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사회과 지리개념의 체계성 분석 - “개념체계도”를 중심으로 -

        정다애 ( Da Ae Jeong ),남상준 ( Sang Joon Nam ),권정화 ( Jung Hwa Kwon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3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개념체계도를 활용하여 2007년 개정 초등학교 사회과 3, 4, 6학년 교과서에 담긴 지리개념이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개념과 범주화, 지리교육의 기본 개념, 개념체계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NCGE&AAG, NGS, 영국 지리교육과정에서 제안한 기본 개념 분류 방식에 따라 교과서 내 각 제재/주제별 개념이 어떠한 유형에 해당하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각 제재/주제별 개념체계도가 개념들 간의 관계를 통한 설명 방식에 있어서 위계적, 범주적, 인과적 개념체계도 유형 가운데 어느 유형에 해당하는지도 분석하였다. 개념체계의 유형과 지리 기본개념과의 연계성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입지’와 관련된 개념은 위계적인 서술 방식이 사용되었다. 둘째, ‘장소 내 관계’에 해당하는 개념은 대체로 인과적인 서술 형태를 보였다. 셋째, ‘이동’에 해당하는 개념은 대체로 인과적인 경향을 보였다. 넷째, 환경과 관련된 개념은 대체로 인과적인 서술 경향을 보였다. 다섯째, ‘지리적 탐구와 기능’ 개념에 해당하는 제재/주제는 범주적인 개념체계도나 위계적인 개념체계도의 형식을 지니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whether or not geographical concepts in the social studies textbooks, revised by the 2007 Curriculum, from Grades 3, 4 and 6 are organized systematically, using a concept map. For thi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concepts and categorization, basic concepts in geographical education and concept maps, concepts for each topic/theme in the textbooks were categorized and analysed for each type according to the method of concept classification proposed by the NCGE&AAG, NGS and Geography National Curriculum for England. Furthermore, concept maps for each topic/theme were analysed as to which type they pertain to amongst hierarchical, categorical and causal concept maps in terms of the form of descrip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ncepts. In connection with the type of concept system and basic geographical concept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ncepts related to ‘location’ used the hierarchical description. Second, concepts related to ‘relationships within places’ mostly showed a causal form of description. Third, concepts related to ‘movement’ mostly showed a causal form. Fourth, concepts related to environment generally showed a causal form of description. Fifth, topics/themes related to the concept of ‘geographical enquiry and skills’ demonstrated forms of categorical concept map or hierarchical concept map.

      • KCI등재

        선개념 중심의 교통안내표지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김동녕(Kim Dong Nyong),이석기(Lee Suk Ki) 대한토목학회 2006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26 No.3D

        가로체계 중심의 교통안내체계의 선 개념을 위주로 한 안내표지를 소개하고 기존의 단순지명표기의 교통안내체계의 점 개념과 비교함으로서 두 가지 방법의 특성과 장단점을 명시적으로 정리하였다. 본 논문의 목적은 교통안내체계의 근본적인 속성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점 개념과 선 개념의 특성을 비교하고 두 가지 안내체계에 대한 효과를 비교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방법은 기존의 국내외 현황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고 해석하는 방법으로 이루어 졌다. 점 개념인 지명과 선 개념인 가로명의 속성이 운전자에게 전달될 수 있는 정보의 질적인 차이를 연구자의 입장에서 분석하고 종합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두 가지 방식에 대한 이용자의 반응을 조사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과정에 포함된 주요내용은 첫째, 교통안내체의 구성요소를 파악, 둘째, 국내외 교통안내지도의 특성 비교, 셋째, 점 개념과 선 개념의 특성을 비교하고 효과를 측정하는 것이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지명중심의 점 개념이 가지는 속성과 한계점을 명시적으로 제시하였고 선 개념이 가지는 장점을 논리적으로 증명하였다. 교통안내지도의 중요성에 대한 고찰을 하였으며 안내지도 제작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실험결과를 보면 위치 탐색의 정확성에서 가로명을 이용할 경우 지명보다 약 3배정도 위치를 더 정확하게 찾을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현 위치 탐색시간에서는 지명위주 방향표지의 경우 가로명위주 보다 약 3배정도로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위치탐색의 난이도는 지명위주 방향표지의 경우는 ‘보통’으로, 가로명위주 방향표지의 경우 ‘아주 쉬움’으로 평가하였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driver in the use of guide sign in urban areas. The good and bad points about guide sign based on landmark point and guide sign based on street name are demonstrated, and driver's preference between them are studied. The questionnaires given to general persons deal with general guide signs and road maps, and are designed to see if they can find out current location on the road map with guide sign. According to the results, drivers prefer guide sign based on street name to guide sign based on landmark. And guide sign based on street name took less time to find current location than with guide sign based on landmark.

