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저소득 가구의 가족갈등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오미옥,이진향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dentifies the factors that influence family conflicts in low-income household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family conflicts can be strengthened or reduced through interactions with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surrounding family as well as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family members. A total of 3,596 cases were analyzed using some of the household and household data among the data 'Korean Welfare Panel Study Ver.Ⅸ'.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set as control variables, and the effects of family internal factors (economic difficulties,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family external factors (social relations satisfaction, leisure life satisfaction, welfare service use) on family conflict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economic difficulties among family facto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family conflicts among low-income households. Second, among the factors outside the family, satisfaction with social acquaintances and the use of welfare servi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family conflict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본 서식은 본 연구는 가족갈등이 가족 구성원 개인특성 뿐 아니라 가족을 둘러싸고 있는 내외적 요인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강화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는 가정을 바탕으로, 저소득 가구의 가족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한국복지패널 9차 자료 중 가구용 및 가구원용 데이터의 일부를 활용하여 총 3,596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의 개인 특성을 통제변수로 설정하고, 가족 내 요인(경제적 어려움, 가족관계 만족)과 가족 외부요인(사회적 친분관계 만족, 여가생활만족, 복지서비스 이용)이 가족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가족 내 요인 중 가족관계 만족과 경제적 어려움이 저소득 가구의 가족갈등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가족 외부 요인 중에서는 사회적 친분관계 만족과 복지서비스 이용이 가족갈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시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에 대한 시사점 및 한계점 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친환경 비주얼 머천다이징(VMD)이 친환경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오미옥,신종국 한국자료분석학회 2018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0 No.5

        More and more consumers view environmentalism as valuable and more and more companies spur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green marketing strategy. This study focuses on eco-friendly VMD (visual merchandising) marketing strategy of retailers.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eco-friendly VMD benefits influence pro-environmental consumerism by mediating consumers’ intrinsic/extrinsic shopping value percep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320 respondents who have visited retail stores with eco-friendly VMD in the last one month. Statistical analysis shows that eco-friendly VMD benefits consisted of economical, informational, psychological, and social benefit have a positive effect on intrinsic and extrinsic shopping value perception. And both intrinsic and extrinsic shopping value percep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pro-environmental consumerism intention. The psychological benefit of eco-friendly VMD has the most influence on intrinsic shopping value perception while informational benefit and economical benefit have a strong effect on extrinsic shopping value perception. And perceived intrinsic shopping value shows greater influence than extrinsic shopping value on pro-environmental consumerism intention. 본 연구는 소비자의 친환경 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요인의 선행변수로서 소매점포의 친환경 VMD의 혜택이 소비자의 쇼핑가치 지각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고, 친환경 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지각된 쇼핑가치를 외재적 가치와 내재적 가치로 구분하여 이 두 가지 유형의 가치 중에서 어떠한 유형의 가치가 친환경 소비행동을 더 잘 예측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친환경 VMD 매장 이용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 32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친환경 VMD에 대한 경제적, 정보적, 심리적, 사회적 혜택 지각은 지각된 쇼핑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지각된 쇼핑가치는 친환경 소비행동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환경 VMD에 대한 지각된 혜택이 내재적 쇼핑가치 지각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 심리적 혜택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친환경 VMD에 대한 지각된 혜택이 외재적 쇼핑가치 지각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 정보적 혜택과 경제적 혜택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각된 쇼핑가치가 친환경 소비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내재적 가치가 외재적 가치보다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사회적 자본이 거제지역 복지거버넌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오미옥,이진향 한국자치행정학회 2013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7 No.3

        본 연구는 거제지역 주민이 인식하는 사회적 자본이 거제지역 복지거버넌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거제지역 주민 399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에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회적 자본은 네트워크, 신뢰, 협력의 세 차원으로 구성하였으며, 복지거버넌스는 자발적 참여, 복지네트워크, 협력의 구성요소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 자본의 네트워크와 협력이 복지거버넌스의 자발적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인 신뢰와 협력은 복지거버넌스의 복지네트워크에 유의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 거제지역의 복지거버넌스 구축을 위해서 지역주민들의 네트워크, 신뢰, 협력을 더욱 촉진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보육교사의 직무에 대한 인식 유형

