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기술분야 연구개발 인력의 만화경 경력 태도, 무형식 학습 활동, 전문직 정체성 및 주관적 경력 성공의 구조적 관계

        이수영 ( Lee Suyoung ),임은섭 ( Lim Eunseob ),전승현 ( Jeon Seunghyun ) 한국인력개발학회 2023 HRD연구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기술분야 연구개발 인력의 만화경 경력 태도, 무형식 학습 활동, 전문직 정체성 및 주관적 경력 성공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만화경 경력 태도와 주관적 경력 성공의 관계에서 무형식 학습 활동과 전문직 정체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설문조사는 2022년 10월 25일부터 26일까지 실시되었으며, 총 464개의 응답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응답의 분석을 위해 SPSS 및 Process Procedure for SPSS를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 분석, 상관관계 분석, 매개 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화경 경력 태도의 진정성은 주관적 경력 성공에 유의한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무형식 학습 활동과 전문직 정체성을 통해 간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만화경 경력 태도의 균형은 주관적 경력 성공에 유의한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무형식 학습 활동을 통해 간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만화경 경력 태도의 도전은 주관적 경력 성공에 유의한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무형식 학습 활동과 전문직 정체성을 통해서도 간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기술분야 연구개발 인력의 전문직 정체성을 증진하고 경력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kaleidoscope career attitude, informal learning activity, professional identity,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of researchers in science and technology. To accomplish the research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informal learning activity and professional identity on the between kaleidoscope career attitude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Through the survey questionnaires, data for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464 researchers in science and technology from member DB of KIRD learning platform, alpha-campu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25 to 26, 2022.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uthenticity indirectly affects subjective career success through informal learning activity and professional identity. Second, balance indirectly affects subjective career success through informal learning activity. Third, challenges directly affect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indirectly affects subjective career success through informal learning activity and professional identit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several implications to support career development of researchers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enhance their professional identity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 KCI등재

        여성관리자의 자기효능감과 리더십 역량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경력개발활동의 매개효과

        김지영,강혜원,박윤희 한국인력개발학회 2024 HRD연구 Vol.26 No.1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and leadership competency for women managers on job attitudes and tested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velopment activities. For this stud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nalyzed for 1,144 women of the 6th and 7th Korean Women Manager Panel (KWMP) survey, which was conducted by the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KWDI). To enable a longitudinal study, the hypothesis was tested using the 6th KWMP for independent variables and parameters and the 7th KWMP for 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women managers'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areer development activities, bu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job attitudes. Second, women managers' leadership competency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career development activities and job attitudes. Third, women manager's career development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attitudes. Fourth, career development activities of women managers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job attitudes, an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competency and job attitud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and follow-up research was suggested. 이 연구의 목적은 여성관리자의 자기효능감과 리더십 역량이 직무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자기효능감 및 리더십 역량과 직무태도의 관계에서 경력개발활동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수집한 여성관리자패널조사 6, 7차 중 1,144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다. 종단적 접근이 가능하도록 독립변인과 매개변인은 6차 데이터를 활용하고, 종속변인은 7차 데이터를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여성관리자의 자기효능감은 경력개 발활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직무태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여성관리자의 리더십 역량은 경력개발활동과 직무태도에 각각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성관리자의 경력개발활동은 직무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여성관리자의 경력개발활동은 자기효능감과 직무태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리더십 역량과 직무태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조직성과에 선행되는 긍정적인 직무태도를 위해서는 여성관리자의 자기효능감과 리더십 역량 강화와 동시에 지속가능한 경력개발활동을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외에도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여성 관리자 경력개발활동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 지원 행태 연구: 일-가정 양립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오현규,신유정,김화연,박성민 한국국정관리학회 2016 현대사회와 행정 Vol.26 No.4

        오늘날 한국 사회의 여성들은 상대적으로 남성에 비해 일과 가정에서의 두 가지 역할을 함께 수행하는 것에 많은 장애와 제약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자연스럽게 여성들로 하여금 경력개발 및관리에 많은 어려움을 겪게 만들고 있다. 본 연구는 여성 관리자들의 적극적인 경력개발활동을 장려할 수 있는 방안 마련에 대한 고민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여성 관리자가 가정 및직장에서 가장 밀접히 상호작용하는 주체들(가족, 직속상사, 최고경영자)로부터의 지원 행태를 경력개발활동의 선행요인으로 구성하여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는 가족 지원, 직속상사 지원, 최고경영자 지원을 주요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이러한 지원의 결과로 일-가정 양립이 가능해지고 결국 여성 관리자의 원활한 경력개발활동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분석결 과, 가족・직속상사・최고경영자 지원은 일-가정 양립을 가능하게 도와주고, 일-가정 양립은 적극적인 경력개발활동을 할 수 있도록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여성 관리자에 대한 가족의 지원은 일-가정 양립을 매개하여 경력개발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가족, 직속상사, 최고경영자의 역할이 여성 관리자의 일-가정 양립과 경력개발활동에 몹시 중요함을 확인하였고, 이를 토대로 다양한 이론적・실무적・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유자녀 여성관리자의 경력개발활동에 영향을 미치는요인에 대한 구조적 관계 분석