      • KCI등재

        학습경험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제시하는 고등학교 화학교과 내의 어려운 개념과 문지방개념 분석연구

        박은정,Park, Eun Jung 대한화학회 2014 대한화학회지 Vol.58 No.1

        본 연구는 과학학습의 어려움이나 낮은 흥미도의 한 원인으로 과학 교과학습에서의 중요한 통로 혹은 입구에 해당하는 문지방개념의 존재를 가정하고 특히 화학의 어떠한 개념들이 여기에 해당하는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각 개념의 속성이 무엇이며 개념을 이해하고 "아~하"의 깨달음을 얻는 경험은 어떠했는지도 함께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화학 II를 학습한 239명의 고등학생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설문에 대한 응답으로 화학 교과의 어려운 개념이 무엇인지, 문지방에 해당하는 개념이 무엇인지, 혹은 문지방개념을 이해한 경험이 화학 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설명하였다. 몰과 원자구조가 화학 교과의 문지방개념으로 제시되었고 구체적으로는 제시된 두 개념이 문지방개념이 되는 속성이 무엇인지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문지방을 극복하고 이해하는 것은 각자의 경험에 따르지만, 문지방개념을 분석하는 기준은 각각의 경험에 일정한 준거를 제시하여 서로 다른 경험들을 객관화 시킬뿐 아니라 개념의 과학적 의미와 본성을 잘 드러내어 준다. 특히, 교사가 제시하는 화학의 문지방개념을 조사한 사전연구와의 비교는 문지방개념의 통합적 속성이 학생들의 학습과 과학흥미도 증진에 중요함을 보여준다. Concerning the difficulty of learning science and reduced interest in science, the authors of this study searched for potential threshold concepts which are portals or gateways in the field of science (particularly chemistry). The nature of these concepts and how to overcome their troublesomeness were further questioned. For this study, 239 high school students completed chemistry II provided information about what difficult concepts and potential threshold concepts in high school chemistry are and how they affect learning chemistry. In particular, the mastery experience of the threshold concepts was explored in detail. Two, "mole and atomic structure" were selected as threshold concepts in chemistry. Not only as important but also as threshold, this stud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two concepts in terms of features characterizing them as threshold concepts. In particular, the features objectify subjective experiences of students and provide information describing the scientific meaning and distinctive nature of threshold concepts in science. Along with the data from teachers, this study shows the integrative feature as key criteria for students to make meaningful understanding of the two threshold concepts.

      • KCI등재

        은유와 환유에 대하여: 개념의 수용 양상 및 확장적 이해를 위한 시론(試論)

        구자황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5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68 No.-

