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중국의 간호재학생들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전문직관 비교연구

        이향련 ( H Y Lee ),김윤희 ( Y H Kim ),강현숙 ( H S Kim ),이지아 ( J Lee ),( Fan X ),( Ling M ),YuanQ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7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3 No.2

        본 연구는 간호교육성과 평가를 위해 한국간호평가원에서 정한 5개의 영역인 비판적 사고력,전문직관, 지도력,의사소통능력, 간호수행능력 중 비판적 사고 성향과 전문직관에 대하여 한국과 중국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평가 비교하였다. 한국과 중국의 간호학 생의 교육성과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중국유학생의 기준을 확인 할 수 있으며 미래 간호인력 활용에 있어 서도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하고자 하였다.본 연구결과 한국의 간호교육과정이 주로 3년제와 4년제로 구분되어있는 것에 비하여 중국의 경우 4년 제와 5년제로 구분되었고 입학자격이 일반적으로 중 학교 졸업 이상임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인 중국의 간호대학은5년제 과정이었으며 교과과정에서 비판적 사고나 전문직관이 포함되어 있지 않았고 한국의 간호대학의 경우 2학년 교과과정에 ‘비판적 사 고와 간호,가 전공 선택으로 포함되었다. 따라서 관련 교과목의 선수경험을 조사한 결과 비판적 사고가 전문직관보다 양국기간에 더 큰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양국기간의 비판적 사고성향 비교에서 한국은 97. 06점 (l35점 만점) 이었고, 중국은 88. 61점으로 나타나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以286, p<.001).이는 한국학생들의 43. 3% 가 비판적 사고와 관련된 과목을 수강한 경험이 있는 반면 중국의 경우 8. 7% 안이 관련과목을 수강하였다고 보고하였음을 감안할 때 국가 간의 차이보다는 교육의 효과가 좀 더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실제로 본 연구에서 한국 측 대학과정에서 비판적 사고의 과목이 2학년의 선택 과목으로 개설되고 있었다. 선행연구인 Yoon (2004) 의 95. 55와 비교하면 본 연구의 한국학생 대상자 군의 점 수가 더 높았다. 한편, Yoon (2004) 의 연구에서는 대상 자들의 비판적 사고관련 과목의 선수경험여부를 보고 하지 않았지만 교과과정에 비판적 사고라는 교과목이 개설되지 않은 상태이며 l학년과 4학년의 점수가 95. 09과 974로 235의 차이가 있는 반면 한국의 경 우 1학년과 4학년의 점수가 94. 10점과 103. 22정으로 좀 더 큰 점수차이인 9.12점 이였음을 고려할 때 비판 적 사고를 주제로 한 교과과목의 수강경험이 비판적 사고성향 함양에 큰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급 속히 변화하는 임상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위해 본 연구의 한국측 간호대학에서는 학 생들의 비판적 사고 능력함양에 관심을 갖게 되어 ‘비판적 사고와 간호· 라는 교과목을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었다. 실제로 임상현장은 끊임없이 문제해결과 의사결정을 요구하고 있으며 비판적 사고 없이 이루 어지는 간호행위는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 서 비판적 사고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과목 혹은 관련 교과목을 교과과정에 포함시켜 간호학생들이 임상현장을 접하기 전에 비판적 사고성향을 기르도록 하여 임상현장에 잘 적응할 수 있게 해야 할 것이다. 또 하나의 교육성과 측정영역인 전문직관을 분석한 결과 한국학생은 65. 44점 (95점 만점) 이었고 중국학생 은 72. 14점으로 중국학생이 한국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고하였다 (논 - 4. 876, P<, o이). 이는 Kim등신999) 의 연구에서 간호전문대학을 졸업한 현직 간 호사를 위한 2년의 편입과정 (RN- BㄴN)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입학 시 점수인 91. 2叩33점 만점)을 95점 만점으로 환산한 점수인 입학시 65. 14점보다 높았고 졸업 시 점수인 70. 83보다는 한국학생은 낮은 점수를 중국학생은 더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본 연 구에서 저학년학생들과 고학년학생들을 비교했을 때 한국 의 경우 l학년은 61. % 점이었고 4학년은 70. 17점으로 4학년이 l학년보다 821점이 더 높았다. 이는 교육과 함께 병용된 체계화된 임상실습경험이 학부생인 l학 년과 4학년의 점수차이에 크게 좌우된 것으로 보인 다. 중국의 경우에서도 임상실습경험이 없는 1학년에 서 4학년까지의 점수 범위가 67. 10점에서 71. 50점인 반면 임상실습을 경험한 5학년의 경우 77.7점로 4학 년보다 α 27점이 더 높았다. 그러나 전문직관과 관련된 선수과목의 경험여부는 점수에 별로 큰 영향을 주지 못했다. 즉, 관련과목 경험학생들의 전문직관이 70. 03점이었고 경험하지 않은 학생들은 68. 27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 1. 033, p=272). 본 연구에서 한국과 중국 양 대학에 전문직 관을 중점적으로 다루는 과목이 없었고, 간호전문직 관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도구가 간호수행과 관련 된 전문성, 직업윤리 및 감정이입의 수준을 파악하였기 때문에 간호수행을 실습하는 현장실습인 임상실습 의 경험여부가 긍정적인 전문직관 형성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Jeong (2007) 의 연구에서도 임상에서 간호전문직관에 따라 간호수행능력이 달라지므로 간호전문직관을 긍정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계속 교육 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한국과 중국의 교육성과 평가에 대한 지속적인 국제연구교류를 위해 일차적으로 중국 의 간호교육 환경을 중국의 간호역사와 함께 이해하며 교과과정을 분석하는 선행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성과 평가를 위해 한국 교육평가원에서 제시한 5개 영역 중 먼저 2개 영역을 평가하며 중국과 한국학생들을 비교할 뿐만 아니라 중국과의 지속적인 연구교류의 가능성을 파악하였다. 여전히 언어와 문화의 차이로부터 오는 상대방을 이 해하는 어려움이 있었지만 본 대학으로서는 처음으로 중국 현지 연구팀과 협력관계를 유지하며 시도한 공동연구로서 앞으로 지속적인 국제연구교류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연구였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critical thinking and professionalism between Korean and Chinese nursing students. Critical thinking and professionalism were a part of five domains to evaluate nursing education: critical thinking, professionalism, leadership, communication, and nursing practice from the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207 college nursing students: 104 students from the 4-year degree program in Korea and 103 from the 5-year degree program in China from September 2006 to September 2007. The instruments for Chinese students were translated in Chinese and re-translated to check accuracy.