        구유정,김지영,김이주 한국직업교육학회 2018 職業 敎育 硏究 Vol.3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career development activities of married managerial women with one or more children. The study analyzes the structural casual relationship among horizontal organizational culture, supervisor support, workplace satisfaction, occupational self-efficacy, and career development activities. Data of from Korean Women Manager Panal(KWMP) research were used from which a total number of 998 married managerial women with child were subject to analysis. The research hypothesis was verified through Structure Equation Modeling(SEM)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orizontal organizational culture and supervisor support have significant positive(+) affect on workplace satisfaction and occupational self-efficacy. Second, occupational self-efficacy significantly affected career development activities. Third, workplace satisfaction and occupational self-efficacy had mediating effect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horizontal organizational culture and career development activities. At last, workplace satisfaction and occupational self-efficacy had mediating effect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 support and career development activities. Based on such resul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여성들의 경력개발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보고된 수평적 조직문화와 상사의 지원이 직장만족과 직무효능감을 매개로 경력개발활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유자녀 여성관리자를 대상으로수평적 조직문화와 상사의 지원이 직장만족과 직무효능감을 매개로 이들의 경력개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하는 「여성관리자패널조사」 5차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했다. 유자녀 여성관리자 총 998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평적조직문화와 상사의 지원은 직장만족과 직무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효능감은 경력개발활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장만족과 직무효능감은 수평적 조직문화와 경력개발활동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장만족과 직무효능감은 상사의 지원과 경력개발활동을 매개했다. 연구결과를 통해 직장 내에서 유자녀 여성관리자들의 경력개발활동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모색하고, 후속연구를 위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

        평생교육 프리랜서 강사의 강의 경력별 자기 개발 활동 요구도 우선순위 분석

        김종현,엄우용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19 Global Creative Leader Vol.9 No.4

        본 연구는 평생교육 프리랜서 강사가 필요로 하는 자기 개발 활동과 그 활동의 강의 경력별 우선순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문헌연구와 평생교육 관련 전문가 집단의 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해 작성된 자기 개발 활동 설문을 전국 402명의 평생교육 프리랜서 강사를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과 t-검정을 시행하였고, 우선순위 도출을 위해 Borich 요구도 공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통적으로는 ‘강사 차별화 및 브랜드 마케팅 활동’, ‘개인 자질향상을 위한 여가활동’, ‘인맥 관리 활동’이 평생교육 프리랜서 강사가 지각하는 활동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한편 강사의 강의 경력이 길어짐에 따라 ‘인맥 관리 활동’에 대한 요구도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강사 차별화 및 브랜드 마케팅 활동’은 모든 강의 경력단계에서 지속적으로 우선순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전문지식 습득 활동’, ‘교안 개발 및 보고서 작성능력 향상 활동’, ‘강의기술 향상 활동’은 다른 활동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우선순위로 나타났으나 강의 경력단계에 따라 그 우선순위가 변화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elf-development activities required by freelance instructors for lifelong education and the priorities by teaching career. A survey of self- development activities completed through the literature research and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the lifelong education experts was conducted for 402 lifelong education freelance instructors nationwide. For the data analysis, a reliability analysis and t-test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and the Borich's formula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were used to derive the prior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Overall, differentiation and brand marketing activities, leisure activities to improve personal quality, and network management activities showed high demands for activities perceived by lifelong education freelance instructors. Meanwhile, as the lecturer's career increased, the demand for network management activities increased. An instructor’s differentiation and brand marketing activities consistently showed the highest priority in all teaching career levels. In addition, professional knowledge acquisition activities, activities for teaching plan designing and report writing ability improvement, and teaching skill improvement activities showed relatively lower priorities than the other activities, but the priorities of the three activities were changed by the teaching career level.

      • KCI등재

        주도성 및 개방성과 시간조망 및 프로틴 경력지향이 미래경력설계에 미치는 영향

        김수진,이주일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베이비부머의 미래경력설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심리적 요인들을 분석하는데 있다. 미래경력설계는 경력계획, 경력개발, 활동적 노년의향으로 구성하였다. 성격-신념-행동 모형을 바탕으로, 세 가지 미래경력설계에 영향을 미치는 성격특성으로는 주도성과 경험에 대한 개방성을 선정하였고, 두 성격특성과 미래경력설계 사이에서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 신념 요인으로는 프로틴 경력지향, 미래시간조망, 그리고 경력미래시간조망을 선정하였다. 미래경력설계와 성격 변인 사이의 신념 요인들의 매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 매개 분석을 하였다. 현직에서 일하고 있는 베이비부머 203명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틴 경력지향, 미래시간조망, 경력미래시간조망 모두 주도성과 개방성, 두 가지 성격특성과 경력계획 사이에서 완전 매개 효과를 보였다. 둘째, 두 가지 성격특성과 경력개발 사이에서 프로틴 경력지향과 경력미래시간조망은 부분매개를 보였다. 셋째, 주도성과 활동적 노년의향 사이에서는 미래시간조망과 경력미래시간조망은 부분매개효과를 보였으나, 개방성과 활동적 노년의향 사이에서는 세 가지 신념 모두 매개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년의 경력 관리에 있어 성격특성과 신념이 미치는 효과를 밝혔으며, 동시에 베이비부머의 경력 관리 행동이 성격-신념-행동의 모형에 따라 이루어짐을 발견하였다. 종합적으로 베이비부머들의 노년기 경력관리에 심리적 특성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초등교사의 체육 수업 전문성 개발 방향 탐색