        이 글의 문제의식은 다음과 같은 질문에서 비롯되었다. 첫째, 은유 개념을 비롯한 근대 수사학이 수용되는 양상과 맥락을 살핌으로써 무엇을 얻을 수 있을까? 여기에 대한 답은 근대 전환기 개념 수용 과정에서 전통적 사유와 재래의 개념이 습합되는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대신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개념의 본래적 의미가 제한되거나 고착된 이유, 은유와 직유가 오랫동안 개념쌍을 이루어 문학적 위상을 갖게 된 사정을 실증하였다. 둘째, 은유와 직유로 배웠던 개념쌍을 새삼 은유와 환유로 바꿔 묻는 것은 왜일까? 또 이런 물음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와 관련하여 예의 두 개념이 하나의 개념쌍으로 성립할 때, 언어의 본질에 대한 성찰을 가능케 하고, 나아가 세계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넓혀준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논의는 한국 근대문학의 의미를 개념적 차원에서 읽어내고, 핵심 개념을 교육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일본 수사학의 영향이 조선에 뚜렷한 모습으로 등장한 것은 시마무라 류타로[島村瀧太郞]의 『신미사학(新美辭學)』부터다. 물론 시마무라 역시 영국문학에 기반을 둔 수사학 이론 및 개념을 ‘미사학(美辭學)’이라는 이름으로 일본에 수용하였다. 순조롭지 않으며, 혼종적인 개념 이해 방식은 조선의 근대 수사학의 역사이며, 동시에 근대 작문학의 역사이기도 하다. 비유 개념 범주의 틀이 바뀌는 것은 해방 이후 김기림(金起林)이 현대 수사학을 정초하면서부터라고 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일본을 통한 수용이 불가피했지만 조선의 상황에 맞게 수사학의 개념을 변용하거나 개념 범주를 체계화하였다는 점이다. 직유와 은유의 개념쌍은 이러한 과정의 산물이었던 셈이다. 은유와 환유의 맞짝 개념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과 달리 개념적 원리뿐만 아니라 사유방식의 차이를 전제로 한다. 이러한 맞짝 개념의 원리와 구조의 차이는 야콥슨(Jakobson)에 의해 체계화되었다. 이런 식의 이해가 가져온 중요한 장점 가운데 하나는 은유와 환유의 개념쌍이 언어학에서 비롯되었지만 언어의 본질에 대한 성찰을 넘어 사유 구조로 확장될 수 있다는 점이다. 야콥슨부터 데이비드 로지(David Lodge)로 이어지는 논자들 대부분은 아리스토텔레스 이래의 은유중심주의가 지닌 단순성을 극복하고 비유와 사유의 다양성을 두 개의 축으로 정립하였다. 은유와 환유의 개념쌍이 제기하는 중요한 지점 가운데 하나는 환유의 재인식이다. 환유의 개념이 환기하는 사유의 확장과 그것이 산문적 현실에 제공하는 적용 가능성이다. 현행 교육과정 및 검정 교과서 체제 안에서 은유와 직유의 개념쌍과 비유의 개념 범주 이해는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사실상 마무리된다. 이 글에서는 유사성 원리와 명시성의 유무로 설명하는 은유와 직유의 개념쌍은 유사성과 인접성의 원리로 작동되는 은유와 환유의 개념쌍으로 교체하는 것이 필요하며, 오히려 오늘날 그 필요성이 높아진 환유 개념의 확장적 이해로 나아갈 것을 주장하였다. 특히 산문의 세계에서 갖는 은유와 환유의 사례 및 환유적 상상력의 발현을 강조하였다. The problematic consciousness of this study was derived from the followings: first, what one can obtain by examining the patterns and contexts of modern rhetoric being accepted including the metaphor concept? Answers to the question can be answered by looking into the patterns of the traditional concepts of thinking and transmission being combined together in the acceptance process of concepts of modern transitional period. The process would also allow one to demonstrate the reasons why the original meanings of concepts were restricted or fixated and the circumstances behind metaphor and simile claiming a literary status by making a concept pair for many years. Second, why does one convert the concept pair learned in metaphor and simile into metonymy for questioning? What does such a question mean? Trying to answer the question, the study mainly demonstrated that when two concepts establish a single concept pair, it can enable a contemplation over the essence of language and further broaden the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of the world. In addition, such discussions can read the meanings of modern Korean literature at the conceptual level and make a contribution to the education of core concepts. It was in Shinmisahak by Shimamura Ryutaro that the influences of Japanese rhetoric became apparent in Joseon. Shimamura, of course, introduced the theories and concepts of rhetoric based on English literature in the name of "Misahak." The ways of understanding hybrid concepts that were not smooth reflect the history of modern rhetoric in Joseon and also that of modern writing studies. It was after Kim Gi-rim established contemporary rhetoric after Liberation that the framework of trope concept category changed. What was important was that they changed the concept of rhetoric or systemized the concept categories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Joseon even though it was inevitable to accept it through Japan. The concept pair of simile and metaphor was the product of that process. The homologous pair concept of metaphor and metonymy is on the premise of differences in thinking ways. The differences in the principle and structure of homologous pair were systemized by Jakobson. One of the most important advantages brought by that way of understanding was that the concept pair of metaphor and metonymy originated in linguistics but could expand to a thinking structure beyond the contemplation over the essence of language. Most debaters from Jakobson to David Lodge overcame the simplicity of metaphor-centricism since Aristotle and established the diversity of trope and thinking in two axes. One of the critical points raised by the concept pair of metaphor and metonymy is the re-perception of metonymy, which involves the expansion of thinking aroused by the concept of metonymy and applicability provided to the prosaic reality. Under the current curriculums and authorized textbooks system, the understanding of concept pair of metaphor and simile and the concept categories is completed in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The present study maintained that the concept pair of metaphor and simile, which is explained with the principle of similarity and absence and presence of explicitness, should be replaced with that of metaphor and metonymy, which operates in the principles of similarity and adjacency, and that it should move toward the expansive understanding of metonymy concept whose need had been raised today. The study particularly emphasized the manifestation of cases of metaphor and metonymy and metonymical imagination in the world of prose.