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PC+ Win 12.0 Version. The x2-test to compar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t-test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the study variables were conducted. Results: Korean nursing students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critical thinking than did Chinese students while Chinese students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professionalism. Students took previous courses associated with critical thinking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did those without previous courses take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cores of professionalism whether students had previous experience of related courses or not. Rather than, students with clinical practice reported higher scores of professionalism than did those without clinical practice. Conclusion: Levels of critical thinking were influenced by course focusing on critical thinking while professionalism was improved by combination of associated courses and clinical practice. For follow-up study, there is needed to examine nursing curriculum between Korea and China.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윤미진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4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G시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간호대학에 재학중인 간호대학생 192명으로 자료수집기간은 2021년 5월 20일 부터 5월 27일까지였다. 자료는 SPSS 20.0 통계프로그램의 빈도분석, 평균과 표준편차, t-test와 One way ANOVA, Pearson’s correation coeff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대상자의 생명의료윤리의식 은 3.28±0.41, 간호전문직관은 3.32±0.85였다.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과 간호전문직관의 상관관계는 r=.55 (p=.000)으로 나타났으며,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은 생명의료윤리의식 중 장기이식이 37%, 안락사가 16.5%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향상을 위한 교욱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on nursing professionalism among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among 192 nursing students in G city, from May 20 to 27, 2021.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a using t-test, One way ANOVA, Pearson’s correation coeff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20.0 WIN program. The average score for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was 3.28±0.41 and nursing professionalism was 3.32±0.85. nursing professionalism showed a positve correlation(r=.55, p=.000) with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Models including the variables, Organ transplant, Euthanasia, explained 37%, 16.5% of the variance in the nursing professionalism. Based on the outcome of this study, steps should be taken to design intervention program that emphasize a improve nursing professionalism for nursing student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도덕적민감성과 간호전문직관이 표준주의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황혜정,임미란 대한산업경영학회 2022 산업융합연구 Vol.2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도덕적민감성과 간호전문직관이 표준주의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 하고자 시도되었다. D시에 소재한 일개 대학의 4학년 간호대학생 170명을 대상으로 자료는 2021년 11월 15일부터 11월 30일까지 설문지를 통해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서술적 통계,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도덕적 민감성은 7점만점에 평균 4.69±0.68점, 간호전문직관 평균은 5점 만점에 3.93±0.61점, 표준주의 수행도의 평균은 5점 만점에 4.55±0.61점이 나왔다. 도덕적민감성은 간호전문직관(r=.384, p<.001), 표준주의 수행도(r=.336,p<.001)와 유의 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간호전문직관은 표준주의 수행도(r=.518, 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이 높을수록 표준주의 수행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β=.399. p<.001). 표준주의 수행도에 대한 변인의 설명력은 35.7%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간호대학생의 올바른 간호전문직관을 정립시켜 감염관리를 위한 표준주의 수행도를 높일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제안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attemp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Moral sensitivity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n Standard Precautions among nursing students. Data collection is executed from November 15th to 30th of 2021, from 170 4th grade nursing students at one school city D. And the data answered to the questionnaire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analysi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Moral sensitivity of nursing students was 4.96 ±0.68 out of 7 points, the average of Nursing Professionalism was 3.93 ±0.61 out of 5 points and the average of Standard precautions was 4.55 ±0.61 out of 5 points.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moral sensitivity and standard precautions(r=.336, p<.001), between moral sensitivity and nursing professionalism(r=.384, p<.001) and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nursing professionalism and standard precautions(r=.518, p<.001). In additon,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students, the higher the standard precautions(β=.399. p<.001). The explainatoy power of the variables Standard Precautions was 35.7%.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 that develop education program increasing the Standard Precautions by enhancing Nursing Professionalism for infection management educational program among the student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직업가치관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안성식,박인숙 한국취업진로학회 2022 취업진로연구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 and occupational values of nursing college student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job preparation behavior. The data collection of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October 25 to October 29, 2021, and the study subjects were collected using a self-filled questionnaire from 213 nursing students in the 4th grade of one college in J City, K Do. The SPSS Win 22.0 program was based on a frequency analysis of general characteristics, a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 of nursing college students, occupational values and a confidence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pearson's correlation of job preparation behaviors.