        장경환,이옥선 한국초등체육학회 2014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의 교직 경력단계 관점에서 공통적이거나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체육 수업 전문성 개발의 방향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초등교사를 교직 경력에 따라 5년 이하의 초임기 교사, 6~10년의 성장기 교사, 11~20년의 성숙기 교사, 21년 이상의 원숙기 교사의 네 단계(박홍희, 2009; 이경화 외, 2012)로 분류하고, 각 단계별로 4명씩, 총 16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여 심층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체육 수업 전문성 개발의 측면은 형식적 차원의 활동과 비형식적 차원의 활동(Akiba, 2012)으로 나누어 교직 경력단계에 따른 초등교사의 체육 수업 전문성 개발의 방향을 탐색하였다. 먼저 경력단계와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필요한 토대로써 형식적 차원에서는 교원 연수의 다양성과 차별성 제고 및 실제 수업과의 연결성을 강화한 프로그램의 제공, 그리고 성장의 계기를 통한 전문성 신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비형식적 차원에서는 개인적 만남을 통한 체육 이야기 나누기, 동학년 학습공동체를 통한 배움의 관계 형성하기, 스포츠 활동 실천을 통한 운동소양 함양하기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경력단계에 따라서는 흥미위주에서 교육과정을 실현하는 교과관의 지향, 결핍을 보충하는 지식에서 성장을 추구하는 지식의 지향, 형식적·확장적 참여 방식에서 비형식적·선택적 참여의 지향이 방향성으로 논의되었다.

      • 공무원의 조직지원 및 인적자원개발활동에 대한 인식 수준이 개인 가치적합성 및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공개경쟁채용자와 경력경쟁채용자 차이를 중심으로

        강나율 ( Kang Na Yul ),이지안 ( Lee Ji An ),유정환 ( Ryu Jung Hwan ),박성민 ( Park Sung Min ) 한국행정학회 2022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2 No.1

        공직자의 전문성은 개인의 역량 및 능력이자 나아가 소속 조직의 성과향상에 기여하는 핵심적인 요소 중 하나이다. 과거 단조롭고 예측 가능했던 행정수요가 변화무쌍하고 다양해짐에 따라 그 어느 때보다 공직사회와 공직자의 전문성에 대한 관심도 증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공직사회는 계급제 하에서 이루어지는 순환보직제도 등으로 인해 전문성을 축적하기 어렵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이에 따라 직위분류제적 요소를 적용한 전문직위제도와 같은 개방형 인사제도를 도입함으로써 공직사회의 전문성을 확보하고자 입직 경로를 다양화하고 있다. 최근의 선행연구들에 따르면 개방형 인사제도가 실제로 전문성을 제고하는지에 대한 효과가 불분명하며, 오히려 국정운영의 패러다임이 관료제에서 거버넌스로 바뀌고 있는 시점에서는 일반행정가(generalist)로서의 능력 또한 전문성의 영역으로 여겨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국, 전문성의 개념은 단순히 입직경로에 따라 정해지는 것으로 볼 수 없으며 공직사회에서 이바지하고 있는 공직자들이 지속적으로 전문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및 인적자원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공무원의 전문성을 제고시키기 위해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적 측면에서 접근하고자 공개경쟁채용자와 경력경쟁채용자 간에 차이가 존재하는 지를 함께 검토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조직지원과 인적자원개발활동에 대한 인식수준이 전문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개인-직무적합성이 개인-조직 적합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며, 개인-직무적합성과 개인-조직 적합성이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과 더불어 조직지원 및 인적자원개발활동이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개인-직무적합성과 개인-조직적합성이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논의 및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도출된 가설을 경험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t-test 분석)과 공분산구조분석 및 다중집단분석,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공개경쟁채용자와 경력경쟁채용자들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측면에서의 이론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경력 미래시간 조망, 직무 태도, 및 경력 개발 활동의 관계

        박인조,이주일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8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s of career future time perspective on occupational self-efficacy, organizational commitment, career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and career development. Data was collected from full-time employees (N = 400) working at various private companies through online survey. The results from path model showed that career future time perspective influenced occupational self-efficacy, organizational commitment, career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and career development. Additionally, the results from multi-group analysis indicated that the path from career future time perspective to career commitment was different along with age and job titl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career future time perspective has predictive role in job attitudes and career behavior among employe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