      • KCI등재

        개념과 역사적 실제

        나인호 한국국어교육학회 2014 새국어교육 Vol.0 No.98

        The conceptual history recently grows fashionable in the Korean academic world. Premising an interaction between the concept and the historical reality, this new discipline studies how these are intertwined. This paper discusses six theoretical axioms of conceptual history for analyzing such a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them as follows:1. A history is not possible without language, but the former can’t be reduced as the latter. 2. A concept should not be regarded as an idea but a linguistic construction. Therefor, the research object of conceptual history is not a history of concept itself but of how the concept was used. 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 and the historical reality is unstable. Thus, a concept is not the object of definition but of interpretation. 4. The concept is not only an indicator, but also a factor of reality. 5. Those who control the concept rule the reality. 6. The historical reality means a tense relationship between the ‘past present’ and the ‘present past’. 최근 국내학계에서 개념사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개념사는 개념과 역사적 실제 사이의 상호영향을 전제한 채 이 둘이 서로 어떻게 얽혀있는가를 탐구한다. 이 글은 개념과 역사적 실제의 얽힘을 풀기위한 개념사의 이론적 공리 여섯 개를 상론한다.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언어 없이 역사는 불가능하지만 역사는 결코 언어로 환원될 수 없다. 2. 개념은 관념(이념)이 아니라 언어적 구성물이다. 따라서 개념의 역사가 아니라, 개념 사용의 역사가 중요하다. 3. 개념과 역사적 실제의 관계는 불안정하다. 따라서 개념은 정의의 대상이 아니라 해석의 대상이다. 4. 개념은 실제의 지표이자 동시에 그 요소이다. 5. 개념을 통제하는 자가 현실을 지배한다. 6. 역사적 실제란 ‘과거의 현재’와 ‘현재화된 과거’ 사이의 긴장관계이다.

      • KCI등재

        연구논문 : 맹자의 신체개념과 호연지기(浩然之氣)

        이상선 한국동서철학회 2012 동서철학연구 Vol.64 No.-

        맹자는 자신의 심성론에 기(氣)를 도입해 도덕윤리의 색채를 띠게 함으로써 생명과 윤리가 하나로 합하는 이론을 주장하였다. 몸에 가득 찬 기(氣)는 신체를 구성하는 기본요소이고, 형체와 정감(마음)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다. 이러한 체기(體氣)는 정감과 연결될 뿐 아니라 양지(良知)와도 연결된다. 신체는 정감(마음)과 기(氣)가 서로 삼투되어 감응하고 감통하는 유기체이다. 맹자의 신체개념을 논하는 데에 있어서 그 개념의 내포를 객관적으로 분석하지 않고 우회적으로 접근할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신체 개념은 ‘수신’(修身)에 속할 뿐 아니라 또 몸과 마음이 상호 삼투(渗透)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역시 중국철학의 특성과 관계된다. 맹자의 신체 개념은 정감(마음), 기(氣), 형체의 토대위에 ‘修身’으로 형성된 것이다. 맹자는 ‘천형’(踐形)과 ‘양기’(養氣)를 통하여 신체개념의 실질을 드러냈고 동시에 몸과 마음 어느 한 쪽에 편향되어 어느 한 쪽이 다른 한 쪽을 폄하하거나 빠뜨리는 우를 범하려 하지 않았다. ‘천형’(踐形)이란 성인의 정신경계를 신체에 충분히 실현한다는 의미이다. 일반사람의 형체는 모두 원만하거나 완벽하지 않고 오직 ‘성인’만이 완벽한 원형(原形)신체를 실현할 수 있다는 말이다. 맹자의 양기설은 ‘상지’(尙志)와 집의(集義)를 통하여 내재적인 정신경계를 제고시켜 ‘외부에 드러나는’ 숭고하고 강직하여 아첨하지 않는 기개(氣槪)와 기상(氣象)의 과정으로 구현된다. 맹자는 ‘호연지기’(浩然之氣)를 통하여 정신과 육체, 감성과 이성이라는 두 차원의 통일을 덕성신체로 정현되었고, 동시에 자연과 사람이 하나가 된 것이다. ‘호연지기’(浩然之氣)는 ‘지극히 크고 지극히 굳세기’ 때문에 ‘천지간에 가득 하여’ 우주신체로 승화되어 그가 말한 천민(天民)을 실현한 것이다. 孟子把氣引進在其心性論而帶着道德倫理的色彩, 以主張了生命與倫理合一的理論。充滿在身體的氣就是構成身體的基本因素, 又有與形體, 情感(心)不可分的關系。如此的體氣旣與情感聯系, 而且可與良知也聯系。身體就是情感和氣互相感應感通的有机體。在于討論孟子的身體槪念, 是把其槪念的內包不分析, 而以迂回的方式來不得不探討的理由的。是因爲其身體槪念不但屬于``修身``而且身體和心(情感)互相渗透的。這是與中國哲學的特色有關。孟子的身體槪念基于情感(心), 氣, 形(體)之上, 以修身形成的。孟子通過``踐形``和``養氣``呈現出身體槪念的實質, 同時也身體與心偏向于一方, 而不犯一方貶下或遺漏령一方的愚。``踐形``是意味着把聖人的精神境界充分地實現在其身體。通常人的形體都不圓滿或完善, 只有聖人才實現原形身體而可言。孟子的養氣說, 是通過``尙志``與``集義``而提高內在的精神境界, 是體現以``內諸形``的崇高强直而不溜須的氣槪和氣象的過程。孟子透過浩然之氣而把精神與肉體, 感性與理性這兩個層次的統一, 以德性身體呈現出了, 同時也人與自然合一的。因爲浩然之氣極大極剛, ``塞與天地間``而升華到宇宙身體, 實現了他所說的天民而可言。