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study derived, hypothesis1 was adopted because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α) 0.05 after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β=0.202) on job preparation behavior. After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values(β=0.553)on job preparation behavior, hypothesis2 was adopted because i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α) 0.01.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professionalism and job readiness behavior, it was found that nursing professionalism had an effect on job preparation behavior. Nursing professionalism was found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job preparation behavior, followed by professional self-concept, followed by nursing practice, independence of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and social perception.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values ​​and job preparation behavior, it was found to have an influenc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values ​​and job readiness behavior, it was found that the intrinsic values ​​of achievement, ability, and aptitude and interest had a greater effect on job preparation behavior than extrinsic values ​​of salary, economic stability, honor or status, and working environment. The academic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job preparation program to improve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intrinsic vocational values ​​in order to actively perform job preparation behaviors of nursing students. The practical implication is that factors affecting nursing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 values ​​were examined at a time when the role of nurses socially increases due to COVID-19 for graduate-grade nursing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the era of COVID-19, which is difficult to find in previous studies. You can check what it is and reflect it in the area of ​​integrated nursing activity. Based on th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improvement of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 and occupational value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ir job preparation behavior,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career guidance and program development for successful employment that can establish customized employment strategies and reduce the rate of early turnover.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직업가치관을 파악하고,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21년 10월 25일부터 10월 29일까지 K도 J시에 소재한 일개 대학 4학년에 재학 중인 213명의 간호대학생으로 부터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본 연구는 SPSS Win 22.0 program으로 일반특성은 빈도분석,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취업가치관 및 취업준비행동은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및 pearson’s correlation을 실시하였다. 도출된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간호전문직관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살펴본 결과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가치관이 취업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전문직관과 직업가치관이 취업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첫째, 간호전문직관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살펴본 결과 간호전문직관이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전문직관은 취업준비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전문직 자아개념이었고, 그 다음으로 간호실무역할, 간호의 독자성, 간호의 전문성, 사회적 인식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가치관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본 결과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가치관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살펴본 결과 성취감, 능력발휘 및 적성과 흥미의 내재적 가치가 급여, 경제적 안정, 명예나 지위 및 근로환경의 외재적 가치보다 취업준비행동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학문적 시사점은 간호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을 활발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전문직 자아개념과 내재적 직업가치관을 향상시키기 위한 취업 준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였고,실무적 시사점은 기존의 연구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코로나-19 시대를 경험한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코로나-19로 간호사의 역할이 사회적으로 증대되는 시기에 간호전문직관과 직업적 가치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확인하여 통합적 간호 활동 영역에 반영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취업가치관의 향상은 취업 준비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수 있기에 맞춤형 취업전략을 수립하고 조기 이직률을 낮출 수 있는 성공적인 취업을 위한 진로지도 방안과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 KCI우수등재