        오미옥,신원식 한국보육지원학회 2010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6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보육교사들의 ‘직무'에 대한 인식 유형을 파악하고 그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보육교사 역할에 대한 재분석을 하는 것이다. 이를통해 보육교사 보수교육, 전문성 향상 교육의 내용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보육교사의 직무와 관련하여 엄선된 36개의 진술문(statement)을 가지고, 17명의 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Q 분류를 하게 하였다. 분석결과, Q 방법론을 통해 보육교사의 직무에 대한 주관적 인식유형과 그 특성은다음 세 가지로 나타났다. 첫째 유형은 ‘전문적인 교육 지향형’으로, 이 유형의보육교사들은 유아를 위한 개별지도를 위해 보육교사가 아동발달에 관한 전반적인 지식을 갖추어야 하며, 자기 장학이나 연구회 활동을 통해 교사의 전문성을추구해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유형은 ‘안전 및 보호 지향형’으로, 이유형의 보육교사들은 유아를 보호(care)하는 역할에 중점을 두고, 보육시설에서의 안전과 청결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또한 부모와 협력적인 관계를 통해 영유아 보육을 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유형은 ‘일상생활 및 성장 지향형’으로,이 유형의 보육교사들은 유아의 일상적인 생활을 지도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통해 영유아의 성장을 추구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주는 함의는 첫째, 보육교사 양성 프로그램을 재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둘째,유아의 발달단계에 따른 보육교사의 직무 매뉴얼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보육교사들의 직무에 대한 인식유형을 파악하고, 유형별 전문성 향상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 KCI등재

        박근혜 정부 기초연금제도의 정책쟁점에 대한 연구

        오미옥(吳美玉),이수경(李壽京) 한국정책과학학회 2015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9 No.3

        이 글은 2014년 7월부터 시행되고 있는 박근혜 정부 기초연금제도의 정책쟁점을 분석하였다. 우선 기초연금제도의 성격을 규명하고 제도의 정책쟁점을 중심으로 앞으로의 기초연금제도가 개혁되어야 할 방향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도의 보편성 측면에서 기초연금이 보편적 소득보장기능이 약화되는 쪽으로 진행되면 한국의 노인빈곤 문제는 고착화 될 수 있다. 둘째, 급여의 적절성 측면에서 노인빈곤율을 낮추는 방향으로 연금제도의 적정 소득대체율 설정이 필요하다. 셋째, 제도의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정부는 재정부담을 이유로 복지를 축소하려는 시도로서 연금제도를 선별적 제도로 귀착시켰다. 이러한 정책적 한계는 기초연금의 도입과정에서 공적노후보장제도의 심도 있는 사회적 합의 없이 제정된 것에 연유하므로 정책쟁점을 중심으로 향후 구체적인 제도 개혁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se policy issues of basic pension system under Park, Guen-hye government being forced from July, 2014. At the beginning, it identifies the nature of basic pension system, and focusing on policy issues in the system, it suggests the direction to which the basic pension system has to be reformed in the future.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universality, if the basic pension is progress toward the direction which weaken the universal income security features, elderly poverty in South Korea can be solidified. Second, in terms of the adequacy of benefit, it needs adequate income replacement rate of the pension system being set in the direction of lowering the poverty rate for the elderly. Third, in terms of sustainability of the system, the government has returned the pension system to selective one as trial of welfare reduction from the reason of financial burden. This study suggests that it will be needed to reform specific system on the focus of policy issues, as this limitation was that policy was enacted without in-depth social consensus of the public old age security system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basic pension system.

      • KCI등재
      • KCI등재

        사회갈등이 협력적 거버넌스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오미옥 대한지방자치학회 2020 한국지방자치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한국행정연구원에서 실시한 2019년 사회통합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사회 갈등이 협력적 거버넌스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들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 (참여, 네트워크, 신뢰)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사회갈등은 협력적 거버넌스에 직접적인 부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자본은 참여, 네트워크, 신 뢰의 3개의 하위요인 중, 참여와 신뢰만이 협력적 거버넌스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나타내 었다. 셋째,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참여와 신뢰 변수가 사회갈등과 협력 적 거버넌스 간의 관계에서 완충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 협력적 거 버넌스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참여와 신뢰의 사회적 자본을 더욱 촉진할 필요성 이 제기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