      • KCI등재

        개념결합 처리과정에 대한 관계 - 기반 접근과 차원-기반 접근의 조망 차이

        최민경(MinGyung Choi),신현정(HyunJung Shin) 한국인지과학회 2010 인지과학 Vol.21 No.1

        이 연구는 개념결합의 처리과정에 대한 관계-기반 접근과 차원-기반 접근의 설명을 대조하고, 그 함의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실험 1에서는 두 가지 조망 중에서 차원-기반 접근을 채택하여 내재적/외재적 자질 간 구분을 통한 처리과정의 차이를 검토하였다. 내재적 자질에의 의존도가 높은 개념, 즉 내재적 개념이 수식개념으로 사용될 때, 개념결합의 해석이 촉진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 결과는 개념결합의 처리는 성분개념 내부의 정보에 의해 결정된다는 개념-내적 설명의 타당성을 보여준다. 실험 2에서는 관계-기반 설명을 지지하는 Gagn?(2000)의 결과를 차원-기반 설명으로 재분석해보기 위해 그의 연구에서 사용한 개념들의 외재성을 검토하였다. 관계적 개념결합 조건에서의 개념 외재성이 그렇지 않은 조건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실험 결과는 차원-기반 설명과 관계-기반 설명이 개념결합에 실제로 관여하는 정보의 다양성에 의해 통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논의에서는 이 연구가 개념결합 연구에서 갖는 함의와 추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tried to contrast the relation-based and the dimension-based explanations and to suggest its implications on the noun-noun conceptual combination. In experiment 1, we investigated whether the dimension-based approach and intra-conceptual explanation can explain both thematic relational and property interpretations of conceptual combinations based upon the intrinsic and extrinsic features of constituent concepts. We defined intrinsic(or extrinsic) concepts according to the degree of dependency on intrinsic(or extrinsic) features. Property interpretation was facilitated when modifiers were the intrinsic concepts. This result implies that processing of conceptual combination can be influenced by the structures and information of constituent concepts. In experiment 2, exocentricity of the concepts used in Gagne(2000) was examined to reanalyze her data according to the dimension-based approach. The exocentricity was higher when the concepts were combined by their relational connections. Results of experiment 1 and 2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both approaches can be integrated through the diversities of information involved during interpreting conceptual combination.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투자 관련 표현의 개념화 양상