        전문간호사의 정치적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박우영,이태화 간호행정학회 2023 간호행정학회지 Vol.29 No.3

        Purpose: This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job characteristics of advanced practice nurses (APNs) and the degree of nursing professionalism as factors influencing the political competency of APNs. Additio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factors and political competency was analyzed.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of 118 APNs from June 16 to September 16, 2021.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 t-test, ANOVA, Scheffé’s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WIN 25.0. Result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in the political competency of APNs based on age, workplace, position, experience as an APN, political education, and political party membership. Furthermore, political competency positively correlated with job characteristics and nursing professionalism. The factors affecting the political competency of APNs included skill variety, workplace, political education, political party membership, and nursing professionalism. Conclusion: Findings of this study confirmed the importance of the political competency of APNs. Furthermore, policy efforts to promote independent job development reflecting the job characteristics of APNs and improvement in nursing professionalism are required, and support from professional nursing organizations is needed.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실무에서 근무하고 있는 전문간호사를 대상으로 전문간호사의 직무특성과 간호전문직관의 정도를 확인하고 정치적역량과의 관계성을 파악하여 정치적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전문간호사의 정치적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성 연구 설계이다. 자료 수집은 2021년 6월 16일부터 9월 16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 프로그램을 통해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5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문간호사의 정치적역량은 일반적 특성 중 연령, 근무지, 직위, 전문간호사 경력, 정치적역량 교육 경험, 정당 가입 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정치적역량은 직무특성, 간호전문직관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다양성, 근무지, 정치적역량 교육 경험, 정당가입경험, 간호전문직관이 정치적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정치적역량 향상을 위한 간호전문직관과 직무특성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대한간호협회 차원의 정치적역량 관련 교육에 대한 기초연구와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전문간호사의 정치적역량 향상을 위해 직무특성을 반영한 독자적인 직무 개발 및 간호전문직관 향상을 함께 도모할 수 있는 정책적 노력과 함께 간호전문직단체 차원의 지원의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임상실습 만족도 및 감성지능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김가야 중소기업융합학회 2022 융합정보논문지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임상실습 만족도 및 감성지능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21년 11월 10일부터 11월 20일까지 간호학과 4학년 132명을 편의표집으로 조사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5.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와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 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감성지능(β=.46, p<.001), 임상수행능력(β=.18, p=.033), 임상실습 만족도 (β=.18, p=.027)이었으며, 간호전문직관의 설명력은 52%이었다. 따라서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통하여 간호학과 학생들의 간호전문직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understand to investigate the convergence effects of nursing students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nursing professionalism. From November 10 to November 20, 2021, 132 fourth-year nursing students 132 students in 4th year nursing department were surveyed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Statistics 25.0. As a result of the study, factors affecting nursing professionalism were emotional intelligence(β=.46, p<.001), clinical performance (β=.18, p=.033),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β =.18, p=.027)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nursing professionals was 52%.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a program that can improve professional nursing values of nursing students through factors affecting professional nursing values.

      • KCI등재후보

        사례기반 실습교육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과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효과

        양진주(Yang Jin Ju),김효경(Kim Hyo Kung)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2021 안전문화연구 Vol.- No.14

