요인 간 차이 분석을 위해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재방문의도는 관광경험의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즐거운경험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러나 다른 세 개의 요인 또한 관광경험에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관광객의 태도에 대한보다 나은 이해를 위해서는 관광경험의 수준에 간 보다 세밀한 관계를 연구가 요구되며, 재방문의도는 관광목적지에서의 관광객의 체류일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어 향후 이에 대한 보다 심도 깊은 연구가 요구된다. Tourism experience i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judgement of tourist's attitude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re-visit intention by way of the levelof tourism experience. Factor analysis was used for this purpose. Four factors wereobtained such experiences as hedonic, learning, escape, and understanding. And thenANOVA were used for the evaluation of differences between different factors. Resultsof these findings showed that level of re-visit intention was different from the level oftourism experiences and also suggested that hedonic experience was the most importantfactor but other experiences were also significantly important for the tourist'sexper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it wa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more detailed function among the level of tourism experiences for the purpose ofbetter understanding the tourist’s attitudes. Also the re-visit intention could be differentfrom the tourists by the number of days of visitation.

      • KCI등재

        내러티브 탐구를 통한 교수 경험에 대한 성찰

        염지숙,Mitton-Kukner,Jennifer,Yi Li 한국교원교육학회 2007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각기 다른 세 가지 문화적 상황에서 가르쳤던 연구자들의 교수경험을 성찰함으로써, 그 경험이 새롭고 낯선 교수 상황에서 가르치고 있거나, 가르치게 될 교사와 교사교육자들에게 의미하는 바를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는 먼저 낯선 상황에서 가르치며 혼란스럽고 불확실했던 우리의 교수경험에 대한 이야기를 공유하였다. 그리고 나서 그러한 혼란스러움과 불확실함에서 벗어나기 위해 우리가 교사로서 또는 교사교육자로서 추구했던 교수실천에 대한 이야기를 공유하였다. 교수 경험의 공유와 성찰적 대화를 통한 본 연구에서, 가르치며 배우는 일은 우리의 경험, 즉 우리의 교수를 향상시키는 것과 관련된 사고, 느낌, 행위가 포함된 경험을 통해 서서히 나타난다(Dewey, 1988)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새로운 상황에서 가르치고 배우는 일과 우리의 경험에서 희망을 찾는 일은 성찰적으로 일어난다(Nunn, 2005)는 사실과 내러티브적으로 구현된 지식은 저절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맥락 내에서의 경험과 그 경험에 대한 성찰을 통해 얻어질 수 있다(Huber, Steeves, Clandinin, & Huber, 2005)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인과관계와 경험: 흄과 화이트헤드의 경우

        문창옥 ( Chang Ohk Moon ) 한국동서철학회 2012 동서철학연구 Vol.65 No.-

        화이트헤드는 흄에 의해 정리된 고전 경험론의 기본 이념을 수용하여, 경험에서 발견되지 않는 요소를 철학적 도식에 받아들여서는 안된다고 주장한다. 흄이 인과관계의 필연성을 의심한 것은 정당했다. 우리는 과거와 현재의 경험으로부터 미래의 경험을 연역할 어떤 실마리도 발견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지금의 이 우주를 우연적인 세계로 경험할 뿐이다. 그것이 머금고 있는 모든 질서 또한 마찬가지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화이트헤드는 고전 경험론의 세부적인 원리들에 대해서는 대체로 비판적인 입장을 취한다. 이런 비판적 시각은 흄의 인과관계 분석의 불충분성을 비판하는 데서 정점에 이르고 있다. 그는 지각경험을 다시 분석함으로써 흄이 간과해버린 1인칭 시점의 지각경험을 부각시킨다. 이것은 인과적 효과성의 지각으로, 명석 판명한 지각, 즉 현시적 직접성의 지각의 토대가 되는 일차적 근원적 경험이다. 인과적 효과성의 지각을 분석하고 설명하는 가운데 화이트헤드는 인과관계, 또는 인과적 힘을 결코 경험할 수 없다는 흄의 주장을 거부하고 인과관계의 실재성과 인식가능성을 논증한다. 무엇보다도 우리는 이 경험 양태를 통해 환경세계로부터 주어지는 인과적 힘을 경험한다. 흄은 경험의 이런 근원적 측면을 무시하고 경험을 오직 현시적 직접성의 양태로만 분석하였고, 그 결과 환경세계로부터 주어지는 힘에 대한 우리 자신의 경험이 인과관계를 예증하는 가장 기본적인 경험사건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깨닫지 못했다. A N. Whitehead accepts the basic principles of the early modem empiricism that Hume established, and he asserts that we should not endorse any element which could not be found within experience. Then, our present experience affords no intellectually satisfactory ground for presupposing that the general pattern of our present world will hold in the future. Hume was, thus, fully justified in placing the necessity of causal relation in doubt. The order of our world itself is contingent But Whitehead criticizes some of the detail principles of the early modern empiricism. His attack against these principles reaches the peak in criticizing the inadequacy of the analysis of the causal relation that Hume exhibits. He analyses our immediate experien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irst person, and discloses the perception in the mode of causal efficacy which Hume missed This mode of perception, though vague, is more fundamental and primitive than the clear and distinct perception And the latter perception, called the mode of presentational immediacy, is derived from the former, that is the causal perception. Based on the analysis and explanation of this causal perception, Whitehead denies Hume`s assertion that we can never experience the causal relation, and argues that the causation is real and able to be experienced. this Above all, we perceive the causal power of the environmental world given through this immediate experience. Hume neglected this immediate aspect of our experience, and only concentrated on the mode of presentational immediacy. In result, he failed to understand that our immediate experience of the power of the environment itself illustrates the causal relation immanent in n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