        강현주 ( Kang¸ Hyun-ju ) 한국문학언어학회 2021 어문론총 Vol.90 No.-

        투자와 투자를 구성하는 재화들은 구체적 대상이 아닌 개념적 대상으로서 실체가 없다. 이와 같은 추상적 개념이나 새로운 개념에 대한 설명의 필요성이 발생하면 인간은 서로의 이해를 돕거나 지식을 전달하기 위한 방식으로 대상을 개념화하게 된다. 개념화는 일상적 경험 또는 물리적·문화적 체험에 바탕을 두고 있으므로 개념화 양상을 통해 언어 사용자가 대상을 이해하는 방식을 엿볼 수 있다. 이에 이 글은 최근 사회·경제적으로 열풍을 일으킨 주식 및 가상화폐 투자에 관련된 표현들을 살펴 그 속에 나타난 한국어 사용자의 개념화 방식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투자 관련 표현에서는 개념적 은유와 개념적 혼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념적 은유 중 고체와 액체를 근원 영역으로 하는 존재론적 은유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좋은 것은 위, 나쁜 것은 아래]의 지향적 은유, [투자는 전쟁이다], [투자종목을 탈것이다]라는 구조적 은유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동학개미운동’은 개념적 혼성을 통해 효과적으로 이해됨을 분석해 낼 수 있었다. 한편, 개념적 환유는 확인되지 않았다. 투자 시장에 새롭게 등장한 표현과 그 속에 반영된 개념화 양상을 통해 주식과 가상 화폐를 대하는 투자자들의 인식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낯선 세계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개념적 은유와 개념적 혼성의 효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goods that comprise investment and the investment itself are conceptual objects, and not physical entities, that is, there is no specific substance. When the necessity to explain such abstract or new concepts arises, humans conceptualize objects in a way that helps them understand or conveys information. Conceptualization is based on daily experiences or physical and cultural experiences. Therefore, through the conceptualization aspect,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how language users comprehend objects. This article aims to check the expressions related to investments in stocks and virtual currency, which have recently caused social and economic frenzy, and to find Korean users' conceptualization method reflected through those expressions. In investment-related expressions, conceptual metaphors and conceptual blending were observed. Among the conceptual metaphors, ontological metaphors with solids and liquids as the source area were identified, orientation metaphors such as [good things are up, bad things are down,] and structural metaphors such as [investment is war] and [investment stocks is vehicle] were identified too. And it was analyzed that the “Donghakgaemi- undong” was created through conceptual blending. On the other hand, no conceptual metonymy has been confirmed. Investors’ perceptions of stocks and virtual currency could be grasped through emerging expressions in the investment market and metaphorical concepts reflected in them. Additionally, we found the effectiveness of the metaphor that helps understand the unfamiliar world.