        본 연구의 목적은 일개 대학병원에서 임상실습을 경험하는 간호학과 3학년을 대상으로 임상수행능력과 간호전문직관을 파악하고 사례기반 실습교육 프로그램이 임상수행능력과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여 임상실습교육의 질적 향상과 다양한 임상 실습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단일군 전 · 후 설계의 유사실험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시 소재의 일개 대학교 간호학과 3학년 학생 27명을 대상으로 2021년 10월 29일부터 2021년 11월 19일까지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례기반 실습교육 프로그램은 2주간 2회기로 구성되었고, 교육프로그램 시작 전 오리엔테이션, 연구대상자의 특성, 자가 보고식 임상수행능력과 간호전문직관에 관한 사전조사, 2회기 사례기반 실습교육 적용, 연구대상자의 임상수행능력과 간호전문직관에 대한 사후조사 단계로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program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자의 특성은 빈도를 구하였고, 교육 전과 후의 연구대상자의 임상수행능력과 간호전문직관의 차이는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사례기반 실습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연구대상자의 임상수행능력(t=-3.33, p=.003)과 간호전문직관(t=-2.23, p=.035)은 교육 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특히 연구대상자의 임상수행능력의 하위 영역 중 간호과정, 주요간호중재, 사회심리적 간호, 대상자교육, 관찰과 신체사정의 영역이 교육 전보다 교육 후에 유의하게 상승하였고, 기본간호도 상승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연구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 하위영역 중 사회적 인식과 간호실무역할이 교육 전보다 교육 후에 유의하게 상승하였고, 전문직 자아개념, 간호의 독자성, 간호의 전문성 등은 교육 전보다 교육 후에 상승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승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사례기반 실습교육 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과 간호전문직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본 연구는 임상 실습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다양한 사례기반 실습교육을 개발하여 적용 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사례기반 실습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검증할 수 있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 연구를 수행하기를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linical competency and nursing professionalism, to identify the effects of case-based practice education program on clinical competency and nursing professionalism,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n clinical competency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college students experiencing clinical practic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29th to November 19th, 2021 and 27 Junior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one university located in G city. The case-based practice education program consisted of orientation, a pre-survey, a two-section program, and a post-survey.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o collect the data and frequency and paired t-test were analyzed by SPSS 19.0 program. Compared with before the program, clinical competency and nursing professionalism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completion of the case-based practice education program (t=-3.33, p=.003; t=-2.23, p=.035). Especially compared with before the program, nursing process(t=-3.93, p=.001), major nursing interventions(t=-3.67, p=.001), psycho-social nursing(t=-2.81, p=.009), education for clients(t=-2.17, p=.039), observation and physical examination domains(t=-2.79, p=.010) of clinical competency and social awareness(t=-3.64, p=.001), roles of nursing service(t=-2.60, p=.015) of nursing professionalism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conclusion, the case-based practice education program can be used as an effective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clinical competency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development of various cased-based education programs is required to enhance clinical competency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college students experiencing clinical practice.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의사소통능력, 간호사 이미지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김유정(Yu-Jeong Kim)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4 No.8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의사소통능력, 간호사 이미지와 간호전문직관 간의 관계와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올바른 간호전문직관을 확립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간호대학생의 간호학 전공만족도 정도는 5점 만점에 3.71± 0.53점, 의사소통능력 정도는 3.50±0.38점, 간호사 이미지 정도는 3.80±0.52점, 간호전문직관 정도는 3.70 ±0.56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전문직관 정도는 나이(F=4.761, p=.010), 간호학 선택 동기(F=2.584, p=.038)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Tukey 사후검증결과 나이에서는 20~24세가 30세 이상보다, 간호학 선택동기에서는 적성에 맞아서가 높은 취업률보다 간호전문직관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간호전문직관은 전공만족도(r=.531, p=.000), 의사소통능력(r=.531, p=.000), 간호사 이미지(r=.836, p=.000)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간호사 이미지(β=.705, p=.000), 의사소통능력(β=.136, p=.001), 전공만족도(β=.133, p=.002) 순이었고, 이러한 변수들은 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을 72.8% 설명하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올바른 간호전문직관 확립을 위해서는 간호사의 이미지를 개선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을 높여 간호학 전공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ajor satisfaction, communication skills, image of nurses and nursing professionalism, and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n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from 214 students who were 3rd years in the nursing university in Gwangju, June 2019.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IBM SPSS 21.0 program. The mean scores for the major satisfaction(3.71±0.53), communication skills(3.50±0.38), image of nurses(3.80±0.52), nursing professionalism(3.70±0.56) were above average.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rsing professionalism depending on age, motivation for nursing clinical practice.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found among major satisfaction(r=.531, p=.000), communication skills(r=.531, p=.000), image of nurses(r=.836, p=.000) and nursing professionalism in nursing students. The results of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indicates that image of nurses(β=.705, p=.000) and communication skill(β=.136, p=.001) and major satisfaction(β=.133, p=.002) and predicts 72.8% in clinical practice competency(F=191.248, p<.001). In conclusion, to enhance nursing professionalism for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utilize a program that enhances image of nurses, communication skills and major satisfaction.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수진,박인숙 한국취업진로학회 2021 취업진로연구 Vol.11 No.3

        신입생으로 대학에 입학하면 다양한 교양을 먼저 접하고, 전공으로 학습을 확대하면서 대학생은 자 신의 진로를 탐색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진로준비를 하게 된다. 대학 생활은 발달과업 상 자아실현을 하는 시기이고, 진로 탐색과정과 준비를 통해 자신의 흥미와 적성에 맞는 직업을 선택하는 중요한 기 간이다. 대학 시기는 진로와 관한 여러 가지 문제에 직면하게 되면서 이를 해결하는 태도가 미성숙하여 중도 탈락하여 학업 포기와 학교생활에 활력을 잃어버리는 부정적인 결과를 만들기도 한다. 대학생 본인의 진로에 대한 성숙한 의식과 태도를 가지고 있더라도 진로를 준비하는 행동이 수반되지 않으면 목표를 달성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고, 간호는 타 직업 분야와 구분되는 전문직관을 형성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 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간호사라는 직업에 대한 전문직관도 환경적 요소에 따라 변화하리라 생각된다. 간호사로서 마지막 단계 준비를 하는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에게 진로준비행동은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간호학의 가치를 깨닫게 하여 올바른 간호전문직관을 확립하고, 스스로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통하여 준비를 할 수 있는 셀프리더십을 지지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 향을 파악하여 체계적인 진로준비행동 교육에 대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 다. 연구결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살펴본 결과 셀프리더십이 간호전문직관에 비해서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전문직관인 간호의 독자성, 간호계의 역할, 전문직 자아개 념, 간호의 전문성, 사회적 인식이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셀프리더십은 건설적 사고, 리허설, 자기기대, 자기보상, 자기비판이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 로준비행동 향상을 위해 간호전문직관과 셀프리더십 향상을 위한 1학년 때부터 학년별 맞춤형으로 진 로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University freshmen first learn about various liberal arts subject, expand their learnings to the major courses, go through exploration on one's career and prepare for their career. Their time in university is when the self realization happens from developmental task, and it is an important time when they choose the job that suits their interest and aptitude via career exploration and preparation. During this time, some might face various difficulties regarding career, and due to lack of mature attitude toward problem solving, it may end up in negative result such as giving up the studying or losing vibrancy in school life. Even when the student has mature thinking and attitude toward career, if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s not followed, it is difficult to achieve goals, thus, it is important for nursing to form the nursing professional value that is different from other occupations. It is thought that the professional intuition for the profession of a nurse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ill also change depending on environmental factor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s a very important element for graduate-year nursing students who are preparing for the final stage as a nurse. This suggests the need for a supportive strate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rehend the influence of nursing professional value and self-leadership of graduating nursing students on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o provide the fundamental reference for developing program about systematic career preparation behavior education. As the result, the nursing professional value and self-leadership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nursing student, and to improve the behavior,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customized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each grade from the freshman to improve their nursing professional value and self-leadership.

      • KCI등재

        간호역사문화 융합프로그램 수행 전ㆍ후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간호사이미지 비교

        임소연,김희정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9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간호역사문화 융합프로그램 수행 전․후에 간호전문직관과 간호사이미지의 차이를 비교분석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자는 충남지역에 위치한 B대학 간호학과 1,2학년 학생 29명이고, 2016년 5월 12일부터 2016년 6월 22일까지 6차례에 걸쳐 대상자에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간호역사문화 융합프로그램 전·후에 간호전문직관과 간호사이미지 정도를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 후에 간호전문직관과 간호사이미지는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간호전문직관의 하위항목인 전문직 자아개념, 사회적 인식, 간호의 전문성과 간호사이미지의 하위항목인 간호사의 역할 및 대인관계 항목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간호전문직관과 간호사이미지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간호역사문화 융합프로그램이 간호전문직관 및 간호사이미지 향상을 위해 비교과프로그램으로 정착되고 다양한 개념으로 개발 될 것을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differences of nursing professionalism and nurse's image before and after convergence-based nursing history and culture program. Study subjects were 29 juniors in B nursing college. The convergence-based nursing history and culture programs had been provided 6 times. In this study, the score of nursing professionalism and nurses’ imag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program. Among the sub-items of nursing professionalism, the self-concept of professionalism, the social awareness, the professionalism of nursing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and among the sub-items of nurse’s image, the role of nurse,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nurs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after program. Nursing professionalism and Nurse’s image ha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Therefore this program could be a good extra-curriculum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more variable cont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