      • KCI등재

        학교폭력개념의 법적정립을 통한 학교폭력 대응방안

        김갑석(GIM, Gab Seok) 유럽헌법학회 2015 유럽헌법연구 Vol.18 No.-

        학교폭력에 대한 개념적 접근은 먼저 사회학적 측면에서 시도되었고, 이어 법적 접근으로서 규범적 측면에서 개념정립이 이루어지고 있다. 학교폭력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정의하는 것은 어렵다. 학교폭력을 바라보는 시각에 따라서 사회학적 개념과 법학적 개념이 다르기 때문이다. 또한 학교폭력의 유형이 계속해서 변화하고 있고, 학교폭력의 개념인 학교 폭력이 현재 진행형이기 때문이다. 학교폭력예방법에 규정된 학교폭력의 개념은 그 기준이 애매하며, 그 보호범위가 추상적이며 넓다. 이러한 넓 은 범위를 설정함으로써 학교폭력의 문제를 포괄적으로 해결하기 위한것으로 보이지만, 현실은 강한 보호가 아닌 약한 보호가 되고 있다. 오 늘날 학교폭력의 문제는 그 심각성에 있어서 약한 보호로서는 해결하기 힘들며, 강력한 법적 준거를 마련하여 강한 보호로서 해결하여야 한다. 특히 최근의 학교폭력의 사이버유형의 증가와 새로운 형태의 보복이 등장하여 더욱 강력한 보호를 위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범위를 넓히기 보다는 범위를 좁혀 학교안에 한정하여 보다 강력한 보호를 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교폭력예방법이 ‘학생을 대상으로’ 하기 보다는 ‘학교 내에서 학생들간의’ 문제에만 국한해서 적용해야 할 것이다. 학교폭력의 개념 중 유형에 대한 부분도 형법용어를 그대로 사용하기 보다는 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는 구체적인 용어로 바꾸어 학교폭력의 행위가 무엇인지를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학교폭력의 개념을 규범적 측면에서 구체화 하고 명확히 하여 학교폭력의 법적 대응을 보다 강화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교폭력의 현상에 대한 접근과 분석에 있어서는 사회학적 접근 유용성이 있지만, 법적 강제력에 의한 대응을 위해서는 규범적 개념정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학 교폭력에 대한 개념정의에 있어서는 사회학적 및 규범적 측면이라는 두 개의 측면에서 접근하고 학교폭력 문제의 규범적 해결이라는 점에서 학교폭력예방법에서 개념정의에 따라 논의를 전개한다. Sociology first tried to have a conceptual approach to school violence and now its concept is being established from the normative perspective as a legal approach. It’s not easy to clearly define school violence partly because concepts that sociology has differ from those defined by science of law and partly because types of school violence keep changing and school violence, which is the concept of school violence is still on-going. Its concept stipulated in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act is vague, its standards are vague and its protection scope is abstract and broad. Setting such a broad scope seems to be good in comprehensively solving school violence but in reality, it provides a weak, not strong protection. Weak protection can hardly solve the seriousness of school violence these days. We need strong protection by preparing strong legal base. Especially, as cyber types of school violence and new types of retaliation appear in relation to school violence, systematic gadgets providing much stronger protection are in need. Accordingly, not broadening its scope, but limiting it to ‘within school’ will provide stronger protection, for which the school violence protection act should not ‘target student’ but be limited to issues only ‘among students.’ Regarding types among concepts of school violence, penal terminologies should be abstained from being used as they are but changed to ones easy for students to understand so that what are behaviors falling under school violence can be clarified. This study aimed to concretize and clarify the concept of school violence from the normative perspective with its goal of strengthening legal measures to be taken against school violence. Regarding approach to and analysis of school violence phenomena, ones by social studies are useful but it’s also necessary to normatively establish its concept if measures by legal force is intended. The current study approached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school violence from the sociological and normative perspectives while it unfolded its discussion along the concept defined in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act from the perspective of normatively solving the issue of school violence.

      • KCI등재

        사례개념화 집단교육의 효과 분석

        이명우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3 예술심리치료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사례개념화 교육을 집단교육 형태로 실시한 후 그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 관련 연구를 분석한 결과, 초심 상담자를 위한 사례개념화 집단교육은 공통적 인 요소를 학습하고, 나중에 각자 자신의 이론을 개발하도록 하는 통합적인 사례개념화 모 형이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A대학교에서 인턴과정에 있는 상담자 7 명으로, 사례개념화 집단교육을 실시하기 직전에 사전검사로 사례개념화 능력 평가, 상담 자 발달수준 평가(사례이해 및 상담계획)를 하였고, 사례개념화 집단교육을 모두 마친 직 후 사후검사로 사전검사와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매 회기마다 사례개념화 집단 교육 직후 중요한 사건 질문지를 통해서 교육에 참여한 상담자의 교육 경험내용을 자세히 기록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사례개념화 집단교육 전에 비해 상담자 발달수준 평가(사례이 해) 점수, 상담자 발달수준 평가(상담계획) 점수, 그리고 사례개념화 능력 평가 점수가 모 두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의 중요한 사건질문지 내용 분석에서 ‘사소한 행동관찰에서 내담자 이해를 위한 가설 세우기 가능’, ‘초기면접에서 일어난 상담자의 이슈들을 사례개념화에 활용하는 방법을 알았음’, ‘심리검사와 내담자 관 련 다른 정보를 연결해서 개념화하는 방법 앎’ 등이 대표적인 교육경험으로 나타났다. 마지 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고,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effect of the group education for case conceptualization. After examining related studies, it was found that the group education on integrative case conceptualization model was necessary for novice counselors to learn common elements and then develop their own theory.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nsisted of 7 counselors of intern training program in A University. The participants took counselor developmental level assessment(understanding of case and counseling plan) and case conceptualization capability assessment before and after group education for case conceptualization. Also, they described the their experiences on the critical event questionnaire after each session of the group education.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scores, respectively on counselor developmental level assessment(understanding of client's problem), counselor developmental level assessment(counseling plan), and case conceptualization capability assessment. Also based on analyzing critical event questionnaire, the helpful contents for the novice counselor in this group education were as following: ‘Formulating tentative hypotheses for understanding client's problem by trivial clue with first client observation’, ‘Knowing the way of formulating counselor issues in the initial phase of counseling into case conceptualization’, and ‘Knowing how to do case conceptualization by connecting with psychological test and relevant information on client'. Finally,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implications of study are discussed and a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is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